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6810B1 - 층간 방화 차단 장치 - Google Patents

층간 방화 차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6810B1
KR100746810B1 KR1020060024754A KR20060024754A KR100746810B1 KR 100746810 B1 KR100746810 B1 KR 100746810B1 KR 1020060024754 A KR1020060024754 A KR 1020060024754A KR 20060024754 A KR20060024754 A KR 20060024754A KR 100746810 B1 KR100746810 B1 KR 100746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ire prevention
fire
fire protection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4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중
Original Assignee
김대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중 filed Critical 김대중
Priority to KR1020060024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68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6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6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0Fire-proof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람이 밀집한 아파트나 빌리지 같은 다층 건물의 층간마다 설치하여 화재시 발화점에서 윗층으로 불길이 전도되는 것을 흡입 및 차단하여 화재 발화 속도를 지연토록 하므로서 인명피해 및 화재피해를 최소화 할 수가 있고, 부수적으로 윗층의 낙하물에 의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층간 방화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 장치는 건축물의 외부 층간 슬라브의 일정 구간마다 구멍을 형성하여 방화 판넬을 부착하기 위한 고정부재들을 매입 설치하고, 상기 고정부재에 끼움 결합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된 부착판과, 화염흡입구가 일정 간격으로 통공된 다공판과, 낙수 및 낙화물이 흘러 내려 가도록 경사면을 이루는 경사판과, 상기 다공판 및 경사판간에 일정 간격으로 배출구가 형성된 전면판과 측면판을 갖는 방화 판넬을 설치하여서 달성된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부 슬라브에 설치한 방화 판넬에 의해 낙수 및 낙화물에 의한 피해를 줄이고 안전에도 만전을 기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는 한편, 화재시에도 화염의 방향을 외측으로 유도되도록 차단하고 흡수 진화하도록 하므로서 윗층으로 불길이 전도되는 것을 막을 수가 있는 등 화재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 할 수가 있는 효과를 제공하고, 아울러 방화 판넬을 부착함에 따라 부가적으로 다층 건물의 건축미에 변형을 가할 수가 있고, 건축물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장점도 있다.

