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3887A -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3887A
KR20210083887A KR1020190176643A KR20190176643A KR20210083887A KR 20210083887 A KR20210083887 A KR 20210083887A KR 1020190176643 A KR1020190176643 A KR 1020190176643A KR 20190176643 A KR20190176643 A KR 20190176643A KR 20210083887 A KR20210083887 A KR 20210083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evacuation device
escape
folding evacuation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6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매직웨이
주식회사 투웨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매직웨이, 주식회사 투웨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매직웨이
Priority to KR1020190176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3887A/ko
Publication of KR20210083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38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 E06C9/08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50Joints or other connecting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9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involving significant data processing
    • G06Q90/20Destination assistance within a business structure or complex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adder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딩 대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평상시에는 건물 외벽에 접혀있다가 화재나 비상상황 발생시에 전개되어 대피 장소 및 탈출구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여 대피자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딩 대피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 {Sliding folding evacuation device}
본 발명은 슬라이딩 대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평상시에는 건물 외벽에 접혀있다가 화재나 비상상황 발생시에 전개되어 대피 장소 및 탈출구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여 대피자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에 관한 것이다.
2018년 화재보험협회가 발간한 특수건물 화재통계·안전점검 결과 분석에 따르면 고층아파트, 병원 등 중대형 특수건물 화재로만 447명이 사망하고 737억의 재산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고층 건물의 경우 화재 발생시 건물 내부의 유독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아 실내를 통한 대피는 더욱 위험할 수 있어 건물 외부로의 대피가 요구된다.
종래 건물 외부로의 대피 및 탈출을 위한 가장 대표적인 장치로서 완강기가 설치되고 사용되어 왔는데, 건물에 고정된 고정물에 로프를 걸어 로프에 체중을 실어 지면으로 내려가도록 할 수 있는 장치이다.
그러나 그 사용법에 대해 단 한번도 훈련 받아본 적이 없는 사람이 대다수이고, 극도의 위기 상황인 화재 발생시에 단 하나의 로프에 의지하여 고층 건물의 외벽을 통해 지면으로 내려간다는 것은 일반인에게 쉽지 않은 일임이 분명하다.
재난 발생에 대비하기 위한 종래기술의 대피장치로서,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66222호[특허문헌 1]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접이 사다리만으로 이루어져 있어 아래층으로 대피하기 위한 짧은 거리를 이동함에는 문제가 없지만 아래층을 비롯한 넓은 범위의 화재 발생시에는 아래층으로 대피가 어려울 수 있고, 해당 위치에서 구조를 받으려면 사다리에 매달려 있거나 지면까지 접이 사다리만으로 대피하여야 하는데 추락의 위험이 있어 실효성이 높지 않다.
재난 발생에 대비하기 위한 종래기술의 대피장치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1659943호[특허문헌 2]에는 화재발생시 대피기능을 갖는 공동주택의 소방용 발코니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의 경우 메인로프, 제 1 및 제 2 보조로프가 개폐판에 연결되고 대피자는 안전벨트를 사용하여 완강기보다는 보다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지만, 한번에 대피할 수 있는 인원이 한정되어 있어 촉각을 다투는 화재와 같은 재난 상황에서 여러 사람이 동시에 빠른 시간 안에 대피하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66222호(20112.06.22 공개)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0-1659943호(2016.09.26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가 용이하고 유지 보수가 용이하며 재사용이 가능한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재와 같은 재난상황에서 다수의 대피자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지면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는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제 1 탈출부; 상기 제 1 탈출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하측으로 슬라이딩 되는 제 2 탈출부 및 상기 제 2 탈출부를 제 1 탈출부에 고정하거나 이격시키는 슬라이딩 조절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의 제 1 탈출부는,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 전면측에 위치하고 마감재를 포함하는 지지부;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 및 지지부를 연결시키되, 접이식으로 형성되는 제 1 연결부; 상기 고정부와 지지부가 이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 