KR20130094097A -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 경보 시스템 - Google Patents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 경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4097A
KR20130094097A KR1020120015495A KR20120015495A KR20130094097A KR 20130094097 A KR20130094097 A KR 20130094097A KR 1020120015495 A KR1020120015495 A KR 1020120015495A KR 20120015495 A KR20120015495 A KR 20120015495A KR 20130094097 A KR20130094097 A KR 20130094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unit
information
wireless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5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1155B1 (ko
Inventor
양한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스 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스 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스 코리아
Priority to KR1020120015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1155B1/ko
Publication of KR20130094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4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1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1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3/1016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3/1025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 G08B3/1033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with voice message alert

Abstract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감지장치는 화재를 감지하여 화재 발생 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하는 화재감지부와, 상기 화재 발생 신호에 따라 각종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경고음을 발생하는 화재경고부를 포함하며, 건물의 실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화재 감지 장치에 있어서, 화재 감지 장치의 설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제어신호에 따라 유무선으로 연결된 화재 관련 기관 또는 화재 관련 담당자에게 그 화재 발생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화재 발생을 통보하는 통신부 및 내장된 충전 배터리를 통해 상기 화재 감지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며, 유선으로 다른 장치와 연결이 되면 그 다른 장치로부터 전원을 추출하여 배터리에 충전하는 전원공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실내의 방, 호수 등의 화재가 난 지점의 정확한 위치 추적이 가능하고, 연결된 다른 장치(예, 기존 설치된 감지장치 등)로부터 전원을 추출하여 내장 배터리의 충전하여 충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 경보 시스템{ADDRESS TYPE WIRE AND WIRELESS FIRE ALARM SYSTEM}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 경보 시스템과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내부에는 화재 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감지수단이 구비된다. 그 대표적인 예가 건물의 천장에 부착된 화재 감지 장치이다. 이러한 화재 감지 장치는 실내에서 화재발생에 따라 감지되는 온도변화를 감지하여 감지되는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으로 올라갈 경우 화재 발생으로 판단하고, 유선으로 연결된 방제 시스템으로 화재 신호를 전송한다. 방제 시스템은 화재 감지기로부터 전송된 화재 발생 신호에 따라 건물 내에 경보를 발령하는 한편 예를 들면, 스프링클러, 방화벽과 같은 초기 진화 수단을 이용하여 진압을 시도하고, 소방서와 같은 기관에 화재 발생을 알린다. 화재방지시스템은 빌딩 또는 아파트와 같은 다수의 사람이 거주하는 대형 건물에서 주로 사용되며, 개인 주택 등에서는 단독형 화재 감지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단독형 화재 감지기는 그 내부에 화재를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감지수단에 의해 화재발생이 감지되면, 버저음 또는 전자음을 울려 사용자에게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통보한다.
그러나 기존의 아날로그 감지기는 1회로 당 감지기를 부착하여 사용하므로 화재 발생시 부착된 감지기 개수와 상관없이 1구역으로 화재 발생 장소 표시를 나타낸다. 이로 인해 정확한 화재 발생 장소를 알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유선 방식의 기존 화재감지기는 규격, 규모에 따라 부품과 동작 프로그램 방법이 틀려 서로 공유가 불가능하였다. 즉, 건물의 기존 설비와 규격 등의 차이로 인해 서로 연동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기존의 화재감지기는 내장 배터리를 사용하는데 쏠라셀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충전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으나 충분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102307호는 단독형 화재감지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화재가 난 지점의 정확한 위치 추적이 가능하고, 내장 배터리의 충전 문제를 해결하며, 기존 설치된 감지기 등과 연동이 가능하여 기존 설비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며, 연결된 다른 감지기 등의 장치나 전체 방제 시스템의 정상 동작 여부를 진단할 수 있는 어드레스형 화재감지장치가 제시된다.
