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5222B1 - 방화셔터 연동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방화셔터 연동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5222B1
KR101245222B1 KR1020110024527A KR20110024527A KR101245222B1 KR 101245222 B1 KR101245222 B1 KR 101245222B1 KR 1020110024527 A KR1020110024527 A KR 1020110024527A KR 20110024527 A KR20110024527 A KR 20110024527A KR 101245222 B1 KR101245222 B1 KR 101245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shutter
signal
switch
fire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4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6424A (ko
Inventor
이상규
Original Assignee
(주)리츠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츠엔 filed Critical (주)리츠엔
Priority to KR1020110024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5222B1/ko
Publication of KR20120106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6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5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5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4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connection with doors, windows, ventilators, partitions, or shutters, e.g. automatic clos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방화셔터를 제어하기 위해 소요되는 구축비용이나 시공기간을 절감하기 위한 방화셔터 연동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방화셔터 연동제어 시스템은 방화셔터의 개폐를 제어하는 방화셔터 자동개폐기에 연결되어, 외부에서 전송되는 무선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방화셔터 자동개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무선 수신기와, 무선 수신기에 무선 연결된 무선 송신기와, 화재발생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화재발생신호를 발생한 화재감지센서에 대응하는 방화셔터 개폐기를 조회하고, 조회된 방화셔터 개폐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를 해당 방화셔터 개폐기에 무선 송신하는 방화셔터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방화셔터를 개폐하는 방화셔터 개폐기를 무선 통신으로 제어하므로써, 방화셔터 연동제어 시스템을 구축할 때 소요되는 케이블 작업을 줄일 수 있어 방화셔터 연동제어 시스템의 구축비용이나 시공기간 등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화셔터 연동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INTERLOCK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 FIRE CLOSURE SHUTTER}
본 발명은 방화셔터 연동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화셔터를 제어하기 위해 소요되는 구축비용이나 시공기간을 절감하기 위한 방화셔터 연동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화셔터는 건축물 내부 등에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특정 공간 내부로 외부 사람이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는 셔터의 역할을 하고, 화재 발생시에는 화염, 연기, 유독 가스 등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건축물의 구조에 따라 소방법에 적용되어 설치가 의무화되어 있다. 상기한 방화셔터를 개폐시키기 위해 방화셔터 연동제어기가 배치된다. 상기 방화셔터 연동제어기는 화재 발생시 건축물의 여러 곳에 설치된 연기감지센서나, 열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된 화재 신호에 대응하여 자동 또는 수동 방식에 의해 상기 방화셔터를 개폐하는 장치이다.
통상적으로, 상기 방화셔터 연동제어기는 덮개가 벽체로부터 노출된 매립 형태로서, 연감지기나 열감지센서와 같은 화재 감지 센서와 방화셔터 작동 유무를 확인하는 화재 감지 수신기에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방화셔터 연동제어기는 연동제어기 사용을 허가받은 자(이하 관계자)가 상기 연동제어기의 덮개를 열고 방화셔터 작동 스위치를 수조작하여 상기 방화셔터를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방화셔터 연동제어기는 초동 화재진압을 위하여 관계자에 의한 수조작이 요구되며 이때 관계자가 여러 곳의 화재 발생상황을 알 수 없어 통상 하나의 방화셔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자동 방화셔터 시스템(또는 방화셔터 연동제어 시스템)은 크게 하나의 연동제어기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동개폐기(또는 방화셔터 자동개폐기)로 구성된다. 하나의 연동제어기는 감시 구역 내의 연기감지센서나 열감지센서에 응답하여 복수의 전동개폐기들을 제어하는 것으로 다수의 케이블들과 연결된다. 이러한 연동제어기는 금속 박스 내에 회로기판이 장착되고 이 회로기판에 다수의 전동개폐기들, 열감지센서, 연기감지센서, 중계기, 상용교류, 배터리 등이 연결된다. 따라서, 회로기판에 연결되는 케이블 수는 수십 가닥이 된다.
따라서, 상기 연동제어기를 건축물 등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케이블들을 건축물의 벽체나 천정 등에 매입 또는 매설해야 한다.
또한, 상기 연동제어기를 점검하거나 교체하는 등의 유지보수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케이블들을 연동제어기로부터 분리하는 작업과정이 수반된다. 그러므로 연동제어기의 고장시에는 일반 관리인들은 교체가 불가능하고 전문 엔지니어가 현장에 출동하여 이 수십 가닥의 케이블 연결을 일일이 해체한 다음에 연동제어기의 회로기판을 분리할 수 있었다. 전문 엔지니어라 하더라도 수십 가닥의 케이블을 분리하고 다시 연결하는 작업과정이 요구되므로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였다.