고리; 상기 잠금 고리와 와이어로 연결되어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 해제 레버;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어 지지부와 이격하여 펼쳐지는 사다리부 및 상기 지지부 및 고정부 하단 일측에 접이식으로 형성되는 제 1 발판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의 제 2 탈출부는, 상기 고정부로부터 슬라이딩 되는 제 1 슬라이딩부; 상기 지지부로부터 슬라이딩 되고 차단부재를 포함하는 제 2 슬라이딩부; 상기 제 1 슬라이딩부 및 제 2 슬라이딩부를 연결시키되, 접이식으로 형성되는 제 2 연결부 및 상기 슬라이딩 조절부에 안착되는 걸쇠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의 제 2 탈출부는, 상기 제 1 슬라이딩부 및 제 2 슬라이딩부의 하측에 연결되는 제 2 발판부를 더 포함하는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의 제 2 발판부는, 아래층의 제 1 탈출부가 전개되면서 아래층의 잠금 해제 레버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에 의해 상기 제 2 발판부가 제 2 슬라이딩부와 결합된 부분이 분리되어 제 1 슬라이딩부쪽으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의 슬라이딩 조절부는, 대피자로부터 직접적으로 힘이 가해지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되어 이동 가능한 제 1 이동부재; 상기 제 1 이동부재가 이동함으로써 회전 가능하고, 아래 층의 잠금 해제 레버와 와이어로 연결되어 잠금 해제하는 회전부재; 상기 제 1 이동부재와 연결되어 이동 가능한 제 2 이동부재; 상기 제 1 이동부재 및 제 2 이동부재에 삽입된 고정핀; 상기 제 2 이동부재와 연결되어 회동 가능하며 제 2 탈출부의 걸쇠부를 고정 및 이격시키는 걸쇠 고정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의 제 2 이동부재는, 하단에 가로 방향의 장홀을 포함하고, 상기 장홀에 고정핀이 걸려 있어 상기 제 1 이동부재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장홀의 왼쪽 끝단에 고정핀이 도달하는 순간부터 제 2 이동부재가 이동하기 시작하고, 상기 제 2 이동부재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걸쇠 고정부가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의 사다리부는, 상기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사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는, 상기 지지부와 탄성부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는 상기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의 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감지센서; 상기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를 실시간으로 촬영하도록 구비되는 영상기록장치 및 상기 감지센서와 상기 영상기록장치의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비되는 시스템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가 상기 잠금 해제 레버에 의해 작동하게 되면, 상기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의 전개시각 및 위치를 상기 시스템 서버로 전송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의 영장기록장치는, 상기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의 일측에 상기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의 전면이 촬영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상기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가 작동하게 되면 상기 영상기록장치에 의해 대피 상황이 기록되어 상기 시스템 서버에 전송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의 사다리부는, 상기 지지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수직부 및 타단이 상기 수직부 상단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수평부를 포함하여, 잠금해제 시 상측이 고정부 측으로 회동되는 회동바; 일단이 상기 수평부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수평부와 중첩되게 설치되는 연결바 및 상부 및 하부 양측에 상기 연결바 타단이 각각 연결되는 사다리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는 대피자가 건물 외부를 통해 안전하고 용이하게 지상으로 대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는 평상시에는 건물 외벽에 접혀진 상태로 있다가 화재와 같은 비상시에 용이하게 전개되어 대피 및 탈출하여 인명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는 설치가 용이하고 비상시에 사용 후에 다시 용이하게 접을 수 있어 재사용이 가능하며, 유지 보수도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는 마감재 및 차단부재를 포함하여 고소공포증이 있는 대피자의 경우에도 침착하게 대피 및 탈출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는 대피자의 최소한의 작동만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하여 극도의 긴장 상황에서도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는 전개 과정에서 대피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작동상의 문제로 인해 대피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는 비상시에 별도로 구조요청을 하지 않아도 장치가 작동하는 것을 감지하여 작동 영상이 서버로 전송될 수 있어 신속한 구조 및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는 전개 과정에서 대피자의 별도의 개입 없이도 사다리가 자동으로 전개되도록 하여 용이하게 탈출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가 건물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가 평상시 접혀진 상태를 보인 정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가 평상시 접혀진 상태를 보인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가 비상시 전개된 상태를 보인 정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가 비상시 전개된 상태를 보인 후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의 슬라이딩 조절부의 사시도
