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1680B1 - 피난사다리 - Google Patents

피난사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1680B1
KR101511680B1 KR1020140057589A KR20140057589A KR101511680B1 KR 101511680 B1 KR101511680 B1 KR 101511680B1 KR 1020140057589 A KR1020140057589 A KR 1020140057589A KR 20140057589 A KR20140057589 A KR 20140057589A KR 101511680 B1 KR101511680 B1 KR 101511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rest
support
rod
connection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7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해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엠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엠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엠이엔지
Priority to KR1020140057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16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1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1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 E06C9/14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non-rigid longitudinal members, e.g. rope or chain ladders, ladders of the lazy-tongs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06C1/383Foldable ladders in which the longitudinal members are brought together on fo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2Lifts or other hoisting devices on lad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8Devices for preventing persons from fa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층건물에서 화재 및 비상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사용하는 피난사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아래층과 연결되는 이동통로에 설치되며 위급상황 발생 시 레버를 해제하면 중력에 의해 하방향으로 발판이 전개되어 대피경로를 제공하고, 위급상황 해제 시 전개된 발판을 와이어로 견인하여 초기상태로 복구시켜 반복 사용할 수 있는 피난사다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난사다리 {Evaculation ladder device}
본 발명은 고층건물에서 화재 및 비상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사용하는 피난사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아래층과 연결되는 이동통로에 설치되며 위급상황 발생 시 레버를 해제하면 중력에 의해 하방향으로 발판이 전개되어 대피경로를 제공하고, 위급상황 해제 시 전개된 발판을 와이어로 견인하여 초기상태로 복구시켜 반복 사용할 수 있는 피난사다리에 관한 것이다.
고층건물에 화재 또는 기타의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면 사실상 대피가 어려워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일정 층 이상의 건물에 대해서는 화재와 같은 비상상황 발생 시 탈출할 수 있는 비상탈출수단을 의무적으로 갖추도록 법으로 규정하고 있다. 대표적 비상탈출수단으로 완강기가 널리 채택되고 있으나, 이는 와이어로프에 의존하여 건물의 외벽을 따라 하강하는 것이기 때문에 일반인들이 사용하기에는 대단히 어렵고 위험천만할 뿐만 아니라 탈출속도가 대단히 느려 실제 상황에서 이용하기에는 실효성에 문제가 있다.
한편, 화재가 발생되면 불길과 유독가스는 위쪽으로 향하기 때문에 고층건물에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에는 화재 발생지역보다 아래쪽으로 대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아파트와 같은 고층건물에서는 발코니와 같은 공간에 피난용 사다리장치가 설치되어 상층으로부터 하층으로의 피난경로를 제공한다. 이러한 피난용 사다리장치를 사용함으로써 피난자는 화재발생지역으로부터 안전하고 신속하게 벗어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설치된 피난용 사다리장치 앞에 잡다한 물건들을 쌓아놓아 실제 화재나 긴급 상황이 발행하였을 때는 전혀 사용이 안 되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에 대형피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피난경로를 제공하는 피난용 사다리를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없어 이에 따른 경제적인 손실이 상당하였다.
