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3647U - 방범 기능이 있는 비상대피통로 - Google Patents

방범 기능이 있는 비상대피통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3647U
KR20160003647U KR2020150002359U KR20150002359U KR20160003647U KR 20160003647 U KR20160003647 U KR 20160003647U KR 2020150002359 U KR2020150002359 U KR 2020150002359U KR 20150002359 U KR20150002359 U KR 20150002359U KR 20160003647 U KR20160003647 U KR 2016000364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ensor
door frame
emergency evacuation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23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순랑
정대하
Original Assignee
손순랑
정대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순랑, 정대하 filed Critical 손순랑
Priority to KR20201500023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3647U/ko
Publication of KR201600036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64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3/00Alarms responsive to un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08Mechanical actuation by opening, e.g. of door, of window, of drawer, of shutter, of curtain, of blin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재 발생 시에 타 세대로 대피할 수 있도록 세대를 구획하는 측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통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평상 시에 비상대피통로를 통해 외부인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며 다양한 대피 경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비상대피통로는 공동주택의 세대를 구획하는 벽체에 형성된 관통공과, 관통공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삽입되는 문틀과, 문틀에 장착되어 문틀을 개폐하는 도어와, 닫힌 도어를 개방하였을 때에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제1센서와, 제1센서에서 발생한 전기적신호에 따라 경고신호를 발생하는 경고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범 기능이 있는 비상대피통로{EMERGENCY EVACUATE PATH WITH SECURITY FUNCTION}
본 고안은 화재 발생 시에 타 세대로 대피할 수 있도록 세대를 구획하는 측벽 또는 천장 및 바닥 슬라브에 설치되는 비상대피통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평상 시에 비상대피통로를 통해 외부인의 침입을 방지하며 다양한 대피 경로를 확보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아파트 또는 다세대 건물의 경우 화재 시에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아파트에 비상 대피용 경량벽이 설치되며, 화재 발생시 경량벽을 파괴하고 옆 세대로 대피한다.
하지만, 경량벽은 방범 기능과 소음방지 기능이 없어 옆 세대로 침입한 외부인(도둑)이 경량벽을 파괴하고 타 세대로 용이하게 침입할 수 있어 연쇄 도난사고 및 옆세대와 소음발생 민원이 수시로 발생되며, 또한 화재 시에 파괴되었거나 침입 목적으로 파괴된 경량벽을 재시공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아파트의 대부분에는 화재 발생 시에 탈출할 수 있도록 발코니에 경량벽이 설치되어 있었으나, 2013년 한 아파트에 발생한 화재 사고는 경량벽이 설치되있었지만 인지하지 못하고 일가족 4명이 사망하였다.
화재 발생시 경량벽을 파괴하고 탈출하여야 함에도 노약자나 어린이는 경량벽을 파괴할 정도의 힘이 부족하여 발생한 사고였다.
또한 경량벽을 파괴할 정도의 힘을 갖는 성인일지라도 경량벽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지 않을 경우, 긴급한 상황에서 당황한 나머지 대피방법을 찾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더불어 경량벽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경량벽에 사물을 배치하여 대피통로를 봉쇄할 경우 화재가 발생한 긴급 상황에서 신속한 대피가 어려워 비상대피통로를 실질적으로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이에, 침입자에게는 방범의 경고 메시지를 인식시키고 벽체에 대피통로가 있음을 누구나 싶게 인식하여 대피통로를 사물 등으로 막는 문제점 및 화재 시에 당황하지 않고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는 비상대피통로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또한 종래에는 파괴된 경량벽을 재시공하여야 함에 따른 재설치 비용이 많이 소요되었으나, 간단한 부품 교체를 통해 비상대피통로를 복원할 수 있는 비상대피통로가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01960호(공개일; 2008.06.19)
