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9096B1 - 층간방화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층간방화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9096B1
KR102529096B1 KR1020220054400A KR20220054400A KR102529096B1 KR 102529096 B1 KR102529096 B1 KR 102529096B1 KR 1020220054400 A KR1020220054400 A KR 1020220054400A KR 20220054400 A KR20220054400 A KR 20220054400A KR 102529096 B1 KR102529096 B1 KR 102529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girder
cantilever
interfloor
sl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4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종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연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연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연교
Priority to KR1020220054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90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9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9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943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long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층간방화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건축물 외부에 설치되어 화재 확산을 저지하는 층간방화 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의 층을 구획하는 슬라브의 외측 및 각 층의 사면에 배치된 거더, 및 상기 거더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건축물의 외부를 향해 돌출된 층간방화 캔틸레버를 포함하는, 층간방화 차단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층간방화 차단장치{Interlayer Fire Protector}
본 발명은 층간방화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 층간방화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동주택에서 발생하는 화재는 화염이 확산됨에 따라 화재가 발생한 세대뿐만 아니라 인접한 세대까지 인명 및 재산상 큰 피해를 입힌다. 만약, 공동주택에서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위쪽으로 전파되는 화염의 특성상 화재가 발생한 세대의 상부에 위치한 세대가 화재의 위험에 노출되게 된다.
이에, 종래에는 공동주택의 외벽이나 발코니에 화염이 윗층 세대로 전파되는 것을 차단하는 방화 장치로 방화 캔틸레버를 설치했다. 방화 캔틸레버는 화재시 발화층에서 윗층으로 불길의 확산을 방지하여 상층 가연물의 접촉을 차단하고, 화재 확산을 저지하는 구조물 또는 장치로 이루어진다.
기존의 방화 캔틸레버는 건물의 외부에 설치되면서 건물의 외관을 저해하지 않고 미려하게 유지하는 디자인 측면으로만 개량되어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 성능 측면은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9168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화재 발생 시 상층부로 불길의 확산을 차단하여 추가 화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층간방화 차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건축물 외부에 설치되어 화재 확산을 저지하는 층간방화 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의 층을 구획하는 슬라브의 외측 및 각 층의 사면에 배치된 거더, 및 상기 거더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건축물의 외부를 향해 돌출된 층간방화 캔틸레버를 포함하는, 층간방화 차단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거더는, 철근 콘크리트로 형성되며,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는, 상기 거더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연장되어 방화판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는, 상기 슬라브와의 결합을 위해 타설되는 토핑 콘크리트가 안착되는 형태로 형성되되, 외부로 돌출된 일측 단부가 상기 토핑 콘크리트의 측면을 감싸도록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건축물 외부에 설치되어 화재 확산을 저지하는 층간 화재확산 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의 층을 구획하는 슬라브의 외측 및 각 층의 사면에 배치된 거더, 상기 거더에 결합되는 층간방화 캔틸레버, 및 상기 거더와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에 체결되어 상기 거더와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를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층간방화 차단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거더는, 외측 상부의 일부분에 단층으로 형성되어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는, 일측이 상기 거더의 안착부에 안착되고, 타측이 상기 일측으로부터 절곡되어 외측으로 돌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설정된 각도로 절곡되어 상기 거더와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에 접촉하는 체결프레임, 및 상기 체결프레임을 상기 거더와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에 결합시키는 나사부재를 포함하고, 설정된 위치 또는 간격으로 복수개 배치되어 상기 거더와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를 고정시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건축물 외부에 설치되어 화재 확산을 저지하는 층간 화재확산 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의 층을 구획하는 슬라브의 외측 및 각 층의 사면에 배치된 거더, 상기 거더에 결합되는 층간방화 캔틸레버, 상기 거더와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에 접합되는 토핑 콘크리트 