또한 피난용 사다리의 발판을 연결하는 연결부위가 상대적으로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발판과 연결부위가 쉽게 파손되어 피난경로로 이동하는 사람이 2차적인 부상이 발생할 수 있는 등의 단점이 있다
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3988호 '비상용 피난사다리' (등록일자 2003.11.11) 2.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17929호 '하향식 피난사다리 및 설치방법' (공개일자 2013.02.20) 3. 등록특허공보 제10-1200054호 '하향전개식 피난용 사다리장치' (등록일자 2012.11.0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레버를 해제하면 중력에 의해 하방향으로 발판이 전개되어 대피경로를 제공하며 전개된 발판이 흔들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피난사다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시간에 대피가 가능하도록 위급 시에 신속하게 펼쳐질 수 있으며 위급 상황이 종료되어 전개된 발판을 상방향으로 견인하면 재사용이 가능한 피난사다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피난사다리는 양측에 고정판(110)이 돌출 형성되는 브라켓(100); 일측이 상기 각각의 고정판(110)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복수개의 제1 연결로드(210)와 상기 각각의 제1 연결로드(210)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스텝로드(220)를 포함하는 제1 발판부(200); 제2 스텝로드(320)와 상기 제2 스텝로드(32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2 연결로드(310)를 포함하는 제2 발판부(300); 상기 제1 발판부(200)가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상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2 발판부(300)가 상기 제1 발판부(200)의 하측에 적층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제1 발판부(200)가 자중에 의해 하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2 발판부(300)가 상기 제1 발판부(200)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전개되도록 상기 제1 발판부(200)와 상기 제2 발판부(300)를 연결하는 연결링크(400); 상기 연결링크(4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링크(400)와 일체로 회전하는 걸림돌기(500); 좌우로 연장되는 지지로드(610)와 상기 지지로드(61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고정판(110)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연결봉(620)을 포함하는 고정지지부(60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발판부(200) 및 제2 발판부(300)가 적층된 상태를 유지하면 상기 고정지지부(600)가 상기 제1 발판부(200) 및 제2 발판부(300)를 지지하도록 상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지지로드(610)가 걸림돌기(500)에 삽입되고, 상기 제1 발판부(200)를 상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면 상기 제1 발판부(200) 및 상기 제2 발판부(300)가 전개되도록 상기 지지로드(610)가 상기 걸림돌기(500)에서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제2 발판부(300)에 고정되되, 전개된 상기 제2 발판부(300)가 상기 제1 발판부(200)의 하측에 적층되도록 상기 제2 발판부(300)를 상방향으로 견인하는 제1 와이어(710); 및 일측이 상기 고정지지부(600)에 고정되되, 하방향으로 회전한 상기 고정지지부(600)를 상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고정지지부(600)를 견인하는 제2 와이어(7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발판부(300)는 다수개로 구비되며, 각각의 제2 발판부(300)는 상기 연결링크(400)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제1 발판부(200)의 회전에 따라 접철 및 전개되되, 상기 다수개의 제2 발판부(300) 중 최하단에 위치한 제2 발판부(300)에는 상기 제1 와이어(710)가 체결되는 견인봉(3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건물의 바닥슬래브(S)를 관통하는 이동통로(811)의 상측을 개폐하는 상부덮개(810); 상기 상부덮개(810)가 상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이동통로(811)를 개방하면 상기 이동통로(811)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상부덮개(810)를 지지하는 덮개지지부(900); 상기 바닥슬래브(S)의 하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이동통로(811)의 하측을 개폐하는 하부덮개(8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덮개지지부(900)는 일측이 상기 상부덮개(810)에 체결되어 상기 상부덮개(810)가 개폐되는 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제1 지지대(910);와 일측이 상기 이동통로(811)의 내측벽면에 회전되도록 체결되는 제2 지지대(920); 및 상기 제1 지지대(910)의 타측과 상기 제2 지지대(920)의 타측을 연결하는 연결핀(930);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덮개(810)가 상기 이동통로(811)를 개방하면 상기 제1 지지대(910)와 상기 제2 지지대(920)가 일직선을 유지하여 상기 상부덮개(810)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2 지지대(920)에는 삽입돌기(92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대(910)에는 상기 삽입돌기(921)가 삽입되는 삽입홈(9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대(920)의 타측단부에는 안착돌기(92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대(910)에는 상기 삽입돌기(921)가 상기 삽입홈(911)에 삽입될 때 상기 안착돌기(922)가 안착되는 안착봉(9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제1 발판부를 상방향으로 일정각도 견인하면 제1 발판부와 연결된 다수개의 제2 발판부가 자중에 의해 