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5140A - 해치형 피난장치의 콘크리트 타설후 시공법 - Google Patents

해치형 피난장치의 콘크리트 타설후 시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5140A
KR20100105140A KR1020090024009A KR20090024009A KR20100105140A KR 20100105140 A KR20100105140 A KR 20100105140A KR 1020090024009 A KR1020090024009 A KR 1020090024009A KR 20090024009 A KR20090024009 A KR 20090024009A KR 20100105140 A KR20100105140 A KR 20100105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tch
evacuation device
concrete
type evacuation
po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4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2838B1 (ko
Inventor
김문찬
Original Assignee
김문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찬 filed Critical 김문찬
Priority to KR1020090024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2838B1/ko
Publication of KR20100105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5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2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2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8Built-in cupboards; Masks of niches; Covers of holes enabling access to install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해치형 피난장치의 폭보다 큰 폭의 해치를 수평, 수직 거푸집, 철근들의 배근과 함께 형성시키는 콘크리트 타설 단계;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해치 측의 수직 거푸집을 해체하고 상기 해치형 피난장치를 해치에 내삽되게 안착시키는 피난장치 안착 단계; 상기 해치형 피난장치의 외측면과 배근된 철근 단부를 결합시키는 위치 고정 단계; 및 상기 해치형 피난장치의 외측면과 양생된 콘크리트 사이에 모르타르 타설한 후 양생시키는 발코니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해치형 피난장치의 콘크리트 타설후 시공법이 제공된다.
이에 의하면, 콘크리트 타설후 해치형 피난장치가 해치 내부에 높이 및 위치 조절 가능하게 고정배치된 상태로 모르타르 타설됨으로써 발코니 바닥에 대한 정밀 시공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해치형 피난장치, 발코니, 거푸집, 철근, 배근, 용접, 콘크리트, 모르타르, 타설, 양생, 시공법, 받침대, 앙카

Description

해치형 피난장치의 콘크리트 타설후 시공법 {Concrete fonudation work method of Hatch type escaping apparatus}
본 발명은 해치형 피난장치의 콘크리트 타설후 시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타설후에 해치형 피난장치를 발코니 바닥에 매립 시공되도록 한 해치형 피난장치의 콘크리트 타설후 시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가 발생했을 때 불길과 유독가스는 주로 위쪽으로 향하기 때문에 가능한 화재발생지역보다 아래쪽으로 도피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해 발코니 바닥에 매립 설치되어 상층으로부터 하층으로의 피난경로를 제공하는 사다리가 내부에 접철 구비된 해치형 피난장치(도 1 참조)가 안출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해치형 피난장치의 경우, 화원으로부터 신속 및 효과적으로 대피할 수 있으며, 평상시 발코니 공간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활용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해치형 피난장치를 시공현장에서 콘크리트 타설후에 발코니 바닥에 시공하고자 할 경우, 매립될 소정 위치에 해치형 피난장치를 정확히 고정배치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해치형 피난장치의 콘크리트 타설후 시공법에 의하면, 상, 하층 발코니 바닥의 특정 지점에 본 피난장치를 배치시키는 과정에서 높이 및 위치 조절이 어려워 해치형 피난장치의 정밀시공이 곤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콘크리트 양생후 해치형 피난장치를 발코니 바닥에 높이 및 위치 조절하여 고정배치시킴으로써 정밀하게 매립 시공할 수 있는 해치형 피난장치의 콘크리트 타설후 시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해치형 피난장치의 콘크리트 타설후 시공법은, 해치형 피난장치의 폭보다 큰 폭의 해치를 수평, 수직 거푸집, 철근들의 배근과 함께 형성시키는 콘크리트 타설 단계;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해치 측의 수직 거푸집을 해체하고 상기 해치형 피난장치를 해치에 내삽되게 안착시키는 피난장치 안착 단계; 상기 해치형 피난장치의 외측면과 배근된 철근 단부를 결합시키는 위치 고정 단계; 및 상기 해치형 피난장치의 외측면과 양생된 콘크리트 사이에 모르타르 타설한 