이처럼, 방화셔터를 개폐하는 방화셔터 연동제어 시스템을 구축할 때 하나의 연동제어기와 복수의 전동개폐기(또는 방화셔터 자동개폐기)들을 연결하는 케이블 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발생되어 구축비용이나 시공기간 등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방화셔터 자동개폐기를 동작시키기 위해 제어 신호를 송출하는데 케이블 작업이 별도로 요구되므로 건축물이 완공되었거나 소방시스템 설치에 대한 설계시 내장재를 뜯고서 케이블 작업을 진행하게 되므로 방화셔터 연동제어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추가 공사가 더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방화셔터 자동개폐기를 동작시키기 위해 제어 신호를 송출하는데 필요한 케이블이 외부의 영향이나 노화 등에 의해 단선되어 방화셔터를 개폐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방화셔터를 제어하기 위해 소요되는 구축비용이나 시공기간을 절감하기 위한 방화셔터 연동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화셔터 연동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방화셔터 연동제어 시스템은 방화셔터의 개폐를 제어하는 방화셔터 자동개폐기에 연결되어, 외부에서 전송되는 무선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방화셔터 자동개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무선 수신기와, 상기 무선 수신기에 무선 연결된 무선 송신기와, 외부로부터 화재발생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화재발생신호를 발생한 화재감지센서에 대응하는 방화셔터 개폐기를 조회하고, 조회된 방화셔터 개폐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를 해당 방화셔터 개폐기에 무선 송신하는 방화셔터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화재발생신호는 연기감지센서에서 출력되는 연기감지신호와 열감지센서에서 출력되는 열감지신호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방화셔터 제어부는 상기 조회된 방화셔터 개폐기 정보를 방제실 시스템에 송신하고, 상기 방제실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조회된 방화셔터 개폐기의 주변에 배치된 주변 방화셔터 개폐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주변 방화셔터 개폐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를 해당 주변 방화셔터 개폐기에 무선 송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방화셔터의 상향 동작 제어를 위해 배치된 상향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방화셔터 개폐기는 복수개이고, 상기 방화셔터 제어부는 상기 상향버튼이 눌려짐에 따라, 복수개의 방화셔터들 모두를 상향으로 이동시키는 신호를 상기 방화셔터 개폐기에 무선 송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방화셔터의 동작 정지 제어를 위해 배치된 정지버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방화셔터 개폐기는 복수개이고, 상기 방화셔터 제어부는 상기 정지버튼이 눌려짐에 따라, 복수개의 방화셔터들 모두를 정지시키는 신호를 상기 방화셔터 개폐기에 무선 송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방화셔터의 하향 동작 제어를 위해 배치된 하향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방화셔터 개폐기는 복수개이고, 상기 방화셔터 제어부는 상기 하향버튼이 눌려짐에 따라, 복수개의 방화셔터들 모두를 하향으로 이동시키는 신호를 상기 방화셔터 개폐기에 무선 송신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방화셔터 연동제어 방법은, 화재감지센서로부터 화재발생신호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화재발생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화재발생신호를 발생한 화재감지센서에 대응하는 방화셔터 개폐기를 조회하는 단계와, 조회된 방화셔터 개폐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를 해당 방화셔터 개폐기에 무선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조회된 방화셔터 개폐기 정보를 방제실 시스템에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방제실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조회된 방화셔터 개폐기의 주변에 배치된 주변 방화셔터 개폐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의 수신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방제실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주변 방화셔터 개폐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주변 방화셔터 개폐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를 해당 주변 방화셔터 개폐기에 무선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화재발생신호는 연기감지센서에서 출력되는 연기감지신호와 열감지센서에서 출력되는 열감지신호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방화셔터 연동제어 방법은, 상기 화재감지센서로부터 상기 화재발생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향 테스트 신호의 수신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상향 테스트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방화셔터를 상향으로 동작시키는 신호를 상기 방화셔터 개폐기에 무선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상향 테스트 신호가 미수신됨에 따라, 정지 테스트 신호의 수신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정지 테스트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방화셔터를 정지시키는 신호를 상기 방화셔터 개폐기에 무선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정지 테스트 신호가 미수신됨에 따라, 하향 테스트 신호의 수신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하향 테스트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방화셔터를 하향으로 동작시키는 신호를 상기 방화셔터 개폐기에 무선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방화셔터는 복수개이고, 각 방화셔터에는 하나의 방화셔터 개폐기가 연결되며, 상기 방화셔터를 상향으로 동작시키는 신호는 복수개의 방화셔터 개폐기들 모두에 무선 송신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방화셔터는 복수개이고, 각 방화셔터에는 하나의 방화셔터 개폐기가 연결되며, 상기 방화셔터를 정지시키는 신호는 복수개의 방화셔터 개폐기들 모두에 무선 송신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방화셔터는 복수개이고, 각 방화셔터에는 하나의 방화셔터 개폐기가 연결되며, 상기 방화셔터를 하향으로 동작시키는 신호는 복수개의 방화셔터 개폐기들 모두에 무선 송신될 수 있다.
