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5239B1 - 복층건물의 층간소음방지 뜬바닥 구조체 - Google Patents

복층건물의 층간소음방지 뜬바닥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5239B1
KR101305239B1 KR1020130048276A KR20130048276A KR101305239B1 KR 101305239 B1 KR101305239 B1 KR 101305239B1 KR 1020130048276 A KR1020130048276 A KR 1020130048276A KR 20130048276 A KR20130048276 A KR 20130048276A KR 101305239 B1 KR101305239 B1 KR 101305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loor structure
absorbing member
floating
heat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8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영
조성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글로벌
Priority to KR1020130048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52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5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5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08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for receiving utility lines, e.g. cables,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복층건물의 층간소음방지 뜬바닥 구조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뜬바닥 구조체는 허니컴 형상의 격벽이 구비된 패널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종래의 보강판을 사용하는 것에 비해 뜬바닥 구조체의 강도를 강화시키고,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된 흡음부재를 구비하여 층간 소음을 제거함과 동시에 난방수로부터 전달되는 열의 손실을 방지하고, 화재발생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난방수 파이프를 고정 지지하기 위한 고정부를 구비하여, 케이블 타이와 같은 별도의 고정수단을 설치하지 않고도 난방수파이프를 패널의 상단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뜬바닥 구조체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복층건물의 층간소음방지 뜬바닥 구조체 {Floating floor structure for Preventing Noise Between the Stories for plural story buildings}
본 발명은 복층건물의 층간소음방지 뜬바닥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파트나 빌딩 등의 복층건물에서 발생하는 층간소음이나 화재 등을 방지하는 복층건물의 층간소음방지 뜬바닥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의 주거 형태는 크게 단독 주택 및 공동주택으로 분류된다.
우리나라의 전체 가구수의 50% 이상이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 거주하고 있으며, 단독주택인 경우에도 대부분 단층이 아닌 복층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와 같이 공동주택은 물론 단독주택 또한 복층형태를 이루기 때문에 층과 층 사이에는 대부분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벽체 및 바닥이 서로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예를 들어 아파트의 층간구조는 콘크리트 슬라브 위에 시멘트 모르타르를 충진하여 일정한 두께의 콘크리트 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단열재를 깔고 다시 그 위에 난방수 파이프와 온돌패널을 시공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아파트 바닥 시공구조는 충격이나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충진물이나 소음 감소부재가 내부에 삽입되지 않아 상부층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하부층에 그대로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실용신안 제20-2002-0014090호에는 일정한 두께의 콘크리트 슬라브 층 위에 일정한 형상을 가진 고무를 결합한 후 고무의 상단에 일정한 두께를 가진 보강판을 깔아 상부의 보강판과 하부의 콘크리트 슬라브 층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보강판 위에 단열재를 부착한 다음 단열재 위에 와이어 메쉬와 온수 파이프를 배관한 후 덮개 브래킷과 스프링 앵커로 온수 파이프를 고정하고, 덮개 브래킷으로 고정된 온수 파이프 위에 일정한 높이로 온돌 패널 모르타르를 시공하도록 구성된 아파트 바닥의 소음 방지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의 출원된 기술은 보강판의 강도가 약하여 상부층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보강판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별도의 흡음부재를 구비시키지 않아 상부층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차단효율이 현저히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공간부의 폭과 넓이를 조절할 수 없어 아파트나 빌딩 등의 평수에 적합한 소음방지구조체를 건물 층간에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아파트나 빌딩 등의 복층건물에서 발생하는 층간소음이나 화재 등을 방지하는 복층건물의 층간소음방지 뜬바닥 구조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의 마감모르타르 층과, 하부의 콘크리트 슬라브 층 사이에 설치되는 복층건물의 층간소음방지 뜬바닥 구조체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뜬바닥 구조체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난방수 파이프를 이격시켜 지지하는 격벽을 구비하여 상기 난방수 파이프와 상기 마감 모르타르 층을 지지하며, 상기 바닥판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다수 개의 지지돌기를 구비한 패널; 상기 다수 개의 지지돌기 중 하나가 삽입고정되는 제1삽입홈이 상면 중심부에 형성되어 상기 패널을 지지하면서, 상기 패널과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 층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패널과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 