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9597B1 - 시공성이 개선된 건식 pd 소화전 - Google Patents

시공성이 개선된 건식 pd 소화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9597B1
KR102049597B1 KR1020190054053A KR20190054053A KR102049597B1 KR 102049597 B1 KR102049597 B1 KR 102049597B1 KR 1020190054053 A KR1020190054053 A KR 1020190054053A KR 20190054053 A KR20190054053 A KR 20190054053A KR 102049597 B1 KR102049597 B1 KR 102049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hydrant
support leg
fixed
fram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4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승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신에프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신에프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신에프앤씨
Priority to KR1020190054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95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20Hydrants, e.g. wall-hoses, wall units, plug-in cabinets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성이 개선된 건식 PD 소화전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건식 PD 시공 방법(조적, 몰탈 및 미장을 하지 않는 시공)으로 소화전을 시공하되 측벽 대용으로 판넬을 사용하기 때문에 장소에 관계없이 신속한 설치가 가능한 한편, 상기 소화전은 시공 시 골조틀 하부의 단턱의 높이와 소화전 하부의 높이를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소화전 하부에 레벨링부가 형성되어 시공이 용이한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시공성이 개선된 건식 PD 소화전{Fire hydrant with improved construct ability}
본 발명의 소화전은 건식 PD 시공 방법(조적, 몰탈 및 미장을 하지 않는 시공)으로 시공하되 측벽 대용으로 판넬을 사용하기 때문에 장소에 관계없이 신속한 설치가 가능한 한편, 상기 소화전은 시공 시 골조틀 하부의 단턱의 높이와 소화전 하부의 높이를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소화전 하부에 레벨링부가 형성되어 시공성이 개선된 건식 PD 소화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화전은 건물 내외에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방화수가 공급되는 공급배관이 설치된 부분에 함체를 세워 소방기구를 함께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소화전은 개폐되는 도어가 설치된 함체, 상기 함체 내부에 배치되어 소방용수 전용 원수관으로부터 물을 제공받으면서 방수구로 물을 배출하는 소화전, 상기 함체 내부에 비치되어 방수구를 개폐하는 개폐밸브, 상기 개폐밸브와 연통된 소화 호스, 상기 방수구를 통해 토출되는 물의 수압을 증가시키는 펌프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상기 소화전은 아파트의 계단실과 같은 복도에 설치되며 계단실의 벽체에 건식 또는 습식 시공방법으로 시공된다.
이에, 등록 실용신안공보 제20-0368374호(등록일: 2004.11.10.)는 배관과 덕트의 전방에 설치되고 분지관이 삽입되는 내함과, 내함의 양측으로 연장형성된 측판과, 내함의 전방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 전면패널로 이루어지는 피디패널에 있어서, 측판이 벽체의 앵글에 나사결합되는 피디패널이라는 명칭의 선행문헌이 게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한 선행문헌은 내함이 시공되는 틀에 레벨링(높이)를 맞추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소화전은 건식 시공 방법(조적, 몰탈 및 미장을 하지 않는 시공)으로 시공하되 측벽 대용으로 판넬을 사용하기 때문에 장소에 관계없이 신속한 설치가 가능한 한편, 상기 소화전은 시공 시 골조틀 하부의 단턱의 높이와 소화전 하부의 높이를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소화전 하부에 레벨링부가 형성되어 시공이 용이한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개구부(11)가 형성되는 골조틀(10)이 벽면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개구부(11)에 소화전(100)이 형성되고, 상기 소화전(100)이 형성된 개구부(11)의 잔여 부분에 판넬(P)이 마감되도록 함으로서 골조틀(10) 내측에 공간부가 마련되도록 하며, 상기 소화전(100)은 함체(110) 및 커버(120)로 이루어지되 골조틀(10) 하측에 형성되는 단턱(12) 상단이 함체(110) 하단과 동일선상에서 시공될 수 있도록 함체(110) 후면에 레벨링부(200)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레벨링부(200)는 함체(110) 후면에 형성된 가이드부(111)를 통과하는 복수개의 지지다리(210)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다리(210) 각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부(220)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다리(210) 하단에 스토퍼(230)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111)를 중심으로 지지다리(210) 상측 외주면에 탄성 스프링(S)이 구비되되 탄성스프링은 가이드부(111) 상면 및 연결부(210) 하면에 각각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111)를 중심으로 지지다리(210) 하측 외주면에 구비되되 각 지지다리에 의해 상하 가이드되는 고정부(240)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240) 상면에는 고정나사부(241)가 돌출되어 연결부(220)에 형성된 홀(221)을 관통한 이후 별도의 너트(N)에 의해 체결됨으로서 지지다리의 높이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소화전은 건식 시공 방법으로 시공하되 측벽 대용으로 판넬을 사용하기 때문에 장소에 관계없이 신속한 설치가 가능한 한편, 상기 소화전은 시공 시 골조틀 하부의 단턱의 높이와 소화전 하부의 높이를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소화전 하부에 레벨링부가 형성되어 시공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 1 내지 4는 시공성이 개선된 건식 PD 소화전의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5 내지 도 7은 소화전 후면에 형성된 레벨링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8 및 9는 본 발명에 따른 단턱이 분할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조틀(10), 소화전(100) 및 레벨링부(200)로 구성되어 이루어져 있다.