이러한 방화셔터 연동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방화셔터를 개폐하는 방화셔터 개폐기를 무선 통신으로 제어하므로써, 방화셔터 연동제어 시스템을 구축할 때 소요되는 케이블 작업을 줄일 수 있어 방화셔터 연동제어 시스템의 구축비용이나 시공기간 등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 연동제어 시스템에 의해 구동되는 방화셔터 자동개폐기가 적용되는 방화셔터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 연동제어 시스템에 채용되는 방화셔터 자동개폐기를 설명하는 사시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화셔터 연동제어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화셔터 연동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 연동제어 시스템에 의해 구동되는 방화셔터 자동개폐기가 적용되는 방화셔터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방화셔터(10)는 건물의 통로에 설치된다. 통로의 천장에는 셔터박스(30)가 설치되고, 상기 통로의 양측벽에는 상기 방화셔터(10)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2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방화셔터(10)는 상기 셔터박스(30) 내에 설치된 권취 드럼(미도시)에 감겨짐으로써 개방되고, 상기 권취 드럼에서 자중에 의해 하강됨으로써 폐쇄된다. 상기 방화셔터(10)의 하부에는 폐쇄시에도 사람이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비상문(미도시)을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셔터박스(30)에는 또한 상기 방화셔터(10)에 개방 동력을 제공하는 전동개폐기(40)가 설치된다. 상기 전동개폐기(40)의 기어축(44)에는 체인(80)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동개폐기(40)에는 상기 방화셔터(10)의 자중에 의한 하강을 방지하는 브레이크 레버(4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브레이크 레버(42)는 평상시에는 브레이킹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전동개폐기(40) 위에 설치된 방화셔터 자동개폐기(또는 전동개폐기)(100)의 레버조작봉(140)에 의해 앞으로 밀리게 되면 브레이킹 해제상태로 된다.
도 1에서 도면부호 SEN는 화재의 발생을 감지하는 연기감지센서 및 열감지센서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하고 있는 화재감지기를 나타내고, 도면부호 INC은 본 발명에 따라 무선신호 송출 기능을 갖는 방화셔터 연동제어기를 나타낸다. 화재가 발생한 경우, 상기 화재감지기(SEN)가 상기 연동제어기(200)에 감지 신호를 보내고, 상기 방화셔터 연동제어기(INC)는 다시 상기 방화셔터 자동개폐기(100)에 무선 방식으로 제어 신호를 보내며, 이에 따라 상기 레버조작봉(140)이 상기 브레이크 레버(42)를 밀게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방화셔터(10)를 폐쇄시키게 된다.
도 1에서는 하나의 연동제어기(200)와 하나의 방화셔터 자동개폐기(100)를 일례로서 설명하였다. 하지만, 하나의 연동제어기(200)와 복수의 방화셔터 자동개폐기(100)들을 설치하여 각각의 방화셔터 자동개폐기(100)들이 각각의 방화셔터들 폐쇄시키도록 구현하는 바람직하다.
도 2a 내지 도 2c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 연동제어 시스템에 채용되는 방화셔터 자동개폐기를 설명하는 사시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덮게는 제거하여 도시한다.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방화셔터를 개폐시키는 방화셔터 자동개폐기(100)는 감속모터(110), 리드스크류(120), 이동판(130), 레버조작봉(140) 및 콘트롤기판(150)을 포함한다.
상기 감속모터(110)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직류모터(112)와 상기 직류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기(114)를 포함한다.
상기 리드스크류(120)는 일단을 통해 상기 감속모터(110)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상기 출력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된다.
상기 이동판(130)은 상기 리드스크류(120)와의 치합을 위한 복수의 치합홀들이 형성된 판형상을 갖고서 상기 치합홀들을 통해 상기 리드스크류(120)와 치합되고, 상기 리드스크류(120)의 회전에 따라 수평 이동하여 상기 방화셔터의 브레이킹 상태를 해제시킨다.