일 양상에 따르면,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 경보 장치는 기준 온도 또는 기준 연기 농도 정보를 포함하는 기준 환경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감지센서를 통해 실내 온도 또는 연기 농도를 포함하는 실내 환경 정보를 측정하여 제어부에 전송하는 화재감지부, 실내 환경 정보를 수신하여, 그 실내 환경 정보와 저장부의 기준 환경 정보를 비교하여 화재 발생 또는 화재 경고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제어신호에 따라 유무선으로 연결된 화재 관련 기관 또는 화재 관련 담당자에게 화재 관련 정보를 통보하는 통신부 및 내장된 충전 배터리를 통해 상기 화재 감지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며, 유선으로 다른 장치와 연결이 되면 그 다른 장치로부터 전원을 추출하여 배터리에 충전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한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화재감지부는 연동된 외부 화재 감지기로부터 전류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전류 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하고, 제어부는 수신된 전류 신호의 세기를 분석하여 화재 발생 또는 화재 경고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저장부는 어드레스형 화재감지장치의 설치 위치 정보 또는 화재 관련 기관의 전화 번호를 더 저장하고, 통신부는 제어신호에 따라 저장부의 화재 관련 기관의 전화번호와 설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화재 관련 기관에 그 설치 위치 정보가 포함된 화재 관련 정보를 통보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계 안테나를 통해 상기 화재 관련 기관과 통신하되, 통신부와 중계 안테나 사이는 지그비 통신 모듈 또는 블루투스 중의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하며, 중계 안테나와 화재 관련 기관 사이는 RS485 통신 또는 RS232C 통신 중의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유선 통신할 수 있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화재 감지 장치의 정상 동작 유무, 또는 그 화재 감지 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다른 장치의 정상 동작 유무, 또는 전체 화재 관제 시스템의 정상 유무를 진단하고 이상 발생시 제어부에 그 이상 발생 지점, 그 이상의 종류를 포함하는 이상 발생 정보를 전송하는 상태진단부 및 이상 발생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상태진단부로부터 이상 발생 정보가 수신되면 화재 관제 시스템 관리자에게 그 이상 발생 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거나, 이상 발생 정보를 표시하도록 정보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저장부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를 더 저장하고, 제어신호에 따라 저장부에서 대응되는 음성 정보를 읽어 그 건물에 안내 방송을 하는 음성안내부 및 제어신호에 따라 경고음을 출력하는 화재경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저장부는 실내 주인의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 정보를 더 저장하고, 실내의 가스 누출을 감지하여 이상 신호를 발생하는 가스 누출 감지부와, 미리 등록된 가전기기들의 이상 작동을 감시하여 이상 신호를 발생하는 기기작동감시부와, 이상 신호가 발생되면 저장부에 저장된 주인의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를 통해 그 이상 상황을 통보하는 이상통보부를 포함하는 실내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실내관리부는 어드레스형 화재감지장치가 부착된 실내를 촬영하는 카메라모듈 및 카메라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외부인의 침입 여부를 판단하는 침입감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 경보 장치는 감지센서의 영점 및 스팬 편차를 보정하는 편차보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내의 방, 호수 등의 화재가 난 지점의 정확한 위치 추적이 가능하고, 연결된 다른 장치(예, 기존 설치된 감지장치 등)로부터 전원을 추출하여 내장 배터리의 충전하여 충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기설치된 외부 화재 감지기와 연동하여 그 화재감지기들로부터 수신된 전류 신호의 세기에 따라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된 다른 감지 장치나 전체 방제 시스템의 정상 동작 여부를 주기적으로 진단하여 관리자에게 문자 메시지 등을 통해 알려 주어 안정적인 방제 시스템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건물 밖에 설치된 중계 안테나와 무선으로 통신함으로써 설치시 새로 설비 작업을 할 필요없이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하며, 기존 설치된 다른 회사의 감지기, 장치들과 공유 또는 연동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기존 설비를 교체할 필요가 없다.