후 양생시키는 발코니 형성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콘크리트 위에 모르타르를 바른후 발코니 바닥을 마감시키는 미장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미장 단계에서 상기 해치형 피난장치 주변으로 오목홈이 둘러싸듯 형성되며, 이 오목홈에 실리콘을 코킹 형성시키는 방수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해치형 피난장치 높이가 발코니 바닥 높이보다 낮을 경우, 상기 해치형 피난장치가 안착될 해치 저부에 높이 조절용 받침대를 배치시키는 높이 조절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해치형 피난장치의 외측면에 철근 이음용 앙카를 외측으로 다수개 연장 설치시키는 앙카 설치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타설 단계에서는, 상기 철근의 각 일단을 수직 거푸집의 내측 방면으로 관통되게 배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 고정 단계에서는, 상기 앙카의 각 연장 부분과 철근의 각 단부를 용접 이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치형 피난장치의 콘크리트 타설후 시공법에 의하면, 콘크리트 타설후 해치형 피난장치가 해치 내부에 높이 및 위치 조절 가능하게 고정배치된 상태로 모르타르 타설됨으로써 발코니 바닥에 대한 정밀 시공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치형 피난장치의 콘크리트 타설후 시공법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본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치형 피난장치의 상부도어 개방상태를 보인 사시도, 및 도 2는 도 1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해치형 피난장치는, 사각진 관형상의 프레임(111)과, 상기 프레임(111)의 상단에 결합된 상부도어(112)와, 상기 프레임(111)과 상기 상부도어(112)사이에 개재된 회동링크부(120)와, 상기 프레임(111)의 내부에 접철 수용된 피난사다리(113)와, 상기 피난사다리(113)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상기 프레임(111)의 하단에 결합된 하부도어(11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11)은 상부개구가 상층공간으로 노출되고, 하부개구가 하층공간으로 노출되도록 발코니의 바닥(B)에 매립 설치되며, 상, 하부 도어(112)(114)가 회동되어 개방시 일측 지지시키도록 상하단에 단차진 걸림면(111a)이 각각 구비된다.
또한, 상기 상부도어(112)는 프레임(111)의 상부개구를 폐쇄하는 폐쇄위치와 프레임(111)의 상부개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 사이를 회동할 수 있도록 프레임(111)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며, 그 저면 중앙영역에 손잡이(112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동링크부(120)는 하단이 프레임(11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프레임레버(121)와, 상단이 상부도어(11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도어레버(122)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프레임레버(121)의 상단에는 요홈부(121a)가 형성되며, 그 하단을 통해 프레임(111)에 회동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레버(122)는 직선상의 단일체로 형성되되 하단에 회동제한절곡부(122a)가 구비되어, 상기 상부도어(112)가 개방될 때 회동제한절곡부(122a)가 프레임레버(121)의 요홈부(121a)에 접촉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피난사다리(113)는 각 수평발판(113a)을 잇는 한 쌍의 수평바(113b) 형태가 다수 접철된 것으로서, 최상부 수평바(113b)의 양측이 프레임(111) 내측면의 두 지점에 회동 지지되며, 하부측 수평바(113b)의 양측이 프레임(111)에 지지된 가압레버(117)에 결합되는바, 상기 가압레버(117)는 프레임(111) 상에 설치 고정된 롤러(115)의 견인선(116)에 의해 승하강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상기 가압레버(117)가 하방향으로 가압되면 상기 하부도어(114)가 개방됨과 아울러, 상기 롤러(115)가 회전 및 견인선(116)이 풀리면서 상기 피난사다리(113)는 하층 바닥을 향해 전개될 수 있게 되며, 전개된 피난사다리(113)는 별도의 감김수단(도시 생략)을 통해 상기 롤러(115)를 역회전시켜 견인선(116)을 감아올림으로써 프레임(111)의 내부로 복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도어(114)는 프레임(111)의 하부개구를 폐쇄하는 폐쇄위치와 프레임(111)의 하부개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 사이를 회동할 수 있도록 프레임(111)의 하단에 힌지 결합된다. 개방상태의 하부도어(114)는 대략 개방상태의 상 부도어(112)와 동일한 평면(도 2 참조)을 이루도록 프레임(111)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하부도어(114)는 프레임(111)에 억지끼움 형태로 폐쇄상태를 유지하다가, 가압레버(117)가 가압되어 피난사다리(113)가 펼쳐질 때 개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 해치형 피난장치의 작동법에 대해 살펴본다.