본 고안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다양한 두께의 측벽 또는 천장 및 바닥 슬라브에 범용적으로 설치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특히 화재 시 또는 침입자에 의해 인위적으로 외부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비상전원을 통해 방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침입자의 진입을 감지 경고할 뿐만 아니라, 침입자가 경고메시지를 인식하고 침입의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구성한 비상대피통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비상대피통로는 공동주택의 세대를 구획하는 벽체에 형성된 관통공과, 관통공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삽입되는 문틀과, 문틀에 장착되어 문틀을 개폐하는 도어와, 닫힌 도어를 개방하였을 때에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제1센서와, 제1센서에서 발생한 전기적신호에 따라 경고신호를 발생하는 경고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닫힌 도어의 외측면을 덮도록 장착한 커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의 내측면에는 제3센서가 장착되어 커버를 제거하였을 때에 전기적신호가 발생하고, 발생한 전기적신호에 의해 경고수단이 작동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의 외측면에는 경고메시지가 인쇄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문틀은 일단에 외향 플랜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내향 플랜지가 형성되며, 도어는 문틀에 삽입되는 마개부와, 마개부에서 문틀 안쪽으로 연장되어 내향 플랜지에 정합되어 위치하는 끼움부를 포함하며, 문틀에서 도어를 인출하여 개방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의 외측면에는 홈 형태의 손잡이가 형성되고, 커버의 내측면에 장착된 제3센서는 손잡이의 안쪽에 위치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비상대피통로의 안쪽 내부에는 비상대피통로를 통과하는 침입자를 감지하는 제2센서가 장착되며, 제2센서에서 발생한 전기적신호에 의해 경고수단이 작동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비상대피통로의 내부에는 그물망이 펼쳐져 위치하며 그물망은 제2센서와 연결되고, 제2센서는 그물망이 제거되었을 때를 감지하여 전기적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문틀은 그 타단에 내향 플랜지가 형성되며, 도어는 문틀에 삽입되는 마개부와, 마개부에서 문틀 안쪽으로 연장되어 내향 플랜지에 정합되어 위치하는 끼움부를 포함하며, 문틀에서 도어를 인출하여 개방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문틀은 일단에 외향 플랜지가 형성되고, 도어는 외향 플랜지의 내측에 위치하며 경첩에 의해 도어와 문틀이 연결되고, 도어는 경첩을 중심으로 선회하여 문틀을 개폐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문틀의 상부와 하부에는 레일이 각각 위치하며, 상하부 레일 사이에 장착된 도어는 측방향으로 미끄러져 이동하면서 문틀을 개폐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문틀은 일단에 외향 플랜지가 형성되고, 도어는 자바라식 도어로서, 자바라식 도어의 하단은 외향 플랜지의 내측 하단에 고정된 상태로 자바라식 도어의 상단을 상향으로 이동시키면 펼쳐지면서 문틀 내부를 폐쇄하며, 자바라식 도어의 상단을 하향으로 이동하면 외향 플랜지의 내측 하단에 접혀진 상태로 위치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자바라식 도어의 상단과 문틀의 상단 중 어느 한 쪽에는 자석이 고정되고 다른 한 쪽에는 브래킷이 고정되어 브래킷이 자석에 부착되면서 문틀을 폐쇄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벽체는 경량패널 또는 방음 방화 기능의 범용 벽체이다.
또한, 본 고안은 공동주택의 세대를 구획하는 벽체에 형성된 관통공과, 관통공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삽입되는 문틀과, 문틀에 장착되어 문틀을 개폐하는 도어 및 닫힌 도어의 외측면을 덮도록 장착한 커버를 포함하는 비상대피통로로서,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는 제1센서와, 비상대피통로의 통과 여부를 감지하는 제2센서와, 커버의 제거를 감지하는 제3센서와, 각 세대에 장착된 경고수단과, 제1센서와 제2센서와 제3센서와 경고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배터리와, 외부 전원케이블이 접속되며 외부 전원을 충전 배터리에 충전하며 충전 배터리의 전원을 제1센서와 제2센서와 제3센서와 경고수단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비상대피통로는 문틀을 이용함에 따라 기존 구조물의 측벽 또는 천장 및 바닥 슬라브(이하 통칭하여 '벽체'라 함)의 두께에 무관하게 범용적으로 설치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비상대피통로는 도어를 폐쇄하는 커버에 방범 메시지와 비상대피통로임을 인식시키는 메시지를 형광물질로 인쇄함에 따라 야간에도 비상대피통로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며, 침입자에게는 침입을 사전에 포기하도록 하는 기능을 갖게 된다. 또한, 어린이와 노약자도 커버 제거를 쉽게 하기 위해서 커버 제거 손잡이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침입자가 침입 의사로 커버를 제거하면 동시에 경고음이 울려 문 제거 포기를 유도하여 문 회손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비상대피통로의 안쪽에는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한 방범 장애물을 설치하여 침입자가 도어를 개방하고 타 세대로 침입할 시에 시각적으로 거부감을 느낄 수 있게 구성하여 침입을 사전에 포기시킬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비상대피통로는 화재에 의해 외부 전원이 차단되거나 또는 침입을 목적으로 침입자가 외부 전원을 차단하더라도 벽체 내부에 장착된 비상 배터리를 이용하여 센서가 작동하고 경고음이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화재 및 침입자의 발생을 경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비상대피통로는 훼손된 커버 등의 간단한 부품을 교체함으로써, 비상대피통로를 쉽게 복원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비상대피 경량벽은 사용 후 파괴됨에 따라 