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027U - 회동 가능한 난간 - Google Patents

회동 가능한 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027U
KR20160001027U KR2020140006846U KR20140006846U KR20160001027U KR 20160001027 U KR20160001027 U KR 20160001027U KR 2020140006846 U KR2020140006846 U KR 2020140006846U KR 20140006846 U KR20140006846 U KR 20140006846U KR 20160001027 U KR20160001027 U KR 2016000102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ail
guardrail
deck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68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0360Y1 (ko
Inventor
임갑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68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360Y1/ko
Publication of KR201600010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0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3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3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4Stanchions; Guard-rails ; Bulwark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65Collapsible or portable balustra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출입구 일측에 배치되는 제 1 난간; 상기 제 1 난간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 2 난간; 및 상기 제 1 및 제 2 난간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 3 난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난간은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출입구를 선택적으로 폐쇄할 수 있다.

Description

회동 가능한 난간 {Rotatable hand-rail}
본 고안은 선박 및 수상 구조물에 사용되는 계단 상단에 배치되는 난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계단과 연결되는 진입구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회동을 통해 폐쇄할 수 있는 회동 가능한 난간에 관한 것이다.
선박의 거주구는 선원들이 거주할 수 있는 선실과 조타실, 제어실, 기타 편의시설 등이 위치하는 곳으로 건물과 같이 갑판 상에 높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거주구 외부에는 각 층으로 올라가거나 내려갈 수 있도록 통행로가 구비된다.
상기 통행로는 보통 거주구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층별로 설치되어 선원이 다닐 수 있는 다수 개의 데크와 상기 데크들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선원들이 상하로 이동하는 계단 및 데크의 외측에 설치된 난간(handrail)을 포함한다.
그런데, 최근 선박 항해 중에 해적들의 침입 발생 시, 선원의 안전을 보장하기 힘든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 선박의 거주구 통행로 구조에서는 해적과 같은 외부인이 선박에 침입했을 때, 통행로를 통해 단시간에 선실 및 조타실 등으로 침입할 수 있어, 선박을 손쉽게 탈취당할 수 있다.
관련 기술로서, 선행기술 1인 한국 공개특허 제10-2011-0019206호(2011.02.25. 공개)에는 각 데크들을 연결하는 계단을 소정의 회전 가능한 수단으로 위급 상황시에 각 데크의 내부로 수용하는 구조가 개시된 바 있다.
또한, 선행기술 2인 한국 등록특허 제1290693호(2013.07.23. 등록)에서는 유압 실린더를 이용하여, 사다리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구성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들을 이용하더라도, 각 데크의 출입구 부분은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별도의 밧줄이나 사다리 등을 이용할 경우, 해적과 같은 외부인의 침입을 차단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1-0019206호(2011.02.25. 공개) 한국 등록특허 제1290693호(2013.07.23. 등록)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기존의 난간 구조를 일부 변형하여, 위급상황 발생 시 이를 회전시켜 계단과 연결되는 출입구를 폐쇄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여 해적과 같은 외부인의 침입을 차단할 수 있는 회동 가능한 난간을 제공한다.
또한, 수동 또는 자동으로 폐쇄된 이후에, 해적과 같은 외부인이 손쉽게 폐쇄된 상태를 극복하지 못하도록 추가적인 고정유닛을 마련할 수 있는 난간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출입구 일측에 배치되는 제 1 난간; 상기 제 1 난간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 2 난간; 및 상기 제 1 및 제 2 난간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 3 난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난간은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출입구를 선택적으로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제 1 난간은, 복수 개의 제 1 창살을 포함하는 제 1 프레임; 및 상기 제 1 프레임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힌지부는 상기 데크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 난간은 상기 제 1 난간이 회동하여 상기 출입구를 폐쇄한 후에 회동하여, 상기 제 1 난간 위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난간이 출입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난간과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고정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유닛은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제 1 난간이 출입구를 폐쇄하는 위치에서 상기 고정핀과 결합되는 핀 홀을 가지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제 1 난간을 구성하는 제 1 프레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난간을 회동시키는 제 