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3249B1 - 방화셔터 하강 멈춤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방화셔터 하강 멈춤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3249B1
KR100983249B1 KR1020100013770A KR20100013770A KR100983249B1 KR 100983249 B1 KR100983249 B1 KR 100983249B1 KR 1020100013770 A KR1020100013770 A KR 1020100013770A KR 20100013770 A KR20100013770 A KR 20100013770A KR 100983249 B1 KR100983249 B1 KR 100983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shutter
operation switch
fire
cp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3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연구
Original Assignee
강연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연구 filed Critical 강연구
Priority to KR1020100013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32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3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3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을 사용하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장애물 존재시 방화셔터의 하강 멈춤을 용이하게 제어함으로써 방화셔터의 오동작 등에 의한 인명 사고나 장애물에 의한 물건 또는 방화셔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방화셔터 하강 멈춤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화셔터 하강 멈춤 제어장치는 방화셔터 하단에 승강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방화셔터의 하강중에 장애물의 존재시 장애물에 부딪혀서 방화셔터를 따라 상승하고 장애물의 제거시 자중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며, 작동 스위치의 일측 접점을 형성하는 스위치 구성부재; 상기 스위치 구성부재의 상부의 방화셔터에 상기 스위치 구성부재와 이격된 채로 설치되어 상기 스위치 구성부재의 상승시 상기 스위치 구성부재와 접촉되고, 상기 작동 스위치의 타측 접점을 형성하는 스위치 접점부재; 상기 작동 스위치가 온되는 경우에 작동개시 명령을 RF 신호로 출력하는 송신기 및 상기 작동개시 명령이 수신된 경우에 방화셔터의 하강을 멈추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수신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방화셔터 하강 멈춤 제어장치{control apparatus for stopping descent of fire preventing shutter}
본 발명은 방화셔터 하강 멈춤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통신을 사용하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장애물 존재시 방화셔터의 하강 멈춤을 용이하게 제어함으로써 방화셔터의 오동작 등에 의한 인명 사고나 장애물에 의한 물건 또는 방화셔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방화셔터 하강 멈춤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백화점, 호텔, 금융기관 또는 상가 등 사람의 출입이 많은 건물이나 지하철역 구내 등에 설치되는 방범 및 방화용 셔터(이하, 간단히 "방화셔터"라 한다)는 화재 시에 폐쇄되어 화재가 일어난 구역을 봉쇄함으로써 화염이나 유독 가스가 다른 구역으로 전이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사용된다. 그런데, 화재가 감지된 즉시 방화셔터를 완전 폐쇄시키는 경우에는 화재 구역에 위치한 사람이 대피할 수 있는 시간적인 여유가 확보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반면에 전술한 대피 시간이 경과한 후에야 비로소 방화셔터를 폐쇄시키는 경우에는 이 시간 동안 화염이나 유독 가스가 다른 구역으로 전이되어 다른 구역에 있는 사람이나 물건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화재가 발생한 즉시, 구체적으로 연감지기가 작동한 즉시 방화셔터를 사람들이 대피할 수 있는 정도까지 1차 하강시킨 상태에서 화재 구역에 있는 사람들이 대피할 수 있도록 사전 설정된 시간동안 정지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사전 설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2차 하강을 수행하여 방화셔터를 완전 폐쇄시키는 기술을 2001년 특허출원 제75243호(출원일: 2001. 11. 30)로 출원하여 특허번호 제419343호로 특허등록받은 바 있고, 이를 더욱 개선하여 상기 사전 설정 시간이 열감지기의 작동과 연동하도록 된 기술을 2005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4400호(출원일: 2005. 8. 24)로 출원하여 등록번호 제400290호로 등록받은바 있다.