하방향으로 전개되어 사용자에게 대피경로를 제공할 수 있으며 다수개의 연결링크가 제1 발판부 및 제2 발판부의 양측에 다수개 형성되어 연결되어 있어 전개된 제1 발판부 및 제2 발판부가 이동하는 사람의 체중에 의해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와이어를 이용하여 제1 발판부와 제2 발판부를 적층시키도록 제2 발판부를 견인할 수 있어 재사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피난사다리의 제1 발판부 및 제2 발판부가 적층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피난사다리의 제1 발판부의 하방향으로 제2 발판부가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제1 발판부에서 제2 발판부가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고정지지부가 회전함에 따라 지지로드와 걸림돌기의 탈부착 과정을 나타낸 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연결링크와 제1 및 제2 연결로드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피난사다리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덮개 지지부의 작동 방법을 나타낸 측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연결링크와 제1 및 제2 연결로드의 결합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피난사다리의 제1 발판부 및 제2 발판부가 적층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피난사다리의 제1 발판부의 하방향으로 제2 발판부가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제1 발판부에서 제2 발판부가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고정지지부가 회전함에 따라 지지로드와 걸림돌기의 탈부착 과정을 나타낸 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연결링크과 제1 및 제2 연결로드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피난사다리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덮개 지지부의 작동 방법을 나타낸 측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연결링크와 제1 및 제2 연결로드의 결합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에 관한 것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피난사다리는 브라켓(100)을 갖는다. 브라켓(10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세워지는 판 형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브라켓(100)의 양측단에는 브라켓(100)의 세워지는 정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판(110)이 각각 복수개 돌출 형성된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고정판(110)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제1 발판부(200)가 구비된다. 제1 발판부(200)는 일측이 고정판(110)의 상면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복수개의 제1 연결로드(210) 및 각각의 제1 연결로드(210)를 연결하도록 제1 연결로드(210)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스텝로드(220)를 포함한다.
제1 연결로드(210)는 일정길이로 연장되며, 일측이 힌지핀(10) 등으로 인해 고정판(110)에 체결된다. 제1 연결로드(210)는 내부가 중공된 관 또는 봉 등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사용자에 의해 용이하게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제1 스텝로드(220)는 일측과 타측이 제1 연결로드(210)의 끝단 즉 상기 힌지핀(10)이 형성된 반대방향의 끝단에 고정되어 각각의 제1 연결로드(210)를 연결한다. 따라서 제1 발판부(200)는 'ㄷ'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제2 연결로드(310)와 제2 스텝로드(320)를 포함하는 제2 발판부(300)가 구비된다. 제2 발판부(300)는 다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연결로드(310)는 일정한 길이로 연장 형성되며, 내부가 중공된 관 또는 봉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스텝로드(320)는 각각의 제2 연결로드(310) 사이에 형성되어 각각의 제2 연결로드(310)를 연결한다. 이때 제2 스텝로드(320)는 제2 연결로드(310)의 끝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2 발판부(300)는 제1 발판부(200)와 동일한 'ㄷ'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제1 발판부(200)와 제2 발판부(300)를 연결하는 연결링크(400)가 형성된다. 즉 연결링크(400)는 일측이 제1 연결로드(2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이 제2 연결로드(3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또한 제2 발판부(300)가 다수개로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링크(400)는 각각의 제2 발판부(300)를 상호간 연결한다. 따라서, 제1 발판부(200)가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상방향으로 회전하면 연결링크(400)에 의해 연결된 제2 발판부(200)는 제1 발판부(200)의 하측과 인접하도록 제1 발판부(200)의 회전방향을 따라 회전한다. 이때 다수개의 제2 발판부(300)는 제1 발판부(200)의 하측에 상호간 적층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반대로 제1 발판부(200)가 자중에 의해 하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 발판부(300)는 제1 발판부(20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고, 동시에 제1 발판부(200)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전개되어 펼쳐진다. 따라서 제2 발판부(300)는 지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결링크(400)에 의해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제2 발판부(300)의 제2 스텝로드(320)를 딛고 이동할 수 있다.