1 구동유닛; 및 상기 제 2 난간을 회동시키는 제 2 구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구동유닛은 상기 제 1 난간의 제 1 프레임과 연결되어, 상기 제 1 프레임을 밀거나 당기는 제 1 실린더; 및 상기 데크에 고정되며, 상기 제 1 실린더를 지지하는 제 1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회동 가능한 난간은 기존의 난간 구조를 최대한 이용하면서, 데크와 연결되는 부분에 회동 가능한 경첩을 구성하면 되므로, 최소한의 비용으로 최대한의 해적 배제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실린더 장치 등을 이용할 경우, 실린더의 압력으로 인해 사람의 힘으로 난간이 닫힌 상태를 해소할 수 없으며, 서로 마주보는 난간을 포개어 출입구를 폐쇄할 경우, 보다 견고하게 출입구를 폐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난간이 적용된 선박의 데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회동 가능한 난간을 도시한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회동 가능한 난간에 회동 계폐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실린더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록킹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6 및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회동 가능한 난간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난간이 적용된 선박의 데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회동 가능한 난간을 도시한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회동 가능한 난간에 회동 계폐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실린더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록킹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6 및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회동 가능한 난간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 또는 해상 구조물에는 서로 다른 층을 구성하는 데크들을 연결하는 계단(1)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계단(1)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사람이 드나들 수 있도록 출입구(2)가 형성될 수 있다. 이 출입구(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사각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 출입구(2)의 둘레는 데크를 구성하는 바닥면들로 구성될 수 있다. 통상 선박 또는 해상 구조물에 있어서 출입구(2)는 데크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거나, 관통 형성된 통공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출입구(2)의 둘레에는 승객 또는 승무원의 안전을 위해 난간(handrail)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난간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난간(100)과 제 2 난간(200) 및 상기 제 1 및 제 2 난간(100)(200)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 3 난간(300)을 포함하여, 제 1 및/또는 제 2 난간(100)(200)을 회동시켜 상기 출입구(2)를 선택적으로 폐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난간(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프레임(110)과 제 1 힌지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프레임(1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창살(111)이 마련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제 1 창살(111)은 데크면에 수평하게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할 경우, 데크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제 1 창살(111)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1 프레임(1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한 쌍이 마련되어, 제 1 창살(111)이 한 쌍의 제 1 프레임(11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제 1 창살(111)의 설치 개수 및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태의 바(bar)로 구성되어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도 있고, 그물망 형태 등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 1 힌지부(120)는 상기 제 1 프레임(110)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프레임(110)을 선택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제 1 힌지부(120)는 일단은 데크면에 설치 및 고정되어, 상기 제 1 프레임(110)이 데크에 대하여 일정 각도, 예컨대 90도 각도로 회전 하여, 제 1 난간(100)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구(2)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제 2 난간(2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프레임(210)과 제 2 힌지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프레임(2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창살(211)이 마련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제 2 창살(211)은 데크면에 수평하게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할 경우, 데크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제 2 창살(211)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2 프레임(2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한 쌍이 마련되어, 제 2 창살(211)이 한 쌍의 제 2 프레임(21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제 2 창살(211)의 설치 개수 및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태의 바(bar)로 구성되어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도 