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1997B1 - 조립형 하향식 피난구 및 그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조립형 하향식 피난구 및 그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1997B1
KR101281997B1 KR1020110067745A KR20110067745A KR101281997B1 KR 101281997 B1 KR101281997 B1 KR 101281997B1 KR 1020110067745 A KR1020110067745 A KR 1020110067745A KR 20110067745 A KR20110067745 A KR 20110067745A KR 101281997 B1 KR101281997 B1 KR 101281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losure
housing
slab
assembled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7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5987A (ko
Inventor
주 정
Original Assignee
(주)반초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반초기업 filed Critical (주)반초기업
Priority to KR1020110067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1997B1/ko
Publication of KR20130005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1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1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8Built-in cupboards; Masks of niches; Covers of holes enabling access to install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 E06C9/08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형 하향식 피난구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향식 피난구를 바닥면 슬라브(slab) 시공시 함께 설치할 수 있어서 슬라브 시공 후 하향식 피난구 설치를 위한 슬라브 절개 과정을 불필요하게 함과 동시에 피난구를 바닥면에 견고히 고정할 수 있고, 수밀 특성 및 방음 특성이 뛰어나 바닥면에 설치시 직하층으로 누수가 발생하거나 층간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함체의 크기를 유지하면서도 피난자가 피난할 수 있는 유효 개구부 면적은 넓힐 수 있는 조립형 하향식 피난구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형 하향식 피난구 및 그 설치방법{Assembly type refuge tool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조립형 하향식 피난구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향식 피난구를 바닥면 슬라브(slab) 시공시 함께 설치할 수 있어서 슬라브 시공 후 하향식 피난구 설치를 위한 슬라브 절개 과정을 불필요하게 함과 동시에 피난구를 바닥면에 견고히 고정할 수 있고, 수밀 특성 및 방음 특성이 뛰어나 바닥면에 설치시 직하층으로 누수가 발생하거나 층간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함체의 크기를 유지하면서도 피난자가 피난할 수 있는 유효 개구부 면적은 넓힐 수 있는 조립형 하향식 피난구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빌라와 같은 다층 구조물은 화재나 지진과 같은 비상시에 거주자가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비상탈출수단이 구비되는데, 종래부터 사용되어 온 대표적인 비상탈출수단으로는 비상계단이 있다.
그러나, 비상계단은 화재시 화염의 통로가 되고, 많은 사람이 일시에 비상계단을 이용시 2차 사고가 발생할 염려가 있어서, 다른 비상탈출수단이 제안되었는데, 대표적으로 베란다나 복도 등과 같은 바닥면에 설치하여 위층에서 아래층으로 피난할 수 있도록 제안된 하향식 피난구가 있다.
이러한 하향식 피난구는, 일 예로서 도 1에 도시된 본 출원인의 한국등록실용신안 제453544호 및 제450475호와 같이 바닥면 슬라브에 관통 설치되며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된 함체로 구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의 상부 및 하부 개구를 각각 개폐하는 도어(12), 즉, 상부도어(12a) 및 하부도어(12b)와, 상기 몸체(10)의 내부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절첩식 사다리(20)로 구성된다.