화재 발생에 따라 피난자가 상부도어(112)를 상측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프레임레버(121)와 도어레버(122)는 프레임레버(121)의 상측영역과 도어레버(122)가 직선을 이루도록 각각 프레임(111)과 상부도어(112)에 대하여 회동하게 된다.
이때 프레임레버(121)와 도어레버(122)의 회동동작은 요홈부(121a)와 회동제한절곡부(122a)가 접촉할 때까지 계속되는바, 프레임레버(121)의 요홈부(121a)와 도어레버(122)의 회동제한절곡부(122a)가 접촉할 때 상부도어(112)는 개방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다음으로 피난자가 가압레버(117)를 하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하부도어(114)가 하측으로 개방됨과 동시에 피난사다리(113)가 하층 바닥을 향해 펼쳐지게 된다.
따라서, 피난자는 손잡이(112a)를 잡은 상태로 상,하층에 연통 형성된 개구부를 따라 피난사다리(113)의 수평발판(113a)을 통해 하층으로 피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술된 본 발명의 해치형 피난장치를 발코니 바닥의 콘크리트 타설후 에 설치하기 위한 시공법에 대해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도 1의 해치형 피난장치의 콘크리트 타설후 시공법를 나타내 보인 순서도, 도 4는 도 3의 시공법에 따른 해치형 피난장치의 시공완료된 상태의 부분파단 사시도, 및 도 5는 도 4의 측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치형 피난장치의 콘크리트 타설후 시공법은 상술한 해치형 피난장치의 프레임(111)을 설치하는 프레임 설치 단계(S100)와, 마감 처리 단계(S200), 및 피난사다리 설치 단계(S300)를 포함한다.
상기한 프레임 설치 단계(S100)는 발코니 바닥에 매립될 해치형 피난장치 폭보다 큰 폭의 해치를 형성시키는 콘크리트 타설 단계(S110)와, 상기 해치형 피난장치 높이가 발코니 바닥(B) 높이(H)보다 낮을 경우, 상기 해치형 피난장치가 안착될 해치 저부(도 5의 수평 거푸집(D) 상면)에 높이 조절용 받침대(T)를 다수 개소에 배치시키는 높이 조절 단계(S115)와, 상기 해치형 피난장치를 해치에 내삽되게 안착시키는 피난장치 안착 단계(S125)와, 상기 해치형 피난장치의 외측면을 해치에 결합시키는 위치 고정 단계(S130), 및 상기 해치형 피난장치의 외측면과 해치 사이를 모르타르(M) 타설한 후 양생시키는 발코니 형성 단계(S140)를 차례로 거친다.
여기서 상기 콘크리트 타설 단계(S110)는 상기 해치형 피난장치가 매립될 발코니 바닥(B)을 형성시키기 위해 거푸집(D)을 배치시키는 거푸집 형성 단계와, 상기 거푸집(D)의 상측에 철근(I)을 다수 배열시키는 배근 단계가 선행된 후 실시된다.
상기 배근 단계에서는 해치형 피난장치 인근에 대해 그외 주변 지역보다 안정된 보강이 이루어지도록 일정 구경 이상으로 확대된 철근(I)이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이 배근 단계에서는 프레임(111)이 안착될 폭을 감안하여 지름 100mm 이상의 해치가 형성되게 철근(I) 배근이 이루어지며, 철근(I)의 일단이 타설되는 콘크리트 외측 즉, 해치 내측으로 일정길이 드러나도록 수직 거푸집(D') 내측 방면으로 관통되게 배근되어진다.
