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8081B1 - 무주식 공동주택 구조물 - Google Patents

무주식 공동주택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8081B1
KR100768081B1 KR1020060137509A KR20060137509A KR100768081B1 KR 100768081 B1 KR100768081 B1 KR 100768081B1 KR 1020060137509 A KR1020060137509 A KR 1020060137509A KR 20060137509 A KR20060137509 A KR 20060137509A KR 100768081 B1 KR100768081 B1 KR 100768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lab
walls
concrete plate
a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7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2404A (ko
Inventor
문종기
지홍길
권대영
Original Assignee
문종기
지홍길
권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종기, 지홍길, 권대영 filed Critical 문종기
Publication of KR20070072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2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8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8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04H1/04Apartment houses arranged in two or more lev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6Structures made from masses, e.g. of concrete,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with or without making use of additional elements, such as permanent forms, substructures to be coated with load-bearing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0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with reinforcements or tension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C벽체로 기본 골조를 형성하고 각 층의 PC벽체 사이에 슬래브 요소를 시공하여 이루어지는 무주식(無柱式) 공동주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주식 공동주택 구조물은, 공동주택의 단위세대를 형성하고,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수직연결철근을 각각 가지는 다수의 제1 PC벽체와, 서로 마주하는 제1 PC벽체 상에 배치되고, 내부에 복수의 할로우코어를 각각 가지는 다수의 슬래브와, 슬래브의 상면과 제1 PC벽체의 상단에 현장타설에 의해 형성되는 콘크리트판과, 콘크리트판 상에 제1 PC벽체에 대응하게 위치되어 상층 단위세대를 형성하고, 하단에 제1 수직연결철근과 이어지는 제2 수직연결철근을 각각 가지는 다수의 제2 PC벽체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PC벽체와 슬래브 요소가 일체형 구조체로 이루어져 충분한 강도를 발휘할 수 있고 단위세대 내에 내력벽 또는 기둥이 없는 무주식(無柱式) 공동주택 구조물이 제공된다.
PC벽체, 할로우코어슬래브, PSC빔, 하프PC슬래브, 스틸빔, 데크플레이트

Description

무주식 공동주택 구조물{COLUMNLESS STRUCTURE OF APARTMENT BUILD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주식 공동주택 구조물의 기본 골조 계획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구조물의 제1 실시예(“ALT-1”구조)의 평면 계획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서의 PC벽체와 할로우코어슬래브의 접합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ALT-1구조의 부분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Ⅵ-Ⅵ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Ⅶ-Ⅶ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구조물의 제2 실시예(“ALT-2”구조)의 평면 계획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제2 실시예에서의 PC벽체와 PSC빔의 접합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XI-X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2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구조물의 제3 실시예(“ALT-3”구조)에서의 PC벽체와 스틸빔의 접합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XIV-XIV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5는 스틸빔과 데크플레이트의 설치구조의 변형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6은 스틸빔과 데크플레이트의 설치구조의 다른 변형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1 PC벽체 10″: 제2 PC벽체
11′, 11″ : 구조용 벽철근 12′, 12″ : 수직연결철근
21 : 할로우코어슬래브 21a: 할로우코어
21b : 커팅부 21c : 차단벽
22 : 콘크리트판 23: 연결철근
31 : PSC빔 32 : 하프PC슬래브
41 : 스틸빔 42 : 데크플레이트
본 발명은 공동주택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주택 단위세대를 코어벽체, 세대간벽체 및 슬래브로 형성하여 단위세대 내부에 기둥과 내력벽체를 제거함으로써 단위세대 내의 공간활용도를 증대시킨 무주식(無柱式) 공동 주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등의 공동주택은 아파트의 전체적인 골조에 해당되는 내력벽과 슬래브를 시공하고, 그 다음 단위세대 내부를 구획하기 위한 내부벽체를 시공하는 이른바 내력벽식으로 건축된다. 