따라서, 화재 등 비상시에 위층 베란다(즉, 바닥면)에 노출된 상부도어(12a)를 개방하면 아래층 베란다에 노출된 하부도어(12b)가 동시에 개방되면서 몸체(10)의 내부 수용공간에 배치된 사다리(20)가 펼쳐지므로, 이를 통해 상층에서 직하층으로 피난자가 피난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본 출원인의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11-0003837호와 같이, 몸체(10)의 상부 측면에는 물받이(10a)를 구비함과 동시에 하부 측면에는 몰탈 지지부(10b)를 더 구비한 상태에서, 절개된 베란다 슬라브(30)에 상기 몸체(10)를 삽입한 다음, 몰탈(40, 70), 천정 마감재(50), 방수층(60) 및 타일(80) 등을 시공하여, 물받이(10a)에는 몸체(10)와 베란다 사이의 틈 사이로 유입된 물을 수용하고, 몰탈 지지부(10b)에는 슬라브(30)와 몸체(10) 사이의 틈을 메우는 몰탈(40)이 채워지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베란다 슬라브(30) 시공용 형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슬라브(30)를 먼저 시공한 다음에 하향식 피난구를 삽입 설치하기 위해 슬라브(30)를 하향식 피난구의 크기만큼 절개하였다. 따라서, 그 절개 부분만큼 자재(즉, 콘크리트)가 낭비됨은 물론 절개에 많은 노력과 시간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슬라브(30)와 하향식 피난구의 몸체(10) 사이의 틈새를 막아 직하층과의 격리가 이루어지고 하향식 피난구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몰탈 지지부(10b)에 몰탈(40)을 투입하였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몰탈(40)을 추가로 투입하기 위한 별도의 시공이 필요하고, 금속 재질의 하향식 피난구 몸체(10)와 몰탈(40)의 결합력이 약하여 장시간 경과시 틈새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몸체(10)의 내측면에 설치된 사다리(20)는 브라켓, 힌지 및 윈치 등과 같은 사다리 지지구(B)에 의해 고정되는데, 이때 몸체(10) 내부의 여유 공간을 통해 피난자가 피난할 수 있는 유효 개구부 면적을 법령에서 정한 만큼 확보하기 위해서는 상기 사다리 지지구의 부피만큼 몸체(10)의 크기를 늘려야 하므로, 좁은 베란다에는 설치하기 어렵게 되는 등 설치 공간에 제약을 받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층 베란다에서 물청소 등의 목적으로 물을 사용하는 경우 하층 세대의 베란다로 물이 새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물받이(10a)를 구비하는 방식을 채택하였지만, 실제 이러한 물받이(10a)에 물이 고이면 금속 재질의 몸체(10)가 부식되거나, 장시간 방치시에는 곰팡이 등 세균이 번식하는 원인을 제공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하향식 피난구를 바닥면 슬라브 시공시 함께 설치할 수 있어서 슬라브 시공 후 하향식 피난구 설치를 위한 슬라브 절개 과정을 불필요하게 함과 동시에 피난구를 바닥면에 견고히 고정할 수 있고, 수밀 특성 및 방음 특성이 뛰어나 바닥면에 설치시 직하층으로 누수가 발생하거나 층간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함체의 크기를 유지하면서도 피난자가 피난할 수 있는 유효 개구부 면적은 넓힐 수 있는 조립형 하향식 피난구 및 그 설치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하향식 피난구는 내부 일측면에는 피난시 하측으로 늘어뜨려지는 피난 도구가 설치되고, 상하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상단부 테두리에 끼워져 조립되며, 상기 함체 내부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도록 실링 작용을 하는 몰딩과; 상기 함체의 개방된 상단부를 개폐하도록 조립되며, 닫힘 동작시 상기 몰딩과 밀착하는 상부 덮개; 및 상기 함체의 개방된 하단부를 개폐하도록 조립되는 하부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함체를 상기 바닥면의 콘크리트 타설(슬라브 공정)시 함께 설치하도록, 상기 함체의 일측부에는 상기 바닥면 내부에 배치되는 철근과 연결되는 고정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모듈은 상기 함체의 외면에 결합되어 상기 함체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 프레임 및 상기 보강 프레임의 일단과 상기 철근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 프레임은 외주면이 둥근 2개의 볼록판 및 상기 볼록판 사이를 연결하는 편평판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판은 중심부를 접어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단부는 상기 철근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슬라브 형틀에 고정되며, 상기 중심부는 상기 볼록판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함체를 상기 바닥면의 콘크리트 타설시 함께 설치하도록, 상기 함체의 하단부에는 상기 바닥면의 콘크리트 타설시 사용되는 슬라브 형틀에 고정되는 고정용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난 도구가 부착되는 상기 함체의 일측면에는 상기 함체의 외측을 향하도록 굴곡 및 돌출된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피난 도구를 지지하는 지지 모듈이 설치되어, 상기 함체 내측을 통해 피난자가 피난할 수 있는 유효 개구부 면적을 넓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몰딩은 상기 함체의 상단부 테두리에 끼워지도록 굴곡 형성된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의 일측에 구비된 실링 홈과, 상기 실링 홈의 일측에 구비된 날개부 및 상기 날개부의 일단에 구비된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실링 홈에는 실링 블럭이 삽입되어 