이에,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골조틀(10)은 다수의 개구부(11)가 형성되어 벽면 일측에 형성되어 바닥면 또는 벽면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개구부(11)에 소화전(100)이 형성되고, 상기 소화전(100)이 형성된 개구부(11)의 잔여 부분에 판넬(P)이 마감되도록 하여 골조틀(10) 내측에 공간부가 마련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골조틀(10)에는 소화전(100) 작동에 필요한 방수기구함, 점검구 및 양수기 등이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소화전(100)은 함체(110) 및 커버(120)로 이루어지되 골조틀(10) 하측에 형성되는 단턱(12) 상단이 함체(110) 하단과 동일선상에서 시공될 수 있도록 함체(110) 후면에 레벨링부(200)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레벨링부(200)는 함체(110) 후면에 형성된 가이드부(111)를 통과하는 복수개의 지지다리(210)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다리(210) 상단에는 각 지지다리를 연결하는 연결부(220)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다리(210) 하단에 스토퍼(230)가 형성된다.
이에, 상기 지지다리(210)는 연결부(220) 및 스토퍼(230)에 의해 가이드부(111)에서 이탈하지 않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111)를 중심으로 지지다리(210) 상측 외주면에 탄성 스프링(S)이 구비되며, 상기 탄성스프링(S)은 가이드부(111) 상면 및 연결부(210) 하면에 각각 고정되어 스토퍼(230) 하면이 지면에 닿으면 탄성스프링이 늘어나면서 지지다리가 상승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111)를 중심으로 지지다리(210) 하측 외주면에 구비되되 각 지지다리에 의해 상하 가이드되는 고정부(240)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240) 상면에는 고정나사부(241)가 돌출되어 연결부(220)에 형성된 홀(221)을 관통한 이후 별도의 너트(N)에 의해 체결됨으로서 지지다리의 높이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다리(210)은 탄성스프링(S)에 의해 항상 하강되어 있는 상태를 기본으로 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함체(110)가 단턱(12) 상에 고정되면 단턱보다 더 아래쪽으로 하강되어 있던 지지다리(210)가 탄성스프링(S)이 펴지도록 상측으로 밀게되는데, 이때 고정부(240) 상에 구비되어 연결부(220)를 관통하고 있던 고정나사부(241)에 너트(N)를 체결함으로서 지지다리(210) 및 연결부(220)가 완전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토퍼(230) 하면에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연질부(231)가 형성되어 바닥면에 더욱 강하게 밀착하여 소화전(100)에 유동이 없도록 하는 것이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골조틀(10)에 설치되는 소화전(100)은 단턱(12)의 높이만큼 지면에서 승강 상태에서 시공을 해야하기 때문에 그 동안은 둘 이상의 작업자를 필요로 하거나 단턱(12) 소화전(100)을 고정할 때 높이를 맞추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을 필요로 했지만, 본 발명의 레벨링부(200)로 인해 단턱의 높이에 맞게 레벨링부의 높이를 설정할 수 있어서 시공성이 현저하게 개선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턱(12)은 상면에 소화전(100)이 고정되는 고정구(13) 및 상기 고정구(13) 일측에 나사고정 되되 지면과 맞닿는 접촉구(15)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더욱 자세히 말하면, 상기 고정구(13)는 일측에 다수개의 하향절곡부(14)가 형성되며, 상기 접촉구(15)는 각각의 하향절곡부(14)에 면접촉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향절곡부(14) 및 접촉구(15)가 서로 마주하는 면에 나사공(H)이 각각 형성되어 고정나사(C1) 및 고정너트(C2)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다.
결국, 상기 고정나사(C1) 및 고정너트(C2)를 이용해 고정구(13) 및 접촉구(15)를 완전히 고정하기 전 접촉구(15)의 회전이 가능하므로 평평하지 못하고 울퉁불퉁한 지면에서도 접촉구(15)를 지면의 경사에 맞게 회전시킴으로서 단턱의 레벨링이 가능한 것이며, 이는 소화전(100) 설치 시 수평화가 가능한 것이다.
이때, 상기 하향절곡부(14)의 단부는 라운딩처리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접촉구(15) 또한 상향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향절곡된 단부가 라운딩처리되어 접촉구의(15) 회전이 용이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소화전은 건식 PD 시공방법으로 시공되는 것으로, 건식 PD의 건식은 조적, 몰탈 및 미장을 하지 않는 시공인 것이며, PD는 Pipe Duct를 의미하는 것으로, 아파트의 계단실과 같은 복도에 설치되며 계단실의 벽체에 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골조틀 11 ... 개구부
12 ... 단턱 13 ... 접촉구
14 ... 하향절곡부 15 ... 고정구
100 ... 소화전 110 ... 함체
120 ... 커버 200 ... 레벨링부
210 ... 지지다리 220 ... 연결부
230 ... 스토퍼 231 ... 연질부
240 ... 고정부 241 ... 고정나사부
C1 ... 고정볼트 C2 ... 고정너트
N ... 너트