도 5 를 참조하여 연결링크(400)와 제1 연결로드(210) 및 제2 연결로드(310)의 연결 관계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 발판부(200)의 제1 연결로드(210) 타측 즉 제1 스텝로드(220)와 인접한 지점을 A1, 제2 발판부(300)의 제2 연결로드(310)의 중간지점을 A2, 상기 제2 발판부(300)와 이웃한 다른 제2 발판부(300)의 제2 연결로드(310)의 끝단부와 인접한 지점을 A3 지점이라고 가정하고, 연결링크(400)의 일측 지점을 B1, 연결링크(400)의 중간지점인 B1과 일정간격 이격된 지점을 B2, 연결링크(400)의 타측 지점을 B3지점이라고 가정한다.
먼저 연결링크(400)의 B1 지점과 제1 연결로드(210)의 A1 지점은 별도의 힌지축 등에 의해 체결된다. 이후 연결링크(400)의 B2 지점과 제2 연결로드(310)의 A2 지점은 힌지축에 의해 체결된다. 이후 연결링크(400)의 B3 지점과 상기 B2 지점과 연결된 제2 연결로드(310)와 이웃한 제2 연결로드(310)의 A3 지점은 상호 체결된다. 이와 같이 연결로드(400)가 제1 연결로드(210) 및 제2 연결로드(310)와 경사를 이루도록 체결되면 제1 발판부(200)로부터 제2 발판부(300)가 전개 또는 절첩이 가능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순서대로 반복하면 다수개의 제2 발판부(300)를 연결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면 제1 발판부(200)와 제2 발판부(300)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연결링크(400) 중 최하단에 위치한 연결링크(400)에는 걸림돌기(500)가 돌출 형성된다.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면 고정판(110)의 하측에는 고정지지부(600)가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고정판(110)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로드(610)와 지지로드(61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연결봉(620)을 포함한다. 연결봉(620)은 그 끝단이 고정판(110)에 체결된다.
도 4 를 참조하면 제1 발판부(200)가 상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연결링크(400)가 일측으로 회전하여 제2 발판부(300)가 제1 발판부(200)의 하측에 적층된 상태를 유지하면 걸림돌기(500)는 연결링크(400)와 일체로 회전한다. 이때 걸림돌기(500)는 최하단에 위치한 제2 발판부(300) 보다 하측방향으로 더 돌출된다. 이후 고정지지부(600)를 상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동시에 제1 발판부(200)를 일정각도 상방향으로 견인하면 고정지지부(600)의 지지로드(610)가 걸림돌기(500)에 삽입된다. 이후 제1 발판부(200)의 상방향 견인을 해제하면 지지로드(610)가 걸림돌기(500)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지지부(600)는 하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제한되고 이에 따라 고정지지부(600)의 지지로드(610)가 최하단에 위치한 제2 발판부(300)의 제2 연결로드(310)의 하측면과 접촉되면서 제1 및 제2 발판부(200,300)를 지지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도 3 을 참조하면 제1 발판부(200)를 상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시키면 걸림돌기(500)에 삽입된 지지로드(610)는 걸림돌기(500)에서 탈착됨과 동시에 고정지지부(600)가 하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제1 발판부(200) 및 제2 발판부(300)가 자중에 의해 하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연결링크(400)가 타측으로 회전하여 제1 발판부(200) 및 제2 발판부(300)가 하방향으로 전개되도록 펼쳐질 수 있다.
한편 제1 발판부(200)의 제1 스텝로드(220)에는 제1 발판부(200)를 상방향으로 견인하기 위한 견인레버(221)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견인레버(221)를 파지한 후 제1 발판부(200)를 상바향으로 견인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고정판(110)의 상측에는 제1 발판부(200)가 상방향으로 견인될 때 회전되는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111)가 형성된다. 즉 제1 발판부(200)가 일정각도 상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연결로드(210)가 스토퍼(111)에 접촉된다. 따라서 스토퍼(111)에 의해 제1 발판부(200)의 상방향 회전이 저지될 수 있다.
