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4641Y1 - 방화셔터 연동제어기 - Google Patents

방화셔터 연동제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4641Y1
KR200434641Y1 KR2020060027447U KR20060027447U KR200434641Y1 KR 200434641 Y1 KR200434641 Y1 KR 200434641Y1 KR 2020060027447 U KR2020060027447 U KR 2020060027447U KR 20060027447 U KR20060027447 U KR 20060027447U KR 200434641 Y1 KR200434641 Y1 KR 2004346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shutter
signal input
microcompu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74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명오
김정유
Original Assignee
윤명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명오 filed Critical 윤명오
Priority to KR20200600274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46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46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464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62C2/246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non-mechanical actuators
    • A62C2/247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non-mechanical actuators electr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화셔터 연동제어기에 관한 것으로, 제어박스와; 입력되는 화재 신호를 기탑재된 프로그램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화셔터를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가동시키도록 상기 제어박스의 내장된 인쇄회로기판에 제공된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마이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관계자에 의해 상기 방화셔터를 수조작할 수 있도록 제공된 조작 패널을 포함으로써, 수동 조작시 관계자에 의하여 복수 개의 방화셔터를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가동시킬 수 있어 초동 화재 진압에 대처할 수 있으며, 비밀키 방식의 잠금장치를 구비하여 관계자 이외 타인에 의한 방화셔터 가동을 원천적으로 방지함은 물론 화재 발생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방화셔터, 소방, 연동제어기

Description

방화셔터 연동제어기 {Interlocking controller for fire closure shutter}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방화셔터 연동제어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방화셔터 연동제어기가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방화셔터 연동제어기의 작동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제어박스
20 : 마이컴 21 : 화재신호 입력부
23 : 제어부 25 : 화재감지수신기 출력부
27 : 조작패널신호 입력부 29 : 비밀키 승인/확인부
30 : 전원부
40 : 배터리부
50 : 조작 패널 51 : 경음기
100 : 방화셔터 연동제어기
200 : 연감지기 300 : 열감지기
400 : 방화셔터 500 : 경음기
600 : 화재 감지 수신기 700 : 외부 전원
본 고안은 방화셔터 연동제어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화재 발생시 복수 개의 방화셔터를 탑재된 프로그램에 의해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가동하고 수동 조작인 경우에는 비밀키의 확인 절차를 거쳐 방화셔터를 가동시키는 방화셔터 연동제어기에 관한 것이다.
방화셔터는 건축물 내부에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특정 공간 내부로 외부 사람이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는 셔터의 역할을 하고, 화재 발생시에는 화염, 연기, 유독 가스 등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건축물의 구조에 따라 소방법에 적용되어 설치가 의무화되어 있다.
방화셔터 연동제어기는 화재 발생시 건축물의 여러 곳에 설치된 연감지기, 열감지기로부터 입력된 화재 신호에 대응하여 자동 또는 수동 방식에 의해 방화셔터를 개폐하는 장치이다.
