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1462B1 - 비상탈출용 완강 조립체 - Google Patents

비상탈출용 완강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1462B1
KR102471462B1 KR1020200101063A KR20200101063A KR102471462B1 KR 102471462 B1 KR102471462 B1 KR 102471462B1 KR 1020200101063 A KR1020200101063 A KR 1020200101063A KR 20200101063 A KR20200101063 A KR 20200101063A KR 102471462 B1 KR102471462 B1 KR 102471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support
support plate
emergency exit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1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0582A (ko
Inventor
이국빈
Original Assignee
이국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국빈 filed Critical 이국빈
Priority to KR1020200101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1462B1/ko
Publication of KR20220020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0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8Other single parts for rope lowering-devices, e.g. take-up rollers for ropes, devices for shooting ro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와 같은 비상상황에서 사람들을 신속하게 지상으로 탈출시킬 수 있으며 별도의 구동수단이 필요없는 단순한 구조로서 시공성이 우수한 비상탈출용 완강 조립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비상시 지상으로 탈출하는데 사용되는 비상탈출용 완강 조립체로서, 지상에서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고 내부에 폐쇄된 공간을 갖는 비상 탈출구; 상기 비상 탈출구의 내부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탈출자가 파지한 상태로 하강하도록 안내하는 안내봉; 상기 비상 탈출구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안내봉과 평행하게 설치된 지지봉; 상기 지지봉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하강시 상기 탈출자의 신체일부를 지지하며 상기 지지봉에서 하방으로 절첩가능하게 설치된 지지판; 상기 지지판과 상기 지지봉 사이에 설치되어 절첩된 상기 지지판을 저속으로 선회시키고 접첩된 상태의 상기 지지판은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댐핑부재; 및 상기 지지판이 절첩된 상태에서 상기 비상 탈출구의 내측공간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비상 탈출구의 내부벽에 오목하게 형성된 간섭회피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상탈출용 완강 조립체{DESCENDING ASSEMBLY FOR EMERGENCY ESCAPE}
본 발명은 완강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시 지상으로 탈출하기 위한 비상탈출용 완강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건물의 화재, 폭발, 유독가스의 누출 등 위험상황이 발생될 경우, 사람이 고층으로부터 지상의 안전한 장소로 신속하게 피난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비상대피시설, 피난설비 및 기구, 방화장비 등이 설치되고 있다.
종래의 피난기구로서 예를 들어 완강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완강기는 일반적으로 저층에서만 사용 가능하며, 고층에서는 사용이 곤란하다. 또한 실내에 설치되는 대피기구는 1인용으로 한층씩 순차적으로 탈출하도록 되어 있어서 계단을 이용한 탈출 속도보다 느려서 촌각을 다투는 화재시에는 무용지물이 되기 쉽다. 또한 종래의 완강기는 사전 연습없이 비상 상황에서 완강기만을 의지하여 건물 밖으로 몸을 던지기는 쉽지 않으며, 특히 여성이나 노인 또는 어린 아이들에게 이러한 완강기를 사용하여 탈출하는 것은 결코 쉽지 않다.
근래 들어, 고층건물의 피난설비 및 기구는 전력의 차단에 의한 작동불능을 대비하기 위하여 전력을 사용하지 않는 무동력 메커니즘이 상용화되고 추세인데 이러한 피난기구 및 장비는 안전성과 편의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이러한 무동력으로 작동되는 피난기구의 일예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83838호(발명의 명칭: 무동력 하강 제어장치)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76536호(발명의 명칭: 인명 피난 장비)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피난 장치들은 피난설비의 탑승기 등을 무동력으로 하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피난 장치들은 탑승기 등에 탑승할 수 있는 인원이 제한되어 있고 탈출자의 몸무게에 따라 몸을 묶는 기구가 맞춤으로 사전에 준비되어야 하므로 각 층에 있는 거주자가 모두 이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탈출시 탑승기를 다시 상승시켜야 하므로 피난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탑승기 상승을 위한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도 제기되었다.
