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8496B1 -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안전 하장바가 설치된 셔터 - Google Patents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안전 하장바가 설치된 셔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8496B1
KR101088496B1 KR1020100128870A KR20100128870A KR101088496B1 KR 101088496 B1 KR101088496 B1 KR 101088496B1 KR 1020100128870 A KR1020100128870 A KR 1020100128870A KR 20100128870 A KR20100128870 A KR 20100128870A KR 101088496 B1 KR101088496 B1 KR 101088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wireless transmitter
electrically connected
upper fram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8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영복
배주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앤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앤에스
Priority to KR1020100128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84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8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8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1Feedback to user, e.g. tactile
    • E05Y2400/818Visual
    • E05Y2400/822Light emitters, e.g. light emitting diodes [L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5User input means
    • E05Y2400/852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측 프레임과 상기 상측 프레임의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상측 프레임은 상기 수직 프레임 사이를 상하로 이동하는 셔터와 상기 셔터가 상기 수직 프레임 사이를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부를 포함하는 셔터에 있어서, 상기 셔터 하단의 하장바에는 하측면과 양 측면에 멤브레인 스위치가 설치되고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의 온 또는 오프 동작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송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상측 프레임에는 상기 무선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전송 받는 무선 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수신기에 전송된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의 온 또는 오프 동작 신호에 따라 상기 동력부의 온 또는 오프 동작을 제어하도록 하는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안전 하장바가 설치된 셔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셔터의 하장바가 하강 중에 사람이나 물건 등에 부딪히게 되는 경우 셔터의 하강 동작을 즉시 정지 시킬 수 있는 안전 하장바가 설치된 셔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안전 하장바가 설치된 셔터{Security Shutter with Wireless Transmitter-Receiver}
본 발명은 셔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동 셔터의 하장바가 하강 중에 사람이나 물건 등에 부딪히게 되는 경우 셔터의 하강 동작을 즉시 정지 시킬 수 있는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안전 하장바가 설치된 셔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동 셔터 내지 방화 셔터 등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셔터는 셔터가 하강 중에 셔터 하단에 사람 또는 일정한 물건이 부딪히거나 걸리게 되는 경우에도 사람이 직접 셔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스위치를 조작하지 않는 한 셔터의 하강 동작이 멈추지 않고 셔터가 계속 하강되도록 작동됨으로써, 인명 손실이나 물건 파손 등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셔터의 슬라트가 수직 프레임(즉, 가이드 레일)에 끼였을 경우에 일측은 걸려 있고 타측은 내려오게 됨으로써, 셔터 고장의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셔터의 하장바가 하강 중에 사람이나 물건 등에 부딪히게 되는 경우 하장바 하측면 내지 양 측면에 설치된 멤브레인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셔터의 하강 동작을 즉시 정지 시킬 수 있는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안전 하장바가 설치된 셔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멤브레인 스위치의 온 또는 오프 동작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송신기와 무선 송신기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기를 포함함으로써, 하장바에 설치된 멤브레인 스위치와 상측 프레임에 설치된 동력부를 연결하는 전선 등이 필요 없는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안전 하장바가 설치된 셔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셔터의 하장바가 상승 또는 하강 중에 셔터의 슬라트가 수직 프레임(즉, 가이드 레일)에 끼이거나 기타 물건이 끼어 문제가 발생한 경우 멤브레인 스위치에 의해 즉각적인 셔터 개폐의 동작 정지 제어가 가능한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안전 하장바가 설치된 셔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멤브레인 스위치의 온 또는 오프 동작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감지부와 제어부를 포함한 동력부를 제어하는 통제부를 포함함으로써, 셔터의 하장바에 사람이나 물건 등에 의한 일정한 압력 등이 발생하는 경우 자동으로 셔터의 개폐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는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안전 