통상적으로, 방화셔터 연동제어기는 덮개가 벽체로부터 노출된 매립 형태로 서, 화재 감지 센서인 연감지기, 열감지기와 방화셔터 작동 유무를 확인하는 화재 감지 수신기에 사이에 개재된다. 또한 방화셔터 연동제어기는 연동제어기 사용을 허가받은 자(이하 "관계자"라 한다)가 연동제어기의 덮개를 열고 방화셔터 작동 스위치를 수조작하여 방화셔터를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방화셔터 연동제어기는 초동 화재진압을 위하여 관계자에 의한 수조작이 요구되며 이때 관계자가 여러 곳의 화재 발생상황을 알 수 없어 통상 하나의 방화셔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방화셔터 연동제어기는 관계자 이외의 타인에 의한 방화셔터의 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덮개에 잠금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따라서 방화셔터 연동제어기는 화재 발생시 관계자가 열쇠를 분실하거나 지참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방화셔터를 개폐할 수 없어 덮개를 파손시키거나 또는 부득이하게 중앙 감시반이 설치된 지역으로 이동하여 방화셔터를 가동시켜야 함으로써 화재의 초동 진압이 되지 않아 재산 손실과 인명 피해를 야기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방화셔터 연동제어기는 화재가 건축물의 여러 곳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발생하거나 화재가 급속하게 번지는 경우에 관계자가 화재가 발생된 지역으로 이동하여 일일이 방화셔터를 가동시켜야 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고안의 목적은, 수동 조작 시 관계자에 의하여 복수 개의 방화셔터를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가동시킬 수 있는 방화셔터 연동제어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비밀키 방식의 잠금장치를 구비하여 관계자 이외 타인에 의한 방화셔터 가동을 방지하고 화재 발생시 또는 장치 점검시 원활한 조치를 구현할 수 있는 방화셔터 연동제어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제어박스와; 입력되는 화재 신호를 기탑재된 프로그램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화셔터를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가동시키도록 상기 제어박스의 내장된 인쇄회로기판에 제공된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마이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관계자에 의해 상기 방화셔터를 수조작할 수 있도록 제공된 조작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 연동제어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고안의 상기 마이컴은 감지기로부터 입력되는 화재 신호를 입력받는 화재 신호 입력부와, 상기 화재 신호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화재 신호를 기탑재된 프로그램에 따라 방화셔터를 가동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화재 신호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화재 신호를 화재 감지 수신기로 출력하는 화재감지수신기 출력부와, 상기 관계자에 의해 상기 방화셔터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조작 패널이 조작되는 경우에 이의 조작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에 출력하는 조작패널신호 입력부와, 상기 조작패널신호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신호 중에서 비밀키가 입력된 경우에는 기승인된 비밀키과 비교하여 동일하면 상기 비밀키를 승인하거나 상기 조작 패널의 조작을 허락하고,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조작 패널의 조작을 무효화시키는 비밀키 승인/확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고안은 상기 전원부 및 상기 마이컴과 각기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충전 상태 확인 및 과충전 방지 보호 회로를 구비한 배터리부를 더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방화셔터 연동제어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방화셔터 연동제어기와 가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방화셔터 연동제어기의 작동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방화셔터 연동제어기(100)는 제어박스(10)와, 제어박스(10)에 내장된 인쇄회로기판에 마이컴(20), 전원부(30) 및 배터리부(40)가 실장되어 있으며, 마이컴(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화재 발생시 관계자의 촉수가 용이하도록 방화셔터(400)의 전면이나 벽체에 제공된 조작 패널(5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어박스(10)는 마이컴(20), 전원부(30) 및 배터리부(40)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을 내장하고 있으며, 벽체 등에 매몰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 박스(10)는 외부의 충격과 화재 발생시 내장된 전장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에 상응하는 재질 예컨대 금속 또는 방염처리된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한 마이컴(20)은 방화셔터 연동제어기(100)를 구동하는 복수 개의 프로그램이 탑재된 것으로, 화재신호 입력부(21), 제어부(23), 화재감지수신기 출력부(25), 조작패널신호 입력부(27) 및 비밀키 승인/확인부(29)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마이컴(20)은 현장 사정에 따라 관계자에 의해 용이하게 프로그램을 입력, 수정 또는 삭제 등이 가능한 PLC (Programming Logic Circuit)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화재 신호 입력부(21)는 복수 개의 연감지기(200) 및 열감지기 (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화재 발생시 연기 또는 열에 관련된 화재 신호를 실시간적으로 입력받는다.
제어부(23)는 마이컴(20)을 구동하는 부분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다. 제어부(23)는 화재 신호 입력부(21)로부터 입력된 화재 신호를 탑재된 프로그램에 따라 방화셔터(400) 및 경음기(500) 등을 제어한다. 특히 본 고안에 의한 제어부(23)는 화재 신호 입력부(21)로부터 입력되는 복수 개의 화재 신호에 대응하여 방화셔터(400) 및 경음기(500)를 동시, 순차적 또는 비순차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여러 곳에서 화재가 발생되거나 순식간에 화재가 번지는 경우에 신속하게 복수 개의 방화셔터(400)를 가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화재감지수신기 출력부(25)는 화재 신호 입력부(21)로부터 입력된 화재 신호를 화재 신호 수신기(600)로 출력하여 대응된 방화셔터 확인등과 기동등을 점등시킨다.