상기 레버조작봉(140)은 상기 이동판(130)의 일단에 배치된다. 상기 레버조작봉(140)은 상기 이동판(130)의 이동에 따라 이에 연동하여 함께 이동된다. 예를들어, 이동판이 +Z축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레버조작봉(140) 역시 +Z축 방향으로 이동되어 도 1에 도시된 브레이크 레버(42)의 브레이킹 상태를 해제시킨다.
상기 콘트롤기판(150)은 외부 장치, 예를들어, 화재감지센서로부터 연기감지 또는 열감지 신호가 제공됨에 따라, 상기 이동판(130)의 수평 이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감속모터(110)의 작동 및 정지를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가 탑재된다.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콘트롤기판(150)에는 무선신호 수신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무선수신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무선수신부는 상기 방화셔터 연동제어기(INC; 도 1에 도시됨)로부터 무선 송출된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이동판(130)의 측면에는 돌출부와 요입부가 형성된다. 상기 이동판(130)의 수평 이동에 따라 접점조작 레버가 상기 이동판의 돌출부 또는 요입부에 접촉하여 접촉신호를 발생하는 마이크로 스위치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부는 제1 마이크로 스위치(162) 및 제2 마이크로 스위치(16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마이크로 스위치(162)는 상기 이동판의 일측면에 배치된다. 상기 제2 마이크로 스위치(164)는 상기 이동판의 타측면에 배치된다. 상기 제1 마이크로 스위치(162)와 상기 제2 마이크로 스위치(164)는 서로 마주보도록 동일 평면상에 배치된다.
상기 콘트롤기판(150)은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부로부터 접촉신호가 제공됨에 따라 상기 감속모터의 작동 및 정지를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감속모터(110), 상기 리드스크류(120), 상기 이동판(130) 및 상기 콘트롤기판(150)을 수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이동판(130)의 일측과 상기 이동판(130)에 연결된 레버조작봉(140)을 노출시키는 사각형상의 제1 통공(도면부호 미부여)과, 상기 리드스크류(120)의 헤드부를 노출시키는 원형의 제2 통공(도면부호 미부여)이 형성된다. 상기 제1 통공을 통해 노출된 이동판(130)이 리드스크류(120)의 회전에 따라 +Z축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레버조작봉(140) 역시 +Z축 방향으로 이동되어 도 1에 도시된 브레이크 레버(42)의 브레이킹 상태를 해제시킨다.
한편, 방화셔터를 다시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브레이크 레버(42)를 다시 브레이킹 상태로 전환해야 한다. 이를 위해, +Z축 방향으로 이동된 레버조작봉(140)과 이동판(130)을 Z축 방향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방화셔터 관리자는 상기 제2 통공을 통해 노출된 상기 리드스크류(120)의 헤드부를 회전시키고, 상기 헤드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리드스크류(120)에 체결된 이동판(130)이 Z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리드스크류(120)의 헤드부에는 일자 형상의 홈 또는 십자 형상의 홈이 형성된다. 이러한 홈을 통해 일자 드라이버 또는 십자 드라이버 등을 통해 상기 리드스크류(120)를 회전시켜 +Z축 방향으로 이동된 레버조작봉(140)을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셔터 연동제어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셔터 연동제어 시스템(200)은 복수의 방화셔터 자동개폐기들(210), 상기 방화셔터 자동개폐기들(210) 각각에 연결된 복수의 무선 수신기들(220), 무선 송신기(230) 및 방화셔터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상기 방화셔터 자동개폐기들(210) 각각은 방화셔터의 개폐를 제어한다.
상기 무선 수신기들(220) 각각은 상기 방화셔터 자동개폐기들(210)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방화셔터 자동개폐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무선 송신기(230)는 상기 무선 수신기에 무선 연결된다. 상기 무선 송신기(230)와 상기 무선 수신기들(220)간에는 지그비(ZigBee) 방식으로 무선통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지그비란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IEEE 802.15.4 표준 중 하나이며 가정 또는 사무실 등의 무선 네트워킹 분야에서 근거리 통신과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위한 무선통신방식이다. 상기한 지그비 방식은 기존의 기술에 비하여 크기가 작고 전력소모량이 적으며 저렴한 가격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예시된 상기 무선 송신기(230)와 상기 무선 수신기들(220)간의 무선통신방식이 상기 지그비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타 다른 방식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방화셔터 자동개폐기를 개폐하기 위해 무선 송신기에서 송출되는 신호의 일예를 표로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래의 표 1에서 폐쇄통합신호는 무선 송신기에서 특정 방화셔터 자동개폐기를 동작시켜 방화셔터를 폐쇄, 즉 방화셔터를 하향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이고, 오픈통합신호는 무선 송신기에서 특정 방화셔터 자동개폐기를 동작시켜 방화셔터를 오픈, 즉 방화셔터를 상향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이다.
