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4441B1 - 비상 탈출용 사다리 모듈 - Google Patents

비상 탈출용 사다리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4441B1
KR102114441B1 KR1020190068797A KR20190068797A KR102114441B1 KR 102114441 B1 KR102114441 B1 KR 102114441B1 KR 1020190068797 A KR1020190068797 A KR 1020190068797A KR 20190068797 A KR20190068797 A KR 20190068797A KR 102114441 B1 KR102114441 B1 KR 102114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manhole
emergency escape
frames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8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택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대진씨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대진씨앤에스 filed Critical 유한회사 대진씨앤에스
Priority to KR1020190068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44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 E06C9/14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non-rigid longitudinal members, e.g. rope or chain ladders, ladders of the lazy-tongs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50Joints or other connect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 탈출용 사다리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접철 사다리를 접어 고정하고 그 고정을 해제하여 전개하는 것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비상 탈출용 사다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탈출용 사다리 모듈은, 바닥을 통과하는 맨홀을 통하여 하방으로 전개되는 비상 탈출용 사다리 모듈에 있어서, 상하로 관통된 통로를 형성하는 맨홀 케이스와, 접힌 상태에서 상기 맨홀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맨홀 케이스의 하방으로 펼쳐지게 상기 맨홀 케이스에 장착되는 접철 사다리가 구비되되, 상기 접철 사다리는, 상기 맨홀 케이스의 내벽에 부착되는 부착판부의 폭방향으로 양측에서 힌지판부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연장된 부착 브라켓과, 봉재나 관재를 'ㄷ'자 형상으로 굽힘 가공하여 형성된 복수의 사다리 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사다리 프레임이 포개지게 접히고 펼쳐지게 4절 링크 방식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복수의 사다리 프레임의 양측 막대 부분을 링크 연결하는 복수의 링크바가 구비되어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사다리 프레임 중 최상부에 위치된 사다리 프레임의 양측 막대부분 각각의 말단은 상기 부착 브라켓의 힌지판부 각각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사다리 프레임 중 최하부에 위치된 사다리 프레임의 양측 막대부분 각각의 말단부 각각이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게 연장되고, 상기 복수의 사다리 프레임이 접혀 포개지면서 상기 맨홀 케이스의 내부로 수용되는 상태에서 상기 최하부에 위치된 사다리 프레임의 양측 막대부분 각각의 연장된 말단이 상기 부착판부의 내측면에 밀착되면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상 탈출용 사다리 모듈{DISASTER ESCAPE LADDER MODULE}
본 발명은 비상 탈출용 사다리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접철 사다리를 접어 고정하고 그 고정을 해제하여 전개하는 것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비상 탈출용 사다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급속한 산업의 발달과 인구의 증가로 인하여 주거 문화에서 많은 고층 건물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러한 고층화된 건축물은 좁은 부지 안에 많은 인원을 수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높은 빌딩 내부에서 주위 경관을 바라볼 수 있으며, 한 건물 내부에 여러 편의 시설을 갖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고층 건물에서 화재와 같은 긴급한 상황이 발생하면 비상계단을 통해 대피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비상계단은 화재시 화염의 통로가 되기 때문에 사실상 대피하기 곤란하여 수많은 인명피해가 발생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일정 층 이상의 건물에 대해서는 재난 시 피난할 수 있는 비상탈출수단을 의무적으로 갖추도록 법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베란다의 외벽에 완강기를 설치하여 화재로부터 몸을 피하는 방법이 있으나, 상기와 같은 완강기는 이러한 완강기는 일반인들이 사용하기에는 대단히 어렵고 위험하며, 탈출속도가 느려 실제로는 거의 이용되지 않고 있다.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6550호(하향식 비상탈출장치의 안전사다리, 2012.07.1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09564호(피난사다리의 설치 구조, 2013.09.11)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65284호(레벨조절부가 구비된 하향식 피난사다리, 2015.10.27) 등에서와 같이 화재가 발생한 층에서 아래층으로 피난할 수 있도록 베란다(발코니) 바닥에 관통구를 천공하고 그 관통구에 피난 사다리를 내설하여 피난 경로를 제공하는 바닥 설치형(매립형) 비상탈출수단, 즉 바닥 설치형 피난 사다리 장치가 설치되고 있다.
그런데, 베란다는 건축법상 분양 면적에 포함되어 주거 활동공간의 일부로 출입이 자주 이루어지는 공간이기 때문에 베란다와 실내공간 사이에는 방화를 위한 방화문이나 방화셔터 장치의 설치가 이뤄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주거 생활을 위한 물건들을 쌓아 놓는 경우가 많아 실제 화재나 긴급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베란다에 설치된 피난용 사다리 장치의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최근에는 베란다와 같은 주거 생활 공간과는 분리된 별도의 피난 공간을 마련하그 그 공간에서 피난 사다리 장치와 같이 탈출에 필요한 시설이 마련되도록 유도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 아파트와 같은 건물의 외벽에 피난 사다리 장치를 부설하는 방식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건물의 외벽에 부착되는 사다리 장치의 경우 주로 사람이 올라설 수 있는 면적을 갖도록 프레임과 바닥을 철제로 제작한 구조물에 피난 사다리 장치를 설치하고 그 구조물을 앵커 볼트로 건물의 외벽에 부착하여 시공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피난 사다리 장치가 장착된 별도의 구조물은 철제로 제작되어 부식의 우려가 크고 외팔보 구조로 앵커 볼트에 의해 건물의 외벽에 지지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안전성의 문제가 발생될 뿐만 아니라 기존의 아파트 벽면의 외측으로 돌출된 구조를 가져 건물의 외관을 해치는 단점을 갖는다.