재시공에 따른 비용이 크게 발생하지만, 본 고안에 따른 비상대피통로는 파손된 구성품만을 구매 시공함에 따라 저렴한 비용으로 비상대피통로를 재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또한 시공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a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상대피통로를 나타낸 벽체 단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비상대피통로의 문틀 및 도어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커버에 기재된 메시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d는 도 1a에 도시된 비상대피통로의 센서 및 전원공급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e는 터널 내부에 그물망을 설치한 비상대피통로를 나타낸 벽체 단면도이며,
도 1f는 도 1a에 도시된 비상대피통로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비상대피통로를 나타낸 벽체 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비상대피통로의 문틀 및 도어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c는 도 2a에 도시된 비상대피통로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비상대피통로를 나타낸 벽체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비상대피통로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c는 도 3a에 도시된 문틀을 인출한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비상대피통로를 나타낸 벽체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비상대피통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c는 도 4a에 도시된 비상대피통로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비상대피통로를 나타낸 벽체 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커버를 제거하고 자바라식 도어를 개방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5c는 도 5b에 도시된 비상대피통로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d는 도 5b에 도시된 비상대피통로의 도어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고안의 제6실시예에 따른 비상대피통로가 형성된 경량패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경량패널이 발코니의 벽체로 이용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6c는 도 6b에 도시된 비상대피통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비상대피통로가 설치된 다세대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시에 대피하는 대피 경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비상대피통로들의 양호한 실시예들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하고 있는 비상대피통로는 다세대 건물의 세대와 세대를 구획하는 측벽 슬라브 또는 천장 및 바닥 슬라브에 설치 가능하다. 아래에서는 측벽 슬라브에 설치된 비상대피통로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측벽 슬라브와 동일하게 천장 및 바닥 슬라브에도 설치 가능하며, 측벽과 천장 및 바닥 슬라브를 통칭하여 '벽체'라 칭한다.
[제1실시예]
도면에서, 도 1a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상대피통로를 나타낸 벽체 단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비상대피통로의 문틀 및 도어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커버에 기재된 메시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d는 도 1a에 도시된 비상대피통로의 센서 및 전원공급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1e는 터널 내부에 그물망을 설치한 비상대피통로를 나타낸 벽체 단면도이며, 도 1f는 도 1a에 도시된 비상대피통로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동주택의 세대와 세대를 구획하는 벽체에는 비상대피통로(100)가 설치된다.
비상대피통로(100)는 벽체(101)에 형성된 관통공(103)에 대응하여 양측에 끼워지는 2개의 문틀(110)과, 각각의 문틀(110)에 장착되어 해당 문틀(110)을 개폐하는 2개의 도어(120)와, 문틀(110)을 폐쇄한 상태에서 도어(120)를 덮는 커버(130)를 포함하며, 양측 문틀(110)에 각각 설치되어 해당 도어(120)의 개방을 감지하는 제1센서(141)와, 양측 문틀(110)의 사이에 위치하여 비상대피통로(100)를 통과하는 사물을 감지하는 제2센서(142)와, 커버(130)의 안쪽에 장착되어 커버(130)를 제거하였을 때를 감지하는 제3센서(143)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2, 제3센서(141, 142, 143)들은 비상대피통로(100)에 장착된 충전식 배터리(153)에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받으며, 충전식 배터리(153)는 외부 전원케이블이 연결된 변압기(155)에 접속되어 평상 시에 외부 전원에 의해 충전된 상태를 유지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제1실시예에 따른 비상대피통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101)에는 관통공(103)이 형성되며, 관통공(103)의 양측에 문틀(110)이 삽입된다.
문틀(110)은 일단에 외향 플랜지(111)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내향 플랜지(113)가 형성된 원통형 구조로서, 외향 플랜지(111)의 측면에 벽체(101)의 측면에 접하며 내향 플랜지(113)는 관통공(103) 안쪽에 위치하도록 장착된다.