또한, 화재 발생시 주위의 환경 변화에 따라 온도센서나 연기 챔버에서 미리 설정한 주위 온도나 연기 농도에 의하여 화재 발생 또는 경고 여부를 판단하여 관계자에게 음성 멘트, 부저 음, LED, FND 등을 통해 알려줌으로써 주위 사람들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 경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 경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 경보 시스템 중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 감지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 감지장치 중 화재처리부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 감지장치 중 실내관리부의 블록도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 경보 시스템을 도면들을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 경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 경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 경보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화재감지장치는 자동화재탐지설비나 자동소화설비의 화재를 직접적으로 탐지하는 부품을 말하며, 공기의 팽창을 이용한 차동식(差動式) 감지장치와 열의 축적을 이용한 열(熱) 감지장치가 있다. 그리고 공기 팽창과 열의 축적을 동시에 이용한 보상식(補償式) 및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 감지장치로 대별된다. 또한 감지하는 방식에 따라 국소 부분을 감지하는 스포트형 감지장치와 전체 면적을 감지하는 분포형 감지장치로 분류된다. 감지장치의 종류는 차동식 스포트형, 차동식 분포형, 보상식 스포트형, 정온식 스포트형, 정온식 감지선형, 이온화식, 광전식, 열복합형, 연기 복합형, 열연기 복합형 등이 통용되고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 경보 시스템은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 감지장치(100), 종합관제센터(320) 및 화재수신장치(33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 감지 장치(100)는 건물의 실내(예: 아파트 각 동의 호실)에 복수로 설치될 수 있으며,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감지장치는 회사, 규격, 규모에 상관없이 상호간에 공유 또는 연동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유선 감지기들과도 공유 및 연동이 가능하고 소형으로 제작되어 기존 감지기가 설치되어 있던 위치에 용이하게 교체 설치가 가능하다. 따라서, 각 호, 실에 설치된 기존 감지기의 고장 등의 이유로 화재 감지 및 작동이 안 되는 곳에도 본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감지장치를 통해 모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 설비의 교체 없이도 간단하게 건물 실내의 기존 설비를 이용하도록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감지장치(100)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여 기존에 유선 설비가 되어 있지 않은 장소에도 별도의 유선 설비를 새로 신설할 필요없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실내의 환경 변화(예: 화재 발생, 도둑 침입, 가스 누출 등) 상황을 집주인, 화재 관련 담당자 등에게 통보할 수 있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비실(200)이나 종합 관제 센터(320) 등이 무선 통신 거리 밖에 위치한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중계 안테나를 건물 밖(예, 베란다 창문, 건물 마당 등)에 설치하여 실내에 설치된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감지장치(100)와 베란다 창문 등에 설치된 중계 안테나와 무선 통신을 하고 마당 등에 설치된 중계안테나와 경비실(200) 등이 유선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원거리에 위치한 화재 관련 기관에 신속하게 화재 발생 사실을 통보할 수 있다.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감지장치(100)는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싸이렌 등의 경고음을 발생하여 주민들의 대피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화재수신장치(330)에 화재 발생을 통보할 수 있다. 한편,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감지장치(100)는 종합관제센터(320)에 직접 화재 발생을 통보할 수 있다.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감지장치(100)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작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화재수신장치(330)나 종합관제센터(320)에 무선으로 직접 통신할 수 있다. 한편, 화재수신장치(330)나 종합관제센터(320)가 무선 통신 가능 범위 밖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건물 밖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중계 안테나를 이용하여 화재수신장치(330)나 종합관제센터(320)에 화재 발생을 통보할 수 있다. 즉, 하나 이상의 중계 안테나는 화재수신장치(330)나 종합관제센터(320)과 유선으로 연결되며,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감지장치(100)와 중계 안테나는 무선 통신하고, 중계 안테나와 화재수신장치(330)나 종합관제센터(320)는 유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무선 통신방식은 지그비(Zigbee) 통신 또는 블루투스(Bluetooth)를 이용할 수 있으며, 유선 통신은 RS485 통신 또는 RS232C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감지장치(100)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화재관련기관(330), 예컨대 119, 경찰서, 지자체 등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을 통보할 수 있다.
즉,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감지장치(100)는 화재가 감지되면 화재 감지 신호의 레벨을 판단하고, 그 레벨에 따라 화재 수위 정도를 판단하여 화재수신장치(330)로 화재 발생을 통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감지장치(100)는 실내 온도 변화 또는 연기 발생이 감지되면 해당 실내 연기의 농도를 측정한다. 측정 결과를 마이컴에서 수신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 온도 또는 기준 연기의 농도와 비교한다. 비교 결과에 따라 화재 발생 또는 화재 경고 여부를 판단하고 화재수신부(330)나 종합관제센터(320)로 화재 관련 정보를 통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감지장치(100)는 가정내에 설치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정내의 각종 가전기기의 오작동 여부, 도둑 침입 여부, 가스 누출 여부 등을 감시하고 이를 미리 저장되어 있는 주인 등의 휴대 전화에 통보할 수 있다.