Claims (3)

  1. 개구부(11)가 형성되는 골조틀(10)이 벽면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개구부(11)에 소화전(100)이 형성되고, 상기 소화전(100)이 형성된 개구부(11)의 잔여 부분에 판넬(P)이 마감되도록 함으로서 골조틀(10) 내측에 공간부가 마련되도록 하며, 상기 소화전(100)은 함체(110) 및 커버(120)로 이루어지되 골조틀(10) 하측에 형성되는 단턱(12) 상단이 함체(110) 하단과 동일선상에서 시공될 수 있도록 함체(110) 후면에 레벨링부(200)가 형성되며,
    상기 레벨링부(200)는 함체(110) 후면에 형성된 가이드부(111)를 통과하는 복수개의 지지다리(210)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다리(210) 각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부(220)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다리(210) 하단에 스토퍼(230)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111)를 중심으로 지지다리(210) 상측 외주면에 탄성 스프링(S)이 구비되되 탄성스프링은 가이드부(111) 상면 및 연결부(220) 하면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부(111)를 중심으로 지지다리(210) 하측 외주면에 구비되되 각 지지다리에 의해 상하 가이드되는 고정부(240)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240) 상면에는 고정나사부(241)가 돌출되어 연결부(220)에 형성된 홀(221)을 관통한 이후 별도의 너트(N)에 의해 체결됨으로서 지지다리의 높이가 고정되며,
    상기 스토퍼(230) 하면에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연질부(231)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12)은 상면에 소화전(100)이 고정되는 고정구(13) 및 상기 고정구(13) 일측에 나사고정 되되 지면과 맞닿는 접촉구(15)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구(13)는 일측에 다수개의 하향절곡부(14)가 형성되며, 상기 접촉구(15)는 각각의 하향절곡부(14)에 면접촉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향절곡부(14) 및 접촉구(15)가 서로 마주하는 면에 나사공(H)이 각각 형성되어 고정나사(C1) 및 고정너트(C2)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이 개선된 건식 PD 소화전.
  2. 삭제
  3. 삭제
KR1020190054053A 2019-05-09 2019-05-09 시공성이 개선된 건식 pd 소화전 KR102049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053A KR102049597B1 (ko) 2019-05-09 2019-05-09 시공성이 개선된 건식 pd 소화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053A KR102049597B1 (ko) 2019-05-09 2019-05-09 시공성이 개선된 건식 pd 소화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9597B1 true KR102049597B1 (ko) 2020-01-08

Family

ID=69154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4053A KR102049597B1 (ko) 2019-05-09 2019-05-09 시공성이 개선된 건식 pd 소화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959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018U (ko) * 1998-09-08 2000-04-06 김광식 건축물의 벽거푸집 수평받침구 설치를 위한 수평줄 조정장치
JP2003000748A (ja) * 2001-06-22 2003-01-07 Itachibori Mfg Co Ltd 屋内消火栓格納箱等の施工法
KR20180114399A (ko) * 2017-04-10 2018-10-18 김상문 설치위치의 조절이 가능한 내진용 옥내소화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018U (ko) * 1998-09-08 2000-04-06 김광식 건축물의 벽거푸집 수평받침구 설치를 위한 수평줄 조정장치
JP2003000748A (ja) * 2001-06-22 2003-01-07 Itachibori Mfg Co Ltd 屋内消火栓格納箱等の施工法
KR20180114399A (ko) * 2017-04-10 2018-10-18 김상문 설치위치의 조절이 가능한 내진용 옥내소화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57568A (en) Shower receptors and the like
KR102286742B1 (ko)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설치구조
US2644203A (en) Prefabricated bathroom structure
GB2431194A (en) Integrated water supply system for multi-floor buildings
KR102049597B1 (ko) 시공성이 개선된 건식 pd 소화전
US2034215A (en) Sectional ready made house
CN208748778U (zh) 一种顶置水箱式便器安装结构
CN205024816U (zh) 一种同层排水装置
JP4672444B2 (ja) 改装用防水パン
US2665454A (en) Bathroom unit
KR200463746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하향식 피난구
JPH043083Y2 (ko)
US2084793A (en) Bathroom equipment
JP3890075B2 (ja) 集合住宅の用途に供する建築物
US2040725A (en) Building construction
CN212406257U (zh) 一种装配式卫浴一体化隔声底盘
ES2246100B2 (es) Habitacion modular prefabricada, particularmente un cuarto de aseo o de baño.
CN217175960U (zh) 一种装配式卫生间
KR200173551Y1 (ko) 개량 배관 설비구조
US11788269B1 (en) Sub floor damage prevention toilet pan
KR200433112Y1 (ko) 상자형 완강기 걸이장치
US2236376A (en) Portable shower bath
KR200461828Y1 (ko) 피난구의 프레임 구조
DK9700333U4 (da) svingvask
KR200238229Y1 (ko) 에어콘 실외기의 매립형 연결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