한편, 피난 사다리 장치는 대피를 위해서 하방향으로 발판이 전개되어 사다리를 제공하며 평상시에는 전개된 발판을 상방향으로 견인하여 접을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를 위해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25267호(비상탈출용 사다리 장치, 2007.05.29)나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82691호(비상용 사다리, 2011.07.20)에서와 같이 사다리가 슬라딩되어 전개되고 접히는 방식이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6550호(하향식 비상탈출장치의 안전사다리, 2012.07.1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04053호(피난용 사다리, 2013.08.29)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11680호(피난사다리, 2015.04.07)에서와 같이 복수의 4절 링크를 연결하여 자바라 형태로 전개되고 접히는 방식이 이용되는데, 제작이 용이하고 구조가 견고하며 부피가 작은 장점을 갖기 때문에 최근에는 자바라 형태의 링크 구조를 갖는 사다리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자바라 형태의 링크 구조를 갖는 사다리 장치는 접힌 상태로 유지되었다가 쉽게 전개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별도의 고정 및 해체 기구가 다양한 방식으로 제안되어 채택되고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6550호(하향식 비상탈출장치의 안전사다리, 2012.07.11)의 경우 기어와 래칫기어를 이용하여 사다리가 접힌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04053호(피난용 사다리, 2013.08.29)의 경우 윈치와 그 윈치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이용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11680호(피난사다리, 2015.04.07)의 걸림돌기가 지지로드에 걸리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자바라 형태의 접철 사다리를 이용하고 있는 상기 종래 기술은 랫칫기어나, 별도의 고정부재 및 별도의 걸림돌기와 이에 걸리는 지지로드가 구비된 구조로서 구조가 복잡한 단점을 갖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6550호(2012.07.11) : 하향식 비상탈출장치의 안전사다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09564호(2013.09.11) : 피난사다리의 설치 구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65284호(2015.10.27) : 레벨조절부가 구비된 하향식 피난사다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04053호(2013.08.29) : 피난용 사다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11680호(2015.04.07) : 피난 사다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인식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접철 사다리를 접어 고정하고 그 고정을 해제하여 전개하는 것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비상 탈출용 사다리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탈출용 사다리 모듈은, 바닥을 통과하는 맨홀을 통하여 하방으로 전개되는 비상 탈출용 사다리 모듈에 있어서, 상하로 관통된 통로를 형성하는 맨홀 케이스와, 접힌 상태에서 상기 맨홀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맨홀 케이스의 하방으로 펼쳐지게 상기 맨홀 케이스에 장착되는 접철 사다리가 구비되되, 상기 접철 사다리는, 상기 맨홀 케이스의 내벽에 부착되는 부착판부의 폭방향으로 양측에서 힌지판부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연장된 부착 브라켓과, 봉재나 관재를 'ㄷ'자 형상으로 굽힘 가공하여 형성된 복수의 사다리 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사다리 프레임이 포개지게 접히고 펼쳐지게 4절 링크 방식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복수의 사다리 프레임의 양측 막대 부분을 링크 연결하는 복수의 링크바가 구비되어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사다리 프레임 중 최상부에 위치된 사다리 프레임의 양측 막대부분 각각의 말단은 상기 부착 브라켓의 힌지판부 각각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사다리 프레임 중 최하부에 위치된 사다리 프레임의 양측 막대부분 각각의 말단부 각각이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게 연장되고, 상기 복수의 사다리 프레임이 접혀 포개지면서 상기 맨홀 케이스의 내부로 수용되는 상태에서 상기 최하부에 위치된 사다리 프레임의 양측 막대부분 각각의 연장된 말단이 상기 부착판부의 내측면에 밀착되면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탈출용 사다리 모듈은, 상기 부착 브라켓의 부착판부의 하단 가장자리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사다리 프레임이 접혀 포개지면서 상기 맨홀 케이스의 내부로 수용되는 상태에서 상기 최하부에 위치된 사다리 프레임의 양측 막대부분 각각의 연장된 말단이 상기 부착판부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지지되면서 상기 걸림턱의 상부에 안착되어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탈출용 사다리 모듈은, 상기 맨홀 케이스의 상부 및 하부 입구 각각을 개폐하도록 상기 맨홀 케이스 상부 및 하부 입구 각각에 장착된 맨홀 커버가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탈출용 사다리 모듈은 접철 사다리를 접어 고정하고 그 고정을 해제하여 전개하는 것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사다리 모듈이 이용된 비상 탈출용 사다리 장치가 건물의 외벽에 부착되어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사다리 모듈이 이용된 비상 탈출용 사다리 장치가 건물의 외벽에 부착되어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사다리 모듈이 이용된 비상 