내부벽체는 건물의 전체적인 하중을 지탱하도록 하는 일명 내력벽과 건물의 하중은 지탱하지 않으면서 단순히 단위세대내의 실내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비내력벽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내력벽은 보와 슬래브(slab)를 지탱해 주는 것으로서 그 위치변경은 구조물 안전상 절대적으로 불가하므로, 아파트 각 단위세대내의 평면구조가 획일화되고 평면구조를 변화시키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최근 발코니 확장 등에 대한 리모델링 기준 변화로 인해 거실과 전면발코니, 안방과 전면발코니, 그리고 주방과 후면발코니 사이의 내력벽을 허물고 불법 확장하는 사례가 발생하여, 법규를 위반하게 됨은 물론, 건축물의 구조 안전에 대한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건축구조설계기준 중 내진설계기준 강화(대한건축학회, 2005)로 인해 기존 내력벽식 아파트의 필로티 부분의 설계에 많은 비용이 발생하며, 공동주택 바닥충격음 차단구조 및 관리기준(건설교통부고시 제2005-189호)으로 인해 기존 내력벽식 아파트의 경우 슬래브의 두께를 구조내력상 필요한 두께 이상인 최소 210mm 이상으로 설계하여야 하므로, 기존의 내력벽식 아파트는 그 실효성이 떨어지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내력벽식의 공동주택 구조를 탈피한 새로운 공동주택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직부재를 PC벽체로 하고 상하층 PC벽체 사이에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바닥 또는 천장을 형성하여 단위세대를 구성함으로써 단위세대 내에 내력벽 또는 기둥이 없는 무주식(無柱式) 공동주택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PC벽체와 바닥 또는 천장이 내력구조체로서 충분한 강도를 발휘하고 이들간에 일체성이 확보되도록 구성된 무주식 공동주택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 및 그 밖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무주식 공동주택 구조물은, 공동주택의 단위세대를 형성하고,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수직연결철근을 각각 가지는 다수의 제1 PC벽체와, 서로 마주하는 제1 PC벽체 상에 배치되고, 내부에 복수의 할로우코어를 각각 가지는 다수의 슬래브와, 슬래브의 상면과 제1 PC벽체의 상단에 현장타설에 의해 형성되는 콘크리트판과, 콘크리트판 상에 제1 PC벽체에 대응하게 위치되어 상층 단위세대를 형성하고, 하단에 제1 수직연결철근과 이어지는 제2 수직연결철근을 각각 가지는 다수의 제2 PC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무주식 공동주택 구조물은, 공동주택의 단위세대를 형성하고,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수직연결철근을 각각 가지는 다수의 제1 PC벽체와, 서로 마주하는 제1 PC벽체 상에 배치되는 다수의 PSC빔과, PSC빔 사이 에 배치되는 다수의 하프PC슬래브와, PSC빔의 상면과 하프PC슬래브의 상면과 제1 PC벽체의 상단에 현장타설에 의해 형성되는 콘크리트판과, 콘크리트판 상에 제1 PC벽체에 대응하게 위치되어 상층 단위세대를 형성하고, 하단에 제1 수직연결철근과 이어지는 제2 수직연결철근을 각각 가지는 다수의 제2 PC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무주식 공동주택 구조물은, 공동주택의 단위세대를 형성하고,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수직연결철근을 각각 가지는 다수의 제1 PC벽체와; 서로 마주하는 제1 PC벽체 상에 배치되는 다수의 스틸빔과, 스틸빔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데크플레이트와, 데크플레이트의 상면과 제1 PC벽체의 상단에 현장타설에 의해 형성되는 콘크리트판과, 콘크리트판 상에 제1 PC벽체에 대응하게 위치되어 상층 단위세대를 형성하고, 하단에 제1 수직연결철근과 이어지는 제2 수직연결철근을 각각 가지는 다수의 제2 PC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주식 공동주택 구조물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위세대 내에 내력벽이나 기둥이 없는 공동주택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다음과 같은 구조 형식을 제안한다.
구분 수평부재 수직부재
ALT-1 할로우코어슬래브(HOLLOW CORE SLAB) + 하프PC슬래브(HALF PC SLAB) PC벽체(PC WALL)
ALT-2 PSC빔(PSC BEAM) + 하프PC슬래브(HALF PC SLAB)
ALT-3 스틸빔(STEEL BEAM) + 데크플레이트(DECK PLATE)
본 발명자에 의해 “ALT-1”, “ALT-2” 및 “ALT-3”로 명명되어지는 상기 세가지 구조 형식은, 스팬 길이가 12~14m인 30~40평형대 아파트의 기본 골조를 단위세대 내부에 내력벽이나 기둥 없이 최소한의 PC벽체만을 사용하여 구성하고, 각 단위세대의 바닥 또는 천장을 구성하기 위해 상기 할로우코어슬래브, PSC빔 또는 스틸빔을 채용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주식 공동주택 구조물의 기본 골조 계획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지상20층, 지하1층, 34평형(12.3m 스팬), 4호조합형 등의 요건에 맞는 공동주택의 골조 계획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동주택 구조물의 주골조는 PC벽체로 구성되며, PC벽체는 코어벽체(1), 세대간벽체(2), 외측벽체(3), 정면수평벽체, 욕실벽체로서 채용된다. 이들 벽체를 구성하는 PC벽체는 요구되는 내진설계기준과 풍하중설계기준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PC벽체는 300~500㎜의 두께와, 270㎏f/㎠의 압축강도를 가지도록 선택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구조물의 제1 실시예(“ALT-1”구조)의 평면 계획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PC벽체와 할로우코어슬래브의 접합 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Ⅳ-Ⅳ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무주식 공동주택 구조물은, 공동주택의 단위세대를 형성하고,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수직연결철근(12′)을 각각 가지는 다수의 제1 PC벽체(10′)와, 서로 마주하는 제1 PC벽체 상에 배치되고, 내부에 복수의 할로우코어(21a)를 가지는 다수의 슬래브(21)와, 슬래브(21)의 상면과 제1 PC벽체(10′)의 상단에 현장타설되어 형성되는 콘크리트판(22)과, 콘크리트판(22) 상에 제1 PC벽체(10′)에 대응하게 위치되어 상층 단위세대를 형성하고, 하단에 제1 수직연결철근(12′)과 이어지는 제2 수직연결철근(12″)을 각각 가지는 다수의 제2 PC벽체(10″)를 포함한다.
제1 PC벽체(10′)와 제2 PC벽체(10″)는 예컨대 임의의 층을 기준으로 할 때 각각 하층의 단위세대를 구성하는 벽체와 상층의 단위세대를 구성하는 벽체가 될 수 있다. 즉, 본원에서, 임의의 층을 기준으로 하층에 놓이는 PC벽체를 제1 PC벽체로 참조하고, 상층에 놓이는 PC벽체를 제2 PC벽체로 참조한다. 따라서, 지하층과 최상층을 제외한 중간층에서 제1 PC벽체와 제2 PC벽체는 서로 동일한 구성이 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PC벽체(10′, 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코어벽체(1), 세대간벽체(2) 또는 외측벽체(3)가 될 수 있다. 제1 및 제2 PC벽체(10′, 10″)의 내부에는 구조용 벽철근(11′, 11″)이 각각 매립되어 있다.