하장바가 설치된 셔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측 프레임과 상기 상측 프레임의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상측 프레임은 상기 수직 프레임 사이를 상하로 이동하는 셔터와 상기 셔터가 상기 수직 프레임 사이를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부를 포함하는 셔터에 있어서, 상기 셔터 하단의 하장바에는 하측면과 양 측면에 멤브레인 스위치가 설치되고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의 온 또는 오프 동작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송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상측 프레임에는 상기 무선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전송 받는 무선 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수신기에 전송된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의 온 또는 오프 동작 신호에 따라 상기 동력부의 온 또는 오프 동작을 제어하도록 하는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 프레임에는 암놈 커넥터가 결합된 충전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장바에는 상기 무선 송신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수놈 커넥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암놈 커넥터와 수놈 커넥터는 상기 셔터가 상기 상측 프레임 측으로 이동한 경우 상기 암놈 커넥터와 상기 수놈 커넥터가 접촉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무선 송신기에 포함된 밧데리 전원을 충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암놈 커넥터는, 상기 충전기의 Out Put 단자와 결합하는 제1 단자와 상기 제1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하측면에 결합홈이 형성된 암놈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놈 커넥터는, 상기 무선 송신기에 포함된 밧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단자와 상기 제2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측면에 상기 결합홈과 결합하도록 결합 돌출부가 형성된 수놈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암놈 커넥터는, 상기 충전기의 Out Put 단자와 결합하는 제1 단자와 상기 제1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하측면에 결합홈이 형성된 암놈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놈 커넥터는, 상기 무선 송신기에 포함된 밧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단자와 상기 제2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측면에 상기 결합홈과 결합하도록 결합 돌출부가 형성된 수놈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셔터에는 상기 셔터의 슬라트에 개폐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비상문이 형성되고, 상기 비상문의 주변에는 상기 무선 송신기에 포함된 밧데리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셔터가 하강하는 경우에만 발광하도록 하는 비상문 표시 엘이디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셔터 하단의 하장바에는 상기 무선 송신부와 무선 수신부에 의해 상기 동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사람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모션 감지 센서가 더 설치되어 상기 모션 감지 센서에서 센싱되는 사람의 움직임에 대한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셔터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기 동력부의 온 또는 오프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무선 수신기에 수신된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의 온 또는 오프 동작 신호와 상기 모션 감지 센서의 센싱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동력부의 온 또는 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통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제부는 상기 감지부 및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은 상기 동력부의 전원으로 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장바에는 상기 셔터 하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삽입부를 형성하는 삽입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셔터의 하장바가 하강 중에 사람이나 물건 등에 부딪히게 되는 경우 셔터의 하강 동작을 즉시 정지 시킬 수 있는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안전 하장바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장바에 설치된 멤브레인 스위치와 상측 프레임에 설치된 동력부를 연결하는 전선 등이 필요 없는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안전 하장바가 설치된 셔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셔터의 하장바가 상승 또는 하강 중에 셔터의 슬라트가 수직 프레임(즉, 가이드 레일)에 끼이거나 기타 물건이 끼어 문제가 발생한 경우 즉각적인 셔터 개폐의 동작 정지 제어가 가능한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안전 하장바가 설치된 셔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셔터의 하장바에 사람이나 물건 등에 의한 일정한 압력 등이 발생하는 경우 자동으로 셔터의 개폐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는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안전 하장바가 설치된 셔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안전 하장바가 설치된 셔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암놈 커넥터의 구성도이다.