층을 일정거리 이격시켜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이격부재; 및 상기 패널과 상기 이격부재 사이에서 상기 패널의 하면에 밀착되게 위치하는 흡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패널에 허니컴 형상의 격벽을 형성시킴으로써 패널을 통해 뜬바닥 구조체의 강도를 강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패널에는 상기 바닥판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형성되어 난방수 파이프가 안착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의 상면 중심부에는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의 상하길이는 상기 난방수파이프의 직경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격부재의 하면 중심부에는 상기 제1삽입홈보다 상하길이가 짧은 제2삽입홈이 더 형성되어, 상기 이격부재의 배치에 따라 상기 지지돌기가 상기 제1삽입홈 또는 상기 제2삽입홈에 선택적으로 삽입고정되어 상기 흡음부재와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 층 사이의 이격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음부재는, 폴리프로필렌 극세사로 이루어진 밀폐부재와, 상기 밀폐부재의 내부에 차 있는 폴리프로필렌 단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은 허니컴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은, 상기 격벽의 상부를 덮어 상기 격벽 사이를 밀폐시킴으로써 내부 흡음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복층건물의 층간소음방지 뜬바닥 구조체는 패널에 허니컴 형상의 격벽을 형성시켜 패널의 강도를 강화시키는 효과가 있고, 격벽의 상단에 고정부를 형성시켜 난방수가 흐르는 난방수파이프가 고정부를 통해 견고하게 패널 상부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뜬바닥 구조체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폴리프로필렌 극세사와 단섬유로 이루어진 흡음부재를 별도로 구비시킴으로써 뜬바닥 구조체가 흡음기능 이외에 단열기능 및 난연기능을 갖게 하는 효과도 있다.
이외에 이격부재의 상하면에 지지돌기가 삽입고정되도록 길이가 다른 제1삽입홈과 제2삽입홈을 형성시켜 공간부의 폭과 넓이를 아파트나 빌딩 등의 평수나 사용용도에 맞게 조절할 수 있게 하여 공간부를 통한 흡음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층건물의 층간소음방지 뜬바닥 구조체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층건물의 층간소음방지 뜬바닥 구조체에 사용되는 패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흡음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이격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층건물의 층간소음방지 뜬바닥 구조체에서 이격거리가 조절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층건물의 층간소음방지 뜬바닥 구조체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층건물의 층간소음방지 뜬바닥 구조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층건물의 층간소음방지 뜬바닥 구조체에 사용되는 패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흡음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이격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층건물의 층간소음방지 뜬바닥 구조체에서 이격거리가 조절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실시 예 >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복층건물의 층간소음방지 뜬바닥 구조체는, 마루판이나 장판과 같은 바닥마감재(100)가 부착된 상부의 마감 모르타르층(200)과, 하부의 콘크리트 슬라브 층(700) 사이에 구비되어 상부층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하부층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복층건물의 층간소음방지 뜬바닥 구조체는 패널(300)과, 흡음부재(500) 및 다수개의 이격부재(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패널(300)은 강도가 높고 가벼운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져 아파트 또는 빌딩의 평수나 사용용도에 따라 일정한 형상과 두께로 사출성형되며, 상부의 마감 모르타르층(200)을 지지하고, 상부층에서 가해지는 하중으로 인해 뜬바닥 구조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패널(300)은 바닥판(310)과, 상기 바닥판(310)의 상면에 난방수파이프(400)를 상기 바닥판(310)과 일정거리 이격시켜 지지하도록 구비된 격벽(3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격벽(320)은 상기 바닥판(310)과 일체가 되도록 사출성형되고, 사각형 이나 오각형 또는 육각형이 연속적이고 반복적으로 배열되게 구비되어 허니컴 형상을 이루도록 한다.
또한 상기 패널(300)에는 상기 바닥판(31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형성되어 복층건물의 난방을 위한 난방수가 흐르는 난방수파이프(400)가 안착고정되도록 다수개의 고정부(300)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330)는 상기 바닥판(310)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격벽(320)중 상기 패널(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주보도록 위치한 격벽(320)의 상측이나 인접하게 위치한 격벽(320)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난방수파이프(400)의 지그재그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기 패널(300)의 길이방향 및 이에 수직한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330)의 상면 중심부에는 상기 난방수파이프(400)가 안착고정되는 고정홈(331)이 더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331)의 상하길이는 상기 난방수파이프(400)의 직경 이상이 되도록 하여 상기 난방수파이프(400)가 상기 고정홈(331)에 안착되었을때 상기 고정홈(331)의 외측으로 상기 난방수파이프(400)가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난방수파이프(400)가 보다 견고하게 상기 고정부(330)의 내측에 안착고정되게 한다.