[표 1]
Figure 112011020149934-pat00001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제2, 제3, 제4, 제5 및 제6 방화셔터 자동개폐기들이 배치되고, 각 방화셔터 자동개폐기들에는 제1, 제2, 제3, 제4, 제5 및 제6 무선 수신기들이 배치된다.
제1 방화셔터 자동개폐기의 어드레스를 000으로 정의하고, 제2 방화셔터 자동개폐기의 어드레스를 001로 정의하고, 제3 방화셔터 자동개폐기의 어드레스를 010으로 정의하고, 제4 방화셔터 자동개폐기의 어드레스를 011로 정의하고, 제5 방화셔터 자동개폐기의 어드레스를 100으로 정의하고, 제6 방화셔터 자동개폐기의 어드레스를 101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방화셔터 자동개폐기를 동작시켜 폐쇄시키기 위한 폐쇄신호를 1로 정의하고, 방화셔터 자동개폐기를 동작시켜 오픈시키기 위한 오픈신호를 0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방화셔터 자동개폐기를 동작시켜 폐쇄시키기 위한 폐쇄통합신호는 0001로 정의되고, 오픈시키기 위한 폐쇄통합신호는 0000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 방화셔터 자동개폐기를 동작시켜 폐쇄시키기 위한 폐쇄통합신호는 0011로 정의되고, 오픈시키기 위한 폐쇄통합신호는 0010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3 방화셔터 자동개폐기를 동작시켜 폐쇄시키기 위한 폐쇄통합신호는 0101로 정의되고, 오픈시키기 위한 폐쇄통합신호는 0100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4 방화셔터 자동개폐기를 동작시켜 폐쇄시키기 위한 폐쇄통합신호는 0111로 정의되고, 오픈시키기 위한 폐쇄통합신호는 0110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5 방화셔터 자동개폐기를 동작시켜 폐쇄시키기 위한 폐쇄통합신호는 1001로 정의되고, 오픈시키기 위한 폐쇄통합신호는 1000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6 방화셔터 자동개폐기를 동작시켜 폐쇄시키기 위한 폐쇄통합신호는 1011로 정의되고, 오픈시키기 위한 폐쇄통합신호는 1010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방화셔터 제어부(240)는 외부로부터 화재발생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화재발생신호를 발생한 화재감지센서에 대응하는 방화셔터 개폐기를 조회하고, 조회된 방화셔터 개폐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를 해당 방화셔터 개폐기에 무선 송신한다.
또한, 상기 방화셔터 제어부(240)는 상기 조회된 방화셔터 개폐기 정보를 방제실 시스템(300)에 송신할 수도 있다. 상기 방화셔터 제어부(240)는 상기 방제실 시스템(200)으로부터 상기 조회된 방화셔터 개폐기의 주변에 배치된 주변 방화셔터 개폐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주변 방화셔터 개폐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를 해당 주변 방화셔터 개폐기에 무선 송신한다.
상기 방화셔터 연동제어 시스템(200)은 상기 화재발생신호로서 연기감지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연기감지센서(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기감지센서(250)는 복수개로 이루어져, 방이나 복도 등에 배치되어 화재 발생시 발생되는 연기를 감지하기 위해 배치된다. 상기 연기감지센서(250)와 상기 방화셔터 제어부(240)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무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방화셔터 연동제어 시스템(200)은 상기 화재발생신호로서 열감지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열감지센서(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감지센서(260)는 복수개로 이루어져, 방이나 복도 등에 배치되어 화재 발생시 발생되는 열을 감지하기 위해 배치된다. 상기 열감지센서(260)와 상기 방화셔터 제어부(240)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무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방화셔터 연동제어 시스템(200)은 버튼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부는 상기 방화셔터의 상향 동작 제어를 위해 배치된 상향버튼과, 상기 방화셔터의 동작 정지 제어를 위해 배치된 정지버턴과, 상기 방화셔터의 하향 동작 제어를 위해 배치된 하향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셔터 연동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들이다.
도 1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방화셔터 제어부(240)는 연기감지센서(250)나 열감지센서(260)와 같은 화재감지센서로부터 화재발생신호의 수신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00).