도 3은 수놈 커넥터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멤브레인 스위치가 설치된 하장바와 무선 송신기 및 무성 수신기를 나타내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는 상기 하장바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무선 송신기에 의해 송신되어 무선 수신기에서 수신되는 멤브레인 스위치의 온 또는 오프 동작 신호를 감지하여 셔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통제부가 포함된 구성도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안전 하장바가 설치된 셔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안전 하장바가 설치된 셔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암놈 커넥터의 구성도이며, 도 3은 수놈 커넥터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안전 하장바가 설치된 셔터는 상측 프레임(10)과 상기 상측 프레임(10)의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 프레임(20)을 포함하고 상기 상측 프레임(10)은 상기 수직 프레임(20) 사이를 상하로 이동하는 셔터(100)와 상기 셔터(100)가 상기 수직 프레임(20) 사이를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셔터 하단의 하장바(110)에는 하측면과 양 측면에 멤브레인 스위치(120)가 설치되고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120)의 온 또는 오프 동작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송신기(3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측 프레임(10)에는 상기 무선 송신기(300)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전송 받는 무선 수신기(200)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수신기(200)에 전송된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120)의 온 또는 오프 동작 신호에 따라 상기 동력부의 온 또는 오프 동작을 제어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안전 하장바가 설치된 셔터는, 셔터를 상하 방향으로 올리거나 내리려 개폐시키는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부가 포함된 상측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 및 상기 수직 프레임(20) 사이를 상하로 올라가거나 내려가며 개폐하고 하장바(110)에 멤브레인 스위치(120)가 설치된 셔터(1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상측 프레임(10)으로부터 상기 셔터(100)가 상기 수직 프레임(20) 사이를 감겨 올라가거나 풀려 내려오도록 하는 작동 원리 내지 구성은 기존의 방화 셔터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셔터(100)를 상기와 같이 이동시키도록 하는 동력부의 구성 및 결합 관계 또한 기존의 방화 셔터와 동일한 구성 및 결합 관계를 갖는다.
상기 셔터(100)의 하단을 구성하는 하장바(100)에는 멤브레인 스위치(120)가 설치된다.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100)는 일반적인 멤브레인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일정한 압력 등에 의해 온 또는 오프로 작동될 수 있는 다양한 감지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120)는 상기 하장바(110)의 하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하장바(110)의 하측면과 함께 양 측면에도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120)는 상기 동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120)의 온 또는 오프 동작에 따라 상기 동력부가 온 또는 오프로 제어되게 된다.
즉, 상기 동력부에 의해 상기 셔터(100)가 상기 수직 프레임(20) 사이를 상기 상측 프레임(10)으로부터 풀려 내려오는 상황에서, 상기 하장바(110)의 하측면 내지 양측면에 설치된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120)가 사람 또는 물건에 의한 일정한 압력에 의해 온 스위칭 되는 경우 상기 동력부에 의해 상기 셔터(100)가 내려오는 작동이 멈추게 되고, 상기 압력이 해제되어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120)가 오프 스위칭 상태에서만 상기 셔터(100)가 움직이도록 상기 동력부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하장바(110)에는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120)의 온 또는 오프 동작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송신기(30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상측 프레임(100에는 상기 무선 송신기(300)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무선 수신기(20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무선 수신기(200)는 상기 동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무선 수신기(200)에 수신된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120)의 온 또는 오프 동작 신호에 따라서 상기 동력부의 동작이 제어되게 된다.
즉,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120)의 온 또는오프 동작에 의한 상기 동력부의 제어가 무선에 의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무선 수신기(200)는 상측 프레임(10)에 설치되고 상측 프레임에는 전원이 연결되므로 상기 무선 수신기(200)에 별다른 충전 등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상기 하장바(120)에 설치되는 무선 송신기(300)의 경우는 자체 작동을 위한 밧데리 전원을 포함하고 상기 밧데리 전원을 정기적으로 충전할 필요가 있게 된다.
상기 상측 프레임(10)에는 암놈 커넥터(410)가 결합된 충전기(4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장바(110)에는 상기 무선 송신기(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수놈 커넥터(3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암놈 커넥터(410)와 수놈 커넥터(310)는 상기 셔터(10)가 상기 상측 프레임(10) 측으로 이동한 경우 상기 암놈 커넥터(410)와 상기 수놈 커넥터(310)가 접촉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무선 송신기(300)에 포함된 밧데리 전원을 충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상측 프레임(10)에는 암놈 커넥터(410)가 구비된 충전기(400)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무선 송신기(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수놈 커넥터(310)가 상기 하장바(120) 상에 설치된다.
즉, 상기 셔터(100)가 폐쇄, 즉 상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하장바(110)가 상기 상측 프레임(10)에 접근하게 되는 경우, 상기 암놈 커넥터(410)와 상기 수놈 커넥터(310)가 서로 접촉하여 상기 충전기(400)에 의해 상기 무선 송신기(300)에 포함된 밧데리 전원을 충전하게 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무선 송수신기(300)에 포함된 밧데리 전원은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120)와도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120)의 전원으로도 함께 사용된다.