또한 상기 패널(300)의 하면에는 다수개의 지지돌기(340)가 상기 흡음부재(500)를 관통한 상태로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각 지지돌기(340)는 상기 각 이격부재(600)에 삽입고정됨으로써 상기 지지돌기(340)를 통해 상기 패널(300)이 뜬바닥 구조체내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흡음부재(500)는 폴리프로필렌 극세사로 이루어진 밀폐부재(510)와, 상기 밀폐부재(510)의 내부에 차 있는 폴리프로필렌 단섬유(520)로 구성되고, 상기 패널(300)의 하면에 상기 지지돌기(340)를 관통한 상태로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부착되어 상부층에서 발생한 소음을 흡음함으로써 상부층의 소음이 하부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때 상기 흡음부재(500)는 흡음성이 우수한 폴리에테르 계열의 부직포, 레진 펠트, 우레탄 폼, 폴리에틸렌 펠트, 재활용 섬유펠트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폴리프로필렌 극세사와 폴리프로필렌 단섬유로 구성된 흡읍부재(500)를 이용함으로써 흡음기능 이외에 난방수파이프(400)에서 열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열기능을 갖게 함과 동시에 화재의 발생시 뜬바닥 구조체가 불에 연소되는 것을 방지하는 난연기능도 갖게 한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이격부재(600)는 천연고무나 발포고무 등을 이용하여 제조되며, 상기 흡음부재(500)와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 층(700)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흡음부재(500)와 상기 큰크리트 슬라브 층(700)을 일정거리 이격시켜 공간부(800)를 형성시킨다.
따라서 상기 공간부(800)에 차 있는 공기층을 통해 상부층에서 발생한 소음이 적절하게 상쇄됨으로써 상부층에서 발생한 바닥충격음이나 미세소음 등이 하부층으로 전달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차단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패널(300)에 허니컴 형상의 격벽(320)을 형성시키고, 패널(300)의 하면에 폴리프로필렌 극세사와 단섬유로 구성된 흡음부재(500)를 구비시킴으로써 뜬바닥 구조체의 강도를 강화시킴과 동시에 상부층에서 발생하는 경량충격음(물건이 떨어지면서 발생하는 소리)과 중량충격음(아이들이 뛰어놀때 발생하는 소리)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한다.
한편, 상기 이격부재(600)의 상면 중심부에는 제1삽입홈(610)이 형성되어 상기 패널(300)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된 상기 지지돌기(340)가 상기 흡음부재(500)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제1삽입홈(610)에 삽입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이격부재(600)의 하면 중심부에는 상기 제1삽입홈(610)보다 상하길이가 짧은 제2삽입홈(620)이 더 형성되어 상기 이격부재(600)의 배치에 따라 상기 지지돌기(340)가 상기 제1삽입홈(610)과 상기 제2삽입홈(620)에 선택적으로 삽입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아파트나 빌딩의 평수에 맞도록 상기 흡음부재(500)와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 층(700)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한다.
즉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흡음부재(500)와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 층(700) 사이의 공간부(800)가 너무 좁아 공간부(800)의 폭과 넓이를 증가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이격부재(600)를 180°상하로 회전시켜 상기 제2삽입홈(620)이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삽입홈(610)이 하부에 위치하도록 한 다음 상기 지지돌기(340)를 상기 제2삽입홈(620)에 삽입하게 되면 상기 제1삽입홈(610)보다 상하 길이가 짧게 형성된 상기 제2삽입홈(620)으로 인해 상기 지지돌기(340)가 상기 제1삽입홈(610)에 삽입된 상태와 비교시 삽입길이가 짧은 상태가 되어 상기 흡음부재(500)와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 층(700) 사이의 이격거리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격부재(600)를 통해 공간부(800)의 폭과 넓이를 조절할 수 있어 아파트나 빌딩의 층간에 차음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뜬바닥 구조체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 다른 실시 예>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뜬바닥 구조체는 개방된 격벽(320) 상부를 덮는 상부 패널(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뜬바닥 구조체의 상부 패널(미도시)과 바닥판(310) 사이에 흡음공간(350)이 형성되어, 상부에서 발생된 소음을 더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복층건물의 층간소음방지 뜬바닥 구조체의 작용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작업자는 아파트 또는 빌딩 같은 복층건물의 각 층간에 본 발명의 뜬바닥 구조체를 반복적으로 설치한 후 아파트나 빌딩 등을 시공하여 완성한다.