여기에서 문틀(110)의 길이는 벽체(101)의 두께의 1/2 이하이며, 관통공(103)의 양측에 삽입된 양측 문틀(110)의 사이에는 공간(S)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문틀(110)을 형성하는 이유는 건축물의 설계 또는 규정에 따라 벽체(101)의 두께가 다르게 형성된다. 따라서 문틀(110)을 관통공(103)의 양측에 장착하고 그 사이에 공간(S)을 형성함으로써, 벽체(101)의 두께 차이를 공간(S)의 형성으로 보상할 수 있다.
관통공(103)의 양측에 장착된 문틀(110)에는 도어(120)가 장착된다.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120)는 블록 형태로 문틀(110)의 안쪽에 강제 끼움방식으로 삽입하고 도어(120)의 정면에 형성된 손잡이(121)를 잡고 당겨 문틀(110)에서 도어(120)를 인출한다.
도어(120)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110)의 외향 플랜지(111)의 내측에 삽입되는 마개부(123)와, 마개부(123)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며 내향 플랜지(113)의 내측에 삽입되는 끼움부(125)로 구분된다.
이와 같이 양측 문틀(110)에 각각 도어(120)가 끼워짐으로써, 벽체(101)에 형성된 관통공(103)은 폐쇄된다. 도어는 단열제로 구성된 블록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120)는 벽체(101)에 형성된 관통공(103)을 폐쇄하는 기능을 갖고 있음에 따라 세대 간의 소음 전파를 방지하기 위해 밀도가 높은 단열재 블록으로 구성한 것이며, 도어(120)를 단열재 블록으로 형성함에 따라 화재 시 화염에 의해 변형되지 않게 된다. 화재 시에 도어(120)가 화염에 의해 녹아내릴 경우 화염은 벽체(101)의 관통공을 통해 옆 세대로 번져갈 수 있다.
한편, 벽체(101)의 외측면에 노출된 문틀(110)의 외향 플랜지(111)는 커버(130)에 의해 덮여진다. 커버(130)는 일반 스티커, 펄프 합성수지, 박판 금속, 목재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커버(130)의 외측면에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인의 침입을 방지하는 메시지가 인쇄되며, 경고 메시지가 쉽게 인식되도록 형광물질로 경고 메시지를 인쇄한다. 또한 커버(130)의 가장자리 일부에는 커버를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커버 제거용 손잡이를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비상대피통로(100)를 통과하기 위해서는, 우선 커버(130)를 제거하여야 하며, 커버(130)를 제거함에 따라 노출된 도어(120)의 손잡이를 파지하고 도어(120)를 문틀(110)에서 인출한 후 반대편 도어(120)를 밀어 문틀(110)에서 제거한다. 그러면 비상대피통로(100)가 완전 개방되면서 비상대피통로(100)를 통해 옆 세대 또는 위아래 세대로 대피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대피통로(100)의 내부와 커버(130)의 안쪽면에는 센서(141, 142, 143)들이 장착된다.
제1센서(141)는 양측 문틀(110)에 장착되어 도어(120)가 개방되면 전기적신호를 발생하고, 제2센서(142)는 문틀(110)과 문틀(110)의 사이에 위치하여 비상대피통로(100)를 통과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전기적신호를 발생하며, 제3센서(143)는 커버(130)의 안쪽면에 부착되어 커버(130)가 제거되면 전기적신호를 발생한다.
제1센서(141)는 리미트스위치 또는 광센서로 구성할 수 있으며, 리미트스위치로 구성될 경우 리미트스위치의 레버가 도어(120)와 접해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도어(120)가 제거되면 레버가 작동하여 전기적신호를 발생한다. 반면에 광센서일 경우에는 도어(120)를 개방함에 따라 문틀(110) 내부에 입사되는 빛의 조도를 감지하여 전기적신호를 발생한다.
한편, 제2센서(142)의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움직임을 감지하는 적외선센서 또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한 광센서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3센서(143)는 빛의 조도를 감지하는 수광소자, 거리센서스위치 또는 저항스위치를 이용할 수 있다.