상기 암놈 커넥터는(410) 상기 충전기의 Out Put 단자와 결합하는 제1 단자와 상기 제1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하측면에 반 구 형태의 홈인 결합홈(417)이 형성된 암놈 결합부(416)를 포함한다(도 2 참조).
또한, 상기 수놈 커넥터(310)는, 상기 무선 송신기(300)에 포함된 밧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단자(311)와 상기 제2 단자(3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측면에 상기 결합홈(417)과 결합하도록 반구 형태로 돌출된 결합 돌출부(317)가 형성된 수놈 결합부(316)를 포함한다(도 3 참조).
이때, 상기 암놈 커넥터(410)는 상기 제1 단자(411)와 암놈 결합부(416) 사이에 스프링(414)이 삽입되어 상하 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완충부(412)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1 절연체(413) 구간 또는 제1 감지봉(415) 구간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놈 커넥터 역시, 상기 제2 단자(311)와 수놈 결합부(316) 사이에 스프링(314)이 삽입되어 상하 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완충부(312)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2 절연체(313) 구간 또는 제2 감지봉(315) 구간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셔터(100)가 폐쇄되는 경우, 즉 상기 하장바(110)가 상기 상측 프레임(10) 측으로 상승한 경우, 상기 수놈 커넥터(310)의 수놈 결합부(316)가 상기 암놈 커넥터(410)의 결합홈(417)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충전기(400)를 통해 상기 무선 송신기(300)에 포함된 밧데리 전원을 충전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120) 또한 상기 무선 송신기(300)에 포함된 밧데리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12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도 4는 멤브레인 스위치가 설치된 하장바와 무선 송신기 및 무성 수신기를 나타내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5는 상기 하장바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다.
상기 하장바(110)에는 상기 셔터(100) 하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삽입부(131)를 형성하는 삽입돌기(13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삽입돌기(13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장바(110)의 상측면으로부터 삽입부(131)가 형성되도록 두 개가 돌설된다.
상기 셔터(100) 하단부가 상기 삽입부(131)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보다 더 안정적으로 상기 셔터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은 상기 무선 송신기에 의해 송신되어 상기 무선 수신기에서 수신되는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의 온 또는 오프 동작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셔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통제부가 포함된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안전 하장바가 설치된 셔터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120)의 온 또는 오프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520) 및 상기 감지부(520)의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동력부의 온 또는 오프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30)를 포함하는 통제부가 상기 무선 수신부(200) 및 동력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감지부(520)는 상기 무선 송신기(300)에서 송신되고 상기 무선 수신부(200)에서 수신된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120)의 온 또는 오프 동작 신호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530)는 상기 감지부(520)에서 감지된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210)의 온 또는 오프 상태에 따라 상기 셔터(100)가 상기 수직 프레임(20) 사이를 상 또는 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동력부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통제부는 상기 감지부(520) 및 제어부(5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51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원(510)은 상기 동력부 및 상기 충전기(400)의 전원으로도 사용 가능하다.