이때 뜬바닥 구조체의 시공시 이격부재(600)의 배치를 조절하여 뜬바닥 구조체에 형성된 공간부(800)의 폭과 넓이가 아파트나 빌딩의 평수나 사용용도에 맞도록 조절한다.
상기와 같이 층간에 구조체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부층에 위치한 입주자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게 되면 일차적으로 패널(300)에 형성된 흡음공간(350)을 통해 소음이 차단된다.
또한 상기 흡음공간(350)을 통해 차음되지 않고 자체적인 확산이나 격벽(320)에 의한 반향에 의해 주변으로 확산된 소음은 패널(300)의 하면에 부착된 흡음부재(500)를 통해 흡음되어 소음이 차단되게 되고, 상기 흡음부재(500)에 의해 차단되지 않은 소음은 상기 공간부(800)에 차 있는 공기층을 통해 상쇄됨으로써 상부층에서 발생된 소음이 하부층에 전달되지 않고 완전하게 차단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00: 바닥마감재 200: 마감 모르타르층
300: 패널 310: 바닥판
320: 격벽 330: 고정부
331: 고정홈 340: 지지돌기
350: 흡음공간 400: 난방수파이프
500: 흡음부재 510: 밀폐부재
520: 폴리프로필렌 극세사 600: 이격부재
610: 제1삽입홈 620: 제2삽입홈
700: 콘크리트 슬라브 층 800: 공간부

Claims (6)

  1. 상부의 마감모르타르 층과, 하부의 콘크리트 슬라브 층 사이에 설치되는 복층건물의 층간소음방지 뜬바닥 구조체에 있어서,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난방수 파이프를 이격시켜 지지하는 격벽을 구비하여 상기 난방수 파이프와 상기 마감모르타르 층을 지지하며, 상기 바닥판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다수 개의 지지돌기를 구비한 패널;
    상기 다수 개의 지지돌기 중 하나가 삽입고정되는 제1삽입홈이 상면 중심부에 형성되어 상기 패널을 지지하면서, 상기 패널과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 층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패널과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 층을 일정거리 이격시켜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이격부재; 및
    상기 패널과 상기 이격부재 사이에서 상기 패널의 하면에 밀착되게 위치하는 흡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건물의 층간소음방지 뜬바닥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에는 상기 바닥판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형성되어 난방수 파이프가 안착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의 상면 중심부에는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의 상하길이는 상기 난방수파이프의 직경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건물의 층간소음방지 뜬바닥 구조체 .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재의 하면 중심부에는 상기 제1삽입홈보다 상하길이가 짧은 제2삽입홈이 더 형성되어,
    상기 이격부재의 배치에 따라 상기 지지돌기가 상기 제1삽입홈 또는 상기 제2삽입홈에 선택적으로 삽입고정되어 상기 흡음부재와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 층 사이의 이격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건물의 층간소음방지 뜬바닥 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부재는,
    폴리프로필렌 극세사로 이루어진 밀폐부재와, 상기 밀폐부재의 내부에 차 있는 폴리프로필렌 단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건물의 층간소음방지 뜬바닥 구조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허니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건물의 층간소음방지 뜬바닥 구조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상기 격벽의 상부를 덮어 상기 격벽 사이를 밀폐시킴으로써 내부 흡음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건물의 층간소음방지 뜬바닥 구조체.