화재수신장치(330)는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감지장치(100)로부터 화재 발생이 통보되면 초기 화재 진압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동시에 종합관제센터(320)에 화재 발생을 통보할 수 있다. 화재수신장치(330)는 화재 발생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화재 발생 정보를 분석하고, 실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건물과 관련된 종합관제센터(320)로 화재 발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화재수신장치(330)는 화재가 발생한 건물 내에 있는 사람들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각종 제어기기들 중 화재 경보 장치를 동작시키며, 화재가 조기에 진압될 수 있도록 초기화재 진압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화재 수신 장치(200)는 화재 속보 기능이 통합될 수 있으며, 화재 발생 상황 정보를 직접 연계된 방재기관(소방서, 경찰서 등)의 전화로 자동 연결하여 통보할 수 있다.
종합관제센터(320)는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감지장치(100) 또는 화재수신장치(330)로부터 화재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화재 처리에 필요한 조치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감지장치(100)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감지장치(100)는 화재처리부(110), 저장부(120) 및 전원공급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재처리부(110)는 실내의 환경 변화 즉, 실내 온도 또는 연기의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화재를 감지하고 마이컴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또는 기준 연기의 농도와 비교하여 화재 발생 또는 화재 경고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에 따라 대응되는 각종 초기 단계의 화재 관련 처리를 한다. 만약, 기존 설치된 감지기와 연동시에는 감지기의 전류 세기가 다르기 때문에 화재 발생시 먼저 감지한 감지기의 전류 세기를 분석하여 화재 경고 및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즉, 화재가 감지되면 싸이렌 등의 경보를 발생하여 주민들을 대피시키거나 종합관제센터(320) 또는 화재수신장치(320)에 화재 발생 정보를 전송하여 화재 발생 사실을 통보할 수 있다. 또는 저장부(120)에 저장된 화재관련기관(310)이나 담당자(310)들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문자메시지 등을 통해 화재 발생 사실 등을 통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재처리부(110)는 인터폰이나 무선 통신으로 경비실(200) 등에 통보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건물 밖에 설치된 중계 안테나를 통해 경비실(200)에 화재 발생 사실을 즉시 통보할 수 있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집주인(400)의 전화번호로 화재 발생 사실을 즉시 통보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화재관련기관(310), 화재관련담당자, 집주인, 종합 관제 시스템(320)의 정비 담당자 등의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기준 실내 온도, 기준 실내 연기 농도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감지장치(100)가 부착된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30)는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감지장치(100)의 각 부품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30)는 충전용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충전 배터리는 3V 리튬 충전 배터리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130)는 주전원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전원공급부(130)는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다른 장치(예: 기존 감지기 등)와 연결이 되는 경우 그 장치들로부터 전원을 미세하게 추출하여 그 배터리에 충전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전원 공급 수단을 통해 전원 공급이 가능하므로 설치 환경의 제약을 극복할 수 있고, 거의 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전원공급부(130)는 내부 회로의 고장 또는 외부로부터 과전류가 유입되면 내부의 정전류 회로 및 퓨즈에 의하여 외부 또는 내부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감지장치(100)는 실내관리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내관리부(140)는 집주인, 관리자 등의 설정에 따라 각 실내의 각종 상황을 감시하고 그 상황을 미리 입력되어 있는 집주인, 관리자 등의 전화로 통보할 수 있다. 이때, 실내의 각종 상황은 각종 가전기기들의 오동작 여부, 도둑 침입 여부, 가전기기들의 무선 조작 등과 관련된다. 이때, 저장부(120)에는 집주인 등의 전화번호 또는 그 각종 상황에 대응되는 안내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장치 중 화재처리부(110)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화재처리부(110)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화재처리부(110)는 화재감지부(111), 제어부(112), 화재경고부(116) 및 통신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재감지부(111)는 감지센서를 통해 실내의 화재 발생을 감지하고, 화재 발생 신호를 제어부(112)에 전송한다. 