상기 통제부에 의해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120)의 온 또는 오프 상태에 따른 상기 셔터(100)의 개폐가 자동으로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안전 하장바가 설치된 셔터는 일반 전동 셔터와 화재시의 비상용 방화 셔터 및 기타 일반적인 셔터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셔터(100)에는 상기 셔터의 슬라트에 힌지 결합되는 비상문이 형성되고, 상기 비상문이 형성된 상기 셔터의 슬라트 주변에는 비상문 표시 엘이디(142)들이 상기 셔터가 하강한 경우에만 발광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비상문(140)은 상기 셔터가 상기 수직 플레이트(20)를 따라 하강한 경우 대피자가 상기 셔터(100)를 통과해 외부로 대피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비상문(14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셔터(100)의 슬라트에 힌지(143)에 의한 힌지 결합됨으로써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비상문 표시 엘이디(142)들은 엘이디 전선(145)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전선(145)은 상기 무선 송신기(300)에 포함된 밧데리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비상문 표시 엘이디(142)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전선(145)을 통해 상기 비상문 표시 엘이디(142)들에 상기 무선 송신기에 포함된 밧데리 전원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되, 상기 부선 송신기에 포함된 밧데리 전원으로부터 상기 비상문 표시 엘이디(142)에 공급되는 전원은 상기 셔터(100)가 하강하는 경우 또는 하강한 경우에만 공급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비상문 표시 엘이디(142)들은 상기 하장바(110)에도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장바(110)에는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120)와 함께 또는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를 대신하여 모션 감지 센서(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모션 감지 센서는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적외선 센서 등이 포함되고, 상기 모션 감지 센서는 상기 무선 송신부(300)와 무선 수신부(200)에 의해 상기 동력부 내지 통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에 관한 설명은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비상용 방화 셔터는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와 함께 또는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를 대신하여 설치된 상기 모션 감지 센서에 의하여 상기 하장바 근처에 사람을 포함한 움직이는 물체를 감지한 경우 하장바와의 충돌 이전에 미리 상기 셔터의 하강 동작을 정지시킴으로써 보다 높은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비상용 방화 셔터는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210)의 온 또는 오프 상태에 따라서 방화 동작으로 인한 셔터의 자중 강하에서도 상기 셔터(100)의 강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한국등록특허 제0907098호 참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상측 프레임 20: 수직 프레임
100: 셔터 110: 하장바
120: 멤브레인 스위치 130: 삽입돌기
131: 삽입부 200: 무선 수신기
300: 무선 송신기 310: 수놈 커넥터
311: 제2 단자 312: 제2 완충부
313: 제2 절연체 314: 스프링
315: 제2 감지봉 316: 수놈 결합부
317: 결합 돌출부 400: 충전기
410: 암놈 커넥터 411: 제1 단자
412: 제1 완충부 413: 제1 절연체
414: 스프링 415: 제1 감지봉
416: 암놈 결합부 417: 결합홈
510: 전원 520: 감지부
530: 제어부

Claims (7)

  1. 상측 프레임과 상기 상측 프레임의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상측 프레임은 상기 수직 프레임 사이를 상하로 이동하는 셔터와 상기 셔터가 상기 수직 프레임 사이를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부를 포함하는 셔터에 있어서,
    상기 셔터 하단의 하장바에는 하측면과 양 측면에 멤브레인 스위치가 설치되고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의 온 또는 오프 동작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송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상측 프레임에는 상기 무선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전송 받는 무선 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수신기에 전송된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의 온 또는 오프 동작 신호에 따라 상기 동력부의 온 또는 오프 동작을 제어하도록 하는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 프레임에는 암놈 커넥터가 결합된 충전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장바에는 상기 무선 송신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수놈 커넥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암놈 커넥터와 수놈 커넥터는 상기 셔터가 상기 상측 프레임 측으로 이동한 경우 상기 암놈 커넥터와 상기 수놈 커넥터가 접촉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무선 송신기에 포함된 밧데리 전원을 충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암놈 커넥터는,
    상기 충전기의 Out Put 단자와 결합하는 제1 단자와 상기 제1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하측면에 결합홈이 형성된 암놈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놈 커넥터는,
    상기 무선 송신기에 포함된 밧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단자와 상기 제2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측면에 상기 결합홈과 결합하도록 결합 돌출부가 형성된 수놈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암놈 커넥터는,
    상기 충전기의 Out Put 단자와 결합하는 제1 단자와 상기 제1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하측면에 결합홈이 형성된 암놈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놈 커넥터는,
    상기 무선 송신기에 포함된 밧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단자와 상기 제2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측면에 상기 결합홈과 결합하도록 결합 돌출부가 형성된 수놈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셔터에는 상기 셔터의 슬라트에 개폐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비상문이 형성되고,
    상기 비상문의 주변에는 상기 무선 송신기에 포함된 밧데리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셔터가 하강하는 경우에만 발광하도록 하는 비상문 표시 엘이디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셔터 하단의 하장바에는 상기 무선 송신부와 무선 수신부에 의해 상기 동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사람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모션 감지 센서가 더 설치되어 상기 모션 감지 센서에서 센싱되는 사람의 움직임에 대한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셔터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기 동력부의 온 또는 오프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무선 수신기에 수신된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의 온 또는 오프 동작 신호와 상기 모션 감지 센서의 센싱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동력부의 온 또는 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통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제부는 상기 감지부 및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은 상기 동력부의 전원으로 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안전 하장바가 설치된 셔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장바에는 상기 셔터 하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삽입부를 형성하는 삽입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안전 하장바가 설치된 셔터.