및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를 결합시키는 연결강재, 및 상기 거더와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 각각에 내근된 철근에 결합되는 연결철근을 포함하는, 층간방화 차단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강재는, 상기 거더에 안착된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의 일측과, 상기 토핑 콘크리트에 매립 또는 내근되어 상기 토핑 콘크리트와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를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건축물의 시공과정에서 철근콘크리트의 층간방화 캔틸레버가 각 층의 사면에 설치되어 적은 비용으로 인명과 많은 재산상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화재 확산을 억제하여 화재발생 윗층의 대피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입면 디자인에 따라 또다른 디자인적 요소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필요에 따라 구조를 위한 안전요원의 진입 대기 장소와 피난을 위한 피난 대기 장소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방화 차단장치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층간방화 차단장치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층간방화 차단장치의 평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층간방화 차단장치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층간방화 차단장치의 평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층간방화 차단장치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층간방화 차단장치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층간방화 차단장치의 평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방화 차단장치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방화 차단장치는 화재 발생시 상층부로 불길의 확산을 차단하여 추가 화재 발생을 방지하고자 하며, 화재 시 발화층에서 윗층으로 불길의 확산을 방지하여 상층 가연물의 접촉을 차단하고, 그에 따른 화재 확산을 저지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방화 차단장치는 건축물 외부에 설치되어 화재 확산을 저지하기 위하여, 상기 건축물의 층을 구획하는 슬라브(50)의 외측 및 각 층의 사면에 배치된 거더(100) 및 상기 거더(100)와 일체로 형성되어 건축물의 외부를 향해 돌출된 층간방화 캔틸레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더(100)는 철근콘크리트로 형성되되, 일예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 이하, PC) 부재로 형성되며, 콘크리트의 강도 및 결합력 보강을 위하여 내부에 배근된 제1 스터럽(전단철근)(110) 및 제2 스터럽(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스터럽(110)은 상기 슬라브(50)와의 결합을 위해 타설되는 토핑 콘크리트(topping concrete)(70)의 결합력 보강을 위하여, 상부가 상기 거더(100)로부터 돌출되어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 스터럽(110)은 상부가 상기 토핑 콘크리트(70)의 내부에 배치되며, 설정된 간격으로 내측에 복수개가 배치되는 제1 지지바(11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스터럽(120)은 수직 단면 기준으로 상단 및 하단 각각에 내측에 복수개가 배치되는 제2 지지바(122) 및 제3 지지바(12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스터럽(110)은 약 150 mm의 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치되는 직경 16mm의 고강도 이형철근(HD16@15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지지바(115)는 상기 제1 스터럽(110)의 상부에 복수개가 배치되는 직경 25mm의 초고강도 이형철근(SHD2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스터럽(120)은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200)의 형상을 따라 형성되고, 약 200 mm의 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치되는 직경 13mm의 고강도 이형철근(HD13@2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스터럽(120)은 수직 단면 기준으로 하부 좌측에 철근 후크(hook)(126)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지지바(122)는 상기 제2 스터럽(120)의 상부에 복수개 배치되는 직경 13mm의 고강도 이형철근(HD1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지지바(124)는 상기 제2 스터럽(120)의 하부에 복수개 배치되는 직경 25mm의 초고강도 이형철근(SHD2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거더(100)는 상기 토핑 콘크리트(70)와 접합될 상부면에 레이턴스(laitance)가 없도록 클리닝된 후 거친 면처리가 수행되어 상기 토핑 콘크리트(70)와의 접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거더(100)의 특징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다른 실시예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200)는 매립형 철물체결 건식 설치공법으로 형성되는 PC 부재이며, 장시간(24시간 이상) 강한 불길의 접촉에도 중심부와 외피부 전체가 훼손되거나 변형되지 않는 철근콘크리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200)는 상기 거더(10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연장되어 방화판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200)는 콘크리트의 강도 및 결합력 보강을 위하여 내부에 배근된 제4 지지바(210) 및 캔틸레버 지지체(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캔틸레버 지지체(220)는 콘크리트의 강도 및 결합력 보강을 위하여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200)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U”형태 또는 “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캔틸레버 지지체(220)는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200)의 내부에 약 200 mm의 