Description

층간 방화 차단 장치{INTERCEPT SYSTEM}
도 1은 본 발명 장치에 적용되는 층간 방화 판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장치에 적용되는 층간 방화 판넬의 내부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층간 방화 판넬이 설치된 상태의 일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층간 방화 판넬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부착판 11: 체결공
20: 다공판 21: 흡입구
30: 경사판 40: 전면판
41: 배출구 50: 측면판
60: 불연섬유 70: 차단판
80: 체결부재 90: 구멍
100: 고정부재 A : 용접부
S : 슬라브 P : 방화 판넬
본 발명은 사람이 밀집한 아파트나 빌리지 같은 다층 건물의 층간마다 설치하여 화재시 발화점에서 윗층으로 불길이 전도되는 것을 흡입 및 차단하여 화재 발화 속도를 지연토록 하므로서 인명피해 및 화재피해를 최소화 할 수가 있고, 부수적으로 윗층의 낙하물에 의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층간 방화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리지 같은 다층 건축물의 구조상 윗층과 아래층간에는 바둑판 모양처럼 아무런 장애물의 설치없이 건축되어 있고, 특히 베란다와 같은 공간에는 화분등과 같은 각종 물품들을 두고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같은 건축물에 있어서는 창문을 열면 외부와 내통할 수 있는 상태에 있게 되는데, 예컨데 윗층으로부터 화분등과 같은 낙하물이 발생할시 그 아래층에는 언제든지 피해가 발생할 수 있고, 창문에 묻어 있는 흙 먼지의 공해물질이 비에 씻겨 그 아래층에 있는 세대들에게 피해를 줄 수가 있다.
더우기 화재가 발생할 시에는 그 화염(불길)은 외부의 산소를 끌어 들이는 자연적 현상에 의해 외부로 진행하게 되는데. 통상 불길은 대류현상에 의해 위로 진행하게 되어 윗층에 전도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가 없다.
따라서 인구가 밀집된 아파트나 빌리지 같은 주거 목적의 건축물에 있어서는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소들을 최소화하고 안전성 확보가 무엇 보다 중요하며, 특히 최근들어 베란다를 없애고 거실로 편입시키는 구조변경이 합법화되어 거실 공간을 확장하는 추세로서, 창문 하나로 외부와 내부로 구획됨에 따른 안전성 확보에 제도적 뒷받침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건축물에 관한 종래의 방화장치는 다수 형태의 소화설비들이 있으나, 이 다수의 종래 기술은 공통적으로 내부에 설치하여 화재 진화토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방화장치는 사람이 거주하는 특성상 인화성 발화물질을 많이 소유하고 있음에 따라 화재 발생시 순식간에 대형화재로 발전하게 될 경우에는 무용지물에 불과한 것으로, 문제는 내부의 불길이 외부로 유출될때 쉽게 윗층으로 전도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 내재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유출되는 불길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윗층에 불길이 전도되지 않도록 한 층간 방화 차단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더한 또 다른 목적은 낙화물에 의한 직접적 피해 방지 및 낙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층간 방화 차단장치를 제공함에도 있다.
본 발명에 더한 또 다른 목적은 기존의 건축물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층간 방화 차단 장치를 제공함에도 있다.
상기한 다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은, 건축물의 외부 층간 슬라브의 일정 구간마다 구멍을 형성하여 방화 판넬을 부착하기 위한 고정부재들을 매입 설치하고, 상기 고정부재에 끼움 결합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된 부착판과, 화염흡입구가 일정 간격으로 통공된 다공판과, 낙수 및 낙화물이 흘러 내려 가도록 경사면을 이루는 경사판과, 상기 다공판 및 경사판간에 일정 간격으로 배출구가 형성된 전면판과 측면판을 갖는 방화 판넬을 구비하여서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층간 방화 차단 장치에 적용되는 방화 판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방화 판넬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의 방화 차단장치에 적용되는 방화 판넬은 상하에 일정 간격으로 체결공(11)이 형성된 부착판(10)과, 화염흡입구(21)가 일정 간격으로 통공된 다공판(20)과, 낙수 및 낙화물이 흘러 내려 가도록 경사면을 이루는 경사판(30)과, 상기 다공판(20) 및 경사판(30)간에 일정 간격으로 배출구(41)가 형성된 전면판(40)과 측면판(50)을 부착하여 하나의 박스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다공판(20)과 경사판(30) 및 전면판(40)은 열에 강하고 녹이 슬지 않는 스텐레스 강판을 절곡한다음 절곡된 그 내부에 다공판(20)의 흡입구(21)를 통해 유입된 화염을 진화시키는 불연섬유(60)와 이 불연섬유(60) 사이에 열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판(70)을 충진하고, 다공판(20) 및 경사판(30)의 단부를 부착판(10)의 상하 체결공(11)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용접(A)하여 부착 구성한다.