즉, 화재감지부(111)는 실내의 환경 변화 즉, 실내 온도 또는 연기의 농도를 포함하는 실내 환경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한다. 그리고, 측정된 실내 환경 정보를 제어부(112)로 전송한다. 일 예로, 화재감지부(111)는 연기농도를 8초에 한번씩 지속적으로 0.1%obs/m 단위로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한편, 화재감지부(111)는 연동되어 있는 기존 화재 감지기들로부터 화재 발생 관련 전류 신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신호를 제어부(112)에 전송할 수 있다. 화재감지부(111)는 자체적으로 실내의 화재 발생을 감지할 뿐만 아니라 기존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일반 화재감지기들과도 연동하여 그 감지기들로부터 각종 화재발생 전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2)는 연동된 기존 감지기로부터 발생된 전류 신호를 화재감지부(111)를 통해 수신하면 그 수신된 전류 신호의 세기를 분석하여 화재 발생 또는 화재 경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반적인 화재 감지기는 24V 전류의 세기를 수신기에 보내어 화재 경보 등을 알려준다. 그러나, 전류의 세기는 각 감지기마다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제어부(112)는 이와 같이 기존에 설치된 화재 감지기와 연동하여 그 화재 감지기로부터 발생된 전류 세기의 신호를 적응적으로 분석하여 정상, 화재 경고 또는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미리 설치되어 있는 화재 감지기와 연동이 가능하고, 또한, 고장난 일반 화재 감지를 방치하여 작동이 불가능한 상태에 있는 경우에도 별다른 설비 없이 방 또는 거실 등에 간단하게 교체 또는 설치하여 화재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인 화재 감지 장치는 설치 후 시간의 경과 및 주위 환경 변화에 따라 편차가 심하게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편차는 오작동 또는 비작동의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편차보정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편차보정부(미도시)는 시간 경과 및 환경 변화에 따라 발생되는 영점 편차 및 스팬 편차를 자동으로 보정할 수 있다.
제어부(112)는 화재감지부(111)로부터 실내 환경 정보를 수신하면 각종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제어부(112)는 수신한 실내 환경 정보를 미리 설정된 기준 정보와 비교하여 화재 발생 또는 화재 경고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기준 온도나 기준 연기의 농도는 미리 설정되어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기준 온도나 기준 연기의 농도는 설치된 장소의 환경에 따라 적합하게 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연기 농도가 5%인 경우 화재경보(1단계), 10%인 경우 화재위험(2단계) 및 15% 이상인 경우 화재발생(3단계)와 같이 단계적으로 화재 레벨을 설정하여 두고, 제어부(112)는 수신된 연기 농도에 따라 3단계 중 적합한 화재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설치 장소에 따라 기준 연기 농도를 자유롭게 조정이 가능하다. 즉, 설치된 장소가 평소에 불을 사용하는 고온의 작업 환경이라면 기준 온도를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하고, 반대로 저온의 작업 환경을 가진 장소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낮은 기준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평소 연기 발생 환경을 고려하여 기준 연기의 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환경을 고려하여 기준 온도를 설정하여 둠으로써 불필요하게 화재 발생 경고음이 발생하여 대피하는 오류를 해결할 수 있다.
제어부(112)는 그 판단 결과에 따라 대응되는 각종 초기 단계의 화재 관련 처리를 한다. 제어부(112)는 화재 발생 신호에 따라 화재경고부(116)에 화재 경고 싸이렌을 울리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부(117)로 하여금 화재수신장치(330), 종합관제센터(320), 화재 관련 기관(310) 또는 화재 관련 담당자(310), 집주인(400), 경비실(200) 등에 화재 관련 정보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120)는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문자 메시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제어신호를 분석하여 그에 대응되는 문자메시지와 관련 담당자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문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화재처리부(110)는 음성안내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성안내부(115)는 제어부(112)의 제어신호에 따라 그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음성 정보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120)는 각종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음성 안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음성안내부(115)는 제어신호가 화재 발생과 관련된 경우 저장부(120)에서 화재 발생 위치(즉, 부착 위치) 정보와 음성 안내 정보를 이용하여 "105동 1104호 화재 발생, 모두 대피하여 주시기 바랍니다."와 같은 음성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화재경고부(116)는 제어신호에 따라 싸이렌 등으로 경고음을 출력한다. 이로 인해, 신속하게 주민들의 대피가 가능해진다.