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치되는 직경 10mm의 고강도 이형철근(HD10@2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층간방화 차단장치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층간방화 차단장치의 평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층간방화 차단장치는 매립형 철물체결 건식 설치공법으로 메인 PC인 거더(100)를 선시공 후 층간방화 캔틸레버(200)를 후시공하여 상기 거더(100)와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20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거더(100)는 철근콘크리트로 형성되며, 콘크리트의 강도 및 결합력 보강을 위하여 내부에 배근된 제1 스터럽(110) 및 제2 스터럽(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스터럽(110)은 상기 슬라브(50)와의 결합을 위해 타설(형성)되는 토핑 콘크리트(70)의 결합력 보강을 위하여, 상부가 상기 거더(100)로부터 돌출되어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 스터럽(110)은 상부가 상기 토핑 콘크리트(70)의 내부에 배치되며, 설정된 간격으로 내측에 복수개가 배치되는 제1 지지바(11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스터럽(120)은 수직 단면 기준으로 상단 및 하단 각각에 내측에 복수개가 배치되는 제2 지지바(122) 및 제3 지지바(12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200)는 상기 거더(10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방화판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200)는 상부에 토핑 콘크리트(70)가 안착되는 형태를 형성되되, 외부로 돌출된 일측 단부가 상기 토핑 콘크리트(70)의 측면을 감싸도록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200)는 콘크리트의 강도 및 결합력 보강을 위하여 내부에 배근된 제4 지지바(210), 캔틸레버 지지체(220) 및 제3 스터럽(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캔틸레버 지지체(220)는 콘크리트의 강도 및 결합력 보강을 위하여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200)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U”형태 또는 “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스터럽(230)은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200)의 절곡된 일측 단부의 강도 및 결합력 보강을 위하여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200)의 단부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U”형태 또는 “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층간방화 차단장치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층간방화 차단장치의 평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층간방화 차단장치는 건축물 외부에 설치되어 화재 확산을 저지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층을 구획하는 슬라브의 외측 및 각 층의 사면에 배치된 거더(100), 상기 거더(100)에 결합되는 층간방화 캔틸레버(200), 및 상기 거더(100)와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200)에 체결되어 상기 거더(100)와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200)를 결합시키는 체결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더(100)는 철근콘크리트로 형성되며, 콘크리트의 강도 및 결합력 보강을 위하여 내부에 배근된 제1 스터럽(110) 및 제2 스터럽(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스터럽(110)은 상기 슬라브(50)와의 결합을 위해 타설되는 토핑 콘크리트(70)의 결합력 보강을 위하여, 상부가 상기 거더(100)로부터 돌출되어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 스터럽(110)은 상부가 상기 토핑 콘크리트(70)의 내부에 배치되며, 설정된 간격으로 내측에 복수개가 배치되는 제1 지지바(11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스터럽(120)은 수직 단면 기준으로 상단 및 하단 각각에 내측에 복수개가 배치되는 제2 지지바(122) 및 제3 지지바(12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거더(100)는 외측 상부의 일부분에 단층으로 형성되어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200)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200)는 일측이 상기 거더(100)의 안착부에 안착되고, 타측이 상기 거더(10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연장되어 방화판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200)는 타측이 상기 거더(100)의 안착부에 안착되는 일측으로부터 절곡되어 외측으로 돌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200)는 콘크리트의 강도 및 결합력 보강을 위하여 내부에 배근된 제4 지지바(210), 캔틸레버 지지체(220) 및 제3 스터럽(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캔틸레버 지지체(220)는 콘크리트의 강도 및 결합력 보강을 위하여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200)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U”형태 또는 “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스터럽(230)은 상기 거더(100)에 안착된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200)의 일측의 강도 및 결합력 보강을 위하여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200)의 일측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U”형태 또는 “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300)는 설정된 각도로 절곡되어 상기 거더(100)와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200)에 접촉하는 체결프레임(310), 상기 체결프레임(310)을 상기 거더(100)와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200) 각각에 결합시키는 제1 나사부재(320) 및 제2 