단계 S100에서, 상기 화재발생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체크되면, 상기 방화셔터 제어부(240)는 상기 화재발생신호를 송신한 화재감지센서에 대응하는 방화셔터 개폐기를 조회 또는 확인한다(단계 S102). 왜냐하면, 하나의 방화셔터 제어부는 복수개의 방화셔터 자동개폐기들을 제어하기 때문에 어느 장소에서 화재가 발생되었는지를 확인해야 어느 방화셔터 자동개폐기를 동작시킬지를 확인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어, 상기 방화셔터 제어부(240)는 단계 S102에서 조회 또는 확인된 해당 방화셔터 개폐기를 동작시키는 신호를 무선 송신한다(단계 S104). 예를들어, 표 1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제1 방화셔터를 하향시키기 위해서는 0001이라는 폐쇄통합신호를 제1 방화셔터 자동개폐기에 연결된 무선 수신기(220)에 무선 송신한다.
이어, 상기 방화셔터 제어부(240)는 단계 S102에서 조회 또는 확인된 방화셔터 개폐기 정보를 방제실 시스템(300)에 송신한다(단계 S106). 상기한 단계 S106을 수행하는 것은 방제실 시스템에 화재 발생 사실을 통지하여 인명피해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화재 경보를 울리거나 발생된 화재라 더욱 확대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방제실 시스템(300)으로부터 추가적인 동작, 예를들어, 주변 방화셔터 개폐기를 추가적으로 동작시키는 제어를 받기 위함이다. 상기한 방화셔터 개폐기 정보를 방제실 시스템(300)에 송신하는 것은 유선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무선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특정 방화셔터 개폐기를 동작시키는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단계 S104를 수행한 후 방화셔터 개폐기 정보를 방제실 시스템에 송신하는 단계 S106이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단계 S106을 수행한 후 단계 S104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어, 상기 방화셔터 제어부(240)는 주변 방화셔터 개폐기를 동작시키는 신호가 방제실 시스템(300)으로부터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08).
단계 S108에서, 주변 방화셔터 개폐기를 동작시키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방화셔터 제어부(240)는 주변 방화셔터 개폐기를 동작시키는 신호를 무선 송신한다(단계 S110).
한편, 단계 S100에서, 화재감지센서로부터 화재발생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면, 상기 방화셔터 제어부(240)는 상향 테스트 신호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12). 상향 테스트 신호는 방화셔터의 설치자나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버튼부에 구비되는 상향 버튼이 눌려짐에 따라 발생될 수 있다. 한편, 상향 테스트 신호는 방제실 시스템에서 방제실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발생될 수도 있다.
단계 S112에서 상향 테스트 신호가 수신되는 것으로 체크되면, 상기 방화셔터 제어부(240)는 방화셔터의 상향동작 제어를 위한 신호를 무선 송신한다(단계 S114).
단계 S112에서 상향 테스트 신호가 수신되지 않거나 방화셔터의 상향동작 제어를 위한 신호를 무선 송신한 후, 상기 방화셔터 제어부(240)는 정지 테스트 신호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16).
단계 S116에서 정지 테스트 신호가 수신되는 것으로 체크되면, 상기 방화셔터 제어부(240)는 방화셔터의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한 신호를 무선 송신한다(단계 S118).
단계 S118에서 정지 테스트 신호가 수신되지 않거나 방화셔터의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한 신호를 무선 송신한 후, 상기 방화셔터 제어부(240)는 하향 테스트 신호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20).
단계 S120에서 하향 테스트 신호가 수신되는 것으로 체크되면, 상기 방화셔터 제어부(240)는 방화셔터의 하향동작 제어를 위한 신호를 무선 송신한 후(단계 S122), 단계 S100으로 피드백한다.