있어서 닫힘 동작시 상기 상부 덮개의 하면과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함체의 각 측면 상단부에는 자석이 고정되어 있어서, 상기 상부 덮개를 자력으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덮개의 상면에는 단열, 방음, 방수 및 결로 방지 효과를 갖는 퍼라이트(perlite) 단열재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조립형 하향식 피난구의 설치방법은, 상기 함체를 바닥면의 콘크리트 타설시 사용되는 슬라브용 형틀 위에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함체 내부에 수축 방지용 보강 블럭을 삽입하여 상기 보강 블럭이 상기 함체의 내면에 접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함체의 외측 부분에 상기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바닥면 슬라브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수축 방지용 보강 블럭을 제거하고, 상기 슬라브 위에 타일을 시공하는 단계와; 상기 함체의 상단부 테두리에 상기 몰딩을 끼우는 단계; 및 상기 함체의 개방된 상단부와 하단부에 상부 덮개와 하부 덮개를 각각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하향식 피난구 및 그 설치방법에 의하면, 하향식 피난구를 바닥면 슬라브 시공시 함께 설치할 수 있어서 슬라브 시공 후 하향식 피난구 설치를 위한 슬라브 절개 과정을 불필요하게 함과 동시에 피난구를 바닥면에 견고히 고정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몰딩을 끼워 넣으면 상부 덮개와의 밀착성이 뛰어나 수밀 특성을 향상되므로 직하층으로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하부 덮개에 구비된 퍼라이트 단열재에 단열효과를 향상시킴은 물론 방음 특성 역시 향상되어 뛰어나 층간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사다리를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사다리 지지구를 함체의 외측에 배치시킬 수 있어서, 상기 사다리 지지구 부피 만큼의 공간을 더 확보할 수 있으므로, 함체의 크기를 유지하면서도 피난자가 피난할 수 있는 유효 개구부 면적은 넓힐 수 있게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하향식 피난구를 나타낸 제1실시예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하향식 피난구를 나타낸 제2실시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하향식 피난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하향식 피난구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하향식 피난구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하향식 피난구의 일측부를 확대한 부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하향식 피난구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하향식 피난구의 설치방법을 나타낸 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하향식 피난구 및 그 설치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이하에서 설명할 바닥면은 베란다나 복도를 비롯하여 직하층으로 피난할 수 있는 다양한 장소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임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함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피난자의 피난을 돕는 피난 도구로서 사다리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그 외 피난자가 하부 덮개 위에 올라서면 완강기에 의해 서서히 하강하는 것에도 적용 가능하므로, 상기 피난 도구는 절첩식 사다리 및 완강기 등을 비롯한 다양한 것들을 모두 포함하는 것임은 자명할 것이다.
먼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하향식 피난구(100)는 내부에 절첩식의 사다리(도 7의 20 참조)가 설치되고, 상하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함체(110)와, 상기 함체(110)의 상단부 테두리에 끼워져 조립되며, 함체(110) 내부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는 몰딩(120)과, 상기 함체(110)의 개방된 상단부를 개폐하도록 조립되며, 닫힘 동작시 몰딩(120)에 밀착되는 상부 덮개(130) 및 함체(110)의 개방된 하단부를 개폐하도록 조립되는 하부 덮개(140)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향식 피난구를 복도나 베란다와 같은 바닥면에 설치하면, 화재 등 비상시에 상부 덮개(130)를 열면 링크(도 1 참조)에 의해 서로 연결된 하부 덮개(140) 역시 열리면서 절첩식 사다리가 직하층으로 늘어뜨려지므로, 피난자는 이상과 같이 직하층으로 늘어뜨려진 사다리를 타고 내려가 하층으로 피난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도 7과 같이 상부 덮개(130)과 하부 덮개(140)가 각각 독립적으로 개폐될 수 있으며, 어느 구성을 선택해도 상관은 없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함체(110)는 상하부가 각각 개방된 4각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이러한 함체(110)는 콘크리트를 투입하여 바닥면 슬라브(slab)(S)를 양생시 함께 설치된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함체(110)는 슬라브(S)를 시공하는데 사용되는 거푸집인 형틀(F) 위에 고정된 상태에서 그 함체(110)의 주위(즉,외부)에 콘크리트를 투입함으로써 설치되는 것으로, 종래와는 다르게 슬라브(S) 시공을 마친 후 함체(110)의 삽입을 위해 별도로 슬라브(S)를 절개할 필요가 없게 한다.