도 7의 (a),(b),(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의 슬라이딩 조절부의 동작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의 제 2 탈출부가 전개된 상태를 보인 정면 사시도
도 9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의 제 2 탈출부가 전개된 상태를 보인 후면 사시도
도 10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의 제 2 발판부가 개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 2 탈출부가 전개된 상태를 보인 후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의 작동을 감지하고 영상으로 기록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의 후면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는 아파트, 오피스텔과 같이 고층 건물에 복수 개로 설치되어, 화재, 지진 등 재난 발생시 고층에서 지상까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는 층고가 낮은 건물 외측에 단독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대피 장치의 설치 장소가 특정하게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건물 외측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어떤 장소라도 설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가 평상시 접혀진 상태를 보인 정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가 평상시 접혀진 상태를 보인 후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1)는 제 1 탈출부(100), 제 2 탈출부(200) 및 슬라이딩 조절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탈출부(100)는 건물 외벽에 설치될 수 있다.
제 2 탈출부(200)는 제 1 탈출부(100)의 내측에 설치되어 하측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슬라이딩 조절부(300)는 제 2 탈출부(200)를 제 1 탈출부(100)에 고정하거나 이격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비상시가 아닌 평상시에는 제 1 탈출부(100) 및 제 2 탈출부(200)는 잠금 고리(150)에 의해 잠금 되어 건물 외벽에 접힌 상태로 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로써 평상시에는 건물 외벽에 접혀진 상태로 있다가 화재와 같은 비상시에 용이하게 전개되어 대피 및 탈출하여 인명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설치가 용이하고 비상시에 사용 후에 다시 용이하게 접을 수 있어 재사용이 가능하며, 유지 보수도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가 비상시 전개된 상태를 보인 정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가 비상시 전개된 상태를 보인 후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1)는 제 1 탈출부(100)는 고정부(110), 지지부(120), 제 1 연결부(130), 잠금 고리(150), 잠금 해제 레버(160), 사다리부(170) 및 제 1 발판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10)는 외벽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사각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20)는 고정부(110)의 전면측에 위치하는 사각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고, 마감재(180)를 포함할 수 있다.
마감재(180)는 지지부(120)의 내측에 구비되어, 직사각형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고층에서 대피자가 대피함에 있어 고층으로 인한 공포감이나 불안감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면 시야를 차단할 수 있다.
제 1 연결부(130)는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부(110) 및 지지부(120)를 연결할 수 있다.
한 예로, 제1 연결부(130)는 2개의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2 개의 연결부재는 힌지로 연결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좌우로 회동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재는 사각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연결부(130)는 한개의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연결부재는 일측이 힌지로 고정부(110) 또는 지지부(120)와 연결되어, 타측이 제1 탈출부(100) 내측으로 회동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재는 사각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 1 연결부(130)는 접철식으로 구성된 X 모양 바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2 탈출부(200)와 인접한 제 1 연결부(130)는 제 2 탈출부(200)를 간섭하지 않도록 접철식으로 구성된 X 모양 밴드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제 1 연결부(130)는 측면으로의 추락을 방지하고 탈출 시 사다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비상시가 아닌 평상시에는 고정부(110)와 지지부(120)가 밀착하여 제 1 탈출부(100)가 건물의 외벽에 접힌 상태에 있는데, 잠금 고리(150)는 고정부(110)의 좌측 및 우측에 구비될 수 있어 고정부(110)와 지지부(120)가 이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잠금 해제 레버(160)는 잠금 고리(150)와 와이어(미도시)로 연결될 수 있어, 대피자가 잠금 해제 레버(160)를 당기면 잠금 해제 레버(160)와 연결된 와이어(미도시)에 장력이 발생하게 되고, 와이어(미도시)에 발생한 장력에 의해 잠금 고리(150)가 해제되어 제 1 탈출부(100)가 전개될 수 있다. 이로써 대피자의 최소한의 작동만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하여 극도의 긴장 상황에서도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사다리부(170)는 지지부(120)의 일측에 연결되어 지지부(120)와 이격하여 펼쳐질 수 있다.