<선행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83838호(공고일: 2009.02.13)
<선행문헌 2>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76536호(공고일: 2005.03.17)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화재와 같은 비상 상황에서 사람들을 신속하게 지상으로 탈출시킬 수 있으며, 별도의 구동수단이 필요없는 단순한 구조로서 시공성이 우수한 비상탈출용 완강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비상시 지상으로 탈출하기 위해 건물에 설치되는 비상탈출용 완강 조립체로서, 지상에서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고 내부에 폐쇄된 공간을 갖는 비상 탈출구; 상기 비상 탈출구의 내부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탈출자가 파지한 상태로 하강을 안내하는 안내봉; 상기 비상 탈출구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안내봉과 평행하게 설치된 지지봉; 상기 지지봉에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고어 상기 탈출자의 하강시 상기 지지봉에서 하방으로 절첩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과 상기 지지봉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판의 절첩시 댐핑력을 제공하고 접첩된 상태의 상기 지지판을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댐핑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이 절첩된 상태에서 상기 비상 탈출구의 내측공간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비상 탈출구의 내부벽에는 오목한 형상의 간섭회피영역이 형성된 비상탈출용 완강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 안내봉을 중심으로 양측에 수직하게 배치된 복수의 측면 지지봉, 상기 측면 지지봉에 각각 절첩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측면 지지봉에 댐퍼를 매개로 연결된 복수의 발판, 및 상기 측면 지지봉에서 상기 발판 주위를 따라 원호형상으로 연장된 발판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의 일부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충돌회피부가 마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비상 탈출구에는 절첩식 출입구가 연결되며, 상기 절첩식 출입구는 상기 비상 탈출구의 측면에 설치된 연결대, 상기 연결대에서 인출가능하게 설치된 절첩 프레임, 및 상기 절첩 프레임의 내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복수의 난연천(폭넓은 난연 천)을 서로 겹쳐서 구성한 출입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댐핑부재는, 상기 지지봉에 장착되는 장착 브라켓, 상기 장착 브라켓에 연결된 댐퍼 본체, 상기 댐퍼 본체에 연결되어 일정반경으로 선회되는 지지 포스트, 및 상기 지지 포스트가 전후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지지판의 하면에 설치된 포스트 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 포스트는, 상기 지지봉에 직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초기 회전시에는 상기 댐퍼 본체의 댐핑력에 의해 저속의 댐핑구간을 형성하고, 상기 댐핑구간 이후에는 가속구간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상시 하강하는 탈출자가 각각의 지지판을 통과할 때마다 낙하속도가 감소됨으로써 안전하게 지상으로 탈출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피난기구와 달리 다수의 대피자를 순차적으로 탑승할 수 있으므로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다.
아울러, 각 층마다 동시에 이용할 수 있어 다수의 사람이 주거하는 공동시설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1a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완강 조립체의 사용 상태도,
도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완강 조립체의 개략적인 평면 구성도,
도 2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완강 조립체의 사용 상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완강 조립체의 개략적인 평면 구성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완강 조립체의 사용 상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완강 조립체의 개략적인 평면 구성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용 완강 조립체의 절첩식 출입구의 사용 상태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용 완강 조립체의 절첩식 출입구의 차단막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용 완강 조립체의 댐핑부재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용 완강 조립체의 댐핑부재의 작동 상태도,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용 완강 조립체의 댐핑부재의 설치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되도록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완강 조립체는 건물의 일측에 수직하게 비상 탈출구(100)가 마련되고, 비상 탈출구(100)의 내부에는 수직하게 세워진 형태로 안내봉(10)이 설치되고, 이 안내봉(10)과 나란하게 배치된 중앙 지지봉(20)이 수직하게 세워진 형태로 설치된다.
여기서 안내봉(10)은 비상시 탈출자가 파지하여 수직으로 하강을 안내하기 위한 기능을 한다. 이때 안내봉(10)의 표면에는 마찰력을 높이기 위한 처리를 할 수 있고 별도의 파지부재(고무 패드)를 설치하여 탈출자가 하강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중앙 지지봉(20)에는 제1 지지판(30)이 설치된다. 이때 제1 지지판(30)은 탈출자가 걸터 앉을 수 있는 좌석식 형태를 갖는다. 또한 제1 지지판(30)에는 댐핑부재(50)가 연결된다. 즉 제1 지지판(30)은 중앙 지지봉(20)에서 90도 이상 하향으로 절첩될 수 있고, 제1 지지판(30)의 절첩시 댐핑력을 제공하도록 댐핑부재(50)가 설치된다.
한편 제1 지지판(30)이 절첩되는 경우 하강되는 탈출자(P)의 신체(머리나 등)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비상 탈출구(100)의 내부에는 제1 지지판(3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일정공간으로 형성된 간섭회피영역(28a)이 제공된다.
도 1b를 참조하면, 비상 탈출구(100)의 내부에는 안내봉(10)을 기준으로 양측에 제1 측면 지지봉(41)과 제2 측면 지지봉(42)이 배치되고, 안내봉(10)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중앙 지지봉(20)이 설치된다.
