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3986B1 - 건물일체형 화재대피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대피 방법 - Google Patents

건물일체형 화재대피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대피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3986B1
KR101733986B1 KR1020160172458A KR20160172458A KR101733986B1 KR 101733986 B1 KR101733986 B1 KR 101733986B1 KR 1020160172458 A KR1020160172458 A KR 1020160172458A KR 20160172458 A KR20160172458 A KR 20160172458A KR 101733986 B1 KR101733986 B1 KR 101733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bottom plate
signal
hole
alarm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2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림
Original Assignee
최영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림 filed Critical 최영림
Priority to KR1020160172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39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3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3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43Floor structures of extraordinary design; Features relating to the elastic stability; Floor structures specially designed for resting on columns only, e.g. mushroom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52Ladders in general with non-rigid longitudinal members
    • E06C1/54Ladders in general with non-rigid longitudinal members of the lazy-tongs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2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rigidly mount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1Signalling to an emergency team, e.g. firemen

Landscapes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일체형 화재대피 구조물 및 그 설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가 외부 환경에 의해 깨지지 않는 한도 내에서 관통공을 형성하기 위해, 고층건물의 벽면 또는 슬라브에 수평선상으로 연장되도록 고정 설치되고, 일측부에 사람이 통과할 수 있고 내부에 사다리를 포함한 피난장치가 배치되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고층건물의 피난구조물용 바닥판부재; 상기 바닥판부재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 벽면 또는 슬라브의 철근에서 연장되어, 상기 관통구 부분을 제외한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격자 형상으로 삽입되는 바닥판 철근;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바닥판 철근에 타설되는 바닥판 콘크리트층;으로 구성된 건물일체형 화재대피 구조물 및 그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물일체형 화재대피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대피 방법{Floor structures of building evacuation member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건물일체형 화재대피 구조물 및 그 설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층건물의 벽면 또는 슬라브에 수평선상으로 연장되도록 고정 설치되고, 일측부에 사람이 통과할 수 있고 내부에 사다리를 포함한 피난장치가 배치되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고층건물의 피난구조물용 바닥판부재; 상기 바닥판부재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 벽면 또는 슬라브의 철근에서 연장되어, 상기 관통구 부분을 제외한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격자 형상으로 삽입되는 바닥판 철근;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바닥판 철근에 타설되는 바닥판 콘크리트층;으로 구성된 건물일체형 화재대피 구조물 및 그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건물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화재를 피할 수 있는 공간이 없고 다른 곳으로 피할 수 있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뜨거운 화염과 연기에 포함된 유독가스로 인하여 큰 피해를 입는 경우가 많다.
아파트나 빌라와 같은 다층 구조물은 화재나 지진과 같은 비상시에 거주자가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비상탈출수단이 구비되는데, 베란다 또는 베란다 난간에 설치하여 위층에서 아래층으로 피난할 수 있도록 제안된 비상탈출 장치로 하향식 피난구가 있다.
그런데, 이러한 하향식 피난구의 경우, 화재 발생 등 비상시가 아닌 경우에도 상부커버 또는 하부커버의 임의 개방이 가능하여, 타인이 언제든지 윗집 또는 아랫집으로 쉽게 이동하여 무단 침입할 수 있다는 점에서 범죄 및 사생활 침해의 소지가 높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또한 하측부에 지지용 브라켓을 조립하는 방식에서 기존 고층건물의 벽면에 수평선상으로 연장되는 콘크리트 부재는 면적을 크게 차지하고, 자재도 많이 들어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024910호 한국등록특허 제115378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바닥판부재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에 벽면 또는 슬라브의 철근에서 연장되어 격자형상인 바닥판 철근을 타설하여 종래 보다 설치 공정이 줄어든 건물일체형 화재대피 구조물 및 그 설치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용공간 내부로 격자 형상으로 삽입되는 바닥판 철근과 여기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소음, 진동, 부식, 풍량, 풍압, 아파트 미관에 향상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건물일체형 화재대피 구조물 및 그 설치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층건물의 벽면 또는 슬라브에 수평선상으로 연장되도록 고정 설치되고, 일측부에 사람이 통과할 수 있고 내부에 사다리를 포함한 피난장치가 배치되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고층건물의 피난구조물용 바닥판부재; 상기 바닥판부재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 벽면 또는 슬라브의 철근에서 연장되어, 상기 관통구 부분을 제외한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격자 형상으로 삽입되는 바닥판 철근;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바닥판 철근에 타설되는 바닥판 콘크리트층;을 포함한다.