사다리부(170)는 수직부(173) 및 사다리(176)를 포함할 수 있고, 사다리(176)는 수직부(173)를 통해 지지부(120)와 연결될 수 있다.
수직부(173)는 지지부(120)에 탄성부재(미도시)로 연결되어 제 1 탈출부(100)가 전개되면서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회동할 수 있고, 이로부터 수직부(173)가 지지부(12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로써 전개 과정에서 대피자의 별도의 개입 없이도 사다리(176)가 자동으로 전개되도록 하여 용이하게 탈출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제 1 발판부(140)는 지지부(120) 및 고정부(110) 하단 일측에 접이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발판부(140)는 중심 축을 기준으로 반으로 접힐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의 슬라이딩 조절부의 사시도이고, 도 7의 (a),(b),(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의 슬라이딩 조절부의 동작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슬라이딩 조절부(300)는 손잡이부(310), 제 1 이동부재(320), 회전부재(350), 제 2 이동부재(330), 고정핀(340) 및 걸쇠 고정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310)는 대피자로부터 직접적으로 힘이 가해질 수 있다.
제 1 이동부재(320)는 손잡이부(310)와 연결되어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제 1 이동부재(320)는 걸림부(321)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321)는 제 1 이동부재(320)의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회전부재(350)를 회동시킬 수 있다.
회전부재(350)는 제 1 이동부재(320)가 이동함으로써 회전 가능하고, 아래 층의 잠금 고리(150)와 와이어(미도시)로 연결되어 회전부재(350)가 회동함에 따라 아래층의 제 1 탈출부(100)를 전개시킬 수 있다.
제 2 이동부재(330)는 제 1 이동부재(320)와 고정핀(340)으로 연결되어 이동할 수 있다.
고정핀(340)은 제 1 이동부재(320)에 고정되어 장홀(33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 2 이동부재(330)는 제 1 이동부재(320)에 설치된 고정핀(340)이 제 2 이동부재(330)의 장홀(331)을 따라 이동하다가 고정핀(340)이 장홀(331)의 끝단에 닿는 순간부터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도 7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설명한다.
걸쇠 고정부(360)는 제 2 이동부재(330)와 연결되어 회동 가능하며 제 2 탈출부(200)의 걸쇠부(240)를 고정 및 이격시킬 수 있다.
도 7의 (a),(b),(c)를 참조하면, 슬라이딩 조절부(300)가 동작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7의 (a)와 같은 상태에서 대피자에 의해 손잡이부(310)에 힘이 가해지면 도면 상에서 우측으로 손잡이부(310)가 이동하게 되고 손잡이부(310)와 연결된 제 1 이동부재(320)에도 힘이 전달되어 손잡이부(310)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제 1 이동부재(320)도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도 7의 (b)와 같이 제 1 이동부재(320)가 이동하면서 제 1 이동부재(320)의 걸림부(321)에 의해 회전부재(350)의 상부에 힘이 가해져 회동할 수 있다.
회전부재(350)가 회동하면서 회전부재(350)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미도시)에 장력이 걸릴 수 있고, 이로부터 와이어(미도시)의 반대쪽 끝단에 연결되어 있는 아래층의 잠금 고리(150)가 해제되어 아래층의 제 1 탈출부(100)가 전개될 수 있다.