나사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체결부재(300)는 설정된 위치 및/또는 간격으로 복수개 배치되어 상기 거더(100)와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200)를 단단히 고정시켜 연결하고, 상기 토핑 콘크리트(70)에 매립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층간방화 차단장치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층간방화 차단장치는 건축물 외부에 설치되어 화재 확산을 저지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층을 구획하는 슬라브의 외측 및 각 층의 사면에 배치된 거더(100), 상기 거더(100)에 결합되는 층간방화 캔틸레버(200), 상기 거더(100)와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200)에 접합되는 토핑 콘크리트(70) 및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200)를 결합시키는 연결강재(350) 및 상기 거더(100)와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200) 각각에 내근된 철근에 결합되는 연결철근(24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는, 편의상 도 4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연결강재(350)는 상기 토핑 콘크리트(70)와 상기 거더(100)의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200)의 일측에 매립 및/또는 내근되어 상기 토핑 콘크리트(70)와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20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철근(240)은 상기 토핑 콘크리트(70) 및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200)의 각각에 매립 및/또는 내근되어 제1 스터럽(110) 및 상기 캔틸레버 지지체(2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연결강재(350) 및 상기 연결철근(240)은 상기 거더(100)의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200)를 상기 토핑 콘크리트(70)와 결합시켜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층간방화 차단장치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층간방화 차단장치의 평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층간방화 차단장치는 건축물 외부에 설치되어 화재 확산을 저지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층을 구획하는 슬라브의 외측 및 각 층의 사면에 배치된 거더(100), 상기 거더(100)에 결합되는 층간방화 캔틸레버(200), 및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200)를 지지하며 상기 거더(100)와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200)에 체결되어 상기 거더(100)와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200)를 결합시키는 거치용 가설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더(100)는 철근콘크리트로 형성되며, 콘크리트의 강도 및 결합력 보강을 위하여 내부에 배근된 제1 스터럽(110) 및 제2 스터럽(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스터럽(110)은 상기 슬라브(50)와의 결합을 위해 타설되는 토핑 콘크리트(70)의 결합력 보강을 위하여, 상부가 상기 거더(100)로부터 돌출되어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 스터럽(110)은 상부가 상기 토핑 콘크리트(70)의 내부에 배치되며, 설정된 간격으로 내측에 복수개가 배치되는 제1 지지바(11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스터럽(120)은 수직 단면 기준으로 상단 및 하단 각각에 내측에 복수개가 배치되는 제2 지지바(122) 및 제3 지지바(12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거더(100)는 외측 상부의 일부분에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200)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200)는 일측이 상기 거더(100)의 안착부에 안착되고, 타측이 외측으로 돌출 연장되어 방화판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200)는 콘크리트의 강도 및 결합력 보강을 위하여 내부에 배근된 제4 지지바(210), 및 캔틸레버 지지체(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캔틸레버 지지체(220)는 콘크리트의 강도 및 결합력 보강을 위하여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200)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U”형태 또는 “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캔틸레버 지지체(220)는 일부분이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200)로부터 돌출되어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캔틸레버 지지체(220)의 노출된 일부분은 상기 토핑 콘크리트(70)에 매립 및/또는 내근되어 상기 토핑 콘크리트(70)와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20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거치용 가설재(400)는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수직프레임(410), 일측이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410) 각각의 일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420),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410) 각각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1 연결프레임(431), 상기 한 쌍의 수평프레임(420) 각각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2 연결프레임(432), 및 상기 제1 연결프레임(431)과 상기 제2 연결프레임(432)을 연결하는 한 쌍의 제3 연결프레임(4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거치용 가설재(400)는 제3 나사부재(500)를 이용하여 상기 수직프레임(410)이 상기 거더(100)에 체결되고, 상기 수평프레임(420)이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2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200)를 지지할 수 있다.