탈출용 사다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사다리 모듈이 이용된 비상 탈출용 사다리 장치를 건물의 외벽에 부착하여 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사다리 모듈이 이용된 비상 탈출용 사다리 장치를 구성하는 외곽 프레임의 평면에서 형상을 달리하는 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사다리 모듈을 구성하는 접철 사다리의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사다리 모듈을 구성하는 접철 사다리의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사다리 모듈을 구성하는 접철 사다리의 작동을 도시한 측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탈출용 사다리 모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사다리 모듈이 이용된 비상 탈출용 사다리 장치가 건물의 외벽에 부착되어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사다리 모듈이 이용된 비상 탈출용 사다리 장치가 건물의 외벽에 부착되어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사다리 모듈이 이용된 비상 탈출용 사다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사다리 모듈이 이용된 비상 탈출용 사다리 장치를 건물의 외벽에 부착하여 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사다리 모듈이 이용된 비상 탈출용 사다리 장치를 구성하는 외곽 프레임의 평면에서 형상을 달리하는 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사다리 모듈을 구성하는 접철 사다리의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사다리 모듈을 구성하는 접철 사다리의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사다리 모듈을 구성하는 접철 사다리의 작동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비상 탈출용 사다리 모듈(20)은 고층 건물의 외벽(W)에 부설되는 바상 탈출용 사다리 장치(1)에 이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사다리 모듈(20)이 이용된 비상 탈출용 사다리 장치(1)는 고층 건물의 외벽(W) 외부에 탈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건물 외벽(W)에 부설되는데,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비상 탈출용 사다리 장치(1)는 외곽 프레임(1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사다리 모듈(20), 연결봉(30) 및 차단 벽체(40)로 구성되어 콘크리트 슬라브(50)가 타설되어 건물 외벽(W)에 부설된다.
상기 외곽 프레임(10)은 비상 탈출용 공간의 바닥에 대한 외측 가장자리를 형성하기 위한 구성으로, 특히 비상 탈출용 사다리 장치(1)를 건물 외벽(W)에 부설하는 과정에서 사다리 모듈(20)을 지지하고, 콘크리트 슬라브(50)의 타설 과정에서는 외측 가장자리의 거푸집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평면에서 보아 상기 외곽 프레임(10)은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 외곽 프레임(10)의 형상은 비상 탈출용 사다리 장치(1)가 부설되는 건물 외벽(W)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되어 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외곽 프레임(10)이 평면에서 형상을 달리하여 실시되는 예가 5a 및 도 5b에 개념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5a는 벽면이 'ㅡ'자 형으로 형성된 건물 외벽(W)에 부착되도록 'ㄷ'자 형상의 외곽 프레임(10)을 갖는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사다리 장치(1)를 도시한 것이고, 도 5b는 벽면이 'ㄱ'자 형으로 형성된 건물 외벽(W)에 부착되도록 'ㄴ'자 형상의 외곽 프레임(10')을 갖는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사다리 장치(1')를 도시한 것이다. 형상을 달리하는 외곽 프레임(1,1') 모두 그 내부에 사다리 모듈(20)이 연결봉(30)에 의해 연결되어 지지된 구조를 갖는다. 다만 본 설명에서는 도 5a 도시된 'ㄷ'자형 외곽 프레임(10)을 갖는 비상 탈출용 사다리 장치(1) 및 그 시공 방법을 위주로 하여 본 발명이 설명되어 있다.
상기 외곽 프레임(10)은 금속 판재를 절곡하여 형성되는데, 상기 외곽 프레임(10)은 단면의 형상이 일정한 높이를 갖는 테두리부(11)와, 상기 테두리부(11)의 상하 말단 가장자리 각각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모서리 커버부(12)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외곽 프레임(10)은 콘크리트 슬라브(50)의 타설 과정에서는 외측 가장자리의 거푸집으로서의 기능을 하는데, 상기 테두리부(11)가 콘크리트 타설 중 거푸집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외곽 프레임(10)의 모서리 커버부(21)는 콘크리트 슬라브(50)의 상하면 가장자리를 커버하기 때문에 상기 외곽 프레임(10)은 콘크리트 슬라브(50)의 가장자리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외곽 프레임(10)은 타설된 콘크리트 슬라브(50)의 측부를 테두리부(11)가 커버하고 동시에 콘크리트 슬라브(50)의 상하면 가장자리를 모서리 커버부(12)가 커버함으로써 콘크리트 슬라부(50)의 가장자리 및 모서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비상 탈출용 사다리 장치(1)가 건물 외벽(W)에 콘크리트 슬라브(50)이 타설되어 돌출된 상태로 부설되는데, 비상 탈출용 사다리 장치(1)가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외관상 좋지 않고, 비상 탈출시 사람이 낙하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50)의 상부 공간은 차단 벽체(50)에 의해 둘러싸이게 된다. 