KR1020130048276A 2013-04-30 2013-04-30 복층건물의 층간소음방지 뜬바닥 구조체 KR101305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8276A KR101305239B1 (ko) 2013-04-30 2013-04-30 복층건물의 층간소음방지 뜬바닥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8276A KR101305239B1 (ko) 2013-04-30 2013-04-30 복층건물의 층간소음방지 뜬바닥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5239B1 true KR101305239B1 (ko) 2013-09-06

Family

ID=49455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8276A KR101305239B1 (ko) 2013-04-30 2013-04-30 복층건물의 층간소음방지 뜬바닥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523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5604B1 (ko) 2020-08-25 2021-05-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층간소음 저감을 위해 벽체-고정 강선케이블을 이용한 뜬바닥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KR20230164303A (ko) 2022-05-25 2023-12-04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바닥충격음 저감을 위한 뜬바닥구조
KR20230170381A (ko) 2022-06-10 2023-12-19 한국고무 주식회사 진동 흡수판 내장 가능한 층간소음방지 완충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223Y1 (ko) 2005-03-02 2005-05-25 김성모 방음기능이 향상된 건물의 층간 시공구조
KR20050090167A (ko) * 2004-03-08 2005-09-13 우민형 다층 공동주택의 층간 차음바닥구조
KR100671455B1 (ko) 2005-01-26 2007-01-19 (주)태원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건물의 층간소음 방지구조
KR100675675B1 (ko) 2004-09-24 2007-01-29 진봉율 바닥난방수단을 갖고 시공성과 안정성을 갖춘 뜬 바닥형바닥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0167A (ko) * 2004-03-08 2005-09-13 우민형 다층 공동주택의 층간 차음바닥구조
KR100675675B1 (ko) 2004-09-24 2007-01-29 진봉율 바닥난방수단을 갖고 시공성과 안정성을 갖춘 뜬 바닥형바닥구조
KR100671455B1 (ko) 2005-01-26 2007-01-19 (주)태원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건물의 층간소음 방지구조
KR200385223Y1 (ko) 2005-03-02 2005-05-25 김성모 방음기능이 향상된 건물의 층간 시공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5604B1 (ko) 2020-08-25 2021-05-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층간소음 저감을 위해 벽체-고정 강선케이블을 이용한 뜬바닥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KR20230164303A (ko) 2022-05-25 2023-12-04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바닥충격음 저감을 위한 뜬바닥구조
KR20230170381A (ko) 2022-06-10 2023-12-19 한국고무 주식회사 진동 흡수판 내장 가능한 층간소음방지 완충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5878B1 (ko) 공기층으로 소음을 유도하는 층간소음 방지장치
KR200428537Y1 (ko) 층간소음방지재의 소음방지구조
KR102221119B1 (ko) 층간소음 방지 시스템
KR101723976B1 (ko) 소음 차단 이중 슬라브 구조가 적용된 건축물
KR100624357B1 (ko) 띄움바닥 구조를 이루는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충격음완충재
KR101305239B1 (ko) 복층건물의 층간소음방지 뜬바닥 구조체
KR102255604B1 (ko) 층간소음 저감을 위해 벽체-고정 강선케이블을 이용한 뜬바닥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KR200494718Y1 (ko) 난방 배관 판넬
KR102231260B1 (ko) 단열과 방음을 위한 바닥 및 칸막이 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000406B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 저감이 가능한 바닥구조
KR200406673Y1 (ko) 소음방지용 차음재
KR101324261B1 (ko) 공동주택의 층간바닥구조
KR200467659Y1 (ko) 건물의 층간소음 차단을 위한 바닥구조
KR20090035125A (ko) 건물의 바닥의 형성을 위한 모듈화된 바닥완충재 및 이를이용한 건물의 바닥시공방법
KR101492508B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 차단 구조
KR20130094040A (ko) 난방배관용 및 층간소음 저감용 온돌패널
KR101482904B1 (ko) 층간소음 방지장치 및 방법
KR20200048175A (ko) 층간소음 방지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온돌
KR101855586B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방지 바닥구조
KR20090090925A (ko)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
KR100701858B1 (ko) 소음방지용 차음재 및 그의 설치구조
KR102220518B1 (ko) 층간소음 저감 완충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001719U (ko) 층간소음차단용 소음 방지 조립체
KR200391133Y1 (ko) 소음방지용 차음재 및 그의 설치구조
KR102383131B1 (ko) 층간소음 방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