이를 위해, 사다리가 설치되는 일면을 제외(후술할 수용부의 설치 공간 확보를 위한 것임)한 나머지 3개의 외측면에는 바닥면의 강도 보강을 위한 철근에 고정되는 고정모듈(111, 112)을 포함한다.
고정모듈(111, 112)은 일 예로서 함체(110)의 외면에 결합되어 상기 함체(110)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 프레임(111) 및 상기 보강 프레임(111)의 일단과 철근(X, Y: X는 종축 철근 Y는 횡축 철근)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판(112)('띠쇠'라고도 함)으로 이루어진다.
도 6의 (a) 및 (b)를 통해 좀더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보강 프레임(111)은 외주면이 둥근 2개의 볼록판(111a) 및 상기 볼록판(111a) 사이를 연결하는 편평판(111b)을 포함하고 있으며, 볼록하지 않은 일측면이 함체(110)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견고히 결합된다.
그리고, 연결판(112)은 길이가 긴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그 길이 방향에 대한 중심부를 접어 일단부는 철근(X, Y)에 고정시키고, 타단부는 형틀(F)에 고정시키며, 접혀진 중심부분은 볼록판(111a)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된다.
도 6에서 연결판(112)과 철근(X, Y)은 용접에 의해 결합되고, 연결판(112)과 형틀(F)은 볼트(B)를 체결하여 결합되며, 연결판(112)과 보강 프레임(111)은 연결핀(112a)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일 예로 도시하였으나, 결합 방법 자체는 자유롭게 변경 가능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함체(110)의 하단부에 고정용 브라켓(114)을 더 구비할 수 있는데, 고정용 브라켓(114)은 함체(110)를 형틀(F) 위에 올려놓고 고정하는데 사용되며, 그 단부에는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어서 못이나 볼트 등을 관통시켜 형틀(F)과 연결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보강 프레임(111)에 의해 함체(110)의 강도가 보강됨은 물론, 연결판(112)을 통해 함체(110)가 철근(X, Y)에 고정됨과 동시에 고정용 브라켓(114)에 의해 함체(110)가 형틀(F) 위에 고정되므로, 슬라브(S) 시공을 위해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장시간 대기하는 경우에도 당해 함체(110)의 이탈을 방지한다.
한편, 함체(110)의 상단부 테두리는 일부분이 접혀 서로 겹쳐진 접힘부(113)를 갖는데, 이상과 같이 테두리 일부를 접어 서로 겹쳐지게 하면 강도가 보강되어 상기 테두리 부분에 실링을 위한 몰딩(120)을 끼울 경우에도 안정적인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사다리가 부착되는 상기 함체(110)의 일측면에는 외측을 향하도록 굴곡 및 돌출된 수용부(115)가 형성되어 있는데, 수용부(115)는 함체(110) 자체를 외측으로 굴곡시켜 형성되므로 개방된 일측이 함체(110)의 내부를 바라보고, 돌출된 외측 부분은 용접을 통해 철근(X, Y)에 고정된다. 수용부(115)의 굴곡 형상은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ㄷ'자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수용부(115) 내에 사다리를 지지하는 브라켓이나 힌지 및 상기 절첩식 사다리의 하강시 줄을 풀어주는 윈치(winch) 등을 갖춘 지지 모듈(B)을 설치하면, 함체(110)의 전체 크기를 변경하지 않으면서도 함체(110) 내측을 통해 피난자가 피난할 수 있는 유효 개구부 면적(법령에서는 직경 60Cm 이상)을 넓힐 수 있게 한다.