도어(120)의 바깥면 중앙에는 안쪽으로 홈을 낸 손잡이(121)가 형성되며, 커버(130)의 제3센서(143)는 손잡이(121)와 대응하게 위치하여 손잡이(121) 안쪽에 위치하거나 손잡이(121)의 옆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문틀(110)의 안쪽에는 제1센서(141)와 제2센서(142)와 제3센서(143)와 각 세대에 설치된 부저(157)가 접속된 제어패널(151)이 장착되며, 제어패널(151)에는 배터리(153)가 연결되어 각 센서(141, 142, 143) 및 부저(157)에 전원을 공급한다.
배터리(153)는 충전식 배터리로서, 배터리(153)의 용량에 맞게 감압하는 변압기(155)가 내장된다. 따라서 외부 전원케이블을 통해 공급된 전원은 변압기(155)를 통해 감압된 상태로 배터리(153)에 충전되고, 충전된 전원은 각 센서(141, 142, 143)에 공급되며 어느 한 센서에서 전기적 신호가 발생할 경우 부저(157)가 작동하여 인접한 세대에 경고음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화재 발생 시 대피자 또는 침입자가 커버(130)를 제거하는 1단계, 한 쪽 도어(120)를 개방하는 2단계, 터널을 통과하는 3단계, 다른 쪽의 도어(120)를 개방하는 4단계로 부저(157)가 인접 세대에 발생하게 된다.
한편, 침입자가 한 쪽 도어(120)를 개방하고 터널을 통과하기 위해 터널 내부를 확인할 경우, 가식적으로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장애물을 설치할 수 있다.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110)과 문틀(110)의 사이에 그물망(160)을 펼쳐 터널 내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그물망(160)의 가장자리는 제2센서(142)와 연결된다. 여기에서 제2센서(142)는 로드셀 또는 리미트스위치 등으로서 그물망(160)에 힘이 가해질 경우 전기적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제2센서(142)에서 발생한 전기적 신호에 의해 인접 세대에 설치된 부저(157)에서 경고음을 발생하게 된다.
그물망(160)은 가식적으로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목적을 가진 것으로서, 그물망(160) 외에 터널의 내경보다 길이가 짧은 봉을 복수 개 설치하여 봉이 기울어지면 제2센서(142)에서 신호가 발생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2실시예]
제2실시예에 따른 비상대피통로는 제1실시예의 비상대피통로와 대비하였을 때에, 문틀의 구조에 다소 차이가 있을 뿐,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 유사하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제1실시예에서 병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병기한다.
도면에서, 도 2a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비상대피통로를 나타낸 벽체 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비상대피통로의 문틀 및 도어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c는 도 2a에 도시된 비상대피통로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110)은 그 타단에 내향 플랜지(113)가 형성된 원통형 구조로서, 내향 플랜지(113)는 관통공(103) 안쪽에 위치하도록 장착된다. 따라서 문틀(110)의 일단은 벽체(101)의 측면과 일치하게 위치한다.
이와 같이 문틀(110)의 일단이 벽체(101)의 측면과 일치함에 따라 문틀(110)의 안쪽에 도어(120)를 삽입하여 장착하였을 때에 도어(120) 또한 벽체(101)의 측면과 일치하게 위치한다.
따라서 커버(130)로 벽체(101)에 장착 또는 부착할 때에 매끈한 면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제3실시예]
도면에서, 도 3a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비상대피통로를 나타낸 벽체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비상대피통로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c는 도 3a에 도시된 문틀을 인출한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110)에는 여닫이식 도어(120R)가 장착된다.
문틀(110)은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외향 플랜지(111)와 내향 플랜지(113)가 형성된 구조 또는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 내향 플랜지(113)가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문틀(110)의 일단에는 경첩(127)에 의해 선회하며 문틀(110)을 개폐하는 여닫이식 도어(120R)가 장착된다.
또한 제1센서(141)는 문틀(110)에 장착되어 여닫이식 도어(120R)가 개방되었을 때에 전기적 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여닫이식 도어(120R)가 문틀(110)을 닫은 상태에서 벽체(101)에는 커버(130)가 장착된다.
[제4실시예]
도 4a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비상대피통로를 나타낸 벽체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비상대피통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c는 도 4a에 도시된 비상대피통로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110)의 일단에는 측방향으로 상하 레일(129)이 장착된다. 상하 레일(129)의 사이에 미닫이식 도어(120S)가 장착되며, 문틀(110)의 측방향으로 돌출된 상하 레일(129)은 문틀(110)이 장착되는 벽체(101)의 측면을 따라 연장된다.