도 2 를 참조하면 일측이 최하단의 제2 발판부(300)에 고정되고 타측이 고정판(110)에 고정되는 제1 와이어(710)와, 일측이 고정지지부(600)에 고정되고 타측이 고정판(110)에 고정되는 제2 와이어(720)가 형성된다.
즉 제1 와이어(710)를 사용자가 당기기면 전개된 제1 발판부(200) 및 제2 발판부(300)가 점차적으로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적층된다. 이후 제2 와이어(720)를 당기면 고정지지부(600)를 상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제1 와이어(710) 및 제2 와이어(720)가 구비됨으로써 본 발명의 피난용 사다리는 반복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2 를 참조하면 다수개의 제2 발판부(300) 중 어느 하나의 제2 발판부(300)에는 일측과 타측이 각각의 제2 연결로드(310)에 체결되는 견인봉(330)이 형성된다. 견인봉(330)은 최하단에 위치한 제2 발판부(30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견인봉(330)에 제1 와이어(710)가 체결되면 제1 발판부(200) 및 제2 발판부(300)의 적층시 제1 와이어(710)가 제1 발판부(200) 및 제2 발판부(300)의 틈 사이로 끼워져 제1 와이어(710)가 파손 및 절단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피난사다리는 건물의 바닥슬래브(S)를 관통하는 이동통로(811)를 갖는다. 이동통로(811)를 통해 바닥슬래브(S)의 상면에 거주하는 거주자는 위급한 상황이나 화재가 발생하면 제1 발판부(200) 및 제2 발판부(300)가 하방향으로 전개되어 피난경로를 제공하므로 아래층으로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다.
도 6 을 참조하면 바닥슬래브(S)의 상면에는 상부덮개(810)가 형성된다. 상부덮개(810)는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바닥슬래브(S)에 체결된다. 따라서 상부덮개(810)와 바닥슬래브(S)의 바닥면이 수평을 유지하면 이동통로(811)는 닫혀있고, 상부덮개(810)가 외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회전하여 바닥면과 수직을 유지하면 이동통로(811)는 개방된다. 이때 상부덮개(810)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 을 참조하면 상부덮개(810)가 상방향으로 회전하여 바닥슬래브(S)의 바닥면과 수직을 유지하도록 상부덮개(810)를 지지하는 덮개지지부(900)가 형성된다. 즉 덮개지지부(900)가 상부덮개(810)를 지지하면 이동통로(811)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덮개지지부(900)는 일정각도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며 상부덮개(810)를 지지하고,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부덮개(81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6 을 참조하면 덮개지지부(900)는 제1 지지대(910), 제2 지지대(920) 및 연결핀(930)을 포함한다.
먼저 제1 지지대(910)는 일측이 상부덮개(810)의 하면에 형성된 제1 지지대 고정대(940)와 제1 체결핀(941)에 의해 체결된다. 이때 제1 지지대(910)는 제1 체결핀(941)을 중심으로 하여 상부덮개(810)가 회전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제1 지지대(910)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지지대(920)는 일측이 이동통로(811)의 내측벽면에 형성된 제2 지지대 고정대(950)와 제2 체결핀(951)에 의해 체결되며, 제1 지지대(91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체결된다.
연결핀(930)은 제1 지지대(910)의 타측과 제2 지지대(920)의 타측을 상호 연결하고 연결핀(930)을 중심으로 제1 지지대(910)와 제2 지지대(920)는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대(910)의 일측면에는 삽입홈(911)이 합임되어 형성되고, 제2 지지대(920)에는 삽입홈(911)에 삽입되는 삽입돌기(921)가 돌출 형성된다.