즉, 종래에는 본 발명과 같이 외측으로 돌출된 수용부(115)를 구비하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지지 모듈(도 1의 B 참조)를 편평한 함체(110) 내측벽에 고정하고, 그 지지 모듈(B)에 사다리를 연결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지지 모듈(B)의 부피만큼 피난자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여 함체(110)의 크기를 더 크게 해야 했던 것에 비해, 본 발명은 슬라브(S) 내부에 배치되도록 돌출된 수용부(115)를 갖고 있으므로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게 한다. 이상과 같이 수용부(115) 내부에 삽입된 지지 모듈(B)은 고정볼트(115a) 등에 의해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몰딩(120)은 상부 덮개(130)와 함체(11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직하층으로 물이 흘러내려가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일종의 실링 수단으로서, 도 6의 (b)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110)의 상단부 테두리에 끼워지도록 굴곡 형성된 끼움부(121)와, 상기 끼움부(121)의 일측에 구비된 실링 홈(122)과, 상기 실링 홈(122)의 일측에 구비되며 경사진 형상의 날개부(123) 및 상기 날개부(123)의 일단에 구비된 지지부(124)를 포함하며, 상기 실링 홈(122)에는 실링 블럭(125)이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몰딩(120)은 함체(110)의 상단부 테두리 전체를 따라 끼워지는데, 본 발명에서는 함체(110)의 단면이 사각형인 것을 예로 들었으므로 몰딩(120) 역시 단면이 사각형이 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몰딩(120)을 끼우기 이전에 함체(110)의 테두리에 실리콘 등을 도포한 후 몰딩(120)을 끼우면 더욱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몰딩(120)의 일단은 끼움부(121)에 의해 함체(110)의 테두리에 고정되고, 타단은 지지부(124)에 의해 바닥면 최상층에 시공된 타일(T)에 지지됨으로써 당해 몰딩(120)이 견고히 설치되고, 실링 홈(122)에 몰딩(120)의 상단부보다 약간 상측으로 돌출되는 크기의 실링 블럭(125)을 끼워놓으면 닫힘 동작시 상부 덮개(130)의 하면과 실링 블럭(125)의 상단부가 밀착되면서 누수를 방지한다.
또한, 끼움부(121)에는 함체(110)의 상단부 테두리에 밀착되도록 꺽여진 단턱(12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턱(121a) 위에 함체(110) 상단부 테두리 접힘부(113)가 놓여져 지지되므로, 사용자가 상부 덮개(130)를 밟고 지나가거나 혹은 상부 덮개(130) 자체의 하중에 의해 장시간 동안 압력이 가해져도 함체(110)가 하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다만, 함체(110)의 각 측면 상단부에 고정되는 자석(미도시)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자석을 더 구비하면 상부 덮개(130)가 자석의 자력에 이끌려 닫힘 상태를 유지하므로, 몰딩(120)과의 밀착력이 더욱 커지면서 수밀 효과 역시 높아질 수 있게 한다.
상부 덮개(130)와 하부 덮개(140)는 함체(110)의 개방된 상하부를 각각 개폐하는 것으로, 보통은 힌지에 의해 회동하는 방식으로 열리거나 닫히며, 이러한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L)에 의해 지지되어 각각 독립적으로 개폐되거나, 혹은 서로 연동되어 상부 덮개(130)와 하부 덮개(140)가 동시에 열리거나 닫힌다.
다만, 하부 덮개(140)의 경우에는 힌지에 의해 회동하는 방식으로 열리거나 닫히는 대신에 함체(110) 내부에 설치된 완강기(미도시)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피난자가 올라타면 슬립 방식으로 하강하는 구성도 있다.
또한, 상부 덮개(130)가 힌지에 의해 회동하는 방식으로 열리거나 닫히는 경우, 힌지가 함체(110)의 외부가 상단부에 있게 되면 틈새가 발생하고 설치가 어려우므로,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110) 내부에 설치된 굴곡된 형상의 힌지(131)를 사용한다. 이하, 굴곡된 형상의 힌지(131) 자체는 이미 공지된 것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하부 덮개(140)의 상면에는 퍼라이트(perlite) 단열재(141)가 부착되어 있는데, 퍼라이트 단열재(141)는 단열, 방음, 방수 및 결로 방지 효과를 갖기 때문에 바닥면에 설치시 매우 유용하다.
특히, 건물의 전체 또는 일부를 지상에서 기둥으로 들어올려 건물을 지면으로부터 분리시킨 필로티(piloti) 타입의 건물인 경우에는 최하층 바닥면이 외부에 노출된 상태이므로 이러한 퍼라이트 단열재(141)에 의해 외부 환경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한다.