따라서 미닫이식 도어(120S)는 상하 레일(129)을 따라 측방향으로 미끄러져 이동 가능하며, 미닫이식 도어(120S)를 밀어 개방하였을 때에 미닫이식 도어(120S)는 문틀(110)에서 벗어나 벽체(101)와 대응하여 위치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4실시예에 따른 미닫이식 도어(120S) 및 제3실시예에 따른 여닫이식 도어(120R)를 사각으로 구성하고, 그에 따른 사각 구조의 문틀(11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문틀(110)에 설치되는 제1센서(141)는 문틀(110)을 폐쇄하는 미닫이식 도어(120S)와 간섭된 상태를 유지하며 미닫이식 도어(120S)가 개방되었을 때에 전기적 신호를 발생한다.
[제5실시예]
도면에서, 도 5a는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비상대피통로를 나타낸 벽체 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커버를 제거하고 자바라식 도어를 개방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5c는 도 5b에 도시된 비상대피통로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d는 도 5b에 도시된 비상대피통로의 도어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110)은 사각 구조이며 일단에는 외향 플랜지(11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내향 플랜지(113)가 형성된 구조이다.
사각 구조의 외향 플랜지(111)에 있어서, 하단면에는 자바라식 도어(120J)가 위치하며 자바라식 도어(120J)의 하단은 외향 플랜지(111)의 하단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자바라식 도어(120J)의 상단은 파지한 상태에서 상향으로 올리면 자바라식 도어(120J)가 펼쳐지면서 문틀(110)을 폐쇄하게 된다.
또한 자바라식 도어(120J)의 상단에는 브래킷(171)이 고정되고, 외향 플랜지(111)의 상단에는 자석(173)이 고정된다. 따라서 자바라식 도어(120J)의 상단을 상향으로 올려 외향 플랜지(111)의 상단 자석(173)에 브래킷(171)을 부착하면, 자바라식 도어(120J)는 펼쳐진 상태로 문틀(110)을 폐쇄하게 된다.
반대로 자바라식 도어(120J)의 상단을 하향으로 내리면, 자바라식 도어(120J)는 접혀진 상태로 외향 플랜지(111)의 안쪽에 위치한다.
제1센서(141)는 자바라식 도어(120J)가 펼쳐져 문틀(110)을 폐쇄한 상태에서 하향으로 내려지는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외향 플랜지(111)의 상단에 장착되며, 문틀(110)을 폐쇄한 자바라식 도어(120J)의 상단과 접해 위치한다.
또한 자바라식 도어(120J)가 문틀(110)을 폐쇄한 상태에서, 문틀(110)의 외향 플랜지(111)에는 커버(130)가 장착된다.
[제6실시예]
도면에서, 도 6a는 본 고안의 제6실시예에 따른 비상대피통로가 형성된 경량패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경량패널이 발코니의 벽체로 이용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6c는 도 6b에 도시된 비상대피통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옆 세대를 구획하는 벽체는 경량패널(180) 또는 방음, 방화 기능의 범용 벽체에 비상대피통로(100)가 장착된다.
여기에서 비상대피통로(100)는 제1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에서 언급한 어느 한 실시예의 비상대피통로(100)가 장착될 수 있으며, 세대를 구획하는 벽체로서 비상대피통로(100)가 장착된 경량패널(180) 또는 방음, 방화기능의 범용 벽체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경량패널(180) 또는 방음, 방화 기능의 범용 벽체에 비상대피통로(100)가 장착됨에 따라 경량패널(180) 또는 범용 벽체의 내부로 외부 전원케이블이 연장될 수 있으며, 경량패널(180) 또는 범용 벽체의 안쪽에 제1, 제2, 제3센서(141, 142, 143), 충전식 배터리(153), 변압기(155) 등이 장착된다.
따라서 경량패널(180) 또는 범용 벽체를 발코니 쪽의 벽체를 대신할 수 있는 크기로 제작해 두고 납품함에 따라 아파트 또는 다세대 건물을 신축함에 있어 경량패널(180) 또는 범용 벽체를 벽체로 구성하고 경량패널(180) 또는 범용 벽체에 장착된 비상대피통로(100)를 통해 대피할 수 있게 구성한다.