다만, 배근 단계시 위 콘크리트 타설 단계(S110)에서 철근(I)의 일단이 콘크리트 외측(해치 내측)으로 드러나지 않게 시공되었을 경우에는 별도 준비된 철근(I)을 해치 측에서 양생된 콘크리트 내측으로 해머링하여 일정깊이 삽입 고정시킴으로써 철근(I)의 일단이 해치 내측으로 일정길이 드러나게 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해치형 피난장치가 설치되는 위치는 상부도어(112)의 개방시 벽면(W)으로부터 개폐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치 측이 60mm 내지 100 mm 정도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높이 조절 단계(S115)에서 프레임(111)의 걸림면(111a)이 후술할 미장 단계(S260)의 모르타르(M) 마감 높이로부터 5mm 내지 10mm 정도 높게 배치시킴이 발코니의 물구배 측면에서 효과적이므로 받침대(T) 높이를 적절히 조절하여 해치 저부에 배치시키게 된다.
또한, 피난장치 안착 단계(S125)에 앞서 상기 프레임(111) 외측면의 각 면에 적어도 한 쌍의 "L"형 앙카(anchor; A)가 외측으로 연장되게 용접 구비되어 위치 고정 단계(S130)에서 해치측 철근(I) 단부와의 이음거리를 조절시키는 앙카 설치 단계(S120)가 선행됨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실시되는 피난장치 안착 단계(S125)에서는 해치형 피난장치의 프레임(111)이 해치 저부의 받침대(T)에 안착되어 내삽이 이루어진다.
곧이어, 위치 고정 단계(S130)에서 앙카(A)의 연장 부분과 콘크리트 외측으로 드러난 철근(I) 단부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각 꺽여진 높이조절부재(K)를 통해 용접 이음됨으로써 해치형 피난장치의 프레임(111) 외측면과 상기 철근(I) 단부와의 결합이 용이하게 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프레임(111)에 대한 발코니 상의 위치 및 높이 조절이 완료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111)의 주변으로 모르타르(M)를 타설 및 양생시키는 발코니 형성 단계(S140)가 실시됨으로써 해치형 피난장치에 대한 정밀한 매립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레임 설치 단계(100)는 상기 프레임(111)이 단독으로 설치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바, 상기 프레임(111)에 상, 하부 도어(112)(114)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께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마감 처리 단계(S200)는 콘크리트 위에 모르타르(M)를 바른후, 발코니를 마감시키는 미장 단계(S260)와, 상기 미장 단계(S260)에서 상기 해치형 피난장치 주변으로 둘러싸듯 형성되는 오목홈(O)에 실리콘(S)을 코킹 형성시키는 방수 단계(S270)를 거치게 된다.
아울러, 본 마감 처리 단계(S200)에서는 거푸집(D)과 받침대(T)를 함께 해체 시키는 해체 단계(S280)와, 하부 세대의 천정면이 고르지 않을 경우 면처리 실시되는 견출 작업 단계(S290)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항이다.
또한, 본 마감 처리 단계(S200)에서는 미장 단계(S260)에 앞서 프레임(111)의 파손을 방지하며, 경첩 부분에 모르타르가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프레임(111) 상면에 비닐커버 또는 종이 재질의 보호덮개(P)를 덮어 보양조치 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 처리된 상태에서 바닥 및 벽면을 형성하는 콘크리트에 대한 크랙(crack) 방지를 위해 미장 단계(S260) 이전에 방수층(V)을 형성시키는 방수층 형성 단계를 포함하여 실시될 수 있다.