각 단위세대의 바닥 또는 천장을 구성하며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할로우코어(21a)를 가지는 슬래브(21)(이하, “할로우코어슬래브”라 한다)는 일층의 단위세대를 형성하는 제1 PC벽체(10′) 중 서로 마주하는 제1 PC벽체(10′)의 상단에 단위세대의 스팬 방향으로 설치된다. 할로우코어슬래브(21)는 내부에 복수의 할로우코어(21a)를 가지고,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높아 장스팬에 적용될 수 있으며, 아울러 차음효과도 우수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할로우코어슬래브(21)의 두께는 약 265㎜이고 약 350㎏f/㎠의 압축강도와 266tf/㎠의 탄성계수를 가진다. 또한, 할로우코어슬래브(21)는 내부에 PS강선(미도시)을 매립하여 프리스트레스 상태로 제조되며, 이 경우 PS강선의 프리스트레싱에 의해 초기 솟음이 가해진다. 19,178㎏f/㎠의 인장강도와 16,294㎏f/㎠의 항복강도와 2,000tf/㎠의 탄성계수를 가지는 PS강선이 채용될 수 있다. 할로우코어슬래브(21)의 길이는 적용되는 공동주택의 단위세대의 스팬 길이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콘크리트판(22)은 할로우코어슬래브(21)의 상면과 제1 PC벽체(10′)의 상단에 콘크리트의 현장타설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할로우코어슬래브(21)와 콘크리트판(22)은 일종의 합성부재로서 작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현장타설되는 콘크리트판(22)의 두께는 약 75㎜이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할로우코어슬래브(21)와 콘크리트판(22)으로 이루어지는 합성부재의 두께는 약 340㎜로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치는 공동주택 바닥충격음에 대한 기준을 만족시킨다.
콘크리트판(22)의 형성시 할로우코어슬래브(21) 내부의 할로우코어(21a) 내에도 콘크리트가 타설되면 할로우코어슬래브(21)와 콘크리트판(22)은 일체로 거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할로우코어슬래브(21)의 제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 현장타설되는 콘크리트는 할로우코어슬래브(21)의 단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서 할로우코어 내로 채워진다.
이를 위해, 할로우코어슬래브(21)는 할로우코어(21a) 내에 제1 PC벽체(10′)에 접하는 단부로 부터 소정 길이에 할로우코어(21a)를 폐쇄하기 위한 차단벽(21b)을 가진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현장타설시, 콘크리트는 할로우코어(21a) 내에서 차단벽(21b) 까지 채워진다. 차단벽(21b)으로서, 할로우코어의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또는 콘크리트 블록이 사용될 수 있으며, 할로우코어슬래브의 현장시공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할로우코어(21a) 내로 콘크리트가 용이하게 채워지기 위해, 할로우코어슬래브(21)는 그 상면에 할로우코어(21a)에 통하는 소정 길이의 커팅부(21c)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커팅부(21c)는 할로우코어슬래브(21)의 단부로부터 차단벽(21b)이 위치하는 곳까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판(22)이 할로우코어슬래브(21)가 제1 PC벽체(10′)에 접하는 단부 부근의 할로우코어 내까지 채워지게 되므로, 제1 PC벽체(10′) 부근의 상기 합성부재의 단면은 솔리드(solid) 형태로 된다(도 4 참조).
상기 합성부재의 구조적 일체성을 확보하기 위해, 제1 PC벽체(10′) 상단에 할로우코어슬래브(21)가 설치된 상태에서, 할로우코어(21a) 내로 연결철근(23)이 배근된다. 도 3과 같이, 제1 PC벽체(10′)가 세대간벽체인 경우 대향하는 할로우코어슬래브(21)의 할로우코어(21a)에 모두 걸치게 연결철근(23)이 배근된다. 연결철근(23)으로서, 예컨대 4,000㎏f/㎠의 최소항복강도와 2,000tf/㎠의 탄성계수를 가지는 철근이 채용될 수 있다. 도 3과는 달리 코어벽체(1) 또는 외측벽체(3)의 경우, 대향하는 할로우코어슬래브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연결철근(23)은 단순히 할로우코어(21a) 내에 배근된다.
콘크리트판(22) 상에 제2 PC벽체(10″)가 설치되며, 제1 PC벽체(10′)와 대응하게 위치하여 제1 PC벽체(10′)가 한정하는 단위세대와 동일한 형태의 단위세대를 한정한다. 제2 PC벽체(10″)의 하단에는 제1 수직연결철근(12′)과 이어지는 또는 결합되는 제2 수직연결철근(12″)이 매립되어 있다.
제2 PC벽체(10″)는 하단에 제1 및 제2 수직연결철근(12′, 12″)의 결합을 위한 슬리브(13)를 구비한다. 슬리브(13)는 제2 PC벽체(10″)가 제1 PC벽체(10′)에 대응하게 콘크리트판(22) 상에 놓일 때 제1 수직연결철근(12′)이 끼워지도록 제2 PC벽체(10″) 하단에 매립되어 있다. 제2 수직연결철근(12″)은 그 일단이 슬리브(13) 내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있도록 제2 PC벽체(10″)의 하단에 매립되어 있다. 또한, 제2 PC벽체(10″)에는 슬리브(13) 내로 통하는 몰탈주입구(14)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할로우코어슬래브(21)와 PC벽체(10′, 10″) 사이의 접합과 공동주택 구조물의 시공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있어서, PC벽체(10′, 10″)는 예컨대 세대간벽체(2)이다.
제1 PC벽체(10′)를 단위세대 형태로 시공한 후, 그 상단에 할로우코어슬래브(21)를 스팬방향으로 다수 걸쳐 단위세대의 바닥 또는 천장을 시공한다.
제1 PC벽체(10′) 상단에 할로우코어슬래브(21)가 설치된 상태에서, 할로우코어(21a) 내로 구조적 일체성을 확보하기 위한 연결철근(23)을 배근한다. 도 3과 같이, 제1 PC벽체(10′)가 세대간벽체인 경우 대향하는 할로우코어슬래브(21)의 할로우코어(21a)에 모두 걸치게 연결철근(23)을 배근한다. 그 후, 할로우코어슬래브(21)의 상부에 콘크리트판(22) 내에 매립되기 위한 부모멘트철근(24)을 배근한다.
그 후, 콘크리트를 현장타설하여 콘크리트판(22)을 형성한다. 이 때, 현장타설되는 콘크리트는 커팅부(21c)를 통해 할로우코어(21a) 내로 용이하게 채워질 수 있으며, 차단벽(21b)에 의해 그 이상 할로우코어(21a) 내로 채워지는 것이 방지된다. 콘크리트판(22)의 현장타설이 완료된 후 충분한 시간 양생시킨다.