하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차단 벽체(50)의 설치를 위해서는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50)의 상부에 벽체 프레임(41)이 세워져 고정되는데, 상기 비상 탈출용 사다리 장치(1)는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50)의 가장자리를 금속 재질의 외곽 프레임(10)이 둘러싸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벽체 프레임(41)의 고정을 위해 콘크리트 슬라브(50)에 별도의 앵커 볼트나 브라켓 등을 시공할 없이 상기 외곽 프레임(10)에 상기 벽체 프레임(41)을 용접함으로써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사다리 모듈(20)은 평소에는 접힌 상태로 보관되었다가 비상시에는 아래층으로 펼쳐져 사람이 타고 탈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50)의 내부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사다리 모듈(20)은 콘크리트 슬라브(50)의 내부의 위치에서 상하로 관통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맨홀 케이스(21)의 내부에 접히고 펼쳐지는 접철 사다리(22)가 수용되어 장착된 구조를 갖는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상기 사다리 모듈(20)은 맨홀 케이스(21), 접철 사다리(22) 및 맨홀 맨홀 커버(23,24)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맨홀 케이스(21)는 사람이 통과하여 대피할 수 있는 상하로 관통된 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맨홀 케이스(21)은 평면에서 보아 철판과 같은 금속 재질의 판재를 사각형 형상으로 절곡하여 상하로 관통된 통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맨홀 케이스(21)의 내부에는 접철 사다리(22)가 수용되어 장착된다. 상기 맨홀 케이스(21)는 상기 외곽 프레임(10)과 함께 거푸집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맨홀 케이스(21)는 단면의 형상이 상하로 세워진 내벽부(211)와, 상기 내벽부(211)의 상하단 각각의 가장자리에서 외측으로 꺽이게 절곡된 모서리 커버부(213)와, 상기 내벽부(211)의 상하단 각각의 가장자리에서 상방 및 하방으로 돌출된 커버 안착림(212)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맨홀 케이스(21)은 콘크리트 슬라브(50)의 타설 과정에서는 맨홀을 형성하는 거푸집으로서의 기능을 하는데, 상기 내벽부(211)가 콘크리트 타설 중 거푸집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맨홀 케이스(21)의 모서리 커버부(213)는 콘크리트 슬라브(50)에 형성된 맨홀의 상하면 가장자리를 커버하기 때문에 상기 맨홀 케이스(21)는 콘크리트 슬라브(50)에 형성된 맨홀 구멍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ㅁ맨홀 케이스(21)는 맨홀 구멍의 측부를 내벽부(211)가 커버하고 동시에 맨홀 구멍의 상하면 가장자리를 모서리 커버부(213)가 커버함으로써 맨홀 구멍의 가장자리 및 모서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접철 사다리(22)는 비상시 사용자가 맨홀을 통해 아랫층으로 탈출할 수 있도록 타고 내리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접철 사다리(22)는 접힌 상태에서 상기 맨홀 케이스(21)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맨홀 케이스(21)의 하방으로 펼쳐지게 상기 맨홀 케이스(21)에 장착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접철 사다리(22)는 부착 브라켓(221), 사다리 프레임(222a,222b,222c) 및 링크바(223a,223b)로 구성된다.
상기 부착 브라켓(221)은 접철 사다리(22)를 상기 맨홀 케이스(21)의 내벽부(211)의 내벽에 부착시키고, 동시에 최상부에 위치된 사다리 프레임(222a)가 힌지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사다리 프레임(222a,222b,222c) 및 링크바(223a,223b)가 연결된 연결체가 접혀진 상태에서 펼쳐지지 않고 지지되도록 최하부에 위치된 사다리 프레임(222b)가 지지되는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를 참조하면, 상기 부착 브라켓(221)은 폭과 높이를 갖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맨홀 케이스의 내벽에 부착되는 부착판부(221a)와, 상기 부착판부(221a)의 폭방향으로 양측에서 전방으로 꺽여 연장되어 전방으로 돌출되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힌지판부(221b)를 갖게 형성된다. 상기 부착판부(221a)의 하단 가장자리는 내측으로 꺽여 최하부에 위치된 사다리 프레임(222b)의 양측 막대부분 각각의 연장된 말단(222b')이 걸려 지지되기 위한 걸림턱(221c)이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부착판부(221a)의 상단 가장자리는 상기 걸림턱(221c)와 함께 부착판부(221a)의 휨강성을 보강하도록 내측으로 꺽여 돌출된 꺽임부(221d)가 형성된다. 상기 힌지판부(221b)의 말단부에는 복수의 사다리 프레임(222a,222b,222c) 중 최상부에 위치된 사다리 프레임(222a)의 양측 막대 부분 각각의 말단(222a')이 힌지 수단(221b')에 의해 힌지 연결된다. 상기 힌지판부(221b)에 힌지 연결된 복수의 사다리 프레임(222a,222b,222c)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방으로의 회전이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게 걸리도록 상기 힌지판부(221b)의 말단은 내측으로 꺽여 스토퍼부(221e)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사다리 프레임(222a,222b,222c)은 사람이 밟고 디딜 수 있는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링크바(223a,223b)와 함께 번갈아 가면서 4절 링크 구조로 연결된다. 상기 사다리 프레임(222a,222b,222c)은 각각 봉재나 관재를 'ㄷ'자 형상으로 굽힘 가공하여 형성되며, 상기 링크바(223a,223b)에 의해 포개지고 펼쳐지게 4절 링크 구조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된 사다리 프레임(222a,222b,222c)은 상기 부착 부라켓(221)의 힌지판부(221b)에 힌지 연경되는데,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사다리 프레임(222a,222b,222c) 중 최상부에 위치된 사다리 프레임(222a)의 양측 막대부분 각각의 말단(222a')은 힌지핀과 같은 힌지 수단(221b')에 의해 상기 부착 브라켓(221)의 힌지판부(221b)의 말단부 각각에 힌지 연결된다.