끝으로, 상기 피난사다리 설치 단계(S300)는 마감 처리 단계(S200) 이후 프레임(111)의 벽면 방향 내측면에 피난 사다리(113)를 최상부 수평바(113b)의 양측이 회동 지지되게 접철 수용된 상태로 내삽시킴으로써 해치형 피난장치의 시공이 완료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치형 피난장치의 상부도어 개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동작 상태도,
도 3은 도 1의 해치형 피난장치의 콘크리트 타설후 시공법를 나타내 보인 순서도,
도 4는 도 3의 시공법에 따른 해치형 피난장치의 시공완료된 상태의 부분파단 사시도, 및
도 5는 도 4의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1: 프레임 111a: 걸림면
112: 상부도어 113: 피난사다리
114: 하부도어 115: 롤러
116: 견인선 117: 가압레버
120 : 회동링크부 121: 프레임레버
122: 도어레버 S100: 프레임 설치 단계
S110: 콘크리트 타설 단계 S115: 높이 조절 단계
S120: 앙카 설치 단계 S125: 피난장치 안착 단계
S130: 위치 고정 단계 S140: 발코니 형성 단계
S200: 마감 처리 단계 S260: 미장 단계
S270: 방수 단계 S280: 해체 단계
S290: 견출 작업 단계 S300: 피난사다리 설치 단계
A: 앙카 B: 발코니 바닥
D: 거푸집 I: 철근
K: 높이조절부재 M: 모르타르
T: 받침목 V: 방수층
W: 벽면

Claims (7)

  1. 해치형 피난장치의 폭보다 큰 폭의 해치를 수평, 수직 거푸집(D)(D'), 철근(I)들의 배근과 함께 형성시키는 콘크리트 타설 단계(S110);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해치 측의 수직 거푸집(D')을 해체하고 상기 해치형 피난장치를 해치에 내삽되게 안착시키는 피난장치 안착 단계(S125);
    상기 해치형 피난장치의 외측면과 배근된 철근(I) 단부를 결합시키는 위치 고정 단계(S130); 및
    상기 해치형 피난장치의 외측면과 양생된 콘크리트 사이에 모르타르(M) 타설한 후 양생시키는 발코니 형성 단계(S140);
    를 포함하는 해치형 피난장치의 콘크리트 타설후 시공법.
  2. 제 1항에 있어서,
    콘크리트 위에 모르타르(M)를 바른후 발코니 바닥(B)을 마감시키는 미장 단계(S2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치형 피난장치의 콘크리트 타설후 시공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미장 단계(S260)에서 상기 해치형 피난장치 주변으로 오목홈(O)이 둘러싸듯 형성되며, 이 오목홈(O)에 실리콘(S)을 코킹 형성시키는 방수 단계(S2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치형 피난장치의 콘크리트 타설후 시공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치형 피난장치 높이가 발코니 바닥(B) 높이(H)보다 낮을 경우, 상기 해치형 피난장치가 안착될 해치 저부에 높이 조절용 받침대(T)를 배치시키는 높이 조절 단계(S11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치형 피난장치의 콘크리트 타설후 시공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치형 피난장치의 외측면에 철근 이음용 앙카(A)를 외측으로 다수개 연장 설치시키는 앙카 설치 단계(S1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치형 피난장치의 콘크리트 타설후 시공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타설 단계(S110)에서는,
    상기 철근(I)의 각 일단을 수직 거푸집(D')의 내측 방면으로 관통되게 배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치형 피난장치의 콘크리트 타설후 시공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고정 단계(S130)에서는,
    상기 앙카(A)의 각 연장 부분과 철근(I)의 각 단부를 용접 이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치형 피난장치의 콘크리트 타설후 시공법.