상기 관통구의 측면에는 알람 장치가 부착되어, 전용선이나 무선으로 아래층 또는 위층 또는 아파트 관리실 또는 관리 담당자의 단말기에 알람신호를 전송한다.
본 발명은 피난장치가 배치되는 관통구의 커버에 설치되거나, 관통구의 수직면에 부착되는 센서; 상기 커버를 열거나, 사람이 통과할 경우를 감지하여 알람 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람 장치; 원격지의 보호자나 담당 행정 기관에 상기 알람 신호를 전달하는 통신 모듈; 내부에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AP)를 포함하고 뒷면 플러그로 전원 플러그에 꽂아두고, 앞면 플러그에는 다른 전원 기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실내 신호기;를 포함하는 건물일체형 화재대피 구조물을 이용한 대피 방법에 있어,
상기 알람 장치를 통해 미리 저장된 외부인에게 알람을 전송하고, 상기 알람 장치를 통해 전용선이나 무선으로 아래층 또는 위층 또는 아파트 관리실 또는 관리 담당자의 단말기에 알람신호가 거리 순에 따라 우선적 또는 순차적으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알람 신호는 독거노인 또는 장애인이나 어린 아이인 경우,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원격지의 보호자나 담당 행정 기관에 전달하며, 상기 관리 담당자가 외부에 있는 경우 관련 앱을 통해 상기 알람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알람 신호에 대해 일정 시간 이내에 알림 확인 신호를 다시 보내지 아니하면 차순위자에게 알람 신호를 자동으로 보내고, 알람수가 일정치 이상인 경우 알람을 중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AP)에서 발생한 알람 신호가 감지되었을 경우, 상기 알람 장치로 경보를 울리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은 브라켓 조립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벽면 또는 슬라브에서 수평선상으로 연장되는 철근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종래보다 설치 면적, 안정성, 및 공정이 줄어든다.
또한 본 발명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외부충격 등에 의해 바닥판부재에 소음 및 진동이 발생될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부식될 우려가 없고, 나아가 풍량과 풍압에 영향을 받지 않고, 종래 보다 사이즈를 줄일 수 있어 제조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알람방식을 스마트하게 개선하여 현 사회의 시대적 수준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여 관련 사업을 성장시키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래 발명과의 비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직 철근을 삽입하지 않은 상태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철근을 삽입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건물일체형 화재대피 구조물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측면도이다.
도 10 a,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건물일체형 화재대피 구조물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물일체형 화재대피 구조물을 통한 알람 방식을 보여주는 플로챠트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물일체형 화재대피 구조물을 통한 알람 방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물일체형 화재대피 구조물을 통한 알람 방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벽체 콘센트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알람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브라켓 조립 방식에 의한 화재대피 피난 난간의 구조물은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균열이나 깨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최소 300mm가 유지되어야 하므로 관통공으로 부터 300mm 이상을 확보하여야 하므로 폭은 1200mm 이상, 길이는 2100mm 이상의 큰 면적을 차지하게 된다. 이러한 콘크리트 시공방법은 피난 난간의 면적을 크게 차지하게 되므로 자재비용과 인건비가 상승하게 되고 미관에도 좋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외곽선으로부터 300mm 이격되어 관통공이 설치되어야 하는 현재 기준 도 1(a)를 극복하기 위해 도 1(b)와 같이 폭 700mm, 길이 1450mm로 종래 면적의 40% 정도의 최소면적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게 되었다.