제1 PC벽체(10′)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수직연결철근(12′)의 연장길이는 현장타설된 콘크리트판(22)의 두께보다 크도록, 즉, 본 실시예에서의 단위세대의 바닥 또는 천장의 두께보다 크도록 정해진다. 따라서, 콘크리트판(22)의 양생 후, 제1 수직연결철근(12′)의 단부는 콘크리트판(22)의 표면 위로 소정 높이만큼 돌출하게 된다.
콘크리트판(22)의 양생 후, 제2 PC벽체(10″)를 제1 PC벽체(10′)에 대응하게 콘크리트판(22) 상에 설치한다. 이 경우, 제2 PC벽체(10″)는 그 하단에 구비된 슬리브(12) 내로 제1 수직연결철근(12′)이 끼워지면서 콘크리트판(22) 상에 설치된다. 슬리브(12) 내에는 제2 수직연결철근(12″)의 단부가 소정 길이 연장되어 있으므로, 제1 수직연결철근(12′)의 단부와 제2 수직연결철근(12″)의 단부는 슬리브(13) 내에서 서로 근접하게 위치된다. 그 후, 몰탈주입구(13)를 통해 슬리브(12) 내로 고강도 무수축 몰탈을 충전시키고 경화시키면, 제1 및 제2 수직연결철근(12′, 12″)는 서로 연속적으로 이어진 철근과 같이 거동할 수 있다.
코어벽체(1) 또는 외측벽체(3)의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연결철근(23)을 단순히 할로우코어(21a) 내에 배근하고 부모멘트철근(24)을 할로우코어슬래브(21) 상에 배근한 후, 거푸집(미도시)을 설치해 콘크리트판(22)을 현장타설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할로우코어슬래브(21)와 콘크리트판(22)으로 이루어지는 합성부재는 수직하중에 대해서만 저항하며, 풍하중과 지진하중과 같은 수평하중은 이러한 합성부재의 수평격막작용에 의해 제1 및 제2 PC벽체(10′, 10″)에 전달된다.
이와 같이, 할로우코어슬래브(21)를 단위세대의 바닥 또는 천장을 구성하는요소로서 사용하고 그 상면과 제1 PC벽체(10′) 상단에 콘크리트판(22)이 형성되고 연결철근(23)이 배근되어 할로우코어슬래브(21)와 콘크리트판(22)이 일종의 합성부재로 작용하게 되므로, 기본 골조로서 PC벽체만을 사용하는 경우 단위세대의 장스팬에 대한 사용성과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PC벽체(10′, 10″)가 수직연결철근을 통해 콘크리트판(22)과 결합되는 동시에 콘크리트판(22)을 거쳐 할로우코어슬래브(21)와 결합되므로, 이들 요소들 간의 일체성이 확보되고 한정된 벽량으로 공동주택의 골조를 구성하여도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낸 “ALT-1”구조의 부분 평면도이고, 도 6과 도 7은 각각 도 5의 Ⅵ-Ⅵ 선과 Ⅶ-Ⅶ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구조물은 단위세대에 용수를 공급하거나 오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관이 통과하기 위한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이웃하는 할로우코어슬래브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하프PC슬래브(25)를 더 포함한다. 하프PC슬래브(25)의 설치를 위해 할로우코어슬래브(21)의 양측면에는 하프PC슬래브(25)가 안착될 수 있는 턱이 형성된다.
복수의 하프PC슬래브(25) 중 서로 이웃하는 두개의 하프PC슬래브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 이격된 부분으로 인해 상하방으로 관통한 오프닝부(26)가 형성된다. 배관의 통과를 위한 오프닝부(26)는 설계조건에 따라 그 위치와 크기가 다양하므로, 장스팬에 적용되도록 배치된 할로우코어슬래브(21)에 오프닝부를 형성하는 경우 많은 곤란함이 따른다. 이는 오프닝부 형성을 위해 할로우코어슬래브(21)에 직접 작업하면, 할로우코어슬래브(21)를 뚫는 작업이 어려울뿐만 아니라, 할로우코어슬래브(21)의 연속성이 단절되고 할로우코어슬래브(21)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PS강선이 파손될 수 있어 안정성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설계상 오프닝부(26)가 위치하는 부분에, 할로우코어슬래브(21)를 시공하는 대신 이웃하는 할로우코어슬래브 사이에 복수의 하프PC슬래브(25)를 이웃하는 두개의 하프PC슬래브(25)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오프닝부(26)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8은 “ALT-1”구조에 따른 상기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상술한 실시예(도 3참조)와 비교할 때, 제1 및 제2 PC벽체(10′, 10″) 내에 배근되는 구조용벽철근(11′, 11″)들을 수직연결철근의 기능을 하도록 적절히 변형하여 콘크리트판(22)을 통과하게 한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구조물의 제2 실시예(“ALT-2”구조)의 평면 계획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PC벽체와 PSC빔의 접합 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XI-X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각 단위세대의 바닥 또는 천장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PSC빔과 하프PC슬래브를 사용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무주식 공동주택 구조물은, 공동주택의 단위세대를 형성하고,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수직연결철근(12′)을 각각 가지는 다수의 제1 PC벽체(10′)와, 서로 마주하는 제1 PC벽체(10′) 상에 배치되는 다수의 PSC빔(31)과, PSC빔(31)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하프PC슬래브(32)와, PSC빔(31)의 상면과 하프PC슬래브(32)의 상면과 제1 PC벽체(10′)의 상단에 현장타설에 의해 형성되는 콘크리트판(33)과, 콘크리트판(33) 상에 제1 PC벽체(10′)에 대응하게 위치되어 상층 단위세대를 형성하고, 하단에 제1 수직연결철근(12′)과 이어지는 제2 수직연결철근(12″)을 각각 가지는 다수의 제2 PC벽체(10″)를 포함한다.