또한, 피난자가 직하층으로 늘어뜨려져 하강된 절첩식 사다리를 타고 피난을 완료한 후에는 상층에서 하층으로 화염이나 연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상부 덮개(130)와 하부 덮개(140)를 닫을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덮개(130)와 하부 덮개(140)의 회동을 지지하는 링크(L)에 닫음용 줄(W)이 연결되어 있고, 닫음용 줄(W)은 피난시 사다리와 함께 하측으로 늘어지게 되므로, 직하층으로 피난한 후 닫음용 줄(W)을 잡아당겨 상부 덮개(130)와 하부 덮개(140)를 닫을 수 있게 한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하향식 피난구의 설치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하향식 피난구를 설치하기 위하여 함체(110)를 바닥면의 콘크리트 타설시 사용되는 슬라브(S)용 형틀(F) 위에 고정시킨다. 함체(110)의 고정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보강 프레임(111) 및 연결판(112)으로 이루어진 고정모듈(111, 112)과 고정용 브라켓(114)을 통해 이루어진다.
다음, 함체(110)가 고정되면 그 고정된 함체(110) 내부에 수축 방지용 보강 블럭(150)을 삽입하여 함체(110)의 내면에 접하도록 한다. 즉, 보강 블럭(150)은 보강 몸체(151)와 보강 덮개(152)로 이루어지는데, 보강 몸체(151)는 함체(110) 내부로 삽입되고, 보강 덮개(152)는 함체(110)의 상부를 덮는다.
보강 몸체(151)는 함체(110)의 내부 공간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견고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서 함체(110)에 가해지는 외압을 견디도록 도와준다. 따라서, 슬라브(S) 콘크리트가 양생되면서 발생되는 부피 확장에 의해 함체(110)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가해지는 힘에도 함체(110)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보강 덮개(152)는 함체(110)의 직경보다 커서 함체(110)의 개방된 상단부를 완전히 덮도록 하고, 그에 따라 타 공정 등의 진행에 의해 함체(110) 내부로 각종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틈새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한다. 물론, 보강 블럭(150)을 설치한 후 그 상부에 안전망을 더 설치할 수도 있다.
다음, 보강 블럭(150)을 설치하여 보강 작업을 마친 후에는 함체(110)의 외측 부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함으로써 형틀(F)의 형상에 따라 바닥면 슬라브(S)를 형성한다. 슬라브(S)의 높이는 바닥면 전체보다 다소 낮으며 슬라브(S)가 형성되는 경계선은 도 6에 표시되어 있다.
다음, 슬라브(S)가 형성되면 형틀(F)을 제거하고, 상기 형틀(F)이 제거됨에 따라 노출된 슬라브(S)의 하면에 천정재 마감을 한다. 이러한 천정은 직하층의 천정이 될 것이며, 상기 형틀(F) 제거 및 천정재 마감 공정의 순서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단계들 이후에 할 수도 있다.
다음, 필요에 따라 슬라브(S)의 상면에 방수층(P)을 형성하고, 그 후 보강 블럭(150)을 제거한 후 방수층 위에 타일(T)을 시공함으로써 바닥면을 완성한다. 방수층(P)과 타일(T)은 각각 도 6에 도시되어 있으며, 특히 타일(T) 몰딩(120)의 지지부(124)와 접하는 위치가 되도록 시공된다. 타일(T) 함체(110)의 측면에 미리 그 높이를 표시하고 시공자와 협의를 함으로써 정확한 높이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보강 블럭(150)을 제거함으로써 개방된 함체(110)의 상단부 테두리에 상술한 바와 같은 몰딩(120)을 끼운다. 몰딩(120)은 함체(110)의 상단부 테두리를 따라 모든 방향에 조립되는 것으로, 수밀 효과가 좋아서 함체(110)를 통해 직하층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만, 몰딩(120)을 끼우기 이전에 함체(110)의 상단부 테두리에 실리콘을 도포한 후 약간의 힘을 주어 조립하면, 그 위에 조립된 몰딩(120)의 이탈이 방지되고 동시에 조립과정도 편리하게 하여 시공 시간을 단축시킨다.
다음, 함체(110)의 내측면에 사다리를 조립하고, 개방된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각각 상부 덮개(130)와 하부 덮개(140)를 각각 조립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하향식 피난구(100)의 설치를 완료한다.