자세하게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닥판부재(10), 수용공간(15), 바닥판 철근(11, 12), 바닥판 콘크리트층(미도시), 난간대(34), 알람 장치(35) 등으로 구성된다.
바닥판부재(10)는 고층건물의 벽면 또는 슬라브에 수평선상으로 연장되도록 고정설치되고, 일측부에 사람이 통과할 수 있고 내부에 절첩식 사다리(36)를 포함한 피난장치가 배치되는 관통구(20)가 형성되는 고층건물의 피난구조물용 부재이다.
또한 바닥판부재(10)는 철 등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일측부 또는 타측부에는 사람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구(20)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관통구(20)의 내부에는 절첩식 사다리(36)를 포함한 피난장치가 배치된다.
상기 관통구(20)의 상부에는 상기 관통구(20)를 개폐하는 커버(21, 22)가 힌지(211)로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21, 22)의 전측 하부가 상기 관통구(20)의 전측 상부 주변의 상기 바닥판부재(10)의 상부에 축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21, 22)의 후측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관통구(20)를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및 하부 개구를 각각 개폐하는 커버(21, 22), 즉, 상부커버(21) 및 하부커버(22)와, 상기 바닥판부재(10)의 내부 수용공간(15)에 배치되는 절첩식 사다리(36)로 구성되며, 화재 등 비상시에 위층 베란다에 노출된 상부커버(21)를 개방하면 아래층 베란다에 노출된 하부커버(22)가 동시에 개방되면서 바닥판부재(10)의 내부 수용공간(15)에 배치된 절첩식 사다리(36)가 펼쳐지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수용공간(15)은 상기 바닥판부재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으로서, 바닥판 철근과 바닥판 콘크리트층이 들어갈 부분이다.
도 7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 철근(11, 12)은 벽면 또는 슬라브의 철근에서 연장되어, 상기 관통구(20) 부분을 제외한 상기 수용공간(15) 내부로 격자 형상으로 삽입되는 철근이다.
바닥판 철근(11, 12)은 격자 형상이 한 겹 또는 그 이상으로 삽입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일체형 화재대피 구조물은 콘크리트로만 되어 있는 바닥판부재(10) 보다 적은 테두리 마진을 가지고 있어도 일정치의 내구성을 만족함으로써 한 겹의 바닥판 철근(11, 12)으로도 건설 기준을 준수하면서 안정성이 있다.
그리고 나서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판부재(10)의 사면을 막는 외측판(111)은 상기 바닥판부재(10)의 상부에 수용공간(15)이 형성되도록 상기 바닥판부재(10)의 일측단부, 타측단부, 전측단부 및 후측단부로 부터 각각 상기 바닥판부재(10)의 상측으로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판(112)은 상기 바닥판부재(10)의 관통구(20)의 일측단부, 타측단부, 전측단부 및 후측단부로 부터 상기 관통구(20)의 상측으로 일정 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닥판부재(10)의 외측판(111)과 내측판(112)에 의해 사방으로 막혀진 수용공간(15)인 상기 외측판(111)과 내측판(112) 사이에 콘크리트가 일정한 밀도로 단단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외측판(111)과 내측판(112) 사이의 측압을 받아 일정 형태나 크기로 될 수 있는 데, 기존 규정에 따라 콘크리트 만으로 된 구성물이 만족하여야할 폭 또는 면적 보다 40% 정도 더 적어진 최소 면적으로도 고층건물의 피난구조물용 부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닥판부재(10)는 철 등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일측부 또는 타측부에는 사람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구(20)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관통구(20)의 내부에는 절첩식 사다리(36)를 포함한 피난장치가 배치된다.