한편, 접철 사다리(22)는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펼치기 위한 작동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사다리 프레임(222a,222b,222c)과 링크바(223a,223b)가 연결된 연결체가 접혀진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펼쳐지지 않게 고정되어야 하는데, 본 발명은 사다리 프레임(222a,222b,222c)과 링크바(223a,223b)가 연결된 연결체 자중에 의해 락킹이 이루어지며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상기 복수의 사다리 프레임(222a,222b,222c) 중 최하부에 위치된 사다리 프레임(222c)의 양측 막대부분 각각의 말단부 각각은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게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최하부에 위치된 사다리 프레임(222c)의 양측 막대부분 각각의 연장된 말단(222c')은 사다리 프레임(222a,222b,222c)과 링크바(223a,223b)가 연결된 연결체가 접혀 포개지면서 상기 맨홀 케이스(21)의 내부로 수용되는 상태에서 상기 부착판부(221a)의 내측면에 밀착되면서 지지되게 된다. 도 8a는 사다리 프레임(222a,222b,222c)과 링크바(223a,223b)가 연결된 연결체 자중에 의해 락킹이 이루어지며 고정되는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사다리 프레임(222a,222b,222c)과 링크바(223a,223b)가 연결된 연결체는 접혀 포개진 상태에서 최하부에 위치된 사다리 프레임(222c)의 연장된 말단(222c')이 부착판부(221a)의 하단부에 접촉되게 된다. 이때 상기 사다리 프레임(222a,222b,222c)과 링크바(223a,223b)가 연결된 연결체는 자중에 의한 무게로 하방으로 낙하하는 힘(L)을 받게 되는데, 상기 사다리 프레임(222a,222b,222c)과 링크바(223a,223b)가 연결된 연결체가 힌지판부(221b)에 힌지 연결되어 있어 낙하하는 힘(L)은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사다리 프레임(222a,222b,222c)과 링크바(223a,223b)가 연결된 연결체를 회전시키는 모멘트(M)을 형성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부착판부(221a)의 하단부에 접촉된 최하부에 위치된 사다리 프레임(222c)의 연장된 말단(222c')은 상기 부착판부(221a)의 하단부에 더욱 밀착되면서 누르는 힘(F)를 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최하부에 위치된 사다리 프레임(222c)의 연장된 말단(222c')이 상기 부착판부(221a)의 하단부에 지지되면서 상기 사다리 프레임(222a,222b,222c)과 링크바(223a,223b)가 연결된 연결체는 더 이상 회전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반력 및 반력에 의한 마찰력으로 상기 사다리 프레임(222a,222b,222c)과 링크바(223a,223b)가 연결된 연결체는 펼쳐지지 않고 포개진 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최하부에 위치된 사다리 프레임(222c)의 연장된 말단(222c')이 상기 부착판부(221a)의 하단부에 지지되면서 상기 사다리 프레임(222a,222b,222c)과 링크바(223a,223b)가 연결된 연결체는 펼쳐지지 않고 포개진 상태로 고정되나, 충격이나 외력에 의해 상기 사다리 프레임(222a,222b,222c)과 링크바(223a,223b)가 흔들림으로써 상기 최하부에 위치된 사다리 프레임(222c)의 연장된 말단(222c')이 상기 부착판부(221a)의 하단부와 떨어지면서 상기 사다리 프레임(222a,222b,222c)과 링크바(223a,223b)가 연결된 연결체가 펼쳐지는 경우가 방지되도록 상기 부착 브라켓(221)의 부착판부(221a)의 하단 가장자리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221c)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사다리 프레임(222a,222b,222c)과 링크바(223a,223b)가 연결된 연결체가 접혀 포개지면서 상기 맨홀 케이스(21)의 내부로 수용되는 상태에서 상기 최하부에 위치된 사다리 프레임(222c)의 양측 막대부분 각각의 연장된 말단(222c')이 상기 부착판부(221a)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지지될 뿐만 아니라 그 말단(222c')이 상기 걸림턱(221c)의 상부에 안착되어 확실하게 걸리게 된다.