도 1은 종래의 방화셔터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화셔터(10)는 건물의 통로에 설치되는데, 통로의 천장에는 셔터 박스(30)가 설치되고, 통로의 양측벽에는 방화셔터(10)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20)이 설치되어 있다. 방화셔터(10)는 셔터 박스(30) 내에 설치된 권취 드럼(미도시)에 감겨짐으로써 개방되고, 권취 드럼에서 자중에 의해 하강됨으로써 폐쇄된다. 방화셔터(10)의 하부에는 폐쇄시에도 사람이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비상문(12)이 설치될 수 있다.
셔터 박스(30)에는 또한 방화셔터(10)에 개방 동력을 제공하는 전동 개폐기(40)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전동 개폐기(40)의 기어축(44)에는 체인(80)이 연결되어 있다. 전동 개폐기(40)에는 방화셔터(10)의 자중에 의한 하강을 방지하는 브레이크 레버(42)가 구비되어 있고, 이러한 브레이크 레버(42)는 평상시에는 브레이킹 상태를 유지하다가 전동 개폐기(40) 위에 설치된 폐쇄기(100)의 레버 조작봉(141)에 의해 앞으로 밀리게 되면 브레이킹 해제 상태로 된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60은 화재의 발생을 감지하는 연감지기 및 열감지기와 같은 화재 감지기를 나타내고, 70은 연동 제어기를 나타내는 바,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화재 감지기(60)의 연감지기 및 열감지기가 연동 제어기(70)에 감지 신호를 보내고, 연동 제어기(70)는 다시 폐쇄기(100)에 제어 신호를 보내며, 이에 따라 레버조작봉(141)이 브레이크 레버(42)를 밀게 됨으로써 방화셔터(10)를 폐쇄시키게 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방화셔터(10)의 적소에는 상시 오프 상태를 유지하다가 방화셔터(10)의 하단이 바닥에 닿은 경우에 온 상태로 절환되는 하한용 리밋 스위치가 설치되는바, 이러한 하한용 리밋 스위치에 직렬 연결된 릴레이의 b접점, 즉 상시 폐쇄 접점이 방화셔터(10)의 승강을 제어하는 방화셔터 제어장치에 24V의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라인의 도중에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방화셔터가 하강하는 중에 바닥에 닿는 경우에는 이러한 하한용 리밋 스위치가 온 상태로 절환되고, 이에 따라 릴레이가 여자되어 그 상시 폐쇄 접점을 개방시킴으로써 방화셔터 제어장치에 공급되던 24V의 직류 전원이 차단되고 이에 따라 방화셔터의 하강이 멈추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방화셔터 제어장치에 따르면, 방화셔터가 하강하는 도중에 방화셔터의 직하방에 사람이나 장애물(이하 '장애물'로 통칭한다) 등이 있어도 결과적으로 바닥에 이르러서야 하강을 완전히 멈추기 때문에 인명 사고의 위험이 있음은 물론이고 물품의 파손이나 방화셔터의 과도한 하강으로 인해 방화셔터의 고장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무선 통신을 사용하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장애물 존재시 방화셔터의 하강 멈춤을 용이하게 제어함으로써 방화셔터의 오동작 등에 의한 인명 사고나 장애물에 의한 물건 또는 방화셔터의 파손을 방지한 방화셔터 하강 멈춤 제어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화셔터 하강 멈춤 제어장치는 방화셔터 하단에 승강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방화셔터의 하강중에 장애물의 존재시 장애물에 부딪혀서 방화셔터를 따라 상승하고 장애물의 제거시 자중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며, 작동 스위치의 일측 접점을 형성하는 스위치 구성부재; 상기 스위치 구성부재의 상부의 방화셔터에 상기 스위치 구성부재와 이격된 채로 설치되어 상기 스위치 구성부재의 상승시 상기 스위치 구성부재와 접촉되고, 상기 작동 스위치의 타측 접점을 형성하는 스위치 접점부재; 상기 작동 스위치가 온되는 경우에 작동개시 명령을 RF 신호로 출력하는 송신기 및 상기 작동개시 명령이 수신된 경우에 방화셔터의 하강을 멈추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수신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방화셔터 하강 멈춤 제어장치는 방화셔터 하단에 승강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방화셔터의 하강중에 장애물의 존재시 장애물에 부딪혀서 방화셔터를 따라 상승하고 장애물의 제거시 자중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는 작동 스위치 개폐부재; 상기 작동 스위치 개폐부재의 상부의 방화셔터에 상기 작동스위치 개폐부재와 이격된 채로 설치되어 상기 작동스위치 개폐부재의 상승시 상기 작동스위치 개폐부재에 의해 