한편,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비상대피통로가 설치된 공동주택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시에 대피하는 대피 경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에서 설명하고 있는 비상대피통로(100)는 같은 층의 세대 간의 측벽에 설치되거나 위층 또는 아래층을 구획하는 천장 또는 바닥 슬라브에 설치된다. 따라서 한 세대에는 3개의 비상대피통로(100)가 설치되어 3곳을 통해 대피 경로(탈출경로)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재가 발생하여 어느 한 비상대피통로(100)로 대피가 어려울 경우에, 상하좌우측의 다른 대피 경로를 통해 대피가 가능하다.
또한,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부저를 통해 경고음이 발생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경고음과 별도로 빛을 발광하는 경고수단으로서 경고등을 부저를 대신하거나 추가로 장착할 수 있다.
100 : 비상대피통로
101 : 벽체
110 : 문틀
120, 120R, 120S : 도어
130 : 커버
141, 142, 143 : 센서
153 : 배터리
160 : 그물망
170 : 브래킷

Claims (15)

  1. 공동주택의 세대를 구획하는 벽체(101)에 형성된 관통공(103)과,
    관통공(103)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삽입되는 문틀(110)과,
    문틀(110)에 장착되어 문틀(110)을 개폐하는 도어(120)와,
    닫힌 도어(120)를 개방하였을 때에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제1센서(141)와,
    제1센서(141)에서 발생한 전기적신호에 따라 경고신호를 발생하는 경고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대피통로.
  2. 제1항에 있어서,
    닫힌 도어(120)의 외측면을 덮도록 장착한 커버(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대피통로.
  3. 제2항에 있어서,
    커버(130)의 내측면에는 제3센서(143)가 장착되어 커버(130)를 제거하였을 때에 전기적신호가 발생하고, 발생한 전기적신호에 의해 경고수단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대피통로.
  4. 제3항에 있어서,
    커버(130)의 외측면에는 경고메시지가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대피통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문틀(110)은 일단에 외향 플랜지(111)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내향 플랜지(113)가 형성되며,
    도어(120)는 문틀(110)에 삽입되는 마개부(123)와, 마개부(123)에서 문틀(110) 안쪽으로 연장되어 내향 플랜지(113)에 정합되어 위치하는 끼움부(125)를 포함하며, 문틀(110)에서 도어(120)를 인출하여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대피통로.
  6. 제3항에 있어서,
    도어(120)의 외측면에는 홈 형태의 손잡이(121)가 형성되고, 커버(130)의 내측면에 장착된 제3센서(143)는 손잡이(121)의 안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대피통로.
  7. 제5항에 있어서,
    비상대피통로(100)의 안쪽 내부에는 비상대피통로(100)를 통과하는 침입자를 감지하는 제2센서(142)가 장착되며, 제2센서(142)에서 발생한 전기적신호에 의해 경고수단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대피통로.
  8. 제7항에 있어서,
    비상대피통로(100)의 내부에는 그물망(160)이 펼쳐져 위치하며 그물망(160)은 제2센서(142)와 연결되고, 제2센서(142)는 그물망(160)이 제거되었을 때를 감지하여 전기적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대피통로.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문틀(110)은 그 타단에 내향 플랜지(113)가 형성되며,
    도어(120)는 문틀(110)에 삽입되는 마개부(123)와, 마개부(123)에서 문틀(110) 안쪽으로 연장되어 내향 플랜지(113)에 정합되어 위치하는 끼움부(125)를 포함하며, 문틀(110)에서 도어(120)를 인출하여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대피통로.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문틀(110)은 일단에 외향 플랜지(111)가 형성되고,
    도어(120)는 외향 플랜지(111)의 내측에 위치하며 경첩(127)에 의해 도어(120)와 문틀(110)이 연결되고, 도어(120)는 경첩(127)을 중심으로 선회하여 문틀(110)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대피통로.
  11.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문틀(110)의 상부와 하부에는 레일(129)이 각각 위치하며, 상하부 레일(129) 사이에 장착된 도어(120)는 측방향으로 미끄러져 이동하면서 문틀(110)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대피통로.
  12.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문틀(110)은 일단에 외향 플랜지(111)가 형성되고,
    도어(120)는 자바라식 도어로서, 자바라식 도어의 하단은 외향 플랜지(111)의 내측 하단에 고정된 상태로 자바라식 도어(120)의 상단을 상향으로 이동시키면 펼쳐지면서 문틀(110) 내부를 폐쇄하며, 자바라식 도어(120)의 상단을 하향으로 이동하면 외향 플랜지(111)의 내측 하단에 접혀진 상태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대피통로.