상기 바닥판 콘크리트층은 상기 수용공간(15)에서 상기 바닥판 철근(11, 12)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층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판부재(10)의 상부에는 마감층이 안착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감층은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바닥판부재의 외관이 미려해지도록, 상기 마감층은 타일, 테라조, 석판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인 고층건물의 피난구조물용 바닥판부재(10)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바닥판부재(10)의 외측판(111) 사이와 상기 외측판(111)과 내측판(112) 사이에 복수의 평판형 보강부재(미도시)가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것이 좋다.
복수의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바닥판부재(1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전후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는 수직 보강판과, 상기 수직 보강판의 상단 또는 하단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수평 보강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 보강판의 하부는 상기 바닥판부재(10)의 바닥판의 상부면과 접할 수 있겠으나, 상기 수직 보강판의 하부방향으로 상기 바닥층을 이루는 모르타르층 또는 콘크리트층이 유입되어 상기 보강부재가 본 발명에 따른 고층건물의 피난구조물용 바닥판부재(10)를 보다 더욱 높은 효율로 보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수직 보강판의 하부는 상기 바닥판의 상부방향으로 일정높이로 이격되는 것이 좋다.
나아가, 상기 보강부재가 본 발명인 고층건물의 피난구조물용 바닥판부재(10)를 보다 더더욱 높은 효율로 보강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보강판과 상기 수평 보강판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는 상기 바닥층을 이루는 모르타르층 또는 콘크리트층이 유입되어 충진될 수 있는 다공이 상기 보강부재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인 고층건물의 피난구조물용 바닥판부재(10) 주변 외부의 온도에 따른 열팽창, 열수축에 의해 상기 바닥층을 이루는 모르타르층 또는 콘크리트층에 균열이 발생되거나 상기 몸체와 상기 바닥층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보강부재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바닥판부재(10)의 외측판(111)의 상측 내측면과 상기 바닥판부재(10)의 내측판(112)의 상측 외측면에 각각 다공이 형성된 균열방지판이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균열방지판의 다공으로는 상기 바닥층을 이루는 모르타르층 또는 콘크리트층이 유입되어 충진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균열방지판이 상기 바닥층을 이루는 모르타르층 또는 콘크리트층에 균열이 발생되거나 상기 바닥판부재(10)와 상기 바닥층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는 것을 보다 더욱 높은 효율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바닥층을 이루는 모르타르층 또는 콘크리트층에 균열이 발생되거나 상기 바닥판부재(10)와 상기 바닥층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는 것을 보다 더더욱 높은 효율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보강부재의 상부에 금속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보강메쉬판이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균열방지판의 상부 또는 상기 보강부재의 상부에 상기 보강메쉬판이 수평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바닥판부재(10)의 수용공간(15)에 모르타르층 또는 콘크리트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바닥층이 타설될 수 있고, 타설된 상기 바닥층으로 인해 상기 보강부재 및 상기 보강메쉬판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알람 장치(35)는 상기 피난장치가 배치되는 관통구의 커버(21, 22)에 설치되거나, 관통구의 수직면에 센서를 부착하여 커버를 열거나, 사람이 통과할 경우를 감지하여 알람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알람 신호는 전용선이나 무선으로 아래층 또는 위층 또는 친척 또는 보호자 또는 아파트 관리실 또는 관리 담당자의 단말기에 우선적 또는 순차적으로 전송되며, 관리 담당자가 외부에 있는 경우 관련 앱을 통해 상기 알람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람 신호는 독거노인 또는 장애인이나 어린 아이인 경우, 원격지의 보호자나 담당 행정 기관에 전달될 수 있도록 통신 모듈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람 신호는 거리 순 또는 중요도 순으로 미리 정해진 외부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 알람 장치에 의해 외부인에게 전송된다.