온되는 작동 스위치; 상기 작동 스위치가 온되는 경우에 작동개시 명령을 RF 신호로 출력하는 송신기 및 상기 작동개시 명령이 수신된 경우에 방화셔터의 하강을 멈추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수신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작동 스위치는 마이크로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송신기는, 배터리; 상기 작동개시 명령 이외에 작동정지 명령을 RF 신호로 출력하는 송신 모듈; CPU; 상기 배터리와 상기 CPU 및 상기 송신 모듈 사이에 개재되어 온시에 상기 CPU 및 상기 송신 모듈에 배터리 전력을 공급하는 작동 스위치 및 상기 작동 스위치를 경유하지 않고 배터리 전력을 상기 CPU 및 상기 송신 모듈에 공급하는 전원유지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CPU는 상기 작동 스위치의 온/오프 여부를 체크하여 상기 작동 스위치가 온 상태로 절환됨과 동시에 상기 전원유지 수단이 동작 상태로 활성화시키고, 상기 작동 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절환된 경우에 소정의 지연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전원유지 수단을 비동작 상태로 불능화시키며, 상기 지연 시간 동안 상기 송신 모듈이 작동정지 명령을 RF 신호로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작동정지 명령이 수신된 경우에 방화셔터의 하강을 재개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전원유지 수단은 배터리와 상기 송신 모듈 및 상기 CPU 사이에 개재된 포토트랜지스터 및 상기 CPU의 제어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는 포토 다이오드를 구비한 포토커플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화셔터 하강 멈춤 제어장치에 따르면, 무선 통신을 사용하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장애물 존재시 방화셔터의 하강 멈춤을 용이하게 제어함으로써 방화셔터의 오동작 등에 의한 인명 사고나 장애물에 의한 물건 또는 방화셔터의 파손을 방지할 수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방화셔터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방화셔터 하강 멈춤 제어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방화셔터 하강 멈춤 제어장치의 하부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발명의 방화셔터 하강 멈춤 제어장치의 하부 구조의 멈춤 전후의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방화셔터의 제어장치의 송신기의 전기적인 블록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방화셔터 하강 멈춤 제어장치의 주요부에 대한 동작 타이밍도,
도 7은 본 발명의 방화셔터의 제어장치의 수신기의 전기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방화셔터 하강 멈춤 제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방화셔터 하강 멈춤 제어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방화셔터 하강 멈춤 제어장치의 하부 구조의 멈춤 전후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방화셔터 하강 멈춤 제어장치의 하부 구조를 보인 측면도인바, 도 1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화셔터 하강 멈춤 제어장치에 따른 방화셔터는 하단이 역 "T"자형으로 마감(이하 이를 간단히 "T바"라고 한다)되어 있는데, 이러한 T바는 그 상면의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틈새(122)가 형성되어 있고 장방형의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진 스위치 구성부재(120)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어서 스위치 구성부재(1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방화셔터(10)는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도전체(導電體)로 이루어져 있고, T바(110) 역시 이와 동일 유사한 재질의 도전체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스위치 구성부재(120) 역시 방화셔터(10)와 동일 유사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T바(110)의 전 길이에 걸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스위치 구성부재(120)가 방화셔터(10)를 따라 승강할 수 있도록 그 틈새(122)가 방화셔터(10)의 두께보다 약간 큰 정도의 폭을 갖고, 그 높이도 T바(110)의 높이보다 큰, 예를 들어 두 배 이상 큰 것이 바람직하다. 