또한 상기 차단판(70)의 고정은 불연섬유(60)에 의해서도 어느 정도 지지되나 차단판(70)의 양 두께면을 부착판(10) 및 전면판(40)에 스폿트 용접으로 고정하고, 다공판(20) 및 경사판(30)의 끝단을 절곡하여 그 절곡면을 부착판(10)과 스폿 트 용접하여 부착 고정한다.
이때 부착판(10)과 전면판(40)간에 위치하는 다공판(20) 및 경사판(30)의 길이는 위로 치솟는 불길을 차단하면서 방향을 전환하도록 한 적어도 20 내지는 40 센티미터 범위가 적당하며, 양 측면판(50)간의 다공판(20) 및 경사판(30)의 길이는 적어도 1 미터 내지는 2 미터 이내로 설계함이 바람직하나 이는 설치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층간 길이에 따라 별도의 길이로 제작 및 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에서 부착판(10)은 다층 건축물의 층간 슬라브(A)의 전면에 매입 설치한 고정부재(21)와 결합된 상태에서 방화 판넬(P)의 전체 하중을 고려하여 충분히 견딜 수 있는 두께로 구성하되 높이에 있어서는 층간 슬라브(A)의 두께와 동일하게 하거나 또는 그 이하로 구성함이 바람직하고, 스텐레스 강판을 절곡하여 되는 다공판(20) 및 경사판(30)의 두께는 하중을 고려하여 가급적이면 0.2 t 이내로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경사판재(15)의 경사도는 부착판재(12)와 전면부(13)의 높이를 다르게 하므로서 결정되나, 바람직하게는 위로부터 낙화물이나 낙수가 발생할 시 자연적으로 흘러 내려 갈 수 있도록 한 정도이면 충분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방화판넬(P)은 취급 및 시공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일정 크기로 규격화하도록 구성되며, 이는 설치하고자 하는 층간의 길이에 따라 적어도 복수로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3 내지 도4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방화 차단 판넬의 설치에 관한 일예시도 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상기한 방화 차단 판넬(P)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건축물의 층간 슬라브(S) 전면에 부착판(10)의 상하에 통공된 체결공(11)의 간격과 일치하게 고정부재(100)를 매입하기 위한 구멍(90)을 형성하고, 이 구멍(90)에 앵커볼트와 같은 고정부재(100)를 삽입하는 단계만으로 고정부재(100)가 층간 슬라브(S)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층간 슬라브(S)의 전면에 고정부재(100)를 매입 고정한 상태에서 이 고정부재(100)에 방화 차단 판넬(P)의 부착판(10)의 체결공(11)을 끼우고 너트로 구성된 체결부재(80)로 조임 고정시킴으로서 방화 차단 판넬(P)은 슬라브(S)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상기와 같이 층간 슬라브(S)에 방화 판넬(P)을 설치한 상태에서는 방화 판넬(P)이 일정 길이 만큼 돌출하게 됨으로서, 상층으로 부터의 낙화물이 발생하여도 방화 판넬(P)에 의해 아래층에는 안전하게 될뿐만 아니라 예측되는 제반적인 피해를 줄일 수가 있고, 아울러 경사판(30)의 경사면을 따라 낙수가 외측으로 흐르도록 하므로서 아래층의 외관이 더럽혀 짐을 막을 수가 있다.
한편 화재 발생시에는 통상 불길은 공기가 많은 외부로 향하게 되면서 화력은 위로 작용하게 되는데, 외부의 상층으로 향하는 화염은 층간 슬라브(S)에 설치된 방화 판넬(P)에 의해 일차적으로 차단됨과 동시에 건물 외측으로 유도되어 윗층으로 전도되는 현상을 막을 수가 있다.
이와 동시에 방화 판넬(P)의 다공판(20)에 형성된 흡입구(21)를 통해 유입되 는 화염은 불연섬유(60)에 의해 진화 작용하게 되면서 연소되는 매연은 전면판(40)의 배출구(41)를 통해 배출되어 화력을 최소화하는데 일조하게 되고, 차단판(70)을 통해서는 화열을 차단하게 되어 상층의 온도상승을 지연시키도록 작용한다.
또한 내부에 충진된 불연섬유(60)에 의해 화염을 진화할시 발생되는 매연은 전면판(40)의 배출구(41)를 통해 배출되면서 화염의 화력을 자연적으로 약화시키는 장점도 갖고 있다.
이와같은 진화 작용이 가능한 방화 차단 판넬(P)은 아래층으로부터 올라오는 화염을 차단 및 흡수토록하여 상층으로 올라오는 화염의 방향을 건축물의 슬라브(S) 외측으로 유도하게 됨에 따라 상층으로 불이 옮겨 붙지 않게 되어 화재피해를 줄이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기존의 건축물에만 설치 가능한 것은 아니며, 신축하고자 하는 건축물 예컨데, 아파트, 빌라, 및 빌딩등에도 적용 설치할 수 있다.
즉 신축하고자 하는 건축물에 적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판넬(P)의 부착수단 및 고정수단을 다각적인 방면으로 채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는 신축 건축물에 따라 선택되어 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부에 방화 판넬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낙수 및 낙화물에 의한 피해를 줄이고 안전에도 만전을 기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는 한편, 화재시에도 화염의 방향을 외측으로 유도되도록 차단하고 흡수 진화하도록 하므로서 윗층으로 불길이 전도되는 것을 막을 수가 있는 등 화재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 할 수가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방화 판넬을 부착함에 따라 부가적으로 다층 건물의 건축미에 변형을 가할 수가 있고, 건축물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장점도 있다.