제1 PC벽체(10′)와 제2 PC벽체(10″)는 코어벽체(1), 세대간벽체(2), 외측벽체(3), 정면수평벽체, 욕실벽체가 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PC벽체(10′, 10″)는 내부에 구조용 벽철근(11′, 11″)들이 각기 매립되어 있다.
각 단위세대의 바닥 또는 천장은 PSC빔(31)과 하프PC슬래브(32)로 구성된다. PSC빔(31)은 서로 마주하는 제1 PC벽체(10′) 상에 걸쳐지며, 바람직하게는 275㎜ 정도의 높이와 400㎜ 정도의 폭을 가진다. PSC빔(31)은 내부에 PS강선(미도시)을 매립하여 프리스트레스 상태로 제조되며, PS강선의 프리스트레싱에 의해 초기 솟음이 가해져 있어 처짐에 대응할 수 있다. 적용되는 PS강선의 물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PSC빔(31)의 길이는 적용되는 공동주택의 단위세대의 스팬 길이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PSC빔(31)은 서로 마주하는 제1 PC벽체(10′) 상에 소정 간격으로(바람직하게는, 1m 간격으로) 배치된다. 이웃하는 PSC빔(31) 사이에 복수의 하프PC슬래브(32)가 배치된다. PSC빔(31)과 하프PC슬래브(32) 사이의 이음부분에는 고강도 몰탈(31a)을 주입하여 경화시킨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하프PC슬래브(32)의 두께는 75㎜이다.
PSC빔(31)의 상면과 하프PC슬래브(32)의 상면과 제1 PC벽체(10′)의 상단 위에 콘크리트가 현장타설되어 콘크리트판(33)이 형성된다. 따라서, PSC빔(31)과 하프PC슬래브(32)와 콘크리트판(33)은 일종의 합성부재로서 작용할 수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현장타설되는 콘크리트판(33)의 두께는 약 75㎜이다. 그러므로, 하프PC슬래브(32)와 콘크리트판(33)의 두께의 합은 약 150㎜로 되어, 라멘조에 대한 공동주택 바닥충격음에 대한 기준을 만족시키고 있다.
상기 합성부재의 구조적 일체성을 확보하기 위해, 제1 PC벽체(10′) 상단에 PSC빔(31)이 설치된 상태에서, PSC빔(31)에 연결철근(34)이 배근된다. 도 10과 같이, 제1 PC벽체(10′)가 세대간벽체인 경우 대향하는 PSC빔(31)에 모두 걸치게 연결철근(34)이 배근되며, 도 10과는 달리, 코어벽체(1) 또는 외측벽체(3)의 경우, 대향하는 PSC빔(31)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연결철근(34)은 단순히 일측의 PSC빔(31)에 배근된다. 적용되는 연결철근(34)의 물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콘크리트판(33) 상에 제2 PC벽체(10″)가 제1 PC벽체(10′)와 대응하게 설치된다. 제2 PC벽체(10″)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을 참조하여, PSC빔(31)과 PC벽체(10′, 10″) 사이의 접합과 공동주택 구조물의 시공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에 있어서, PC벽체(10′, 10″)는 예컨대 세대간벽체(2)이다.
제1 PC벽체(10′)를 단위세대 형태로 시공한 후, 제1 PC벽체(10′) 중 서로 마주하는 제1 PC벽체의 상단에 PSC빔(31)을 스팬방향으로 소정 간격에 걸쳐 설치한다. 제1 PC벽체(10′) 상단에 PSC빔(31)이 설치된 상태에서, 이웃하는 PSC빔(31) 사이에 복수개의 하프PC슬래브(32)를 배치한다.
그 후, 구조적 일체성을 확보하기 위한 연결철근(34)을 배근한다. 도 3과 같이, 제1 PC벽체(10′)가 세대간벽체인 경우 이웃하는 PSC빔(31)에 모두 걸치게 연결철근(34)을 배근한다. 그 후, PSC빔(31)의 상부와 하프PC슬래브(32)의 상부에 콘크리트판(33) 내에 매립되기 위한 부모멘트철근(35)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현장타설하여 콘크리트판(33)을 형성한후 양생시킨다. 제2 PC벽체(10″)의 설치 방식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코어벽체(1) 또는 외측벽체(3)의 경우, 도 10과는 달리 대향하는 PSC빔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연결철근(34)을 단순히 제1 PC벽체(10′)의 상단에 배근하고 부모멘트철근(32)을 PSC빔(31)과 하프PC슬래브(32) 상에 배근한 후, 거푸집(미도시)을 설치해 콘크리트판(33)을 현장타설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PSC빔(31)과 하프PC슬래브(32)와 콘크리트판(33)으로 이루어지는 합성부재는 수직하중에 대해서만 저항하며, 수평하중은 수평격막작용에 의해 제1 및 제2 PC벽체(10′, 10″)에 전달된다.
이와 같이, PSC빔(31)과 하프PC슬래브(32)를 단위세대의 바닥 또는 천장을 구성하는 요소로 사용하고 그 상면과 제1 PC벽체(10′) 상단에 콘크리트판(22)이 형성되고 연결철근(34)이 배근되어, PSC빔(31)과 하프PC슬래브(32)와 콘크리트판(33)이 일종의 합성부재로 작용하게 되므로, 기본 골조로서 PC벽체만을 사용하는 경우 단위세대의 장스팬에 대한 사용성과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PC벽체(10′, 10″)가 수직연결철근에 의해 콘크리트판(33)과 결합되는 동시에 콘크리트판(33)을 거쳐 PSC빔(31)과 결합되므로, 이들 요소들 간의 일체성이 확보되고 한정된 벽량으로 공동주택의 골조를 구성하여도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오프닝부는, 오프닝부가 형성될 위치에 하프PC슬래브(32)를 배치하지 않고, 즉 해당 위치의 하프PC슬래브(32)를 선택적으로 제거하고 제거된 부분에 거푸집 등으로 콘크리트판(33)이 형성되지 않게 함으로써 마련될 수 있다.