스위치 구성부재(120)의 폭은 스위치 구성부재(120)가 방화셔터(10)를 따라 승강할 때 원활하게 승강하면서도 기울어진 채로 승강하지 않도록 대략 T바(110)의 폭보다 약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방화셔터(10)의 스위치 구성부재(120)의 상부에는 같은 높이로 하나 이상의 스위치 접점부재(140), 바람직하게는 좌측, 중앙 및 우측의 총 3개의 스위치 접점부재(140)가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된다. 이와 같이 스위치 접점부재(140)를 3개 구비함으로써 스위치 구성부재(120)가 방화셔터(10)를 따라 상승할 때 약간 기울어진 채로 상승하더라도 스위치 접점부재(140)와의 전기적인 연결이 확립될 수 있다. 각각의 스위치 접점부재(140)는 황동이나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방화셔터(10)와의 절연을 위해 고무나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재(130)를 개재한 채로 방화셔터(10)에 고정 설치된다. 나아가, 스위치 접점부재(140)는 스위치 구성부재(120)의 상면과 일부 겹치는 두께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에 T바(110)에서 스위치 접점부재(140)까지의 높이는 T바(110)의 하단에서 스위치 구성부재(120)의 바닥까지의 높이보다 작게 이루어져야 하는바, 이렇게 하여야 방화셔터(10)의 하강 도중에 그 직하방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에 스위치 구성부재(120)가 방화셔터(10)를 따라 상대적으로 상승하여 그 상면이 스위치 접점부재(140)에 접촉될 수 있다.
여기에서, 방화셔터(10)는 후술하는 송신기 배터리의 양극 단자에 연결되게 되는데, 이에 따라 방화셔터(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스위치 구성부재(120)도 배터리의 양극 단자에 연결되게 된다. 한편, 스위치 접점부재(140)는 후술하는 송신기의 다이오드의 애노드 단자에 연결될 수 있을 것인바, 이와 같이 스위치 구성부재(120)와 스위치 접점부재(140)가 스위치의 두 접점을 이룸으로써 간단하게 스위치를 구성할 수가 있다.
이와는 달리 스위치 접점부재(140)를 대체하여 방화셔터(10)의 동일 위치에 마이크로 스위치(미도시)와 같이 내부에 2개의 접점이 모두 구비된 스위치가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인바, 이 경우에 스위치 구성부재(120)는 스위치 접점으로 직접 기능하는 대신에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의 접점 레버(미도시)를 눌러서 그 접점을 온시키는 접점 레버 작동부재, 즉 스위치 개폐부재로 기능하게 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방화셔터의 제어장치의 송신기의 전기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신기는 독립적인 배터리, 예를 들어 12V 직류 전원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배터리의 양극 단자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평상시, 즉 장애물과 부딪히지 않거나 바닥에 닿지 않은 경우에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작동 스위치(S/W), 즉 스위치 구성부재(120)와 스위치 접점부재(140)로 구현되는 스위치 또는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다. 한편, 작동 스위치(S/W)의 타단은 역전류 방지용 다이오드(D1)를 경유하여 송신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CPU) 및 송신 모듈(TX Module)(TX Module)의 전원공급단자에 연결되어 있다.
배터리의 양단에는 또한 중앙처리장치(CPU)에 안정적인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제너 다이오드(ZD1)가 연결되어 있는데, 도면에서 참조부호 ZD2와 R1은 각각 제너 다이오드(ZD1)와 직렬로 연결되어 배터리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너 다이오드와 저항을 나타낸다. 즉 대략 7V 정도의 제너 전압을 갖는 제너 다이오드(ZD2)를 개재시킴으로써 이것이 존재하지 않을 때보다 저항(R2)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가 있다.
한편, 작동 스위치(S/W)의 타단은 또한 역전류 방지용 다이오드(D2) 및 전류제한저항(R2)을 개재하여 중앙처리장치(CPU)의 작동스위치 감지신호 입력단자에 연결되어 있어서 작동 스위치(S/W)가 온 상태로 있는 동안에는 이 단자에 하이 레벨의 신호가 입력되게 된다.