상술한 상기 거치용 가설재(400)는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200)를 안전하게 시공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200)의 시공(설치) 후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건축물의 시공과정에서 철근콘크리트의 층간방화 캔틸레버가 각 층의 사면에 설치되어 적은 비용으로 인명과 많은 재산상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화재 확산을 억제하여 화재발생 윗층의 대피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입면 디자인에 따라 또다른 디자인적 요소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필요에 따라 구조를 위한 안전요원의 진입 대기 장소와 피난을 위한 피난 대기 장소로 활용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50: 슬라브
70: 토핑 콘크리트
100: 거더
200: 층간방화 캔틸레버
300: 체결부재
400: 거치용 가설재

Claims (9)

  1. 건축물 외부에 설치되어 화재 확산을 저지하는 층간방화 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의 층을 구획하는 슬라브의 외측 사면에 배치된 거더; 및
    상기 거더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건축물의 외부를 향해 돌출된 층간방화 캔틸레버;
    를 포함하고,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는,
    철근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거더는,
    상기 슬라브와의 결합을 위해 타설되는 토핑 콘크리트의 내부에 상기 거더에 포함되는 제1 스터럽의 상부가 매립됨으로써 상기 슬라브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는,
    상기 거더를 통해 상기 슬라브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방화 차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더는,
    철근 콘크리트로 형성되며,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는,
    상기 거더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연장되어 방화판넬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방화 차단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는,
    상기 슬라브와의 결합을 위해 타설되는 토핑 콘크리트가 안착되는 형태로 형성되되, 외부로 돌출된 일측 단부가 상기 토핑 콘크리트의 측면을 감싸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방화 차단장치.
  4. 건축물 외부에 설치되어 화재 확산을 저지하는 층간 화재확산 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의 층을 구획하는 슬라브의 외측 사면에 배치된 거더;
    상기 거더에 결합되는 층간방화 캔틸레버; 및
    상기 거더와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에 체결되어 상기 거더와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를 결합시키는 체결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는,
    철근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거더는,
    상기 슬라브와의 결합을 위해 타설되는 토핑 콘크리트의 내부에 상기 거더에 포함되는 제1 스터럽의 상부가 매립됨으로써 상기 슬라브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는,
    상기 거더를 통해 상기 슬라브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방화 차단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거더는,
    외측 상부의 일부분에 단층으로 형성되어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방화 차단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는,
    일측이 상기 거더의 안착부에 안착되고, 타측이 상기 일측으로부터 절곡되어 외측으로 돌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방화 차단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설정된 각도로 절곡되어 상기 거더와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에 접촉하는 체결프레임, 및 상기 체결프레임을 상기 거더와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에 결합시키는 나사부재를 포함하고,
    설정된 위치 또는 간격으로 복수개 배치되어 상기 거더와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를 고정시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방화 차단장치.
  8. 건축물 외부에 설치되어 화재 확산을 저지하는 층간 화재확산 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의 층을 구획하는 슬라브의 외측 사면에 배치된 거더;
    상기 거더에 결합되는 층간방화 캔틸레버;
    토핑 콘크리트-상기 토핑 콘크리트는 상기 거더와 상기 슬라브의 결합을 위해 타설되며 상기 거더와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에 접합됨- 및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를 결합시키는 연결강재; 및
    상기 거더와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 각각에 내근된 철근에 결합되는 연결철근;
    을 포함하고,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는,
    철근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거더는,
    상기 토핑 콘크리트의 내부에 상기 거더에 포함되는 제1 스터럽의 상부가 매립됨으로써 상기 슬라브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는,
    상기 거더를 통해 상기 슬라브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방화 차단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강재는,
    상기 거더에 안착된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의 일측과, 상기 토핑 콘크리트에 매립 또는 내근되어 상기 토핑 콘크리트와 상기 층간방화 캔틸레버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방화 차단장치.