도 7의 (c)와 같이 제 1 이동부재(320)에 삽입된 고정핀(340)은 제 2 이동부재(330)의 장홀(331)을 따라 손잡이부(310) 이동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고정핀(340)이 장홀(331)의 반대쪽 끝단에 닿는 순간부터 제 2 이동부재(330)의 하부에 힘이 가해져 제 2 이동부재(330)도 손잡이부(310) 이동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 2 이동부재(330)가 이동하면서 걸쇠 고정부(360)(110)의 상단에 힘이 가해져 이동할 수 있고, 걸쇠 고정부(360)의 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걸쇠 고정부(360)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동하게 되면 걸쇠 고정부(360)에 안착되어 있던 걸쇠부(240)가 걸쇠 고정부(360)로부터 이격되기 시작하여 제 2 탈출부(200)가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의 제 2 탈출부가 전개된 상태를 보인 정면 사시도이고, 도 9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의 제 2 탈출부가 전개된 상태를 보인 후면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 1 탈출부(100) 및 제 2 탈출부(200)가 전개되고, 슬라이딩 조절부(300)에 의해 잠금이 해제되어 제 2 탈출부(200)가 제 1 탈출부(100)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 2 탈출부(200)는 제 1 슬라이딩부(210), 제 2 슬라이딩부(220), 제 2 연결부(230), 걸쇠부(240) 및 차단부재(2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슬라이딩부(210)는 사각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고, 고정부(110)로부터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제 2 슬라이딩부(220)는 사각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격자 프레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부(120)로부터 슬라이딩 될 수 있다.
고정부(110) 및 지지부(120)는 제 1 슬라이딩부(210) 및 제 2 슬라이딩부(220)가 이동할 때 축이 되는 가이드축(111)을 포함할 수 있고, 제 1 슬라이딩부(210) 및 제 2 슬라이딩부(220)는 상기 가이드축(111)을 따라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제 1 슬라이딩부(210) 및 제 2 슬라딩부(220)는 가이드축(111)과 결합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체결부(260)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안전을 고려하여 적어도 2개 이상의 체결부(260)로 연결되는 것이 좋다.
체결부(260)는 제 2 탈출부(200)가 상하 이동시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내측에 볼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연결부(230)는 제 1 슬라이딩부(210) 및 제 2 슬라이딩부(220)를 연결시키되, 접이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연결부(230)는 제 1 슬라이딩부(210)와 제 2 슬라이딩부(220) 사이의 힌지를 중심으로 연결될 수 있고 수평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어 이로써 제 2 탈출부(200)가 내측으로 접힐 수 있다.
걸쇠부(240)는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제 2 슬라이딩부(22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고, 슬라이딩 조절부(300)의 걸쇠 고정부(360)의 끝단에 안착될 수 있다.
차단부재(250)는 제 2 슬라이딩부(220)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고, 회동되어 각도 조절이 가능할 수 있어 대피자가 아래쪽으로 이동 시 차단막 역할을 할 수 있다.
대피자는 이 상태에서 제 1 탈출부(100)의 제 1 발판부(140)로부터 제 2 탈출부(200)로 내려갈 수 있다.
대피자는 제 2 탈출부(200)의 제 2 연결부(230)나 제 2 슬라이딩부(220)의 격자 프레임을 딛고 아래층의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1)로 내려갈 수 있어 최종적으로는 지면으로 대피할 수 있다.
이로써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1)는 마감재(180) 및 차단부재(250)를 포함할 수 있어 고소공포증이 있는 대피자의 경우에도 침착하게 대피 및 탈출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의 제 2 발판부가 개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 2 탈출부(200)가 전개된 상태를 보인 후면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1)를 통해 대피하는 경우에 아래층의 제 1 탈출부(100)가 전개되지 않으면 제 2 발판부(270)가 회동되지 않을 수 있다.