특히, 이와 같이 설치된 조립형 하향식 피난구(100)는 상기 사다리가 수용부(115) 내에 삽입된 지지 모듈(B)(윈치 등을 구비)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지지 모듈(B)의 부피에 해당하는 만큼 유효 개구부 면적을 더 확보함은 위에서 이미 설명하였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10: 함체 111: 보강 프레임
112: 연결판 113: 접힘부
114: 고정용 브라켓 115: 수용부
120: 몰딩 121: 끼움부
122: 실링 홈 123: 날개부
124: 지지부 125: 실링 블럭
130: 상부 덮개 140: 하부 덮개
141: 퍼라이트 단열재 150: 고정 블럭
S: 슬라브 P: 방수층
T: 타일 X, Y: 철근
L: 링크

Claims (10)

  1. 비상시 직하층으로 피난하기 위해 바닥면에 설치되는 조립형 하향식 피난구에 있어서,
    내부 일측면에는 피난시 하측으로 늘어뜨려지는 피난 도구가 설치되고, 상하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함체(110)와;
    상기 함체(110)의 상단부 테두리에 끼워져 조립되며, 상기 함체(110) 내부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도록 실링 작용을 하는 몰딩(120)과;
    상기 함체(110)의 개방된 상단부를 개폐하도록 조립되며, 닫힘 동작시 상기 몰딩(120)과 밀착하는 상부 덮개(130); 및
    상기 함체(110)의 개방된 하단부를 개폐하도록 조립되는 하부 덮개(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하향식 피난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110)를 상기 바닥면의 콘크리트 타설(슬라브(S) 공정)시 함께 설치하도록, 상기 함체(110)의 일측부에는 상기 바닥면 내부에 배치되는 철근(X, Y)과 연결되는 고정모듈(111, 11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하향식 피난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모듈(111, 112)은 상기 함체(110)의 외면에 결합되어 상기 함체(110)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 프레임(111) 및 상기 보강 프레임(111)의 일단과 상기 철근(X, Y)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판(1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하향식 피난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프레임(111)은 외주면이 둥근 2개의 볼록판(111a) 및 상기 볼록판(111a) 사이를 연결하는 편평판(111b)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판(112)은 중심부를 접어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단부는 상기 철근(X, Y)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슬라브(S) 형틀(F)에 고정되며, 상기 중심부는 상기 볼록판(111a)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하향식 피난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110)를 상기 바닥면의 콘크리트 타설시 함께 설치하도록, 상기 함체(110)의 하단부에는 상기 바닥면의 콘크리트 타설시 사용되는 슬라브(S) 형틀(F)에 고정되는 고정용 브라켓(11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하향식 피난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 도구가 부착되는 상기 함체(110)의 일측면에는 상기 함체(110)의 외측을 향하도록 굴곡 및 돌출된 수용부(11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115)에는 상기 피난 도구를 지지하는 지지 모듈(B)이 설치되어, 상기 함체(110) 내측을 통해 피난자가 피난할 수 있는 유효 개구부 면적을 넓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하향식 피난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120)은 상기 함체(110)의 상단부 테두리에 끼워지도록 굴곡 형성된 끼움부(121)와, 상기 끼움부(121)의 일측에 구비된 실링 홈(122)과, 상기 실링 홈(122)의 일측에 구비된 날개부(123) 및 상기 날개부(123)의 일단에 구비된 지지부(124)를 포함하며, 상기 실링 홈(122)에는 실링 블럭(125)이 삽입되어 있어서 닫힘 동작시 상기 상부 덮개(130)의 하면과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하향식 피난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110)의 각 측면 상단부에는 자석이 고정되어 있어서, 상기 상부 덮개(130)를 자력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하향식 피난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덮개(140)의 상면에는 단열, 방음, 방수 및 결로 방지 효과를 갖는 퍼라이트(perlite) 단열재(141)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하향식 피난구.
  10. 상기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조립형 하향식 피난구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상기 함체(110)를 바닥면의 콘크리트 타설시 사용되는 슬라브(S)용 형틀(F) 위에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함체(110) 내부에 수축 방지용 보강 블럭(150)을 삽입하여 상기 보강 블럭(150)이 상기 함체(110)의 내면에 접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함체(110)의 외측 부분에 상기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바닥면 슬라브(S)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수축 방지용 보강 블럭(150)을 제거하고, 상기 슬라브(S) 위에 타일(T)을 시공하는 단계와;
    상기 함체(110)의 상단부 테두리에 상기 몰딩(120)을 끼우는 단계; 및
    상기 함체(110)의 개방된 상단부와 하단부에 상부 덮개(130)와 하부 덮개(140)를 각각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하향식 피난구의 설치방법.