조작패널신호 입력부(27)는 조작 패널(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조작 패널(50)을 관계자가 조작하는 경우에 이의 조작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23)에 출력한다. 여기서, 조작패널신호 입력부(27)는 조작 패널(50)로부터 입력된 조작 신호 중 방화셔터(400) 조작 신호인 경우에는 제어부(3)로 신호를 출력하고, 비밀키 관련인 경우에는 비밀키 승인/확인부(29)로 신호를 출력한다.
비밀키 승인/확인부(29)는 조작 패널(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관계자가 조작 패널(50)을 조작하여 비밀키의 생성, 수정 또는 변경 등을 승인하거나 또는 기승인된 비밀키와 입력되는 비밀키를 비교한다. 만약, 기승인된 비밀키와 입력되는 비밀키가 동일한 경우에는 비밀키를 승인(비밀키의 생성, 수정 또는 변경을 위한 승인)하거나 조작 패널(50)의 조작이 허락되고, 그러하지 않은 경우에는 조작 패널(50)의 조작은 무효화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비밀키 승인/확인부(29)를 구비한 마이컴(20)은 종래 기술의 연동제어기와는 달리 덮개를 개폐를 위한 열쇠가 불필요하여 신속한 화재 대응이 가능하며 비(非) 관계자에 의한 방화셔터의 조작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전원부(30)는 인쇄회로기판에 제공된 감압용 트랜스포머로서, 일반 가정용 110V/220V 전압의 외부 전원(700)을 마이컴(20)이나 조작 패널(50)을 작동시킬 수 있는 저압으로 변환시키도록 제공되어 있다.
배터리부(40)는 일반적인 정전이나 화재로 인한 정전시 외부 전원(700)이 단락되는 경우에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마이컴(20)과 조작 패널(50)에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인쇄회로기판에 제공된 별도 전원이다. 그리고 배터리부(40)는 전원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평상시 충전될 수 있는 2차 전지의 사용이 바람직하며, 충전 상태 확인 및 과충전 방지 등의 보호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 패널(50)은 마이컴(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관계자의 조작에 의해 용이하게 방화셔터(400)를 제어하도록 벽체 전면이나 촉수가 용이한 곳에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조작 패널(30)은 경음기(51)와, 복수 개의 키 패드(51 - 58)가 제공되어 있다. 또한 경음기(51)는 방화셔터(400) 가동시 경보음을 울리도록 제공된 것이다.
여기서, 조작 패널(50)의 키 패드는 전원 스위치(ON)(52), 자동 모드 작동 스위치(RUN)(53), 수동 모드 1 스위치(54a), 수동 모드 2 스위치(54b), 방화셔터 선택 스위치(55), 상승 스위치(56), 하강 스위치(57) 및 정지 스위치(58) 등으로 제공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스위치 중에 있어서, 전원 스위치(52), 자동 모드 작동 스위치(53), 수동 모드 1 및 2 스위치(54a)(54b) 및 방화셔터 선택 스위 치(55)는 관계자에 의해 선택되어 눌려지면 램프가 켜지는 스위치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방화셔터 연동제어기(100)의 수동 모드 1 및 2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로 하며, 모드 선택은 관계자가 조작 패널(50)을 조작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의한 조작 패널(50)은 일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고 있으나 이에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키 패드를 구성할 수 있으며, 마이컴(50)에 탑재된 프로그팸 또한 관계자에 의해 등록, 변경 또는 삭제에 의하여 모드의 수순이 변경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수동 모드 1(방화셔터 수동 조작 모드 )
먼저, 조작 패널(50)을 확인하여 전원이 인가되었는가를 확인하여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이면 상부에 제공된 전원 스위치(ON)(52)를 눌러 조작 패널(50)에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조작 패널(50)에 전원이 인가되면 조작 패널(50)은 마이컴(20)의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 모드로 자동 절환된다.
그런 다음, 자동 모드 작동 스위치(RUN)(53)를 눌려 마이컴(20)에 의한 방화셔터(400)의 제어를 차단한다.
이어서, 수동 모드 1(54a)을 눌려 자동 모드를 수동 모드 1로 절환한다.
계속해서, 제어하고자 하는 방화셔터(400)에 대응된 방화셔터 선택 스위 치(55)를 누르고 상승, 하강 또는 정지에 해당되는 스위치(56)(57)(58)을 눌려 방화셔터(400)를 수동 조작한다.