한편, 단계 S120에서 하향 테스트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것으로 체크되면, 단계 S100으로 피드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회 또는 확인된 방화셔터 개폐기 정보를 방제실 시스템(300)에 송신하는 단계 S106, 주변 방화셔터 개폐기를 동작시키는 신호가 방제실 시스템(300)으로부터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S108, 주변 방화셔터 개폐기를 동작시키는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단계 S110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단계 S106, 단계 S108 및 단계 S110은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단계 S100에서, 화재감지센서로부터 화재발생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면, 단계 S112, 단계 S114, 단계 S116, 단계 S118, 단계 S120 및 단계 S122가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단계 S112, 단계 S114, 단계 S116, 단계 S118, 단계 S120 및 단계 S122의 순서는 서로 변경되어도 무방하고, 생략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방화셔터를 개폐하는 방화셔터 개폐기를 무선 통신으로 제어하므로써, 방화셔터 연동제어 시스템을 구축할 때 소요되는 케이블 작업을 줄일 수 있어 방화셔터 연동제어 시스템의 구축비용이나 시공기간 등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방화셔터 자동개폐기를 동작시키기 위해 제어 신호를 송출하는데 필요한 별도의 케이블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건축물이 완공되었거나 소방시스템 설치에 대한 설계시 내장재를 뜯는 등의 추가 공사를 최소화할 수 있어 별도의 추가 비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방화셔터 자동개폐기를 동작시키기 위해 제어 신호를 송출하는데 필요한 케이블이 외부의 영향이나 노화 등에 의해 단선되어 정상적으로 방화셔터를 개폐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10 : 방화셔터 20 : 가이드 레일
30 : 셔터박스 40 : 전동개폐기
42 : 브레이크 레버 44 : 기어축
80 : 체인 100 : 방화셔터 자동개폐기
110 : 감속모터 112 : 직류모터
114 : 감속기 120 : 리드스크류
130 : 이동판 140 : 레버조작봉
150 : 콘트롤기판 200 : 방화셔터 연동제어 시스템
210 : 방화셔터 자동개폐기 220 : 무선 수신기
230 : 무선 송신기 240 : 방화셔터 제어부
250 : 연기감지센서 260 : 열감지센서
270 : 버튼부 300 : 방제실 시스템

Claims (12)

  1. 방화셔터의 개폐를 제어하는 방화셔터 자동개폐기에 연결되어, 외부에서 전송되는 무선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방화셔터 자동개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무선 수신기;
    상기 무선 수신기에 무선 연결된 무선 송신기;
    외부로부터 화재발생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화재발생신호를 발생한 화재감지센서에 대응하는 방화셔터 개폐기를 조회하고, 조회된 방화셔터 개폐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를 해당 방화셔터 개폐기에 무선 송신하는 방화셔터 제어부; 및
    상기 방화셔터의 하향 동작 제어를 위해 배치된 하향 버튼을 포함하되,
    상기 방화셔터 개폐기는 복수개이고,
    상기 방화셔터 제어부는 상기 하향버튼이 눌려짐에 따라, 복수개의 방화셔터들 모두를 하향으로 이동시키는 신호를 상기 방화셔터 개폐기에 무선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발생신호는 연기감지센서에서 출력되는 연기감지신호와 열감지센서에서 출력되는 열감지신호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 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셔터 제어부는 상기 조회된 방화셔터 개폐기 정보를 방제실 시스템에 송신하고, 상기 방제실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조회된 방화셔터 개폐기의 주변에 배치된 주변 방화셔터 개폐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주변 방화셔터 개폐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를 해당 주변 방화셔터 개폐기에 무선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 제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셔터의 상향 동작 제어를 위해 배치된 상향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방화셔터 개폐기는 복수개이고,
    상기 방화셔터 제어부는 상기 상향버튼이 눌려짐에 따라, 복수개의 방화셔터들 모두를 상향으로 이동시키는 신호를 상기 방화셔터 개폐기에 무선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 제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셔터의 동작 정지 제어를 위해 배치된 정지버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방화셔터 개폐기는 복수개이고,
    상기 방화셔터 제어부는 상기 정지버튼이 눌려짐에 따라, 복수개의 방화셔터들 모두를 정지시키는 신호를 상기 방화셔터 개폐기에 무선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 제어 시스템.
  6. 삭제
  7. 화재감지센서로부터 화재발생신호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화재발생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화재발생신호를 발생한 화재감지센서에 대응하는 방화셔터 개폐기를 조회하는 단계;
    조회된 방화셔터 개폐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를 해당 방화셔터 개폐기에 무선 송신하는 단계;
    상기 조회된 방화셔터 개폐기 정보를 방제실 시스템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방제실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조회된 방화셔터 개폐기의 주변에 배치된 주변 방화셔터 개폐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의 수신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방제실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주변 방화셔터 개폐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주변 방화셔터 개폐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를 해당 주변 방화셔터 개폐기에 무선 송신하는 단계;
    상기 화재감지센서로부터 상기 화재발생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향 테스트 신호의 수신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상향 테스트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방화셔터를 상향으로 동작시키는 신호를 상기 방화셔터 개폐기에 무선 송신하는 단계;
    상기 상향 테스트 신호가 미수신됨에 따라, 정지 테스트 신호의 수신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정지 테스트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방화셔터를 정지시키는 신호를 상기 방화셔터 개폐기에 무선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정지 테스트 신호가 미수신됨에 따라, 하향 테스트 신호의 수신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하향 테스트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방화셔터를 하향으로 동작시키는 신호를 상기 방화셔터 개폐기에 무선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화셔터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발생신호는 연기감지센서에서 출력되는 연기감지신호와 열감지센서에서 출력되는 열감지신호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 제어 방법.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셔터는 복수개이고, 각 방화셔터에는 하나의 방화셔터 개폐기가 연결되며,
    상기 방화셔터를 상향으로 동작시키는 신호는 복수개의 방화셔터 개폐기들 모두에 무선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 제어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셔터는 복수개이고, 각 방화셔터에는 하나의 방화셔터 개폐기가 연결되며,
    상기 방화셔터를 정지시키는 신호는 복수개의 방화셔터 개폐기들 모두에 무선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 제어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셔터는 복수개이고, 각 방화셔터에는 하나의 방화셔터 개폐기가 연결되며,
    상기 방화셔터를 하향으로 동작시키는 신호는 복수개의 방화셔터 개폐기들 모두에 무선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 제어 방법.