즉 도 6 및 도 7 을 참조하면 상부덮개(810)가 이동통로(811)를 개방하기 위해 상방향으로 회전하여 바닥면과 수직을 이룬다. 이때 삽입돌기(921)가 삽입홈(911)에 삽입되면서 제1 지지대(910)와 제2 지지대(920)는 상호 일직선을 유지하여 상부덮개(810)를 지지한다. 이처럼 상부덮개(810)를 상방향으로 회전시켜 삽입돌기(921)를 삽입홈(911)에 삽입시키면 이동통로(811)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6 을 참조하면 제2 지지대(920)의 타측단부에는 안착돌기(922)가 돌출 형성되며 제1 지지대(910)에는 안착돌기(922)가 안착되는 안착봉(912)이 형성된다. 즉 안착돌기(922)가 안착봉(912)에 안착되면 안착돌기(922)와 안착봉(912)이 접촉되는 방향으로 제2 지지대(920)가 더 회전하여 삽입돌기(921)가 삽입홈(91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6 을 참조하면 바닥슬래브(S)의 하면에는 하부덮개(820)가 설치된다. 하부덮개(820)는 상부덮개(81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이동통로(811)의 하측을 개폐하는데, 이때 상부덮개(810)와 하부덮개(820)는 상호 대칭을 이루되, 개폐되는 방향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개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브라켓(100)에는 하부덮개(820)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부(821)가 형성된다. 사용자가 개폐부(821)를 조작하여 하부덮개(820)를 개방할 수 있다.
도 8 의 (a)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연결로드(210,310)에 연결링크(400)를 체결할 때 사용되는 힌지핀(10)은 걸림턱(11)과 삽입로드(12)를 포함한다. 걸림턱(11)은 제1 및 제2 연결로드(210,31)의 외측면 또는 고정판(110)의 외측면과 접촉되면서 안착된다. 삽입로드(12)는 고정판(110) 또는 제1 및 제2 연결로드(210,310)를 관통하여 삽입된다. 이후 이후 삽입로드(532)의 내측에 형성된 홀에는 삽입리벳(20)이 삽입된다.
도 8 의 (b)를 참조하면 삽입로드(12)에 삽입된 삽입리벳(20)을 리베팅(riveting)하면 제1 및 제2 연결로드(210,310)는 연결링크(400) 또는 고정판(1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즉 삽입리벳(20)이 삽입로드(12)의 내측면을 가압하기 위해 리베팅 되면서 절곡영역(P)이 발생하고, 이로써 삽입로드(12)의 일부분이 돌출되어 삽입로드(12)와 삽입리벳(20)은 상호 체결되는 것이다.
도 7 및 도 8 을 참조하면 제2 지지대(920)에는 로프(30)가 체결된다. 이는 상층에 거주하는 거주자가 제1 및 제2 발판부(200,300)를 통해 아래층으로 이동한 후 로프(30)를 당기면 제1 지지대(910)와 제2 지지대(920)가 일직선을 유지하는 균형을 무너뜨리게 되면서 상부덮개(810)는 이동통로(811)의 상면을 덮어버린다. 이로써 거주자가 아래층으로 안전하게 이동한 후 로프(30)를 당겨 상부덮개(8100)을 덮어버리면 이동통로(811)로 불길이나 연기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2차적인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피난사다리는 사용자에게 대피경로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제1 발판부(200)를 상방향으로 일정각도 견인하면 다수개의 제2 발판부(300)가 자중에 의해 하방향으로 전개되고, 다수개의 연결링크(400)가 제1 발판부(200) 및 제2 발판부(300)의 양측에 다수개 형성되어 전개된 제1 발판부(200) 및 제2 발판부(300)가 이동하는 사람의 체중에 의해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있다.