KR1020110067745A 2011-07-08 2011-07-08 조립형 하향식 피난구 및 그 설치방법 KR101281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745A KR101281997B1 (ko) 2011-07-08 2011-07-08 조립형 하향식 피난구 및 그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745A KR101281997B1 (ko) 2011-07-08 2011-07-08 조립형 하향식 피난구 및 그 설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987A KR20130005987A (ko) 2013-01-16
KR101281997B1 true KR101281997B1 (ko) 2013-07-04

Family

ID=47837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7745A KR101281997B1 (ko) 2011-07-08 2011-07-08 조립형 하향식 피난구 및 그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19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2551B1 (ko) 2022-09-22 2023-08-30 주식회사 에스투아이엔지니어링 고층 건물 실외기실에 설치하는 화재 대피 시설의 설치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886B1 (ko) * 2014-10-21 2015-03-12 강창규 방수부가 구비된 층간 피난사다리
KR102483319B1 (ko) * 2021-11-25 2023-01-03 (주)엔이에스 피난 사다리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5140A (ko) * 2009-03-20 2010-09-29 김문찬 해치형 피난장치의 콘크리트 타설후 시공법
KR20110014791A (ko) * 2009-08-06 2011-02-14 주식회사 사람과안전 하향식 피난사다리의 시공방법
KR101029629B1 (ko) 2009-03-25 2011-04-15 김문찬 해치형 피난장치의 철골조 시공법
KR101086075B1 (ko) 2009-06-04 2011-11-23 김문찬 서브프레임이 구비된 해치형 피난장치 및 서브프레임을 이용한 시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5140A (ko) * 2009-03-20 2010-09-29 김문찬 해치형 피난장치의 콘크리트 타설후 시공법
KR101029629B1 (ko) 2009-03-25 2011-04-15 김문찬 해치형 피난장치의 철골조 시공법
KR101086075B1 (ko) 2009-06-04 2011-11-23 김문찬 서브프레임이 구비된 해치형 피난장치 및 서브프레임을 이용한 시공법
KR20110014791A (ko) * 2009-08-06 2011-02-14 주식회사 사람과안전 하향식 피난사다리의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2551B1 (ko) 2022-09-22 2023-08-30 주식회사 에스투아이엔지니어링 고층 건물 실외기실에 설치하는 화재 대피 시설의 설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987A (ko) 201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1200954A1 (en) Modular Building
ES2745551T3 (es) Sistema de construcción modular no de soporte
CN109057039A (zh) 一种组装合成建筑及其施工方法
JP6679754B2 (ja) 組立式コンテナハウスシステム用の組立体
KR101281997B1 (ko) 조립형 하향식 피난구 및 그 설치방법
KR100969166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식 박스를 이용한 건축물
KR102099811B1 (ko) 비상 탈출용 사다리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KR102240689B1 (ko) 하향식 피난사다리 설치를 위한 바닥 개구부 형성용 거푸집 프레임
KR101290693B1 (ko) 가변형 몸체를 가진 매립형 피난사다리
RU2112114C1 (ru) Способ утепления наружных стен зданий и сооружений. утепленная наружная стена здания и сооружения
KR200196692Y1 (ko) 계단 거푸집
KR100924619B1 (ko) 조립식 계단
KR200463746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하향식 피난구
KR100642990B1 (ko) 건축물 창문틀 고정구조
ITMI20061233A1 (it) Abitazione di tipo prefabbricato e trasportabile
CN210086744U (zh) 一种高层建筑用装配式管道井
AU2011202648B2 (en) Concrete Building
JP2006336285A (ja) 改装用防水パン
JP2004251098A (ja) 災害時用折り畳み式トイレ
CN219638123U (zh) 一种拆装式建筑
KR200461828Y1 (ko) 피난구의 프레임 구조
KR200460946Y1 (ko) 견실한 방수, 훼손예방의 슬래브케이스
KR200196850Y1 (ko) 미세기 창호용 창호틀
KR102114441B1 (ko) 비상 탈출용 사다리 모듈
CN217000794U (zh) 一种预埋式爬架的底部支撑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