있고, 그물망 형태 등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 2 힌지부(220)는 상기 제 2 프레임(210)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프레임(210)을 선택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제 2 힌지부(220)는 일단은 데크면에 설치 및 고정되어, 상기 제 2 프레임(210)이 데크에 대하여 일정 각도, 예컨대 90도 각도로 회전 하여, 제 2 난간(200)이 출입구(2)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난간(200)은 제 1 난간(100)이 먼저 출입구(2)를 폐쇄한 후에, 그 위에 다시 회전하여 출입구(2)를 덮고 있는 제 1 난간(100)의 위로 회전하여, 다시 한번 출입구(2)를 폐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 2 난간(200)이 먼저 폐쇄된 후에 제 1 난간(100)이 폐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 3 난간(300)은 고정식 난간으로, 제 1 및 제 2 난간(100)(200)과 달리 최초 위치에서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난간(100)(200)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 3 난간(300)은 상기 제 1 및 제 2 난간(100)(200)과 근접하되, 분리된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난간(100)(200)이 출입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난간(100)과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고정유닛(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유닛(400)은 하우징(410)과 고정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410)은 일단은 데크 및/또는 제 2 힌지부(220) 중 어느 한 곳에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410)에는 고정핀(411)이 출몰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고정핀(411)은 별도의 봉 부재로 마련되어, 소정의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따라 출몰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힘을 이용한 수동 출몰 가능한 구조로 마련될 수도 있다.
고정부(4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프레임(110)의 일측면에 설치될 수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프레임(110)의 상부와 근접한 측면부에 설치될 수 있다. 고정부(420)에는 고정핀(411)이 삽입될 수 있는 핀 홀(421)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핀 홀(421)의 지름은 고정핀(411)의 지름과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유닛(400)을 마련하면, 폐쇄된 후, 폐쇄 위치에서 제 1 난간(100)의 위치가 고정되므로, 침입하는 외부인이 폐쇄된 출입구(2)를 강제로 개방하기 어렵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난간(100)(200)을 회동시키기 위한 제 1 및 제 2 구동유닛(130)(23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제 1 구동유닛(130)은 제 1 실린더(131)와 제 1 지지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실린더(131)는 유압 또는 공기압을 이용하여, 제 1 난간(100)의 제 1 프레임(110)을 밀거나 당겨줄 수 있도록 제 1 프레임(110)의 일단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 1 프레임(110)과 제 1 실린더(131)의 연결부는 회전 가능한 핀 부재로 구성되어, 제 1 실린더(131)의 밀거나 당기는 동작에 연동하여,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 1 지지부(132)는 상기 제 1 실린더(131)를 데크 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제 1 실린더(131)가 유압 또는 공기압에 의해 인장되면서 제 1 프레임(110)을 밀어줄 때, 일정 각도 회전하면서 이러한 밀기 동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제 2 구동유닛(230)은 제 2 실린더(231)와 제 2 지지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실린더(231)는 유압 또는 공기압을 이용하여, 제 2 난간(200)의 제 2 프레임(210)을 밀거나 당겨줄 수 있도록 제 2 프레임(210)의 일단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 2 프레임(210)과 제 2 실린더(210)의 연결부는 회전 가능한 핀 부재로 구성되어, 제 2 실린더(231)의 밀거나 당기는 동작에 연동하여,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 2 지지부(232)는 상기 제 2 실린더(231)를 데크 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제 2 실린더(231)가 유압 또는 공기압에 의해 인장되면서 제 2 프레임(210)을 밀어줄 때, 일정 각도 회전하면서 이러한 밀기 동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구동유닛(130)(230)이 마련되면, 미도시된 제어부의 제어 동작에 의해 원격에서 제 1 및 제 2 난간(100)(200)을 회동하여 출입구(2)를 폐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1 및 제 2 구동유닛(130)(230)을 유압 또는 공기압을 사용하는 실린더 방식의 액츄에이터로 구성하면, 폐쇄된 후에, 침입 중인 해적과 같은 외부인이 외력으로 이미 폐쇄된 출입구(2)를 개방하기 어렵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난간(100)과 제 2 난간(200)이 중첩된 상태로 출입구(2)를 폐쇄하므로, 보다 견고한 출입구(2) 폐쇄효과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에서는 제 1 및 제 2 난간(100)(200)이 서로 동일한 형태는 제 1 및 제 2 창살(111)(211)을 가진 경우를 일 예로 하였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 1 및 제 2 창살(111)(121)이 직교하도록 구성하여, 차단벽의 역할을 보다 견고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계단 2; 출입구
100; 제 1 난간 110; 제 1 프레임
111; 제 1 창살 120; 제 1 힌지부
130; 제 1 구동장치 131; 제 1 실린더
132; 제 1 지지부 200; 제 2 난간
210; 제 2 프레임 211; 제 2 창살
220; 제 2 힌지부 230; 제 2 구동장치
231; 제 2 실린더 232; 제 2 지지부
300; 고정난간 400; 고정유닛
410; 하우징 411; 고정핀
420; 고정부 421; 핀홀