통신부(117)는 제어부(112)의 제어신호에 따라 화재수신장치(330) 또는 종합관제센터(320)에 화재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화재 관련 정보는 발생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발생 위치는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감지장치(100)의 부착 위치로서 동, 호수까지 정확하게 저장 관리되어 신속하게 화재 발생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신속한 초기 대응이 가능해진다. 통신부(117)는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은 지그비 통신 모듈 또는 블루투스 등의 방식을 통해 통신하며, 유선 통신은 RS485 통신 또는 RS232C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감지장치(100)는 상태진단부(113), 정보출력부(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태진단부(113)는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감지장치(100)의 정상 동작 유무, 또는 그 화재 감지 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다른 장치의 정상 동작 유무, 또는 전체 화재 관제 시스템의 정상 유무를 진단하고 이상 발생시 제어부에 그 이상 발생 지점, 그 이상의 종류를 포함하는 이상 발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태진단부(113)는 어드레스 화재감지장치(100)의 각종 기능의 동작 여부 및 배터리 상태등을 진단하고, 그 진단결과를 제어부(112)에 통보할 수 있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태진단부(113)는 기존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각종 화재감지기들의 정상 동작 여부를 주기적으로 체크할 수 있다. 또한, 종합 관제 시스템 전체의 정상 동작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주기적으로 연결된 각종 장치들의 정상 동작 여부를 체크하고, 제어부(112)에 이상 발생 장치, 이상 발생 지점 및 발생된 이상 정보의 종류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12)는 상태진단부(113)로부터 이상 발생 정보가 수신되면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부(117)로 하여금 그 이상 발생 정보를 관련 담당자(즉, 장치 정비 관리자, 시스템 관리자 등)에게 통보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정보출력부(114)는 각종 진단 결과 정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정보출력부(114)는 LCD, FND 등으로 형성된 패널에 각종 화재 발생 상황 뿐만 아니라 각종 진단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상태진단부(113)의 진단 결과를 수신한 제어부(112)는 제어신호(112)를 생성하여 정보출력부(114)로 하여금 각종 진단 결과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장치 중 실내관리부의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실내관리부(140)는 설정등록부(141), 가스누출감지부(142), 기기작동감시부(143) 및 이상통보부(146)를 포함할 수 있다.
설정등록부(141)는 사용자의 UI조작에 의한 각종 설정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때, 각종 설정 정보는 실내의 가스 농도의 단계별 허용치 정보, 각종 가전기기들의 제어 및 진단 설정, 디지털 도어락의 비상 열림 설정, 침입에 관련된 각종 정보 등을 등록할 수 있다.
가스누출감지부(142)는 실내의 가스 누출을 감지하고, 단계별 가스 농도 허용치 정보에 따라 단계별 허용치 농도를 초과하면 집주인(400)등의 전화번호로 각 단계별 안내 정보를 전송하도록 이상통보부(146)에 통보할 수 있다.
기기작동감시부(143)는 각종 가전기기의 제어 정보 또는 진단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외부에서 전화를 통해 제어하는 각종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가전기기의 각종 동작(온오프, 예약 등)을 제어하고, 각종 가전기기의 고장 여부를 주기적으로 진단하고 이상 발생시 이상통보부(146)에 그 결과를 전송하여 집주인(400)등의 전화로 통보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도어락의 비상 열림을 감시하고 비상 열림으로 판단되면 이상통보부(146)로 하여금 집주인(400) 또는 경비실(200)에 통보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실내관리부(140)는 카메라모듈(144) 및 침입감시부(1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모듈(144)은 실내의 각종 움직임 등을 촬영할 수 있다. 촬영된 영상은 저장부(120)에 저장될 수 있다. 내장되는 카메라모듈(144)를 통해 각종 실내의 상황을 감시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CCTV등의 감시카메라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집주인 등은 회사 등 밖에서도 수시로 집안의 각종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침입감지부(145)는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되는 실내 영상을 분석하여 외부인의 침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족들 모두가 집을 비우는 특정 시간대를 설정등록부(141)를 통해 등록하면 해당 시간대에 실내에 사람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외부인 침입으로 판단하고 해당 정보를 이상통보부(146)를 통해 집주인(400)이나 경비실(200) 등에 통보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통보부(146)는 가스누출감지부(142), 기기작동감시부(143) 및 침입감시부(145)로부터 각종 이상 발생 신호가 수신되면 집주인(400)이나 경비실(200), 경찰서 등에 그 상황을 통보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모듈(144)를 통해 촬영된 실시간 영상을 집주인 등에게 제공함으로써 집주인 등은 스마트폰 등의 앱이나 웹사이트에서 실시간으로 집안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 경보 장치 110: 화재처리부