다음으로, 배터리의 양극 단자와 제너 다이오드(ZD1)의 캐소드 단자 사이에는 포토커플러(PO1)의 포토트랜지스터가 연결되어 있고, 중앙처리장치(CPU)의 전원유지 출력단자에는 저항(R4)을 개재하여 포토커플러(PO1)의 포토다이오드가 연결되어 있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R3와 R4는 각각 안정화 저항을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에서 채택된 송신 모듈(TX Module)은 작동개시 명령을 입력받는 단자와 작동정지 명령을 입력받는 단자가 별도로 존재(따라서 중앙처리장치에도 그 각각의 출력단자가 존재)하는데, 다이오드 D3과 D4는 송신 모듈(TX Module)에서 중앙처리장치(CPU)로 역전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방화셔터 하강 멈춤 제어장치의 주요부에 대한 동작 타이밍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화셔터(120)가 하강하는 도중에 그 직하방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에 스위치 구성부재(120)가 이러한 장애물에 부딪혀서 방화셔터(10)를 따라 상승함으로써 송신기의 작동 스위치(S/W)가 온되게 된다.
한편, 작동 스위치(S/W)가 온됨과 동시에 배터리의 전력이 중앙처리장치(CPU)에 공급되어 중앙처리장치(CPU)가 동작하게 되고, 나아가 상기 작동스위치 감지신호 입력단자에 하이 레벨의 신호가 입력됨으로써 중앙처리장치(CPU)는 현재 작동 스위치(S/W)가 온 상태로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이와 동시에 중앙처리장치(CPU)는 상기 전원유지 출력단자를 통해 제어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포토커플러(PO1)의 포토다이오드를 온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포토커플러(PO1)의 포토트랜지스터가 온됨으로써 작동 스위치(S/W)의 온/오프 상태에 관계없이 배터리의 전력이 상기 포토트랜지스터를 통해 중앙처리장치(CPU)와 송신 모듈(TX Module)로 공급된다.
이와 동시에 중앙처리장치(CPU)는 작동개시 명령 출력단자를 통해 송신 모듈(TX Module)에 소정 시간 동안 작동개시 제어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송신 모듈(TX Module)이 작동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송신 모듈(TX Module)은 작동개시 명령을 정해진 주파수 대역, 예를 들어 433㎒의 RF 신호에 실어서 그 안테나를 통해 출력되게 된다.
한편, 시간이 흘러서 장애물이 제거되는 경우에는 스위치 구성부재(120)가 방화셔터(10)를 따라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스위치 구성부재(120)가 스위치 접점부재(140)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에 따라 작동 스위치(S/W)가 오프 상태로 절환되고, 상기 작동스위치 감지신호 입력단자에는 로우 레벨의 신호가 입력되는데, 이에 따라 중앙처리장치(CPU)는 작동 스위치(S/W)가 현재 오프 상태임을 확인할 수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작동 스위치(S/W)가 오프 상태가 되더라도 중앙처리장치(CPU) 및 송신 모듈(TX Module)에는 포토트랜지스터를 통해 배터리 전력이 계속 공급되게 된다. 따라서 중앙처리장치(CPU)는 비록 작동 스위치(S/W)가 오프된 경우에도 작동 스위치(S/W)의 상태에 관계없이 작동 스위치(S/W)가 오프된 시점부터 소정 시간 동안 송신 모듈(TX Module)에 작동정지 명령을 하달한 후에 비로소 상기 전원유지 출력단자를 통해 포토다이오드를 오프시킴으로써 자체 및 송신 모듈(TX Module)에 공급되는 전원을 스스로 차단하게 된다. 