상기 링크바(223a,223b)는 상기 복수의 사다리 프레임(222a,222b,222c)이 포개지게 접히고 펼쳐지게 상기 복수의 사다리 프레임(222a,222b,222c)과 함께 4절 링크 방식으로 연결되는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링크바(223a,223b)는 이웃하는 3개의 사다리 프레임에 걸쳐져 일측 말단은 외측에 위치된 2개의 사다리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양측 막대 부분의 일측 말단에 힌지로 연결되고, 중앙 부분은 중간에 위치된 사다리 프레임의 양측 막대 부분의 중앙 부분에 힌지로 연결되며, 타측 말단은 외측에 위치된 2개의 사다리 프레임 중 나머지 하나의 양측 막대 부분의 타측 말단에 힌지로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사다리 프레임(222a,222b,222c)과 함께 4절 링크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링크바(223a,223b) 중에는 이웃하는 3개의 사다리 프레임을 동시에 연결하는 경우에는 길이가 긴 링크바(223a)가 이용되며, 복수의 사다리 프레임 중 최상부에 위치된 사다리 프레임(222a)와 그에 이웃하는 다른 사다리 프레임을 연결하는 경우나 최하부에 위치된 사다리 프레임(222c)와 그에 이웃하는 다른 사다리 프레임을 연결하는 경우에는 길이가 짧은 링크바(223b)가 이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접철 사다리(22)는 비상 탈출을 위해서 사용자가 펼치는 경우 상기 사다리 프레임(222a,222b,222c)과 링크바(223a,223b)가 연결된 연결체가 하방으로 펼쳐지게 되고, 평상시에는 상기 사다리 프레임(222a,222b,222c)과 링크바(223a,223b)가 연결된 연결체를 접어 상기 맨홀 케이스(21)에 수납된 상태가 되게 작동시킨다. 도 8a 및 도 8b는 접철 사다리(22)의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 중에서 도 8a는 사다리 프레임(222a,222b,222c)과 링크바(223a,223b)가 연결된 연결체 자중에 의해 락킹이 이루어지며 고정되는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한편, 도 8b는 사다리 프레임(222a,222b,222c)과 링크바(223a,223b)가 연결된 연결체가 접혀진 상태에서 하방으로 펼쳐지는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인데, 도 8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다리 프레임(222a,222b,222c)과 링크바(223a,223b)가 연결된 연결체를 펼치기 위해서 최상부에 위치된 사다리 프레임(222a)에 구비된 손잡이(222a")를 위로 잡아 당겨 사다리 프레임(222a,222b,222c)과 링크바(223a,223b)가 연결된 연결체를 상방으로 살짝 들어올리면 상기 사다리 프레임(222a,222b,222c)과 링크바(223a,223b)가 연결된 연결체는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R)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최하부에 위치된 사다리 프레임(222c)의 말단(222c)는 부착판부(221a)의 하단부와 떨어짐과 동시에 걸림턱(221c)을 이탈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사다리 프레임(222a,222b,222c)과 링크바(223a,223b)가 연결된 연결체를 하방으로 내리면 사다리 프레임(222a,222b,222c)과 링크바(223a,223b)가 연결된 연결체는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펼쳐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탈출용 사다리 모듈(20)은 접철 사다리(22)가 접힌 상태에서 사다리 프레임(222a,222b,222c)과 링크바(223a,223b)가 연결된 연결체의 자중에 의해 최하부에 위치된 사다리 프레임(222c)의 말단(222c')이 부착 브라켓(211)에 밀착되면서 간단하게 접힌 상태가 유지되게 고정될 뿐만 아니라 사다리 프레임(222a,222b,222c)과 링크바(223a,223b)가 연결된 연결체를 들어올리는 것만으로 최하부에 위치된 사다리 프레임(222c)의 말단(222c')이 부착 브라켓(211)으로부터 떨어지면서 사다리 프레임(222a,222b,222c)과 링크바(223a,223b)가 연결된 연결체가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전개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한편, 사다리 프레임(222a,222b,222c)과 링크바(223a,223b)가 연결된 연결체가 펼쳐진 상태에서 이를 다시 접기 위해서 최하부에 위치된 사다리 프레임(222c)에는 연결바(224a)가 구비되고, 그 연결바(224a)에는 로프나 체인으로 형성된 당김줄(224b)이 연결되어 사용자가 잡아당길 수 있도록 맨홀 케이스(21)까지 상방으로 연장된다. 사용자가 상기 당김줄(224b)을 잡아 당기면 상기 사다리 프레임(222a,222b,222c)과 링크바(223a,223b)가 연결된 연결체는 접히면서 상기 맨홀 케이스(21)로 상승되게 된다.
상기 맨홀 커버(23,24)는 상기 맨홀 케이스(21)의 상부 및 하부 입구 각각을 개폐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맨홀 커버(23,24)는 상기 맨홀 케이스(21)의 상부 및 하부 입구 각각을 개폐하도록 상기 맨홀 케이스(21) 상부 및 하부 입구 각각에 장착된다. 상기 맨홀 커버(23,24)가 상기 맨홀 케이스(21)에 안착되도록 상기 맨홀 케이스(21)의 상단 및 하단 각각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커버 안착림(212)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맨홀 커버(23,24)에는 사용자가 여는 경우에만 열 수 있도록 보안을 위한 락킹 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부에서 상기 맨홀 커버(23,24)를 여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감지 및 알람 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봉(3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사다리 모듈(20)이 상기 외곽 프레임(10)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비상 탈출용 사다리 모듈(20)이 지지되도록 상기 외곽 프레임(10)과 맨홀 케이스(21)를 연결하는 봉(또는 막대) 형상의 부재이다. 상기 연결봉(3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사다리 모듈(20)이 지지될 수 있도록 1개 또는 그 이상의 복수개가 구비되어 질 수 있으며, 일단은 상기 외곽 프레임(10)의 테두리부(11)의 내측에 용접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맨홀 케이스(21)의 내벽부(211)의 내측에 용접으로 연결된다.