예를 들어 상기 알람 신호에 대해 일정 시간 이내에 알림 확인 신호를 다시 보내지 아니하면 차순위자에게 알람 신호를 자동으로 보내게 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알람 장치(35)에 연결된 아파트 관리실 서버 또는 관련 앱에 기본 알람을 설정하고(S201), 기존 저장된 각 상태에 따른 알람 설정이 미리 되고, 각 상태와 동일 상황인지 확인하면(S202) 미리 저장된 알람 설정 조건에 따른 알람을 전송하며(S204), 이 외에는 미리 정하여진 기본 알람에 포함되는 일반 알람을 전송한다(S203). 여기에서도 알람수가 일정치 이상인 경우 알람을 중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205, S206).
왜냐하면 전달되지 않는 알람을 계속 울릴 필요도 없고, 빠르게 차순위로 전달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S202 단계에서 센서의 불량 또는 정상 상황에서 알람이 울릴 수 있으므로 이에 따른 상황 반영 알람 조건을 미리 정할 수 있다.
상기 아파트 관리실 서버 등은 기존 저장된 각 상태에 따른 알람 설정을 미리 저장하고, 상술한 조건 알람과 기본 알람 등의 메시지 전달 조건 등을 저장한다.
도 12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현재 유선 기반 하향식 화재 대피 시설의 경보 시스템을 개선하여, 기존의 문제점 또는 불편함을 개선하고, 나아가 입주자의 지정된 스마트폰(Smart Phone; 3)으로 알람 메시지(Message)를 송신하는 등 확장된 경보 기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유선, 무선 방식이 혼합된 커버(21)의 동작 인지부(1)를 통해 발송된 신호가 실내 경고 신호부(2)에 전달되어 경고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사전에 지정된 스마트폰(3)에 경보 메시지를 발송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마트폰 연락처와 알람 메시지를 관리하면서, 지정된 스마트폰(3)에 경보 메시지를 발송하는 것을 제어하는 관리실 서버(4)를 포함한다.
도 13의 신호 방식의 구분은 청색은 유선, 적색은 무선, 녹색은 인터넷선으로 한다.
각 세대의 동작 인지 센서(Sensor)는 전원을 포함하여, 1층에 설치된 중앙 단말기(1-1)로 연결선이 집결된다.
각 세대의 집안에서도 전력을 끌어올 수 있지만, 이로 인해 벽에 구멍을 내거나 전력선을 배치하는 등의 추가적 공사가 들어가기 때문에 이러한 방식이 효과적이면서 경제적이다 .
본 발명에서 배터리(Battery)를 사용하는 것도 이론적으로 가능은 하나, 방전 및 유지보수 관리로 인하여, 대응하기 어려운 문제(Battery 가격 등)가 더 발생할 수도 있다.
즉 상하 일렬로 배치되는 피난 시설 구조에 맞추어 간단하게 배선(청색 LINE)한다.
또한 탈출 시설의 덮개가 열렸을 경우, 즉 동작이 감지되면 해당 층과 상하층 실내에 설치된 신호기(미도시)를 통해 경보를 알린다.
정확히는 동작이 감지된 AP 에서 일정 반경 내에 있는 경보기가 울리게 되는 개념이다.
즉 경우에 따라, 반드시 동작이 발생한 그 층과 위 아래 층만이 아니라, 신호 강도에 따라 위 아래 2개 층까지도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이 때, 반드시 위 아래 층만 경보가 울리도록 시스템을 구성하거나, 동작 신호의 반경 내 경보기 전부가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중앙 단말기(1-1)에서 관리실 서버(4)까지 무선으로 신호가 전달되며, 본 신호는 어느 층, 어느 집의 피난 시설 덮개가 동작되었는지 그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덮개-세대 간, 중앙 단말기-관리실 간 두 개의 AP 신호 거리는 큰 차이가 있다.
상기 관리실 서버(4)에 연결된 PC에 설치되어 있는 관리 프로그램 화면에 경보가 발생되며, 먼저 관리실 서버(4)를 통해 지정된 관리자와 해당 세대의 거주자들에게 경보 신호가 전달된다.