  6. 삭제
  7. 삭제
KR1020100128870A 2010-12-16 2010-12-16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안전 하장바가 설치된 셔터 KR101088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8870A KR101088496B1 (ko) 2010-12-16 2010-12-16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안전 하장바가 설치된 셔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8870A KR101088496B1 (ko) 2010-12-16 2010-12-16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안전 하장바가 설치된 셔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8496B1 true KR101088496B1 (ko) 2011-11-30

Family

ID=45398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8870A KR101088496B1 (ko) 2010-12-16 2010-12-16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안전 하장바가 설치된 셔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849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222B1 (ko) 2011-03-18 2013-03-19 (주)리츠엔 방화셔터 연동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92187A (ko) * 2021-12-17 2023-06-26 주식회사 선포탈 수신기 내장형 실내 루버형 집광채광시스템
KR102587049B1 (ko) * 2022-06-17 2023-10-06 이윤호 루버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6683A (ja) * 2002-01-10 2003-07-25 Somfy Kk ローラシャッタの開閉制御装置
KR100907098B1 (ko) * 2008-12-12 2009-07-09 주식회사 대륙기업 안전 방화 셔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6683A (ja) * 2002-01-10 2003-07-25 Somfy Kk ローラシャッタの開閉制御装置
KR100907098B1 (ko) * 2008-12-12 2009-07-09 주식회사 대륙기업 안전 방화 셔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222B1 (ko) 2011-03-18 2013-03-19 (주)리츠엔 방화셔터 연동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92187A (ko) * 2021-12-17 2023-06-26 주식회사 선포탈 수신기 내장형 실내 루버형 집광채광시스템
KR102609412B1 (ko) * 2021-12-17 2023-12-04 주식회사 선포탈 수신기 내장형 실내 루버형 집광채광시스템
KR102587049B1 (ko) * 2022-06-17 2023-10-06 이윤호 루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8496B1 (ko)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안전 하장바가 설치된 셔터
US10847983B2 (en) Charging system for electric window covering and method of charging electric window covering with the same
CN106990274B (zh) 一种改进型电能表箱
CN103693538B (zh) 智能气动层门系统
US20040187387A1 (en) Device for closing a building or enclosure and drive device and control device and control therefor
KR100907098B1 (ko) 안전 방화 셔터
KR101034384B1 (ko) 비상용 방화 셔터
KR20180012965A (ko) 피난유도등에 결합되는 연기감지 자동 눈높이 승하강 리프트 장치
KR100983249B1 (ko) 방화셔터 하강 멈춤 제어장치
JP6076707B2 (ja) 防火・防煙シャッターの自重降下制御システム
JP2015151716A (ja) シャッター障害物検知システム
JP2004150096A (ja) 開閉体制御システム
JP2015520817A (ja) 可撓性カーテン付ドア
CN207361549U (zh) 一种单绳罐笼防坠器动作检测装置
CN210302155U (zh) 一种便携式家用消防柜
JP2007077720A (ja) 電動シャッター
JP6012287B2 (ja) 開閉装置
KR20120053559A (ko) 방화문용 도어릴리즈
JP2007138645A (ja) 開閉体の開閉制御装置
CN202467600U (zh) 可燃气体预警外遮阳卷帘窗
WO2020161754A1 (en) Wireless optical battery-powered safety barrier for application on the moving leaf of automatic gates/doors of sliding type
CN110807999A (zh) 一种基于安全出口指示灯的智能灯箱及其消防系统
JP7202517B2 (ja) 非電動式自動扉装置
CN218522594U (zh) 用于卷帘门的自动安全防护系统
JP6698332B2 (ja) 開閉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