KR1020110024527A 2011-03-18 2011-03-18 방화셔터 연동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45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527A KR101245222B1 (ko) 2011-03-18 2011-03-18 방화셔터 연동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527A KR101245222B1 (ko) 2011-03-18 2011-03-18 방화셔터 연동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6424A KR20120106424A (ko) 2012-09-26
KR101245222B1 true KR101245222B1 (ko) 2013-03-19

Family

ID=47113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4527A KR101245222B1 (ko) 2011-03-18 2011-03-18 방화셔터 연동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52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736B1 (ko) * 2016-12-26 2018-07-18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방화셔터를 이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무선 통신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44359A (ja) * 2016-09-14 2018-03-22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開閉体装置及び開閉制御方法
KR102212160B1 (ko) * 2018-11-30 2021-02-04 (주)트루스 선박용 화재 셔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641Y1 (ko) * 2006-10-02 2006-12-22 윤명오 방화셔터 연동제어기
KR20100002104A (ko) * 2008-06-26 2010-01-06 주식회사 보생디에프에스 무선 디지털 통합 방재시스템
KR100983249B1 (ko) * 2010-02-16 2010-09-20 강연구 방화셔터 하강 멈춤 제어장치
KR101088496B1 (ko) 2010-12-16 2011-11-30 주식회사 에스에프앤에스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안전 하장바가 설치된 셔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641Y1 (ko) * 2006-10-02 2006-12-22 윤명오 방화셔터 연동제어기
KR20100002104A (ko) * 2008-06-26 2010-01-06 주식회사 보생디에프에스 무선 디지털 통합 방재시스템
KR100983249B1 (ko) * 2010-02-16 2010-09-20 강연구 방화셔터 하강 멈춤 제어장치
KR101088496B1 (ko) 2010-12-16 2011-11-30 주식회사 에스에프앤에스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안전 하장바가 설치된 셔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736B1 (ko) * 2016-12-26 2018-07-18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방화셔터를 이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무선 통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6424A (ko) 201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99617B2 (ja) 防災設備制御システム及び防災設備信号伝達方法
KR100972837B1 (ko) 바닥 매립형 피난사다리 운용을 위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245222B1 (ko) 방화셔터 연동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9119610A (ja) エレベーター
JP2019198640A (ja) 防火設備制御システム及び防火信号伝達方法
WO2019063406A1 (en) SECURE ACCESS TO AN ELEVATOR CAGE
KR200427720Y1 (ko) 비상문 자동 개폐장치
KR101154521B1 (ko) 유무선 화재 관리 시스템
KR101750700B1 (ko) 하향식 피난대피 시설 관리 시스템
JP6687733B2 (ja) エレベーター
KR20120106420A (ko) 방화셔터 자동폐쇄장치
KR100906621B1 (ko) 언락전기정의 안전장치가 갖춰진 비상피난기구 및 비상피난기구의 제어방법
US7591102B1 (en) Emergency door opening actuator
KR200466854Y1 (ko) 화재 발생 표시 및 진압 박스
KR100983249B1 (ko) 방화셔터 하강 멈춤 제어장치
JP5612346B2 (ja) 防災設備
JP2007036447A (ja) ホーム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における建築用開閉装置
JP6474206B2 (ja) 開閉体制御システム
US8693641B2 (en) Fire alarm with integrated firefighter communications system
JP2010242383A (ja) 開閉体装置
RU101548U1 (ru) Система удаленного контроля и управления
JP2009128953A (ja) 侵入警報システム
KR20010100154A (ko) 비상문 자동개폐 시스템 및 방법
JP5970057B2 (ja) シャッター障害物検知システム
CN212181604U (zh) 一种强电机电工程用监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