이 과정은 인터넷(Internet)을 통해 이루어지며, 사전에 관리자 및 거주자들의 스마트폰(3)에 개발된 APP(Mobile Application)이 설치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신호기(40)는 덮개 쪽 AP에서 발생한 신호가 감지되었을 경우, 경보모듈(42)이 경보를 울린다.
이러한 실내 신호기(40)는 특별한 설정이 필요 없고, 뒷면 플러그(43)로 220V 전원 플러그에 항상 꽂아두면 된다. 앞면 플러그(41)에는 다른 전원 기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중앙 단말기(1-1) 또는 관리실 서버(4)에 설치되는 관리 프로그램(Program)의 기본 목적은 어느 세대의 탈출구 덮개가 열렸을 경우, 사전에 등록 해놓은 연락처로 메시지를 보내는 것이다.
관리 프로그램(Program)과 연동되도록 제공되는 앱(APP)을 스마트 폰(3)에 설치하여, 관리 서버(4)에서 네트워크 망을 통해 전달하는 신호를 받을 수도 있고, 만약 구형 전화기인 경우 문자 메시지나 긴급 전화로 경고 방식을 대체할 수도 있다.
1 : 동작 인지부
1-1 : 중앙 단말기
2 : 실내 경고
3 : 스마트폰
4 : 관리실 서버
10 : 바닥판부재
11, 12 : 바닥판 철근
15 : 수용공간
20 : 관통구
21, 22 : 커버
34 : 난간대
35 : 알람 장치
36 : 절첩식 사다리
40 : 실내 신호기
42 : 경보모듈
43 : 뒷면 플러그
41 : 앞면 플러그

Claims (5)

  1. 고층건물의 벽면 또는 슬라브에 수평선상으로 연장되도록 고정 설치되고, 일측부에 사람이 통과할 수 있고 내부에 사다리를 포함한 피난장치가 배치되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고층건물의 피난구조물용 바닥판부재;
    상기 바닥판부재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
    벽면 또는 슬라브의 철근에서 연장되어, 상기 관통구 부분을 제외한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격자 형상으로 삽입되는 바닥판 철근;
    상기 피난장치가 배치되는 관통구의 커버에 설치되거나, 관통구의 수직면에 부착되는 센서;
    상기 커버를 열거나, 사람이 통과할 경우를 감지하여 알람 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람 장치;
    원격지의 보호자나 담당 행정 기관에 상기 알람 신호를 전달하는 통신 모듈;
    내부에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AP)를 포함하고 뒷면 플러그로 전원 플러그에 꽂아두고, 앞면 플러그에는 다른 전원 기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실내 신호기;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바닥판 철근에 타설되는 바닥판 콘크리트층;을 포함하되,
    상기 관통구의 알람 장치를 통해 미리 저장된 외부인에게 알람을 전송하고, 상기 알람 장치를 통해 전용선이나 무선으로 아래층 또는 위층 또는 아파트 관리실 또는 관리 담당자의 단말기에 알람신호가 거리 순에 따라 우선적 또는 순차적으로 전송되며,
    상기 알람 신호는 독거노인 또는 장애인이나 어린 아이인 경우,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원격지의 보호자나 담당 행정 기관에 전달하며, 상기 관리 담당자가 외부에 있는 경우 관련 앱을 통해 상기 알람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알람 신호에 대해 일정 시간 이내에 알림 확인 신호를 다시 보내지 아니하면 차순위자에게 알람 신호를 자동으로 보내고, 알람수가 일정치 이상인 경우 알람을 중지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AP)에서 발생한 알람 신호가 감지되었을 경우, 상기 알람 장치로 경보를 울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일체형 화재대피 구조물.