아래층의 제 1 탈출부(100)는 윗층의 슬라이딩 조절부(300)의 작동으로 전개될 수 있는데, 슬라이딩 조절부(300)의 작동상의 문제로 인해 아래층의 제 1 탈출부(100)가 전개되지 않으면 제 2 탈출부(200)를 통해 내려가는 과정에서 대피자는 추락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 2 발판부(270)는 아래층의 제 1 탈출부(100)가 전개되어야만 제 1 슬라이딩부(210) 측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는 제 2 발판부(270)가 와이어(미도시)로 아래층의 잠금 해제 레버(160)와 연결되어 있어 아래층의 잠금 해제 레버(160)가 작동이 되어야만 위층의 제 2 발판부(270)가 회동할 수 있는 원리이다.
이로써 전개 과정에서 대피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작동상의 문제로 인해 대피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의 작동을 감지하고 영상으로 기록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1)는 감지 센서(400), 영상 기록 장치(410), 서버(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 센서(400)는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의 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감지 센서(400)는 지지부(120)와 고정부(110) 상단에 위치하여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1)가 잠금 해제 레버(160)에 의해 작동하게 되면,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1)의 전개 시각 및 위치를 서버(420)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 기록 장치(410)는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1)를 실시간으로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영상 기록 장치(410)는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1)의 일측에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1)의 전면이 촬영되도록 형성되고,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1)가 작동하게 되면 상기 영상 기록 장치(410)에 의해 대피 상황에 기록되어 서버(42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420)는 상기 감지 센서(400)와 영상 기록 장치(410)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로써 비상시에 별도로 구조요청을 하지 않아도 장치가 작동하는 것을 감지하여 작동 영상이 서버로 전송될 수 있어 신속한 구조 및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1)의 제 2 탈출부(200)의 제 1 슬라이딩부(210) 및 제 2 슬라이딩부(220)의 상단 프레임은 하부에 완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탈출부(200)가 제 1 탈출부(100) 하측으로 가이드축(111)을 따라 하강할 수 있는데, 제 1 슬라이딩부(210) 및 제 2 슬라이딩부(220)의 상단 프레임이 제 1 탈출부(100)의 고정부(110) 및 지지부(120)의 하단 프레임에 걸리면서 하강을 멈출 수 있다.
멈추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으로 인해 균열이 생길 수 있어 제 2 탈출부(200)가 완전히 분리되어 낙하할 가능성도 있고, 충격으로 인해 큰 소음이 발생하여 대피자가 침착하게 대피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슬라이딩부(210) 및 제 2 슬라이딩부(220)의 상단 프레임이 하부에 완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어 충격을 흡수하여 균열 및 소음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2 탈출부(200)와 제 1 탈출부(100)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와이어로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1)의 제 2 탈출부(200)가 하강할 때 하강하는 가속도를 감소시켜 멈추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격 및 소음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1)의 제 1 탈출부(100)의 사다리부(170)는 중력에 의해 고정부(110) 측으로 펼쳐져 지지부(120)와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다리부(170)는 중력에 의해 펼쳐질 수 있도록 무게 중심이 고정부(110) 측으로 형성되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 회동바(172), 연결바(175) 및 사다리(176)를 포함할 수 있다.
회동바(172)는 4개가 지지부(120)에 사각 형상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잠금해제 시 제 1 탈출부(100)가 전개됨에 따라 상측이 고정부(110)측으로 회동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회동바(172)는 수직부(173) 및 수평부(174)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부(173)는 하단이 지지부(12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수평부(174)는 타단이 수직부(173) 상단에 수직으로 연결되고, 일단에 연결바(175)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연결바(175)는 일단이 수평부(174)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타단이 사다리(176)에 연결되어, 수평부(174)와 중첩되게 설치되고, 잠금 고리(150)의 잠금해제 시 제 1 탈출부(100)가 전개됨에 따라 회동바(172)가 회전하여 회동바(172)의 수평부(174)와 수직 상태가 될 수 있다.