Claims (7)

  1. 출입구 일측에 배치되는 제 1 난간;
    상기 제 1 난간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 2 난간; 및
    상기 제 1 및 제 2 난간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 3 난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난간은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출입구를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회동 가능한 난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난간은,
    복수 개의 제 1 창살을 포함하는 제 1 프레임; 및
    상기 제 1 프레임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힌지부는 상기 데크 바닥면에 고정되는 회동 가능한 난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난간은,
    상기 제 1 난간이 회동하여 상기 출입구를 폐쇄한 후에 회동하여, 상기 제 1 난간 위로 회전 이동하는 회동 가능한 난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난간이 출입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난간과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고정유닛을 더 포함하는 회동 가능한 난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제 1 난간이 출입구를 폐쇄하는 위치에서 상기 고정핀과 결합되는 핀 홀을 가지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제 1 난간을 구성하는 제 1 프레임에 형성되는 회동 가능한 난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난간을 회동시키는 제 1 구동유닛; 및
    상기 제 2 난간을 회동시키는 제 2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회동 가능한 난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유닛은,
    상기 제 1 난간의 제 1 프레임과 연결되어, 상기 제 1 프레임을 밀거나 당기는 제 1 실린더; 및
    상기 데크에 고정되며, 상기 제 1 실린더를 지지하는 제 1 지지부;를 포함하는 회동 가능한 난간.
KR2020140006846U 2014-09-19 2014-09-19 회동 가능한 난간 KR2004903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846U KR200490360Y1 (ko) 2014-09-19 2014-09-19 회동 가능한 난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846U KR200490360Y1 (ko) 2014-09-19 2014-09-19 회동 가능한 난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027U true KR20160001027U (ko) 2016-03-30
KR200490360Y1 KR200490360Y1 (ko) 2019-11-06

Family

ID=55645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6846U KR200490360Y1 (ko) 2014-09-19 2014-09-19 회동 가능한 난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36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8313B1 (ko) * 2020-08-18 2021-03-17 주식회사 유성엔에이 자동 개폐식 안전 그레이팅 구조체
KR20220102432A (ko) * 2021-01-13 2022-07-20 한국중부발전(주)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그레이팅 장치
KR20220102431A (ko) * 2021-01-13 2022-07-20 한국중부발전(주) 가스실린더를 이용한 그레이팅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48432U (ko) * 1988-03-23 1989-10-13
KR20110019206A (ko) 2009-08-19 2011-02-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외부인의 침입을 차단할 수 있는 선박 거주구의 외부 통행로
KR101290693B1 (ko) 2011-11-01 2013-07-29 정상근 가변형 몸체를 가진 매립형 피난사다리
KR101375604B1 (ko) * 2013-10-31 2014-03-17 창전이앤시 주식회사 공동구 시공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조립식 난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48432U (ko) * 1988-03-23 1989-10-13
KR20110019206A (ko) 2009-08-19 2011-02-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외부인의 침입을 차단할 수 있는 선박 거주구의 외부 통행로
KR101290693B1 (ko) 2011-11-01 2013-07-29 정상근 가변형 몸체를 가진 매립형 피난사다리
KR101375604B1 (ko) * 2013-10-31 2014-03-17 창전이앤시 주식회사 공동구 시공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조립식 난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8313B1 (ko) * 2020-08-18 2021-03-17 주식회사 유성엔에이 자동 개폐식 안전 그레이팅 구조체
KR20220102432A (ko) * 2021-01-13 2022-07-20 한국중부발전(주)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그레이팅 장치
KR20220102431A (ko) * 2021-01-13 2022-07-20 한국중부발전(주) 가스실린더를 이용한 그레이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360Y1 (ko) 2019-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42851B1 (en) Emergency exit apparatus
US8517144B2 (en) Hatchway safety grab post safety barrier and grate
US11293226B2 (en) Safety roof hatch system
KR101099764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WO2010017399A3 (en) Safety hatch system and egress method
KR101684335B1 (ko)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KR101030286B1 (ko) 베란다의 난간대에 전용 탑승구가 구비된 긴급 피난장치
KR20160001027U (ko) 회동 가능한 난간
KR101069915B1 (ko) 외부인의 침입을 차단할 수 있는 선박 거주구의 외부 통행로
KR20150011888A (ko) 숨겨진 개폐식 난간을 갖는 발코니 창호
KR20070060646A (ko) 비상시 건물 탈출용 사다리 구조
KR101694244B1 (ko) 난간용 방충망 구조체
US20060000946A1 (en) Secondary barrier system
JP6297729B1 (ja) 船舶の居住区階段構造
US9453311B2 (en) Access gate and associated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KR101702044B1 (ko)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KR102021334B1 (ko) 공동주택의 안전기능이 향상된 발코니 난간대
US8893439B2 (en) Building
KR101323276B1 (ko) 건물의 승강기 출입구용 안전문
KR101096500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CN114249209B (zh) 一种简单实用的应急救援轿厢
KR101872853B1 (ko) 비상대피 가능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베란다 난간
WO1994029208A2 (fr) Dispositif d'acces d'une partie fixe a une partie mobile
KR20140145793A (ko) 선박 거주구의 방범창 구조
KR20160000012U (ko) 자동 닫힘 기능을 갖는 선박 게이트의 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