111: 화재감지부 112: 제어부
113: 상태진단부 114: 정보출력부
115: 음성안내부 116: 화재경고부
117: 통신부 120: 저장부
130: 전원공급부 140: 실내관리부
141: 설정등록부 142: 가스누출감지부
143: 기기작동감시부 144: 카메라모듈
145: 침입감시부 146: 이상통보부
200: 경비실 310: 화재관련기관
320: 종합관제센터 330: 화재수신장치

Claims (9)

  1. 기준 온도 또는 기준 연기 농도 정보를 포함하는 기준 환경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감지센서를 통해 실내 온도 또는 연기 농도를 포함하는 실내 환경 정보를 측정하여 제어부에 전송하는 화재감지부;
    상기 실내 환경 정보를 수신하여, 그 실내 환경 정보와 상기 저장부의 기준 환경 정보를 비교하여 화재 발생 또는 화재 경고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유무선으로 연결된 화재 관련 기관 또는 화재 관련 담당자에게 화재 관련 정보를 통보하는 통신부; 및
    내장된 충전 배터리를 통해 상기 화재 감지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며, 유선으로 다른 장치와 연결이 되면 그 다른 장치로부터 전원을 추출하여 상기 배터리에 충전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 감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부는,
    연동된 외부 화재 감지기로부터 전류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전류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전류 신호의 세기를 분석하여 화재 발생 또는 화재 경고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 감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감지장치의 설치 위치 정보 또는 화재 관련 기관의 전화 번호를 더 저장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저장부의 화재 관련 기관의 전화번호와 설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화재 관련 기관에 그 설치 위치 정보가 포함된 화재 관련 정보를 통보하는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 감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계 안테나를 통해 상기 화재 관련 기관과 통신하되,
    상기 통신부와 상기 중계 안테나 사이는 지그비 통신 모듈 또는 블루투스 중의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하며, 상기 중계 안테나와 상기 화재 관련 기관 사이는 RS485 통신 또는 RS232C 통신 중의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유선 통신하는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 감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감지 장치의 정상 동작 유무, 또는 그 화재 감지 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다른 장치의 정상 동작 유무, 또는 전체 화재 관제 시스템의 정상 유무를 진단하고 이상 발생시 제어부에 그 이상 발생 지점, 그 이상의 종류를 포함하는 이상 발생 정보를 전송하는 상태진단부; 및
    상기 이상 발생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태진단부로부터 이상 발생 정보가 수신되면 화재 관제 시스템 관리자에게 그 이상 발생 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거나, 상기 이상 발생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정보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 감지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서 대응되는 음성 정보를 읽어 그 건물에 안내 방송을 하는 음성안내부; 및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경고음을 출력하는 화재경고부;를 더 포함하는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 감지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실내 주인의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 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실내의 가스 누출을 감지하여 이상 신호를 발생하는 가스 누출 감지부와, 미리 등록된 가전기기들의 이상 작동을 감시하여 이상 신호를 발생하는 기기작동감시부와, 상기 이상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주인의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를 통해 그 이상 상황을 통보하는 이상통보부를 포함하는 실내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 감지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관리부는
    상기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감지장치가 부착된 실내를 촬영하는 카메라모듈; 및
    상기 카메라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외부인의 침입 여부를 판단하는 침입감시부;를 더 포함하는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 감지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의 영점 및 스팬 편차를 보정하는 편차보정부;를 더 포함하는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 감지 장치.