도 12는 “ALT-2”구조에 따른 상기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상술한 제2 실시예(도 10 참조)와 비교할 때, 제1 및 제2 PC벽체(10′, 10″) 내에 배근되는 구조용벽철근(11′, 11″)들을 수직연결철근의 기능을 하도록 적절히 변형하여 콘크리트판(33)을 통과하게 한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구조물의 제3 실시예(“ALT-3”구조)에서의 PC벽체와 스틸빔의 접합 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XIV-XIV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각 단위세대의 바닥 또는 천장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스틸빔과 데크플레이트를 사용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하다. 제1 및 제2 실시예와 비교하여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무주식 공동주택 구조물은, 공동주택의 단위세대를 형성하고,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수직연결철근을 각각 가지는 다수의 제1 PC벽체(10′)와, 서로 마주하는 제1 PC벽체(10′) 상에 양단이 지지되어 배치되는 다수의 스틸빔(41)과, 스틸빔(41)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데크플레이트(42)와, 데크플레이트(42)의 상면과 제1 PC벽체(10′)의 상단에 현장타설에 의해 형성되는 콘크리트판(43)과, 콘크리트판(43) 상에 제1 PC벽체(10′)에 대응하게 위치되어 상층 단위세대를 형성하고, 하단에 제1 수직연결철근과 이어지는 제2 수직연결철근을 각각 가지는 다수의 제2 PC벽체(10″)를 포함한다.
제1 PC벽체(10′)와 제2 PC벽체(10″)는 코어벽체(1), 세대간벽체(2), 외측벽체(3), 정면수평벽체, 욕실벽체가 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PC벽체(10′, 10″)는 내부에 구조용 벽철근(11′, 11″)들이 각기 배근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PC벽체(10′)와 제2 PC벽체(10″)의 연결을 위한 수직연결철근은 구조용 벽철근(11′, 11″)을 PC벽체의 상단으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시켜 형성된다. 제1 PC벽체(10′)는 그 상단에 스틸빔(46)의 단부를 고정하여 지지하기 위해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부재(15)를 가지며, 고정부재(15)는 스터드(16)와 함께 제1 PC벽체(10′)의 상단에 매립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각 단위세대의 바닥 또는 천장은 스틸빔(41)과 데크플레이트(42)와 콘크리트판(43)으로 구성된다.
스틸빔(41)은 서로 마주하는 제1 PC벽체(10′) 상에 걸쳐지며, 바람직하게는 200㎜ 정도의 높이를 가지는 “H빔”이 될 수 있다. 스틸빔(31)은 부재 제작시에 소정 높이의 캠버(camber)를 형성함으로써, 처짐에 대응할 수 있다. 스틸빔(41)의 길이는 적용되는 공동주택의 단위세대의 스팬 길이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스틸빔(41)의 상단에는 상측에 현장타설에 의해 배치되는 콘크리트판(43)과의 결합을 위해 다수의 스터드(46)가 고정되어 있다.
스틸빔(41)은 서로 마주하는 제1 PC벽체(10′) 상에 소정 간격으로(바람직하게는, 1m 간격으로) 배치된다. 이웃하는 스틸빔(41) 사이에 복수의 데크플레이트(42)가 배치된다. 데크플레이트(42)는 스팟용접 또는 압접에 의해 스틸빔(41)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데크플레이트(42)는 “평데크플레이트” 또는 “골데크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데크플레이트(42)의 상면과 제1 PC벽체(10′)의 상단 위에 콘크리트가 현장타설되어 콘크리트판(43)이 형성된다. 따라서, 스틸빔(41)과 데크플레이트(42)와 콘크리트판(43)은 일종의 합성부재로서 작용할 수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현장타설되는 콘크리트판(43)의 두께는 약 150㎜이며, 이러한 두께는 라멘조에 대한 공동주택 바닥충격음에 대한 기준을 만족시킨다.
상기 합성부재의 구조적 일체성을 확보하기 위해, 제1 PC벽체(10′) 상단에 스틸빔(41)이 설치된 상태에서, 데크플레이트(42) 상부에 연결철근(44)이 배근된다. 도 13과 같이 제1 PC벽체(10′)가 세대간벽체인 경우, 제1 PC벽체(10′)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데크플레이트(42)에 모두 걸치게 연결철근(44)이 배근되며, 도 13과는 달리 코어벽체(1) 또는 외측벽체(3)의 경우, 대향하는 데크플레이트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연결철근(44)은 단순히 일측의 데크플레이트(41) 상에 배근된다. 연결철근(44)의 물성은 제1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하다.
콘크리트판(43) 상에 제2 PC벽체(10″)가 제1 PC벽체(10′)와 대응하게 설치된다. 제2 PC벽체(10″)의 설치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PC벽체(10′)를 단위세대 형태로 시공한 후, 각 스틸빔(41)을 단위세대의 스팬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배치하고 그 양단을 고정부재(15)에 볼팅(bolting) 등의 방법으로 제1 PC벽체(10′)에 고정한다. 제1 PC벽체(10′) 상단에 스틸빔(41)이 설치된 상태에서, 이웃하는 스틸빔(41) 사이에 복수개의 데크플레이트(42)를 배치하고 스팟용접 또는 압접에 의해 스틸빔(41)에 고정한다.