  2. 삭제
  3. 피난장치가 배치되는 관통구의 커버에 설치되거나, 관통구의 수직면에 부착되는 센서; 상기 커버를 열거나, 사람이 통과할 경우를 감지하여 알람 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람 장치; 원격지의 보호자나 담당 행정 기관에 상기 알람 신호를 전달하는 통신 모듈; 내부에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AP)를 포함하고 뒷면 플러그로 전원 플러그에 꽂아두고, 앞면 플러그에는 다른 전원 기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실내 신호기;를 포함하는 건물일체형 화재대피 구조물을 이용한 대피 방법에 있어,
    상기 알람 장치를 통해 미리 저장된 외부인에게 알람을 전송하고, 상기 알람 장치를 통해 전용선이나 무선으로 아래층 또는 위층 또는 아파트 관리실 또는 관리 담당자의 단말기에 알람신호가 거리 순에 따라 우선적 또는 순차적으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알람 신호는 독거노인 또는 장애인이나 어린 아이인 경우,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원격지의 보호자나 담당 행정 기관에 전달하며, 상기 관리 담당자가 외부에 있는 경우 관련 앱을 통해 상기 알람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알람 신호에 대해 일정 시간 이내에 알림 확인 신호를 다시 보내지 아니하면 차순위자에게 알람 신호를 자동으로 보내고, 알람수가 일정치 이상인 경우 알람을 중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AP)에서 발생한 알람 신호가 감지되었을 경우, 상기 알람 장치로 경보를 울리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물일체형 화재대피 구조물을 이용한 대피 방법.
  4. 삭제
  5. 삭제
KR1020160172458A 2016-12-16 2016-12-16 건물일체형 화재대피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대피 방법 KR101733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458A KR101733986B1 (ko) 2016-12-16 2016-12-16 건물일체형 화재대피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대피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458A KR101733986B1 (ko) 2016-12-16 2016-12-16 건물일체형 화재대피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대피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3986B1 true KR101733986B1 (ko) 2017-05-10

Family

ID=58744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2458A KR101733986B1 (ko) 2016-12-16 2016-12-16 건물일체형 화재대피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대피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3986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2600B1 (ko) * 2017-09-12 2018-10-29 주식회사 디딤돌 컨틸레버 방식을 이용한 건물일체형 화재대피 구조물 및 설치 방법 및 제조 방법
KR101975737B1 (ko) 2019-01-17 2019-05-07 김주미 고층 건물에서 갤러리창을 이용한 화재 피난 장치
KR20190081026A (ko) * 2017-12-29 2019-07-09 한정권 체결 기능을 강화한 피난 사다리
KR102005216B1 (ko) 2019-03-26 2019-07-29 김주미 고층 건물 화재 피난장치
KR102005895B1 (ko) * 2018-09-28 2019-07-31 주식회사 디딤돌 비상탈출 장치를 구비한 안전 대피 건물
KR102021931B1 (ko) 2019-04-22 2019-11-05 김주미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KR102089216B1 (ko) * 2019-08-08 2020-03-16 삼흥종합건설(주) 차열 및 방염 공간을 갖는 화재 대비 건축물
KR102099811B1 (ko) * 2019-06-11 2020-04-10 유한회사 대진씨앤에스 비상 탈출용 사다리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KR102252741B1 (ko) 2020-09-25 2021-05-17 (주)이스케이프원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KR102252742B1 (ko) 2020-09-25 2021-05-17 (주)이스케이프원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KR20220046112A (ko) 2020-10-07 2022-04-14 류순모 고층 건물 화재 피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8036A (ja) * 2003-12-24 2005-07-14 Nippon Kaiser Kk 跳ね出し部における外断熱工法
KR100763254B1 (ko) 2007-06-18 2007-10-04 창조개발 주식회사 공동주택의 피씨형 발코니 구조