KR1020120015495A 2012-02-15 2012-02-15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 경보 시스템 KR101341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495A KR101341155B1 (ko) 2012-02-15 2012-02-15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 경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495A KR101341155B1 (ko) 2012-02-15 2012-02-15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 경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4097A true KR20130094097A (ko) 2013-08-23
KR101341155B1 KR101341155B1 (ko) 2013-12-13

Family

ID=49218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5495A KR101341155B1 (ko) 2012-02-15 2012-02-15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 경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115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026B1 (ko) * 2018-10-10 2019-11-05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화재 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KR102059925B1 (ko) * 2018-11-06 2019-12-27 한국토지주택공사 생활패턴 및 p2p 기반 스마트 화재 경보 방법 및 시스템
KR102140895B1 (ko) * 2019-09-23 2020-08-03 장상욱 자가 차단이 가능한 경종이 구비된 화재감지 시스템
KR102438314B1 (ko) * 2022-02-04 2022-09-01 동광전자 주식회사 건물에 설치된 스피커 라인을 활용하는 화재발생감지시스템
KR102614893B1 (ko) * 2022-11-22 2023-12-15 정희섭 다중 센서를 이용한 화재 감지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8158B1 (ko) * 2014-01-22 2017-04-18 이진호 소방 안전 관리 및 경비 대행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0344A (ko) * 2006-08-31 2008-03-05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재 경보 시스템 및 방법
KR101005427B1 (ko) * 2008-07-31 2010-12-31 랜스(주)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을 내장한 소화기
KR101049796B1 (ko) 2008-08-11 2011-07-19 금성방재공업 주식회사 소방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12093U (ko) * 2009-06-02 2010-12-10 주식회사 보생디에프에스 119 화재 알림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026B1 (ko) * 2018-10-10 2019-11-05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화재 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KR102059925B1 (ko) * 2018-11-06 2019-12-27 한국토지주택공사 생활패턴 및 p2p 기반 스마트 화재 경보 방법 및 시스템
KR102140895B1 (ko) * 2019-09-23 2020-08-03 장상욱 자가 차단이 가능한 경종이 구비된 화재감지 시스템
KR102438314B1 (ko) * 2022-02-04 2022-09-01 동광전자 주식회사 건물에 설치된 스피커 라인을 활용하는 화재발생감지시스템
KR102614893B1 (ko) * 2022-11-22 2023-12-15 정희섭 다중 센서를 이용한 화재 감지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1155B1 (ko) 2013-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3680B1 (ko) 스마트형 화재 감시 감지 시스템
JP2020113269A (ja) インターネット促進防火システムおよびリアルタイム監視システム
KR101341155B1 (ko)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 경보 시스템
US10255773B2 (en) Security system providing a localized humanly-perceivable alert for identifying a facility to emergency personnel
US10553086B2 (en) Social safety network system having portable light for both wireless disaster fire detection and crime prevention
KR101175202B1 (ko) 실시간 화재 감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101684374B1 (ko) 공동주택의 화재감시기능을 갖춘 소방통합관리 시스템
KR101811393B1 (ko) 자동 화재 탐지 설비의 원격 제어 시스템
KR101665407B1 (ko)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자동화재감지시스템
US9437100B2 (en) Supervising alarm notification devices
CN113098943B (zh) 集家用网关与智慧物联于一体的消防控制系统和方法
ES2727401T3 (es) Sistema y método de detección de movimiento y mediciones secundarias
JP2009218707A (ja) 警報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警報システム
KR101439267B1 (ko) 실시간 스마트형 무인 화재 관제 장치
KR101399475B1 (ko) 실시간 스마트형 무인 화재 관제 시스템
KR20190059062A (ko) 자가진단 기능을 갖는 비상벨 장치
KR101975021B1 (ko) 공동주택의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 안전관리 시스템
KR101145414B1 (ko) 전력감시장치 연동형 화재수신시스템
JP6641176B2 (ja) 警備業務支援システムおよび警備装置
KR20100002104A (ko) 무선 디지털 통합 방재시스템
KR101269232B1 (ko) 화재 속보 기능을 겸한 화재 수신 장치
KR102327158B1 (ko) Cctv 영상을 이용하는 원격 소방관리 시스템
JP2019145005A (ja) 警報システムおよび集中監視システム
JP6399572B1 (ja) 火災用無線通信装置及び火災報知システム
KR101693215B1 (ko) 자가 설치 및 운용 가능한 무인경비시스템을 위한 통합센서관제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