상기 차단 벽체(40)는 상기 외곽 프레임(10)의 가장자리에서 상방으로 세워져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50)의 상부 공간을 둘러싸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차단 벽체(40)는 하단 말단이 상기 외곽 프레임(10)에 용접으로 연결되어 상기 외곽 프레임(10)의 가장자리에서 상방으로 세워지는 벽체 프레임(41)과, 상기 벽체 프레임(41)에 부착되어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50)의 상부 공간과 그 외부를 분리하는 벽체 판넬(42)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비상 탈출용 사다리 장치(1)는 건물의 외벽(W)에 부설되는데,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비상 탈출용 사다리 장치(1)는 외곽 프레임(10)이 고층 건물의 외벽(W)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외곽 프레임(10)의 내부와 상기 맨홀 케이스(21)의 외부 및 상기 고층 건물의 외벽(W)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 슬라브(50)가 판상으로 타설되어 상기 고층 건물의 외벽에 부설된다.
한편,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50)의 강성 확보를 위해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50) 내부에는 철근이 배근된다. 특히, 상기 철근은 상기 고층 건물의 내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50)의 내부로 이어지게 배근되는 것이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50)가 건물과 일체화되는 구조가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 슬라브(50)와 일체로 하여 건물 외벽(W)에 부설된 비상 탈출용 사다리 장치(1)는 바닥의 콘크리트 슬라브(50) 및 차단 벽체(40)으로 둘러싸인 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그 공간은 대피 공간으로 이용되는데 사용자는 건물 외벽에 구비된 출입문(D)을 통해 이 공간으로 출입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비상 탈출용 사다리 장치(1)는 건물의 외벽(W)에 부설된 상태에서 구조가 견고하고 기존 건물의 미관을 해치지 않게 부설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시공이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즉, 비상 탈출용 사다리 장치(1)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건물의 외벽(W)에 용이하게 부설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사다리 모듈(20)이 이용된 비상 탈출용 사다리 장치(1)를 건물의 외벽(W)에 부착하여 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사다리 모듈(20)이 이용된 비상 탈출용 사다리 장치의 시공 방법은 장치 부착 단계, 슬라브 타설 단계 및 벽체 설치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장치 부착 단계는 외곽 프레임(10)의 내부에 위치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사다리 모듈(20)이 연결봉(30)으로 외곽 프레임(10)과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외곽 프레임(10)을 고층 건물의 외벽에 부착시키고 그 외곽 프레임(10)의 하부에 바닥 거푸집(2)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바닥 거푸집(2)는 지지 비계(3,3')에 의해 지지되었다가 콘크리트 슬라브(50)이 타설되어 양생이 이루어진 후 제거된다. 또한, 상기 장치 부착 단계에서는 고층 건물의 외벽(W)에 부착된 상기 외곽 프레임(10)의 내부와 상기 맨홀 케이스(21)의 외부 및 상기 고층 건물의 외벽(W) 사이의 공간에 철근(51)을 배근하게 된다. 도 4a 및 도 4b는 상기와 같이 외곽 프레임(10)이 건물의 외벽(W)에 부착되고 바닥 거푸집(2)의 설치 및 철근(51)의 배근이 이루어지는 장치 부착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슬라브 타설 단계는 고층 건물의 외벽(W)에 부착된 상기 외곽 프레임(10)의 내부와 상기 맨홀 케이스(21)의 외부 및 상기 고층 건물의 외벽(W)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 슬라브(50)를 판상으로 타설하는 단계이다.
상기 벽체 설치 단계는 콘크리트 슬라브(50)가 타설되어 양생이 종료된 이후에 상기 외곽 프레임(10)의 가장자리에서 차단 벽체(40)를 상방으로 세워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50)의 상부 공간을 둘러싸는 단계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비상 탈출용 사다리 모듈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W 건물 외벽
1 비상 탈출용 사다리 장치
10 외곽 프레임
11 테두리부
12 모서리 커버부
20 사다리 모듈
21 맨홀 케이스
211 내벽부
212 커버 안착림
213 모서리 커버부
22 접철 사다리
221 부착 브라켓
221a 부착판부
221b 힌지판부
221c 걸림턱
221d 꺽임부
221e 스토퍼부
222a,222b,222c 사다리 프레임
223a,223b 링크바
23,24 맨홀 커버
30 연결봉
40 차단 벽체
41 벽체 프레임
42 벽체 판넬
50 콘크리트 슬라브
51 철근
2 바닥 거푸집
3,3‘ 지지 비계

Claims (3)

  1. 바닥을 통과하는 맨홀을 통하여 하방으로 전개되는 비상 탈출용 사다리 모듈에 있어서,
    상하로 관통된 통로를 형성하는 맨홀 케이스와, 접힌 상태에서 상기 맨홀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맨홀 케이스의 하방으로 펼쳐지게 상기 맨홀 케이스에 장착되는 접철 사다리가 구비되되,
    상기 접철 사다리는, 상기 맨홀 케이스의 내벽에 부착되는 부착판부의 폭방향으로 양측에서 힌지판부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연장된 부착 브라켓과, 봉재나 관재를 'ㄷ'자 형상으로 굽힘 가공하여 형성된 복수의 사다리 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사다리 프레임이 포개지게 접히고 펼쳐지게 4절 링크 방식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복수의 사다리 프레임의 양측 막대 부분을 링크 연결하는 복수의 링크바가 구비되어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사다리 프레임 중 최상부에 위치된 사다리 프레임의 양측 막대부분 각각의 말단은 상기 부착 브라켓의 힌지판부 각각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사다리 프레임 중 최하부에 위치된 사다리 프레임의 양측 막대부분 각각의 말단부 각각이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게 연장되고,
    상기 복수의 사다리 프레임이 접혀 포개지면서 상기 맨홀 케이스의 내부로 수용되는 상태에서 상기 최하부에 위치된 사다리 프레임의 양측 막대부분 각각의 연장된 말단이 상기 부착판부의 내측면에 밀착되면서 지지되며,
    상기 부착 브라켓의 부착판부의 하단 가장자리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사다리 프레임이 접혀 포개지면서 상기 맨홀 케이스의 내부로 수용되는 상태에서 상기 최하부에 위치된 사다리 프레임의 양측 막대부분 각각의 연장된 말단이 상기 부착판부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지지되면서 상기 걸림턱의 상부에 안착되어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탈출용 사다리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 케이스의 상부 및 하부 입구 각각을 개폐하도록 상기 맨홀 케이스 상부 및 하부 입구 각각에 장착된 맨홀 커버가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탈출용 사다리 모듈.