그 후, 구조적 일체성을 확보하기 위한 연결철근(44)을 배근한다. 도 13과 같이, 제1 PC벽체(10′)가 세대간벽체인 경우 대향하는 데크플레이트(42)에 모두 걸치게 연결철근(44)을 배근하고, 부모멘트철근(45)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현장타설하여 콘크리트판(43)을 형성하고 양생시킨다. 제2 PC벽체(10″)의 설치 방식은 제1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코어벽체(1) 또는 외측벽체(3)의 경우, 도 13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대향하는 데크플레이트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연결철근(44)을 단순히 제1 PC벽체(10′)의 데크플레이트 상에 배근하고 부모멘트철근(45)을 배근한 후, 거푸집(미도시)을 설치해 콘크리트판(43)을 현장타설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스틸빔(41)과 데크플레이트(42)와 콘크리트판(43)으로 이루어지는 합성부재는 수직하중에 대해서만 저항하며, 수평하중은 수평격막작용에 의해 제1 및 제2 PC벽체(10′, 10″)에 전달된다.
이와 같이, 스틸빔(41)과 데크플레이트(42)를 단위세대의 바닥 또는 천장을 구성하는 요소로 사용하고 그 상면과 제1 PC벽체(10′) 상단에 콘크리트판(43)이 형성되고 연결철근(44)이 배근되어, 스틸빔(41)과 데크플레이트(42)와 콘크리트판(43)이 일종의 합성부재로 작용하게 되므로, 기본 골조로서 PC벽체만을 사용하는 경우 단위세대의 장스팬에 대한 사용성과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스틸빔(41)이 PC벽체(10′)에 고정되어 있고 PC벽체(10′, 10″)가 벽철근(11′, 11″)에 의해 콘크리트판(43)과 결합되므로, 이들 요소들 간의 일체성이 확보되고 한정된 벽량으로 공동주택의 골조를 구성하여도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오프닝부는, 데크플레이트 중 하나에 오프닝부가 형성될 부분을 거푸집으로 막고 콘크리트를 현장타설한 후, 콘크리트판(43)의 양생이 완료되면 오프닝부를 위해 설치한 거푸집을 제거하고 드러난 데크플레이트를 커팅함으로써 마련될 수 있다.
도 15와 도 16은 스틸빔(41)과 데크플레이트(42)의 설치구조의 변형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데크플레이트(42)는 스틸빔(41)의 웨브(41b)에 브라켓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될 수도 있고 스틸빔(41)의 하측 플랜지(41a)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상태에서 콘크리트판(43)을 형성하면, 스틸빔(41)이 콘크리트판(43) 내로 매립되므로 전체적으로 층고를 낮출 수 있다. 도 15의 경우, 콘크리트판(43)의 두께가 약 150㎜이므로, 층고를 250㎜ 이내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15와 같이 구성하면, 좌측 데크플레이트는 평데크플레이트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데크플레이트 상의 배근 작업이 용이해지고 천장 마감면을 깨끗하게 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데크플레이트(42)는 스틸빔(41)의 하부 플랜지(41a)에 「ㄷ」자형의 브라켓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상태에서 콘크리트판(43)을 형성하면, 스틸빔(41)이 콘크리트판(43) 내로 매립되므로 전체적으로 층고를 낮출 수 있으며, 콘크리트판(43)의 두께가 약 150㎜이므로 층고를 250㎜ 이내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16과 같이 구성하는 경우, 데크플레이트는 모두 평데크플레이트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5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크플레이트(42)를 스틸빔(41)의 측면 또는 하면에 고정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을 충족하고 바닥충격음에 대한 기준을 만족시키면서 층고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무주식 공동주택 구조물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공동주택을 PC벽체와 슬래브 요소로 형성하므로, 단위세대 내에 기둥이나 내력벽이 없는 공동주택의 단위세대를 형성할 수 있고, 단위세대의 공간활용 도가 증대되며, 단위세대 내에 가변식벽체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여, 단위세대마다 서로 다른 평면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둘째, 기본 골조를 PC벽체로 구성하므로, 골조 부분을 모듈화할 수 있고 공기가 단축될 수 있다.
셋째, 할로우코어슬래브, PSC빔과 하프PC슬래브, 스틸빔과 데크플레이트 등을 사용하고 그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 요소를 시공하므로, 슬래브 시공이 간소화되고 거푸집 물량이 감소된다.
넷째, 공동주택의 1층에 필로티를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지하층의 경우에도 기둥이나 내력벽이 없어 지하층을 주차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다섯째, PC벽체를 사용하여 기본 골조를 구성하므로, 용이한 리모델링을 가능하게 한다.

Claims (14)

  1. 공동주택의 단위세대를 형성하고,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수직연결철근을 각각 가지는 다수의 제1 PC벽체와;
    서로 마주하는 제1 PC벽체 상에 배치되고, 내부에 복수의 할로우코어를 각각 가지는 다수의 슬래브와;
    상기 슬래브의 상면과 상기 제1 PC벽체의 상단에 현장타설에 의해 형성되는 콘크리트판과;
    상기 콘크리트판 상에 상기 제1 PC벽체에 대응하게 위치되어 상기 단위세대의 상층 단위세대를 형성하고, 하단에 상기 제1 수직연결철근과 이어지는 제2 수직연결철근을 각각 가지는 다수의 제2 PC벽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주식 공동주택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는 단부 부근의 상기 할로우코어 내에 상기 할로우코어를 폐쇄하기 위한 차단벽을 구비하며,
    상기 할로우코어 내에 상기 차단벽까지 상기 콘크리트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주식 공동주택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는 상기 슬래브의 단부와 상기 차단벽 사이의 상기 할로우코어의 부분을 상기 슬래브의 외부와 통하게 하는 커팅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주식 공동주택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두개의 슬래브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하프PC슬래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하프PC슬래브는 이웃하는 두개의 하프PC슬래브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주식 공동주택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와 상기 콘크리트판을 연결하기위해 배근되는 연결철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주식 공동주택 구조물.