KR1020090024009A 2009-03-20 2009-03-20 해치형 피난장치의 콘크리트 타설후 시공법 KR101042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009A KR101042838B1 (ko) 2009-03-20 2009-03-20 해치형 피난장치의 콘크리트 타설후 시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009A KR101042838B1 (ko) 2009-03-20 2009-03-20 해치형 피난장치의 콘크리트 타설후 시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5140A true KR20100105140A (ko) 2010-09-29
KR101042838B1 KR101042838B1 (ko) 2011-06-20

Family

ID=43009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4009A KR101042838B1 (ko) 2009-03-20 2009-03-20 해치형 피난장치의 콘크리트 타설후 시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283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629B1 (ko) * 2011-11-15 2012-03-06 주식회사 세이프테크코리아 바닥피난장치의 함체 설치 공법
KR101281997B1 (ko) * 2011-07-08 2013-07-04 (주)반초기업 조립형 하향식 피난구 및 그 설치방법
CN111764648A (zh) * 2020-06-18 2020-10-13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现浇钢筋混凝土空心楼盖用芯模
KR102484229B1 (ko) * 2022-05-12 2023-01-04 주식회사 피난테라스 비상 피난용 모듈화 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066B2 (ja) * 1982-12-15 1985-01-18 株式会社ナカ技術研究所 避難器具の収納ケ−ス
JPS6027540B2 (ja) * 1982-12-15 1985-06-29 株式会社ナカ技術研究所 建物用避難装置
JPH082376B2 (ja) * 1989-05-10 1996-01-17 株式会社ナカ技術研究所 避難装置の取付構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997B1 (ko) * 2011-07-08 2013-07-04 (주)반초기업 조립형 하향식 피난구 및 그 설치방법
KR101118629B1 (ko) * 2011-11-15 2012-03-06 주식회사 세이프테크코리아 바닥피난장치의 함체 설치 공법
CN111764648A (zh) * 2020-06-18 2020-10-13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现浇钢筋混凝土空心楼盖用芯模
KR102484229B1 (ko) * 2022-05-12 2023-01-04 주식회사 피난테라스 비상 피난용 모듈화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2838B1 (ko) 2011-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2838B1 (ko) 해치형 피난장치의 콘크리트 타설후 시공법
KR101086075B1 (ko) 서브프레임이 구비된 해치형 피난장치 및 서브프레임을 이용한 시공법
KR101184299B1 (ko) 멀티 슬립폼 장치를 이용한 통로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029629B1 (ko) 해치형 피난장치의 철골조 시공법
KR20100105139A (ko) 해치형 피난장치의 콘크리트 동시타설 시공법
KR101135473B1 (ko) 지붕층 구조시스템
CN207582659U (zh) 一种装配式卫生间沉箱、沉箱排水立管孔结构及沉箱安装结构
CN109853785A (zh) 装配整体式填充隔墙及制作安装方法
KR20110124476A (ko) 조립식 트렌치 및 이를 이용한 트렌치 구조
KR100882320B1 (ko) 결로방지용 배수판
JP4815262B2 (ja) トンネルの覆工方法及び型枠装置
KR101281997B1 (ko) 조립형 하향식 피난구 및 그 설치방법
KR101199920B1 (ko) 콘크리트 레벨 규준틀 겸용 타설용 발판
CN209277619U (zh) 预制卫生间
JP2001059256A (ja) 衛生設備機器の排水構造
KR101804280B1 (ko) 고층 건물의 피난구조물
CN109184209A (zh) 降低空鼓率的预制混凝土板隔墙系统的施工方法
KR102388525B1 (ko) 맨홀의 철개 주변 보수장치
CN102777033A (zh) 预制厨房的安装方法
CN217782979U (zh) 一种便于施工现场用洞口放线装置
KR101461142B1 (ko) 돌출부와 함몰부를 포함하는 건물 벽체 형성용 갱폼 및 이를 이용한 건물 벽체를 형성하는 방법
KR20120001447A (ko) 바닥매립식 피난 사다리의 설치공법
KR100840377B1 (ko) 선단부 캡을 이용한 구조물 기초슬래브와 콘크리트 말뚝 두부의 결합구조 및 결합 시공 방법
KR101042606B1 (ko) 맨홀철개의 마감재 타설용 거푸집
CN217734777U (zh) 建筑外墙施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