사다리(176)는 상부 및 하부 양측에 연결바(175) 타단이 각각 연결되어 마감재(180)와 인접되게 설치되고, 잠금 고리(150)의 잠금 해제 시 제 1 탈출부(100)가 전개됨에 따라 회동바(172)가 회전하여 펼쳐지는 것으로 마감재(180)와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마감재(180)와 사다리(176) 간에 이격 공간에 형성됨에 따라 대피자가 사다리(176)를 용이하게 밟고 대피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사다리부(170)는 상기와 같이 형성될 수 있어 사다리부(170)의 무게 중심이 고정부(110) 측으로 형성됨으로써, 제 1 탈출부(100)가 전개되면 중력에 의해 펼쳐질 수 있는 것이다. 이로써 전개 과정에서 대피자의 별도의 개입 없이도 사다리(176)가 자동으로 전개되도록 하여 용이하게 탈출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장치
100 제 1 탈출부
110 고정부
111 가이드축
120 지지부
130 제 1 연결부
140 제 1 발판부
150 잠금 고리
160 잠금 해제 레버
170 사다리부
171 사다리 연결부
172 회동바
173 수직부
174 수평부
175 연결바
176 사다리
180 마감재
200 제 2 탈출부
210 제 1 슬라이딩부
220 제 2 슬라이딩부
230 제 2 연결부
240 걸쇠부
250 차단부재
260 체결부
270 제 2 발판부
300 슬라이딩 조절부
310 손잡이부
320 제 1 이동부재
321 걸림부
330 제 2 이동부재
331 장홀
340 고정핀
350 회전부재
360 걸쇠 고정부
400 감지 센서
410 영상 기록 장치
420 서버

Claims (11)

  1. 건물에 외벽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에 있어서,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제 1 탈출부;
    상기 제 1 탈출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하측으로 슬라이딩 되는 제 2 탈출부 및
    상기 제 2 탈출부를 제 1 탈출부에 고정하거나 이격시키는 슬라이딩 조절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탈출부는,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 전면측에 위치하고 마감재를 포함하는 지지부;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 및 지지부를 연결시키되, 접이식으로 형성되는 제 1 연결부;
    상기 고정부와 지지부가 이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 고리;
    상기 잠금 고리와 와이어로 연결되어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 해제 레버;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어 지지부와 이격하여 펼쳐지는 사다리부 및
    상기 지지부 및 고정부 하단 일측에 접이식으로 형성되는 제 1 발판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탈출부는,
    상기 고정부로부터 슬라이딩 되는 제 1 슬라이딩부;
    상기 지지부로부터 슬라이딩 되고 차단부재를 포함하는 제 2 슬라이딩부;
    상기 제 1 슬라이딩부 및 제 2 슬라이딩부를 연결시키되, 접이식으로 형성되는 제 2 연결부 및
    상기 슬라이딩 조절부에 안착되는 걸쇠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탈출부는,
    상기 제 1 슬라이딩부 및 제 2 슬라이딩부의 하측에 연결되는 제 2 발판부를 더 포함하는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발판부는,
    아래층의 제 1 탈출부가 전개되면서 아래층의 잠금 해제 레버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에 의해 상기 제 2 발판부가 제 2 슬라이딩부와 결합된 부분이 분리되어 제 1 슬라이딩부쪽으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조절부는,
    대피자로부터 직접적으로 힘이 가해지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되어 이동 가능한 제 1 이동부재;
    상기 제 1 이동부재가 이동함으로써 회전 가능하고, 아래 층의 잠금 해제 레버와 와이어로 연결되어 잠금 해제하는 회전부재;
    상기 제 1 이동부재와 연결되어 이동 가능한 제 2 이동부재;
    상기 제 1 이동부재 및 제 2 이동부재에 삽입된 고정핀;
    상기 제 2 이동부재와 연결되어 회동 가능하며 제 2 탈출부의 걸쇠부를 고정 및 이격시키는 걸쇠 고정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동부재는,
    하단에 가로 방향의 장홀을 포함하고,
    상기 장홀에 고정핀이 걸려 있어 상기 제 1 이동부재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장홀의 왼쪽 끝단에 고정핀이 도달하는 순간부터 제 2 이동부재가 이동하기 시작하고,
    상기 제 2 이동부재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걸쇠 고정부가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부는,
    상기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사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는,
    상기 지지부와 탄성부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부는,
    상기 지지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수직부 및 타단이 상기 수직부 상단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수평부를 포함하여, 잠금해제 시 상측이 고정부 측으로 회동되는 회동바;
    일단이 상기 수평부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수평부와 중첩되게 설치되는 연결바 및