Claims (3)

  1. 건축물의 외부 층간 슬라브(S)의 일정 구간마다 구멍(90)을 형성하여 방화 판넬(P)을 부착하기 위한 고정부재(100)들을 매입 설치하고, 상기 고정부재(100)에 끼움 결합하기 위한 체결공(11)이 형성된 부착판(10)과, 화염흡입구(21)가 일정 간격으로 통공된 다공판(20)과, 낙수 및 낙화물이 흘러 내려 가도록 경사면을 이루는 경사판(30)과, 상기 다공판(20) 및 경사판(30)간에 일정 간격으로 배출구(41)가 형성된 전면판(40)과 측면판(50)을 갖는 방화 판넬(P)을 구비하여서 이루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방화 차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방화 판넬(P)은 다공판(20)의 흡입구(21)를 통해 흡입되는 화염을 진화시키는 불연섬유(60)를 구비하여서 이루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방화 차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방화판넬(P)은 취급 및 시공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일정 크기로 규격화하도록 구성되며, 층간의 길이에 따라 복수로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방화 차단장치
KR1020060024754A 2006-03-17 2006-03-17 층간 방화 차단 장치 KR100746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4754A KR100746810B1 (ko) 2006-03-17 2006-03-17 층간 방화 차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4754A KR100746810B1 (ko) 2006-03-17 2006-03-17 층간 방화 차단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7207U Division KR200419168Y1 (ko) 2006-03-17 2006-03-17 층간 방화 차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6810B1 true KR100746810B1 (ko) 2007-08-06

Family

ID=38602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4754A KR100746810B1 (ko) 2006-03-17 2006-03-17 층간 방화 차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68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9096B1 (ko) * 2022-05-02 2023-05-08 주식회사 연교 층간방화 차단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3301A (ko) * 2001-04-26 2002-11-02 주식회사한그린텍 철구조물의 층간 방화장치 및 그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3301A (ko) * 2001-04-26 2002-11-02 주식회사한그린텍 철구조물의 층간 방화장치 및 그의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9096B1 (ko) * 2022-05-02 2023-05-08 주식회사 연교 층간방화 차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9369Y1 (ko) 입상배관 고정장치
KR101729703B1 (ko) 건물외벽의 화재차단용 마감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597891B1 (ko) 수막형성 방화문틀 및 그 시공방법
KR101655868B1 (ko) 외단열구조를 가진 건축물 외벽의 화재 확산방지 구조의 시공방법
JP5463113B2 (ja) 軒先構造
KR100746810B1 (ko) 층간 방화 차단 장치
KR200419168Y1 (ko) 층간 방화 차단 장치
US6874284B1 (en) Fire safety unit
KR100726627B1 (ko) 방화난간의 구조
Yılmaz Fire safety of tall buildings: approach in design and prevention
KR101319489B1 (ko) 층간 화염 유입 방지장치
KR200425125Y1 (ko) 발코니 난간 부착형 방화유리틀
KR101305239B1 (ko) 복층건물의 층간소음방지 뜬바닥 구조체
KR20090092853A (ko) 건물 설치용 살수 방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의 확산을방지하는 방법
Kim et al. Fire Examination of Superhigh-Rise Apartment Building “Wooshin Golden Suites” in Busan, Korea
KR20100052169A (ko) 공동주택 발코니 화염차단 난간
SA515360984B1 (ar) نظام لحماية المباني من الحريق
CN214006665U (zh) 一种多层/高层公共建筑安全屋
JP2907201B1 (ja) 中・高層の共同住宅
US4304082A (en) Protective screen for improving the fire resistance of building structures
KR100859583B1 (ko) 아파트 화재발생시 상층으로의 화염 유입 차단장치
KR100744723B1 (ko) 건축물의 난간대에 설치되는 화염확산 방지 방화판
CN215907235U (zh) 一种楼梯用防排烟结构
JPH11151318A (ja) スプリンクラー配管ユニット
KR102250610B1 (ko) 내화벽으로 구획된 2개의 직통계단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