  13. 제12항에 있어서,
    자바라식 도어(120)의 상단과 문틀(110)의 상단 중 어느 한 쪽에는 자석(173)이 고정되고 다른 한 쪽에는 브래킷(171)이 고정되어 브래킷(171)이 자석(173)에 부착되면서 문틀(110)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대피통로.
  14.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벽체(101)는 경량패널(180) 또는 방음 방화 기능의 범용 벽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대피통로.
  15. 공동주택의 세대를 구획하는 벽체(101)에 형성된 관통공(103)과, 관통공(103)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삽입되는 문틀(110)과, 문틀(110)에 장착되어 문틀(110)을 개폐하는 도어(120) 및 닫힌 도어(120)의 외측면을 덮도록 장착한 커버(130)를 포함하는 비상대피통로로서,
    도어(120)의 개방을 감지하는 제1센서(141)와,
    비상대피통로(100)의 통과 여부를 감지하는 제2센서(142)와,
    커버(130)의 제거를 감지하는 제3센서(143)와,
    각 세대에 장착된 경고수단과,
    제1센서(141)와 제2센서(142)와 제3센서(143)와 경고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배터리(153)와,
    외부 전원케이블이 접속되며 외부 전원을 충전 배터리(153)에 충전하며 충전 배터리(153)의 전원을 제1센서(141)와 제2센서(142)와 제3센서(143)와 경고수단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패널(15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대피통로.
KR2020150002359U 2015-04-13 2015-04-13 방범 기능이 있는 비상대피통로 KR2016000364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359U KR20160003647U (ko) 2015-04-13 2015-04-13 방범 기능이 있는 비상대피통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359U KR20160003647U (ko) 2015-04-13 2015-04-13 방범 기능이 있는 비상대피통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647U true KR20160003647U (ko) 2016-10-21

Family

ID=57234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2359U KR20160003647U (ko) 2015-04-13 2015-04-13 방범 기능이 있는 비상대피통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364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0156B1 (ko) * 2019-12-20 2020-07-31 주식회사 라이프원 적층블록을 구비한 비상대피통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1960U (ko) 2006-12-15 2008-06-19 장의준 이중 도어를 갖춘 공동주택의 세대간 비상 대피통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1960U (ko) 2006-12-15 2008-06-19 장의준 이중 도어를 갖춘 공동주택의 세대간 비상 대피통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0156B1 (ko) * 2019-12-20 2020-07-31 주식회사 라이프원 적층블록을 구비한 비상대피통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71181B1 (en) Crawl to the light emergency exit
KR200453544Y1 (ko) 화재감지기 연동형 하향식 피난구
KR100787812B1 (ko) 복층건물의 비상탈출 시스템
KR101545524B1 (ko) 피난 장치
JP2007176685A (ja) エレベータのかご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エレベータ装置
KR101503407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거주자 대피용 화재 차단장치
KR101749465B1 (ko) 화재 대피를 위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시스템
KR20160003647U (ko) 방범 기능이 있는 비상대피통로
KR20050026940A (ko) 비상탈출장치가 설치된 베란다
KR102497554B1 (ko) 재난시 인접세대로의 비상탈출 구조물
KR101847534B1 (ko) 벽체 또는 슬라브의 구멍에 삽입되는 비상통로캡슐
KR200443972Y1 (ko) 개폐식 방범창
KR20180138471A (ko) 피난용 사다리 덮개장치
KR200333141Y1 (ko) 방범용 창문커버
GB2404479A (en) Intruder alarm detecting motion in between a window or door and a blind, curtain or shutter
KR102592500B1 (ko) 인접세대 피난용 비상 탈출장치
ES1071438U (es) Mecanismo de apertura inmediata de cerramientos.
KR101045024B1 (ko) 고층 건물의 화재피난용 맨홀개폐장치
CN101736991A (zh) 移动报警窗
KR20180074546A (ko) 화재 대피를 위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시스템
WO2010079247A1 (es) Puerta corredera de seguridad oculta
KR20140145793A (ko) 선박 거주구의 방범창 구조
CN213980508U (zh) 新型防火防盗门窗系统
AU2005100513A4 (en) Domestic Upper Floor Fire Escape
KR20080092162A (ko) 전기 충격 커튼을 이용한 방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