10 : 힌지핀 20 : 삽입리벳
100 : 브라켓 110 : 고정판
200 : 제1 발판부 210 : 제1 연결로드
220 : 제1 스텝로드 300 : 제2 발판부
310 : 제2 연결로드 320 : 제2 스텝로드
400 : 연결링크 500 : 걸림돌기
600 : 고정지지부 610 : 지지로드
620 : 연결봉 710 : 제1 와이어
720 : 제2 와이어 810 : 상부덮개
820 : 하부덮개 900 : 덮개지지부
910 : 제1 지지대 920 : 제2 지지대
930 : 연결핀 S : 바닥슬래브

Claims (6)

  1. 양측에 고정판(110)이 돌출 형성되는 브라켓(100);
    일측이 상기 각각의 고정판(110)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복수개의 제1 연결로드(210)와 상기 각각의 제1 연결로드(210)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스텝로드(220)를 포함하는 제1 발판부(200);
    제2 스텝로드(320)와 상기 제2 스텝로드(32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2 연결로드(310)를 포함하는 제2 발판부(300);
    상기 제1 발판부(200)가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상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2 발판부(300)가 상기 제1 발판부(200)의 하측에 적층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제1 발판부(200)가 자중에 의해 하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2 발판부(300)가 상기 제1 발판부(200)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전개되도록 상기 제1 발판부(200)와 상기 제2 발판부(300)를 연결하는 연결링크(400);
    상기 연결링크(4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링크(400)와 일체로 회전하는 걸림돌기(500);
    좌우로 연장되는 지지로드(610)와 상기 지지로드(61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고정판(110)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연결봉(620)을 포함하는 고정지지부(60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발판부(200) 및 제2 발판부(300)가 적층된 상태를 유지하면 상기 고정지지부(600)가 상기 제1 발판부(200) 및 제2 발판부(300)를 지지하도록 상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지지로드(610)가 걸림돌기(500)에 삽입되고,
    상기 제1 발판부(200)를 상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면 상기 제1 발판부(200) 및 상기 제2 발판부(300)가 전개되도록 상기 지지로드(610)가 상기 걸림돌기(500)에서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사다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제2 발판부(300)에 고정되되, 전개된 상기 제2 발판부(300)가 상기 제1 발판부(200)의 하측에 적층되도록 상기 제2 발판부(300)를 상방향으로 견인하는 제1 와이어(710); 및
    일측이 상기 고정지지부(600)에 고정되되, 하방향으로 회전한 상기 고정지지부(600)를 상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고정지지부(600)를 견인하는 제2 와이어(7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사다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발판부(300)는 다수개로 구비되며, 각각의 제2 발판부(300)는 상기 연결링크(400)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제1 발판부(200)의 회전에 따라 접철 및 전개되되,
    상기 다수개의 제2 발판부(300) 중 최하단에 위치한 제2 발판부(300)에는 상기 제1 와이어(710)가 체결되는 견인봉(3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사다리.
  4. 제 1 항에 있어서,
    건물의 바닥슬래브(S)를 관통하는 이동통로(811)의 상측을 개폐하는 상부덮개(810);
    상기 상부덮개(810)가 상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이동통로(811)를 개방하면 상기 이동통로(811)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상부덮개(810)를 지지하는 덮개지지부(900);
    상기 바닥슬래브(S)의 하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이동통로(811)의 하측을 개폐하는 하부덮개(8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사다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지지부(900)는
    일측이 상기 상부덮개(810)에 체결되어 상기 상부덮개(810)가 개폐되는 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제1 지지대(910);와
    일측이 상기 이동통로(811)의 내측벽면에 회전되도록 체결되는 제2 지지대(920); 및
    상기 제1 지지대(910)의 타측과 상기 제2 지지대(920)의 타측을 연결하는 연결핀(930);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덮개(810)가 상기 이동통로(811)를 개방하면 상기 제1 지지대(910)와 상기 제2 지지대(920)가 일직선을 유지하여 상기 상부덮개(810)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2 지지대(920)에는 삽입돌기(92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대(910)에는 상기 삽입돌기(921)가 삽입되는 삽입홈(9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사다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대(920)의 타측단부에는 안착돌기(92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대(910)에는 상기 삽입돌기(921)가 상기 삽입홈(911)에 삽입될 때 상기 안착돌기(922)가 안착되는 안착봉(9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사다리.