이후 방화셔터(400)의 제어가 완료되면 자동 모드 작동 스위치(RUN)(53)를 눌려 자동 모드로 절환한다.
여기서, 본 고안에 의한 방화셔텨 연동제어기(100)는 조작 패널(50)의 방화셔터 선택 스위치(55)의 'ALL'이 선택되면 모든 방화셔터가 동시에 상승, 하강 또는 정지시킬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하나의 방화셔터(400)를 선택하여 제어할 수도 있다.
수동 모드 2( 연감지기 동작시 방화셔터 하강시간 설정 모드 ; 제연막 )
먼저, 조작 패널(50)을 확인하여 전원이 인가되었는가를 확인하여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이면 상부에 제공된 전원 스위치(ON)(52)를 눌러 조작 패널(50)에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조작 패널(50)에 전원이 인가되면 조작 패널(50)은 마이컴(20)의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 모드를 자동 절환된다.
그런 다음, 자동 모드 작동 스위치(RUN)(53)을 눌려 마이컴(20)에 의한 방화셔터(400)의 제어를 일시 차단한다.
이어서, 수동 모드 2(54b)을 눌려 자동 모드를 수동 모드 2로 절환하다.
계속해서, 제어하고자 하는 방화셔터(400)에 대응된 방화셔터 선택 스위치(55)를 누르고 상승, 하강 또는 정지에 해당되는 스위치(56)(57)(58)을 눌려 방화셔터(400)의 하강 시간을 설정한다. 여기서, 방화셔터(400)의 최초 설정시간은 3 초이다.
상승 스위치(56) : 방화셔터(400)의 하강 시간을 500㎳씩 증가시킴
하강 스위치(57) : 방화셔터(400)의 하강 시간을 500㎳씩 감소시킴
정지 스위치(58) : 최초 설정시간으로 복귀 (3 sec)
이후 방화셔터(400)의 하강 시간의 설정이 완료되면 자동 모드 작동 스위치(RUN)(53)를 눌려 자동 모드로 절환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방화셔터 연동제어기(100)의 작동 수순을 단계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도면 도 3의 수신기는 '화재 감지 수신기(600)'를 나타낸다.
화재감시 시작단계
방화셔터 연동제어기(100)는 전원이 인가되면 화재 발생시 연감지기(200) 및 열감지기(300)로부터 화재에 관련된 신호(화재 신호)를 실시간적으로 입력받아 화재 감시를 시작한다(S110).
자동모드 단계
본 고안의 방화셔터 연동제어기(100)는 최초 자동모드 상태이다.
자동모드인 경우(S120)에는 연감지기(200)가 작동(S130)되면 방화셔터(400)를 설정시간 동안 하강(S140)시키고 이후 화재 감지 수신기(600)로 동작확인 신호를 전달(S150)하고 방화셔터(400)의 제어작업이 종료된다.
그리고, 연감지기(200)가 작동되지 않고 열감지기(300)가 작동(S160)되면 방화셔텨(400)를 하한 리미트(LIMIT)까지 하강(S170)시키고 이후 화재 감지 수신기(600)로 방화셔터(400)의 동작확인 신호를 전달(S150)하고 감지 작업이 종료된다.
또한 연감지기(200) 및 열감지기(300) 모두 작동하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자동모드 확인단계(S120)를 수행한다.
수동모드 단계
관계자가 조작 패널(50)을 조작하여 비밀키를 입력(S180)하고, 기승인된 비밀키와 입력되는 비밀키가 동일(S190)하면 수동모드가 되어 관계자에 의해 방화셔터(400)의 수조작(S200)된다. 그런 다음, 연감지기(200)가 작동되면 방화셔터(400)의 하강시간을 설정(S210)한다. 여기서 본 고안에 의한 방화셔터 연동제어기(100)는 방화셔터(400)를 복수 개 또는 하나씩 선택적으로 제어한다.
이어서, 수동모드가 해제되면 최초 화재 감시 시작 단계(S110)를 수행하고, 그렇치 않으면(S220) 계속해서 방화셔터(400)를 수조작하게 된다(S200).