KR101153786B1 (ko) * 2012-02-23 2012-06-13 류순모 고층 건물의 화재피난장치
KR101681032B1 (ko) * 2015-12-24 2016-12-13 이에스테크 주식회사 피난용 사다리를 이용한 피난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8036A (ja) * 2003-12-24 2005-07-14 Nippon Kaiser Kk 跳ね出し部における外断熱工法
KR100763254B1 (ko) 2007-06-18 2007-10-04 창조개발 주식회사 공동주택의 피씨형 발코니 구조
KR101153786B1 (ko) * 2012-02-23 2012-06-13 류순모 고층 건물의 화재피난장치
KR101681032B1 (ko) * 2015-12-24 2016-12-13 이에스테크 주식회사 피난용 사다리를 이용한 피난 관리 시스템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2600B1 (ko) * 2017-09-12 2018-10-29 주식회사 디딤돌 컨틸레버 방식을 이용한 건물일체형 화재대피 구조물 및 설치 방법 및 제조 방법
CN109488044A (zh) * 2017-09-12 2019-03-19 迪米多尔有限公司 悬臂式建筑一体型火灾逃生构筑物设置方法
KR102010356B1 (ko) * 2017-12-29 2019-08-13 한정권 체결 기능을 강화한 피난 사다리
KR20190081026A (ko) * 2017-12-29 2019-07-09 한정권 체결 기능을 강화한 피난 사다리
KR102005895B1 (ko) * 2018-09-28 2019-07-31 주식회사 디딤돌 비상탈출 장치를 구비한 안전 대피 건물
KR101975737B1 (ko) 2019-01-17 2019-05-07 김주미 고층 건물에서 갤러리창을 이용한 화재 피난 장치
KR102005216B1 (ko) 2019-03-26 2019-07-29 김주미 고층 건물 화재 피난장치
KR102021931B1 (ko) 2019-04-22 2019-11-05 김주미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KR102099811B1 (ko) * 2019-06-11 2020-04-10 유한회사 대진씨앤에스 비상 탈출용 사다리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KR102089216B1 (ko) * 2019-08-08 2020-03-16 삼흥종합건설(주) 차열 및 방염 공간을 갖는 화재 대비 건축물
KR102252741B1 (ko) 2020-09-25 2021-05-17 (주)이스케이프원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KR102252742B1 (ko) 2020-09-25 2021-05-17 (주)이스케이프원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KR20220046112A (ko) 2020-10-07 2022-04-14 류순모 고층 건물 화재 피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3986B1 (ko) 건물일체형 화재대피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대피 방법
KR101762550B1 (ko) 공동주택의 화재 대피실 방화 장치
KR101597891B1 (ko) 수막형성 방화문틀 및 그 시공방법
WO2019213439A1 (en) Modular housing and related systems and manufacture
KR100972837B1 (ko) 바닥 매립형 피난사다리 운용을 위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986308B1 (ko) 침수 방지기능이 구현된 전기설비함
KR200453544Y1 (ko) 화재감지기 연동형 하향식 피난구
KR101348949B1 (ko) 건축물에서의 화재 발생 위치에 기반한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화재 알림 경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681032B1 (ko) 피난용 사다리를 이용한 피난 관리 시스템
JP3178338U (ja) 火災時緊急避難シェルター
KR20070071802A (ko)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방화판
KR101100795B1 (ko) 고층 건물 비상탈출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40071202A1 (en) Agricultural alarm system with geofence features
KR200432485Y1 (ko) 건축물 제연구역의 풍량 과압조절 장치.
KR20120120607A (ko) 배수로를 구비한 바닥 설치형 화재피난장치
JP2006324741A (ja) 情報端末、地震情報の取得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KR101647013B1 (ko) 고층 건물의 베란다 난간 설치구조
KR20100005316A (ko) 세대 경계벽을 이용한 보안강화형 수평탈출구
CN103953125B (zh) 一种预制空调板支座处防火安装施工方法
JP5612346B2 (ja) 防災設備
CN216346845U (zh) 用于地下车库的排烟装置、地下车库建筑系统
KR102395975B1 (ko)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화재 인명구조 시스템
CN209790666U (zh) 一种防火防烟高生存能力通信基站
KR100804381B1 (ko) 제연 환기시스템
KR100746810B1 (ko) 층간 방화 차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