    상부 및 하부 양측에 상기 연결바 타단이 각각 연결되는 사다리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는,
    상기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의 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감지센서;
    상기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를 실시간으로 촬영하도록 구비되는 영상기록장치 및
    상기 감지센서와 상기 영상기록장치의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비되는 시스템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가 상기 잠금 해제 레버에 의해 작동하게 되면, 상기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의 전개시각 및 위치를 상기 시스템 서버로 전송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영장기록장치는,
    상기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의 일측에 상기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의 전면이 촬영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상기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가 작동하게 되면 상기 영상기록장치에 의해 대피 상황이 기록되어 상기 시스템 서버에 전송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
KR1020190176643A 2019-12-27 2019-12-27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 KR202100838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643A KR20210083887A (ko) 2019-12-27 2019-12-27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643A KR20210083887A (ko) 2019-12-27 2019-12-27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887A true KR20210083887A (ko) 2021-07-07

Family

ID=76862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6643A KR20210083887A (ko) 2019-12-27 2019-12-27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38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11729A1 (ko) * 2022-11-25 2024-05-30 주식회사 매직웨이 비상대피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6222A (ko) 2010-12-14 2012-06-22 전영세 화재 또는 가스 누출시 긴급 대피용 하향식 피난 사다리 장치
KR101659943B1 (ko) 2016-05-30 2016-09-26 현대공영(주) 화재발생시 대피기능을 갖는 공동주택의 소방용 발코니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6222A (ko) 2010-12-14 2012-06-22 전영세 화재 또는 가스 누출시 긴급 대피용 하향식 피난 사다리 장치
KR101659943B1 (ko) 2016-05-30 2016-09-26 현대공영(주) 화재발생시 대피기능을 갖는 공동주택의 소방용 발코니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11729A1 (ko) * 2022-11-25 2024-05-30 주식회사 매직웨이 비상대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2205B1 (ko) 고층 건물에서의 안전한 화재 피난 시스템
KR102141719B1 (ko) 화재 및 재난 피난장치
KR102021931B1 (ko)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KR101684335B1 (ko)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KR102096210B1 (ko)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
KR101035081B1 (ko) 아파트의 난간을 이용한 완강기
WO2018230836A1 (ko) 발코니 난간대 겸용 화재·재난 피난 시설
KR100937336B1 (ko) 화재 도피 수단이 구비된 안전 난간대
KR101976476B1 (ko) 화재 재난용 긴급탈출 승강장치
KR20070060646A (ko) 비상시 건물 탈출용 사다리 구조
KR101892255B1 (ko) 화재 대피장치
KR101043592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20210083887A (ko)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
KR20230112464A (ko) 화재 대피용 난간
KR101913093B1 (ko) 건물용 비상 탈출장치
KR102252742B1 (ko)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KR102085587B1 (ko) 접이식 대피장치
KR20110127349A (ko) 긴급대피용 피난장치
KR101922174B1 (ko) 전개형 화재 대피 장치
KR100613879B1 (ko) 난간 대피장치
KR101141297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101922173B1 (ko) 화재 피난 장치
KR102105877B1 (ko)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소방용 베란다 완강기
JP2004324283A (ja) 避難用梯子
KR20100007575U (ko) 비상탈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