또한 비밀키가 일치하지 않으면 최초 화재 감시 시작 단계(S110)로 복귀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은 전술된 실시예에 한정되어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 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의 변형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임은 자명하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수동 조작시 관계자에 의하여 복수 개의 방화셔터를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가동시킬 수 있어 초동 화재 진압에 대처할 수 있으며, 비밀키 방식의 잠금장치를 구비하여 관계자 이외 타인에 의한 방화셔터 가동을 원천적으로 방지함은 물론 화재 발생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제어박스와;
    입력되는 화재 신호를 기탑재된 프로그램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화셔터를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가동시키도록 상기 제어박스의 내장된 인쇄회로기판에 제공된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마이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관계자에 의해 상기 방화셔터를 수조작할 수 있도록 제공된 조작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 연동제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감지기로부터 입력되는 화재 신호를 입력받는 화재 신호 입력부와,
    상기 화재 신호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화재 신호를 기탑재된 프로그램에 따라 방화셔터를 가동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화재 신호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화재 신호를 화재 감지 수신기로 출력하는 화재감지수신기 출력부와,
    상기 관계자에 의해 상기 방화셔터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조작 패널이 조 작되는 경우에 이의 조작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에 출력하는 조작패널신호 입력부와,
    상기 조작패널신호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신호 중에서 비밀키가 입력된 경우에는 기승인된 비밀키과 비교하여 동일하면 상기 비밀키를 승인하거나 상기 조작 패널의 조작을 허락하고,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조작 패널의 조작을 무효화시키는 비밀키 승인/확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 연동제어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 및 상기 마이컴과 각기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충전 상태 확인 및 과충전 방지 보호 회로를 구비한 배터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 연동제어기.
KR2020060027447U 2006-10-02 2006-10-02 방화셔터 연동제어기 KR2004346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447U KR200434641Y1 (ko) 2006-10-02 2006-10-02 방화셔터 연동제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447U KR200434641Y1 (ko) 2006-10-02 2006-10-02 방화셔터 연동제어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6801 Division 2006-09-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4641Y1 true KR200434641Y1 (ko) 2006-12-22

Family

ID=41782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7447U KR200434641Y1 (ko) 2006-10-02 2006-10-02 방화셔터 연동제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464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222B1 (ko) * 2011-03-18 2013-03-19 (주)리츠엔 방화셔터 연동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222B1 (ko) * 2011-03-18 2013-03-19 (주)리츠엔 방화셔터 연동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69252A (zh) 一种全自动数控门禁系统
US5875773A (en) Safety device for a cooking appliance
KR200427721Y1 (ko) 비상문 자동 개폐장치
KR20200096855A (ko) 모드선택 기능을 갖춘 옥내소화전
KR102339920B1 (ko) 화재 소화 모듈과 연동하는 배전선로 수배전반 제어 방법
KR200434641Y1 (ko) 방화셔터 연동제어기
JP5412474B2 (ja) ガス器具
KR20080093728A (ko) 비상문 자동개폐장치와 그 제어방법
KR20080093729A (ko) 비상문 자동개폐장치
CN205532153U (zh) 可控制密封件膨胀的防火门
KR101877289B1 (ko) 복전으로 인한 2차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분전반 또는 수배전반 등에 구성된 지진감진모듈
KR100371224B1 (ko) 연소장치
JP3020335B2 (ja) 盗難防止システム
KR200268301Y1 (ko) 도어의 개폐 제어장치
JPH03247914A (ja) バーナの燃焼安全機構
KR102005330B1 (ko) 소방용 자동 폐쇄장치의 지진 제어모듈
KR200219238Y1 (ko) 가스밸브차단 확인용 잠금장치
WO200208185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ning and shutting automatically an emergency exit
KR102530443B1 (ko) 경보음 제어 가능한 비상문 자동 개폐 장치
KR20240024654A (ko) Lcp 도어의 개방 상태를 인지하는 변전소 시스템
KR200335068Y1 (ko) 자동개폐 비상문
KR20190104804A (ko) 아파트 화재대피용 캡슐형 안전구조물
CN113421394B (zh) 一种智能家用燃气全程检测控制系统
KR100446048B1 (ko) 복합건축물 방화도어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523151B1 (ko) 조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