다음으로 송신 모듈(TX Module)은 중앙처리장치(CPU)로부터 상기 작동정지 명령을 수신한 경우에 그 즉시 작동정지 명령을 RF 신호에 실어서 출력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방화셔터의 제어장치의 수신기의 전기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화셔터의 제어장치의 수신기의 전기적인 구성은 송신 모듈(TX Module)로부터 출력된 작동개시 명령 또는 작동정지 명령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RX Module), 수신 모듈(RX Module)에 안정적인 직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너 다이오드(ZD12) 및 배터리 전력의 낭비를 줄이기 위해 제너 다이오드(ZD12)에 연결되는 제너 다이오드(ZD11)와 저항(R11), 상시 개방 상태에 있는 릴레이 접점(RYT)을 폐쇄시키는 릴레이 코일(RY), 릴레이 코일(RY)을 여자 및 소자시키는데 사용되는 다수의 트랜지스터(Q11~Q13)와 여기에 연결된 안정화 저항(R12~R16) 및 릴레이 코일(RY)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발광 다이오드(LED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릴레이 접점(RYT)은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상기 하한 리밋 스위치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더욱이, 도 7에 도시한 수신 모듈(RX Module) 역시 구동신호 출력단자와 정지신호 출력단자가 별개로 존재하는데, 그 각각의 연결 라인에 개재된 다이오드(D11, D12)는 역전류 유입 방지용으로 사용된다. 릴레이 코일(RY)과 병렬로 연결된 다이오드(D13)는 릴레이 코일(RY)의 소자시에 발생하는 역기전력을 제거하기 위해 주어진다.
다음으로,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방화셔터 하강 멈춤 제어장치의 수신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수신 모듈(RX Module)이 그 안테나(ANT)를 통해 송신 모듈(TX Module)로부터의 작동개시 명령을 수신한 경우에 상기 구동신호 출력단자를 통해 하이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는데,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Q12)가 온되고, 연이어서 여기에 연결된 트랜지스터(Q13)가 온됨으로써 릴레이 코일(RY)이 여자되게 된다. 그리고 이에 따라 릴레이 접점(RYT)이 폐쇄 상태가 됨으로써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방화셔터 제어장치에 공급되는 24V의 전원이 차단됨으로써 방화셔터(10)의 하강이 멈추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방화셔터의 하강이 멈춘 상태에서 방화셔터의 직하방에 존재하던 장애물이 제거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송신기의 작동 스위치(S/W)가 오프되게 되고, 이에 따라 송신기의 중앙처리장치(CPU)의 제어에 따라 송신 모듈(TX Module)이 상기 작동정지 명령을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작동정지 명령을 수신한 수신 모듈(RX Module)은 상기 구동정지 출력단자를 통해 하이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Q11)이 온되는 반면에 트랜지스터(Q12)와 트랜지스터(Q13)는 순차적으로 오프됨으로써 릴레이 코일(RY)이 소자됨되게 되고, 이에 따라 릴레이 접점(RYT)이 다시 개방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방화셔터 제어장치에 24V의 전원 공급이 재개되어 방화셔터(10)가 다시 하강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화셔터의 제어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스위치 구성부재와 스위치 접점부재의 형태나 구조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릴레이 코일(RY)이 여자되는 경우에 방화셔터의 하강이 멈추는 반면에 소자되는 경우에 방화셔터의 하강이 재개되는 범위 내에서 릴레이 접점(RYT)을 상시 폐쇄 상태로 변경할 수도 있을 것이다. 나아가,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는 광학적으로 동작하거나 자기적으로 동작하는 스위치로도 구현될 수 있을 것인바, 이를 총칭하여 상기'작동 스위치'라 한다.