KR1020140057589A 2014-05-14 2014-05-14 피난사다리 KR101511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589A KR101511680B1 (ko) 2014-05-14 2014-05-14 피난사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589A KR101511680B1 (ko) 2014-05-14 2014-05-14 피난사다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1680B1 true KR101511680B1 (ko) 2015-04-17

Family

ID=53053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7589A KR101511680B1 (ko) 2014-05-14 2014-05-14 피난사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168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811B1 (ko) 2019-06-11 2020-04-10 유한회사 대진씨앤에스 비상 탈출용 사다리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KR102114441B1 (ko) 2019-06-11 2020-05-22 유한회사 대진씨앤에스 비상 탈출용 사다리 모듈
KR102203520B1 (ko) * 2020-04-13 2021-01-14 김영진 하향 전개식 피난사다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466A (ja) * 1992-06-23 1994-01-18 Naka Ind Ltd 避難装置の梯子支持構造
JPH06165835A (ja) * 1992-11-30 1994-06-14 Naka Ind Ltd 二重天井用避難装置
KR100965536B1 (ko) * 2009-11-09 2010-06-23 (주) 미래기업 고층건물 피난장치
KR101153908B1 (ko) * 2009-11-18 2012-06-08 (주)베네테크 비상용 피난 사다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466A (ja) * 1992-06-23 1994-01-18 Naka Ind Ltd 避難装置の梯子支持構造
JPH06165835A (ja) * 1992-11-30 1994-06-14 Naka Ind Ltd 二重天井用避難装置
KR100965536B1 (ko) * 2009-11-09 2010-06-23 (주) 미래기업 고층건물 피난장치
KR101153908B1 (ko) * 2009-11-18 2012-06-08 (주)베네테크 비상용 피난 사다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811B1 (ko) 2019-06-11 2020-04-10 유한회사 대진씨앤에스 비상 탈출용 사다리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KR102114441B1 (ko) 2019-06-11 2020-05-22 유한회사 대진씨앤에스 비상 탈출용 사다리 모듈
KR102203520B1 (ko) * 2020-04-13 2021-01-14 김영진 하향 전개식 피난사다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55864B2 (ja) 高層建築物における安全な避難システム
EP3639896B1 (en) Fire/disaster evacuation facility for building
KR102096210B1 (ko)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
KR101511680B1 (ko) 피난사다리
CN110770404B (zh) 凸阳台护栏兼用火灾或其他灾害疏散设施
KR100937336B1 (ko) 화재 도피 수단이 구비된 안전 난간대
EP2803386B1 (en) Slide for rapid evacuation from tall building
KR100965536B1 (ko) 고층건물 피난장치
KR101131484B1 (ko) 긴급대피용 피난장치
KR20130103132A (ko) 해치형 비상 피난장치
JP6514954B2 (ja)
KR101692844B1 (ko) 접이식 비상용 대피 난간
KR101043592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290693B1 (ko) 가변형 몸체를 가진 매립형 피난사다리
KR102085587B1 (ko) 접이식 대피장치
KR101017078B1 (ko) 피난 사다리 장치
KR101161561B1 (ko) 회전식 구난 사다리가 부착된 안전 난간대
KR101141297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JP2004324283A (ja) 避難用梯子
KR101570343B1 (ko) 건물용 화재피난장치
KR101922174B1 (ko) 전개형 화재 대피 장치
KR101260232B1 (ko) 비상용 사다리 구조물
KR20230112464A (ko) 화재 대피용 난간
KR101045024B1 (ko) 고층 건물의 화재피난용 맨홀개폐장치
KR101536408B1 (ko) 피난구의 상하부덮개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