  6. 공동주택의 단위세대를 형성하고,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수직연결철근을 각각 가지는 다수의 제1 PC벽체와;
    서로 마주하는 제1 PC벽체 상에 배치되는 다수의 PSC빔과;
    상기 PSC빔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하프PC슬래브와;
    상기 PSC빔의 상면과 상기 하프PC슬래브의 상면과 상기 제1 PC벽체의 상단에 현장타설에 의해 형성되는 콘크리트판과;
    상기 콘크리트판 상에 상기 제1 PC벽체에 대응하게 위치되어 상기 단위세대 의 상층 단위세대를 형성하고, 하단에 상기 제1 수직연결철근과 이어지는 제2 수직연결철근을 각각 가지는 다수의 제2 PC벽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주식 공동주택 구조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프PC슬래브는 이웃하는 두개의 PSC빔 사이에서 이웃하는 두개의 하프PC슬래브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주식 공동주택 구조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PSC빔과 상기 콘크리트판을 연결하기위해 배근되는 연결철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주식 공동주택 구조물.
  9. 공동주택의 단위세대를 형성하고,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수직연결철근을 각각 가지는 다수의 제1 PC벽체와;
    서로 마주하는 제1 PC벽체 상에 배치되는 다수의 스틸빔과;
    상기 스틸빔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데크플레이트와;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상면과 상기 제1 PC벽체의 상단에 현장타설에 의해 형성되는 콘크리트판과;
    상기 콘크리트판 상에 상기 제1 PC벽체에 대응하게 위치되어 상기 단위세대의 상층 단위세대를 형성하고, 하단에 상기 제1 수직연결철근과 이어지는 제2 수직연결철근을 각각 가지는 다수의 제2 PC벽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주식 공동주택 구조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플레이트와 상기 콘크리트판을 연결하기위해 배근되는 연결철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주식 공동주택 구조물.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플레이트는 상기 스틸빔의 측면 또는 하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주식 공동주택 구조물.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PC벽체는 상단에 매립되고 상기 스틸빔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스틸빔의 단부가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주식 공동주택 구조물.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PC벽체는 내부에 매립된 제1 및 제2 구조용벽철근을 각각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수직연결철근은 상기 제1 및 제2 구조용벽철근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주식 공동주택 구조물.
  14.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PC벽체는 하단에 상기 제1 및 제2 수직연결철근의 결합을 위한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내로 몰탈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를 구비하며,
    상기 슬리브는 상기 제1 수직연결철근이 끼워지도록 위치하고,
    상기 제2 수직연결철근의 일단은 상기 슬리브내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주식 공동주택 구조물.
KR1020060137509A 2005-12-29 2006-12-29 무주식 공동주택 구조물 KR1007680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33040 2005-12-29
KR1020050133040 2005-12-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2404A KR20070072404A (ko) 2007-07-04
KR100768081B1 true KR100768081B1 (ko) 2007-10-17

Family

ID=38507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7509A KR100768081B1 (ko) 2005-12-29 2006-12-29 무주식 공동주택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80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0306B1 (ko) 2009-05-06 2011-12-07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c 벽-슬래브 결합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220049720A (ko) 2020-10-15 2022-04-22 삼성물산 주식회사 다층높이의 프리캐스트 벽체를 활용한 코어부 급속시공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45652A (zh) * 2021-06-15 2021-09-28 南京航空航天大学 板端开槽孔sp空心叠合板-钢梁连接结构及其施工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7165A (ko) * 2002-12-24 2004-07-02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철골구조물에서 h형강보의 상부 플랜지에 데크를결합시킨 층고절감형 바닥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7165A (ko) * 2002-12-24 2004-07-02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철골구조물에서 h형강보의 상부 플랜지에 데크를결합시킨 층고절감형 바닥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0306B1 (ko) 2009-05-06 2011-12-07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c 벽-슬래브 결합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220049720A (ko) 2020-10-15 2022-04-22 삼성물산 주식회사 다층높이의 프리캐스트 벽체를 활용한 코어부 급속시공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2404A (ko) 2007-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7677B1 (ko) 스틸 콘크리트 합성기둥구조
KR101182536B1 (ko) 용도와 기능에 맞는 표면재와 구조용 철근을 적용하고 조립식 구조를 갖는 더블월 피씨패널
CN109372186B (zh) 具有钢管混凝土分肢组合异形柱及减震墙的装配框架体系
US20060096204A1 (en) Structural wall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WO2015050502A1 (en) Prefabricated wall panel and assembly
JP4318397B2 (ja) 建築構造の建設に使用する建築パネル
KR101277751B1 (ko) 프리캐스트 블록과 그 블록을 이용한 중저층 보-기둥 건물의 리모델링 보강공법
KR200383490Y1 (ko) 영구 구조체로 이용되는 frp 구조체를 사용한 복합 철근콘크리트 보 구축 시스템
CN108240053B (zh) 装配整体式耗能框架墙板体系及施工方法
KR101670553B1 (ko) Pc벽체가 기존 건축물 외면에 접합되는 내진보강구조
Holly et al. Connections and joints in precast concrete structures
CN106894504B (zh) 一种轻型装配式钢结构房屋及其建造方法
EA013175B1 (ru) Наружная стена многоэтажного каркасного здания системы аркос и способ ее возведения
KR101178168B1 (ko) 건축물의 장스팬 고하중용 아이엠티 슬래브
KR100768081B1 (ko) 무주식 공동주택 구조물
KR100720823B1 (ko) 격간벽 구조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공동주택
US20090301011A1 (en) Reinforced concrete ceiling and proces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Holly et al. Connections in precast concrete elements
KR101266215B1 (ko) 내진 성능이 향상된 중복도 격간벽구조 시스템
KR102222834B1 (ko) 역드롭 패널이 구비된 슬림형 전이매트 구조 및 시공 방법
CN210049379U (zh) 钢砼组合框架柱装配式结构体系
KR101086058B1 (ko) 건축용 바닥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바닥시공방법
JP2006037649A (ja) 集合住宅の架構構造
KR100579586B1 (ko) 영구 구조체로 이용되는 frp 구조체를 사용한 복합 철근콘크리트 보 구축 시스템
KR101617713B1 (ko) 조적줄눈부 매립형 보강철물에 의한 비보강 조적조 내진보강공법 및 그 보강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