10: 셔터, 12: 비상문,
20: 가이드 레일, 30: 셔터 박스,
40: 전동 개폐기, 42: 브레이크 레버,
44: 기어축, 60: 화재 감지기,
70: 연동 제어기, 80: 체인,
90: 지지판, 100: 폐쇄기,
110: T바, 120: 스위치 구성부재,
130: 절연재, 140: 스위치 접점부재,
150: 송신기, 200: 수신기

Claims (5)

  1. 방화셔터 하단에 승강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방화셔터의 하강중에 장애물의 존재시 장애물에 부딪혀서 방화셔터를 따라 상승하고 장애물의 제거시 자중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며, 작동 스위치의 일측 접점을 형성하는 스위치 구성부재;
    상기 스위치 구성부재의 상부의 방화셔터에 상기 스위치 구성부재와 이격된 채로 설치되어 상기 스위치 구성부재의 상승시 상기 스위치 구성부재와 접촉되고, 상기 작동 스위치의 타측 접점을 형성하는 스위치 접점부재;
    상기 작동 스위치가 온되는 경우에 작동개시 명령을 RF 신호로 출력하는 송신기 및
    상기 작동개시 명령이 수신된 경우에 방화셔터의 하강을 멈추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수신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송신기는, 배터리; 상기 작동개시 명령 이외에 작동정지 명령을 RF 신호로 출력하는 송신 모듈; CPU; 상기 배터리와 상기 CPU 및 상기 송신 모듈 사이에 개재되어 온시에 상기 CPU 및 상기 송신 모듈에 배터리 전력을 공급하는 작동 스위치 및 상기 작동 스위치를 경유하지 않고 배터리 전력을 상기 CPU 및 상기 송신 모듈에 공급하는 전원유지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CPU는 상기 작동 스위치의 온/오프 여부를 체크하여 상기 작동 스위치가 온 상태로 절환됨과 동시에 상기 전원유지 수단을 동작 상태로 활성화시키고, 상기 작동 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절환된 경우에 소정의 지연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전원유지 수단을 비동작 상태로 불능화시키며, 상기 지연 시간 동안 상기 송신 모듈이 작동정지 명령을 RF 신호로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작동정지 명령이 수신된 경우에 방화셔터의 하강을 재개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방화셔터 하강 멈춤 제어장치.
  2. 방화셔터 하단에 승강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방화셔터의 하강중에 장애물의 존재시 장애물에 부딪혀서 방화셔터를 따라 상승하고 장애물의 제거시 자중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는 작동 스위치 개폐부재;
    상기 작동 스위치 개폐부재의 상부의 방화셔터에 상기 작동스위치 개폐부재와 이격된 채로 설치되어 상기 작동스위치 개폐부재의 상승시 상기 작동스위치 개폐부재에 의해 온되는 작동 스위치;
    상기 작동 스위치가 온되는 경우에 작동개시 명령을 RF 신호로 출력하는 송신기 및
    상기 작동개시 명령이 수신된 경우에 방화셔터의 하강을 멈추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수신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송신기는, 배터리; 상기 작동개시 명령 이외에 작동정지 명령을 RF 신호로 출력하는 송신 모듈; CPU; 상기 배터리와 상기 CPU 및 상기 송신 모듈 사이에 개재되어 온시에 상기 CPU 및 상기 송신 모듈에 배터리 전력을 공급하는 작동 스위치 및 상기 작동 스위치를 경유하지 않고 배터리 전력을 상기 CPU 및 상기 송신 모듈에 공급하는 전원유지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CPU는 상기 작동 스위치의 온/오프 여부를 체크하여 상기 작동 스위치가 온 상태로 절환됨과 동시에 상기 전원유지 수단을 동작 상태로 활성화시키고, 상기 작동 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절환된 경우에 소정의 지연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전원유지 수단을 비동작 상태로 불능화시키며, 상기 지연 시간 동안 상기 송신 모듈이 작동정지 명령을 RF 신호로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작동정지 명령이 수신된 경우에 방화셔터의 하강을 재개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방화셔터 하강 멈춤 제어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스위치는 마이크로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 제어장치.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유지 수단은 배터리와 상기 송신 모듈 및 상기 CPU 사이에 개재된 포토트랜지스터 및 상기 CPU의 제어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는 포토 다이오드를 구비한 포토커플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 하강 멈춤 제어장치.