  3. 삭제
KR1020190068797A 2019-06-11 2019-06-11 비상 탈출용 사다리 모듈 KR102114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797A KR102114441B1 (ko) 2019-06-11 2019-06-11 비상 탈출용 사다리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797A KR102114441B1 (ko) 2019-06-11 2019-06-11 비상 탈출용 사다리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4441B1 true KR102114441B1 (ko) 2020-05-22

Family

ID=70913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8797A KR102114441B1 (ko) 2019-06-11 2019-06-11 비상 탈출용 사다리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444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466A (ja) * 1992-06-23 1994-01-18 Naka Ind Ltd 避難装置の梯子支持構造
KR20090096594A (ko) * 2009-08-25 2009-09-11 김문찬 고층건물 피난장치
KR20120001132U (ko) * 2010-10-11 2012-02-17 강철 피난구의 사다리
KR101166550B1 (ko) 2011-06-02 2012-07-19 에스제이테크윈(주) 하향식 비상탈출장치의 안전사다리
KR101304053B1 (ko) 2011-05-12 2013-09-04 김대훈 피난용 사다리
KR101309564B1 (ko) 2013-02-20 2013-10-14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피난사다리의 설치 구조
KR101511680B1 (ko) 2014-05-14 2015-04-17 주식회사 에스엠이엔지 피난사다리
KR101565284B1 (ko) 2015-07-03 2015-11-13 (주)수정테크 레벨조절부가 구비된 하향식 피난사다리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466A (ja) * 1992-06-23 1994-01-18 Naka Ind Ltd 避難装置の梯子支持構造
KR20090096594A (ko) * 2009-08-25 2009-09-11 김문찬 고층건물 피난장치
KR20120001132U (ko) * 2010-10-11 2012-02-17 강철 피난구의 사다리
KR101304053B1 (ko) 2011-05-12 2013-09-04 김대훈 피난용 사다리
KR101166550B1 (ko) 2011-06-02 2012-07-19 에스제이테크윈(주) 하향식 비상탈출장치의 안전사다리
KR101309564B1 (ko) 2013-02-20 2013-10-14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피난사다리의 설치 구조
KR101511680B1 (ko) 2014-05-14 2015-04-17 주식회사 에스엠이엔지 피난사다리
KR101565284B1 (ko) 2015-07-03 2015-11-13 (주)수정테크 레벨조절부가 구비된 하향식 피난사다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3520B2 (en) Fall safety barrier
KR102099811B1 (ko) 비상 탈출용 사다리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JP4462441B2 (ja) 足場・支保工兼用機材
KR102096210B1 (ko)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
JP5201633B2 (ja) 工事用足場における二段手摺先行構造
KR20210066799A (ko) 다층 구조물과 파사드를 세우는 방법
KR102114441B1 (ko) 비상 탈출용 사다리 모듈
KR101099765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043592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290693B1 (ko) 가변형 몸체를 가진 매립형 피난사다리
KR101281997B1 (ko) 조립형 하향식 피난구 및 그 설치방법
KR102024881B1 (ko) 하향식 분절형 사다리 설치 장치 및 하향식 분절형 사다리
KR200480362Y1 (ko) 갱 폼의 낙하방지망
KR200265513Y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사다리
KR20200091314A (ko) 하향식 분절형 사다리 설치 장치 및 하향식 분절형 사다리
JP5632757B2 (ja) 折り畳み可能なl型幅木およびこのl型幅木を組み込んでなる仮設足場
WO2008068530A1 (en) Escape ladder unit
KR102259942B1 (ko) 거푸집의 슬라브 빔 지지장치
KR20210028361A (ko) 하향식 피난사다리 설치를 위한 바닥 개구부 형성용 거푸집 프레임
KR102579544B1 (ko) 하수암거 보수작업용 자립식 안전장치
KR20030025810A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사다리
JP3085905B2 (ja) 手摺を有する作業用簡易階段構造
KR101102788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111887B1 (ko) 화재 피난을 위한 회전 사다리형 안전 난간대
JP3107639U (ja) 外部枠組足場昇降用スライドステ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