KR1020220054400A 2022-05-02 2022-05-02 층간방화 차단장치 KR102529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400A KR102529096B1 (ko) 2022-05-02 2022-05-02 층간방화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400A KR102529096B1 (ko) 2022-05-02 2022-05-02 층간방화 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9096B1 true KR102529096B1 (ko) 2023-05-08

Family

ID=86381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4400A KR102529096B1 (ko) 2022-05-02 2022-05-02 층간방화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909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9168Y1 (ko) 2006-03-17 2006-06-16 김대중 층간 방화 차단 장치
KR100746810B1 (ko) * 2006-03-17 2007-08-06 김대중 층간 방화 차단 장치
KR100903084B1 (ko) * 2008-11-13 2009-06-18 주식회사 석문이엔지 화염확산 방지 구조
KR101100694B1 (ko) * 2011-01-12 2011-12-29 일진인터내셔날 (주) 외측거더와 일체화시킨 교량 바닥판 시공을 위한 캔틸레버부
KR20150078249A (ko) * 2013-12-30 2015-07-08 신우콘크리트산업 주식회사 교량의 캔틸레버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9168Y1 (ko) 2006-03-17 2006-06-16 김대중 층간 방화 차단 장치
KR100746810B1 (ko) * 2006-03-17 2007-08-06 김대중 층간 방화 차단 장치
KR100903084B1 (ko) * 2008-11-13 2009-06-18 주식회사 석문이엔지 화염확산 방지 구조
KR101100694B1 (ko) * 2011-01-12 2011-12-29 일진인터내셔날 (주) 외측거더와 일체화시킨 교량 바닥판 시공을 위한 캔틸레버부
KR20150078249A (ko) * 2013-12-30 2015-07-08 신우콘크리트산업 주식회사 교량의 캔틸레버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3976B1 (ko) 소음 차단 이중 슬라브 구조가 적용된 건축물
JP6166560B2 (ja) 免震建物の増築構造
KR102529096B1 (ko) 층간방화 차단장치
KR101178168B1 (ko) 건축물의 장스팬 고하중용 아이엠티 슬래브
KR102132674B1 (ko) 내진 시공이 적용된 비내력벽 시스템
KR200450899Y1 (ko) 지진대피시설
KR100898389B1 (ko) 건축물의 내진보강 코어 및 그 시공방법
KR100768081B1 (ko) 무주식 공동주택 구조물
KR100609187B1 (ko) 리모델링 건축물의 내진성능 보강을 위한 나뭇가지형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강 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내진보강구조
KR100301305B1 (ko) 초고층건물의 합성바닥 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H1143994A (ja) Rc造の扁平梁
KR101000633B1 (ko) 철근콘크리트 벽식 구조물에서의 유닛경계통합구조
JPH084185A (ja) 建築物の床構造
JP3690481B2 (ja) 建物の施工方法
JP7484056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及び建物
KR102612179B1 (ko) 철골 콘크리트 합성보와 경량 콘크리트 패널이 합성된 바닥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JP3597183B2 (ja) 外フレーム構築による階段室式共同住宅のバリアフリー化工法
KR102544913B1 (ko) 층간소음 방지에 효과적인 슬래브 보강구조
KR100643636B1 (ko) 공동주택의 바닥구조 및 그 시공방법
RU2298617C2 (ru) Перекрытие зданий и сооружений
RU2368742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стенно-потолоч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в железобетонном исполнении
JP2010185231A (ja) 柱梁接合部構造
KR101165443B1 (ko) 층고저감형 바닥구조
RU2165501C1 (ru) Монолитное перекрытие
JP6535481B2 (ja) 既設建物の耐震補強構造及び既設建物の耐震補強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