KR1020100013770A 2010-02-16 2010-02-16 방화셔터 하강 멈춤 제어장치 KR100983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770A KR100983249B1 (ko) 2010-02-16 2010-02-16 방화셔터 하강 멈춤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770A KR100983249B1 (ko) 2010-02-16 2010-02-16 방화셔터 하강 멈춤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3249B1 true KR100983249B1 (ko) 2010-09-20

Family

ID=43010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3770A KR100983249B1 (ko) 2010-02-16 2010-02-16 방화셔터 하강 멈춤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324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384B1 (ko) * 2010-10-22 2011-05-20 주식회사 에스에프앤에스 비상용 방화 셔터
KR101245222B1 (ko) * 2011-03-18 2013-03-19 (주)리츠엔 방화셔터 연동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72321A (ko) 2016-12-21 2018-06-29 창신대학교 산학협력단 방화 셔터 동작 제어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0745A (ja) * 1997-11-13 1999-07-27 Bunka Shutter Co Ltd 開閉体の制御システム
JPH11324539A (ja) * 1998-05-21 1999-11-26 Toyo Shutter Co Ltd 防火シャッター
JP2003176680A (ja) * 1997-11-13 2003-06-27 Bunka Shutter Co Ltd 開閉体の制御システム
KR20040008290A (ko) * 2002-07-18 2004-01-31 남기호 셔터 자동안전 감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0745A (ja) * 1997-11-13 1999-07-27 Bunka Shutter Co Ltd 開閉体の制御システム
JP2003176680A (ja) * 1997-11-13 2003-06-27 Bunka Shutter Co Ltd 開閉体の制御システム
JPH11324539A (ja) * 1998-05-21 1999-11-26 Toyo Shutter Co Ltd 防火シャッター
KR20040008290A (ko) * 2002-07-18 2004-01-31 남기호 셔터 자동안전 감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384B1 (ko) * 2010-10-22 2011-05-20 주식회사 에스에프앤에스 비상용 방화 셔터
KR101245222B1 (ko) * 2011-03-18 2013-03-19 (주)리츠엔 방화셔터 연동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72321A (ko) 2016-12-21 2018-06-29 창신대학교 산학협력단 방화 셔터 동작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50626B2 (ja) シャッター障害物検知システム
KR100983249B1 (ko) 방화셔터 하강 멈춤 제어장치
KR200427720Y1 (ko) 비상문 자동 개폐장치
KR20070084910A (ko) 지하철 승강장 스크린도어에 구비된 안전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JP5677159B2 (ja) シャッター障害物検知システム
JP6219190B2 (ja) シャッター障害物検知システム
JP6076707B2 (ja) 防火・防煙シャッターの自重降下制御システム
JP2004150096A (ja) 開閉体制御システム
KR101807261B1 (ko) 경고 표시 기능을 갖는 소방 감지기 및 이를 구비한 소방 방재 시스템
KR101245222B1 (ko) 방화셔터 연동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6474206B2 (ja) 開閉体制御システム
JP4037314B2 (ja) 防災用開閉装置
JP7314379B2 (ja) シャッター装置
JP7314378B2 (ja) シャッター装置
JP7267116B2 (ja) シャッター装置
JP7142599B2 (ja) シャッター装置
KR101776119B1 (ko) 개량된 전류 공급구조를 갖는 dc 24v 입력형의 비상문 자동 잠금장치
JP7142598B2 (ja) シャッター装置
KR101807262B1 (ko) 경고 표시 기능을 갖는 소방 감지기 및 이를 구비한 소방 방재 시스템
JP7295727B2 (ja) シャッター
JP2015083773A (ja) シャッター障害物検知システム
JP2006037528A (ja) 開閉体制御システム
KR19990032707A (ko) 방화방연 셔터의 안전강하 연동제어기
JP2002168076A (ja) シャッターにおける制御装置
JPH03879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