또한 제1 측면 지지봉(41)과 제2 측면 지지봉(42)에는 각각 제1 발판(40a)과 제2 발판(40b)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들 발판(40a,40b)들은 하향으로 절첩되었다가 복원력(댐퍼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원상태로 복귀하는 구조로서 측면 지지봉(41,42)에 각각 설치된다. 아울러 측면 지지봉(41,42)에는 탈출자(P)의 하강시 안내를 위한 발판 가이드(42,43)가 각각 설치된다. 한편 중앙 지지봉(20)에는 앞서 설명한 제1 지지판(30)이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비상탈출용 완강 조립체는 도 1a와 같이 탈출자(P)가 비상 탈출구(100) 내에서 제1 지지판(30)에 착석하고 발판(지지판; 40)에 두 발을 안착시키고 양손은 안내봉(10)을 잡은 상태로 지상으로 하강하여 탈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때 탈출자(P)의 하강 속도를 지연시키도록 제1 지지판(30)은 댐핑부재(50)의 댐핑력에 의해 상대적으로 저속으로 절첩된다. 또한 절첩된 제1 지지판(30)은 비상 탈출구(100)의 측면에 마련된 간섭회피영역(28a)으로 수용된다. 이에 따라 탈출자의 하강시(탈출시) 절첩된 상태의 제1 지지판(30)이 하강되는 탈출자(P)의 등이나 머리에 충돌되거나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지지판의 재질은 하강시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폴리우레탄이나 발포수지 등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완강 조립체는 비상 탈출구(100) 내에서 탈출자가 좌식의 자세로 하강하도록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비상 탈출구(100)의 내부에는 안내봉(10)을 기준으로 양측에 제1 보조판(46a)과 제2 보조판(46b)이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절첩되도록 설치된다. 이들 보조판(46a,46b)은 탈출자(P)의 하강시 무릎을 지지하면서 하강하기 위한 요소이다. 즉 제1 실시예에서는 제1 지지판(30)이외에 복수의 발판(40a,40b)이 제공된 구성인 반면 제2 실시예에서는 좌식 자세로 하강할 수 있도록 복수의 보조판(46a,46b)이 제공되다. 이에 따라 탈출자(P)가 보다 편한 자세로 탈출(하강)이 가능하게 된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완강조립체는 탈출자(P)가 비상 탈출구(100) 내에서 입식자세로 하강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탈출자(P)는 안내봉(10)을 파지하고 중앙 지지봉(20)에 설치된 중앙 발판(35)에 양발을 지지한 상태(즉 입식자세의 안정적인 자세)로 하강이 이루어진다.
도 3b와 같이 안내봉(10)을 기준으로 양측에 제1 지지봉(20a) 및 제2 지지봉(20b)이 배치되고 이들 지지봉(20a,20b)에는 제1 발판(35a)과 제2 발판(35b)이 각각 연결된다. 또한 하강시 탈출자(P)의 안내를 위해 지지봉(20a,20b)에는 원호형상의 발판 가이드(25a,25b)가 배치된다.
도 4a를 참조하면, 비상 탈출구(100)의 측면으로는 절첩식 출입구(60)가 연결된다. 이 절첩식 출입구(60)는 평소에 연결대(68)에 절첩시켜 실내 공간으로 활용하다가, 화재와 같은 비상시에는 연결대(68)에서 인출시켜 탈출구나 패닉룸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때 절첩식 출입구(60)에는 다수의 롤러부(65)가 장착되어 절첩식 출입구(60)의 설치시 인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절첩식 출입구(6600의 내부에는 공기호흡기나 소화기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절첩식 출입구(60)는 엑스형태로 배치된 절첩 프레임(67)과, 이 절첩 프레임(67)에 덮여진 난연재질의 천(탄성력을 갖는 밴드를 구비한 천)을 통해 절첩식 터널의 형태로 제공된다. 이때 절첩 프레임(67)의 입구측에는 화재시 발생된 연기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복수의 출입막(61~63)이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여기서 출입막(61~63)는 도 4b와 같이 난연재질이면서 탄성력을 갖는 천(광폭의 천)을 일정면적으로 덧대어진 형태로 제공되어, 탈출자(P)가 탈출시 출입막(61~63)을 벌려서 통과한 다음에는 다시 원상태로 복원되어 외부의 연기가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내지 제3 출입막(61~63)을 탈출자가 통과하는 방식으로 실내에서 비상 탈출구(100)의 내부로 접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절첩식 출입구(60)를 비상 탈출구(100)의 측면에 설치함으로써 평소에는 연결대(68)에 절첩한 상태로 보관하여 실내 공간을 확보하고, 비상시(화재시)에는 연결대(68)에서 절첩 프레임(67)을 인출시켜 터널을 형성하고, 탈출자가 다수의 출입막(61~63)을 통과하여 비상 탈출구(100)로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절첩식 출입구(60)에 배치된 다수의 출입막(61,63)에 의해 실내의 연기가 비상 탈출구(100)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절첩식 출입구(60)는 화재 발생시 탈출구뿐만 아니라 연기나 유독가스로부터 탈출자를 보호하는 패닉룸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적용된 댐핑부재(50)는 다수의 장착공(51a,51b)가 설치된 장착 브라켓(51)과, 장착 브라켓(51)에 연결되어 댐핑력을 제공하는 댐퍼 본체(56)와, 댐퍼 본체(56)에서 일정반경으로 선회되는 선회부(55)와, 선회부(55)에 연결된 지지 포스트(5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지지 포스트(57)의 말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장착부(54)가 형성되고, 이 장착부(54)는 선회부(55)의 체결공(53)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된다. 또한 장착 브라켓(51)의 장착공(51a,51b)은 볼트를 통해 지지봉(41,42)에 설치된다.
한편 지지판(40)의 하부에는 포스트 가이드부재(52)가 장착되고, 이 포스트 가이드부재(52)에 지지 포스트(57)가 삽입되어 지지판(40)이 하강하는 경우 포스트 가이드부재(52)를 따라 지지 포스트(57)가 이동(전후진)되는 것을 안내한다. 즉 지지판(40)이 하향으로 눌러진 경우에는 포스트 가이드부재(52)에서 지지 포스트(57)가 전진하면서 지지판(40)이 저속으로 일정각도(도 6의 '댐핑구간')로 하강하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탈출자(P)의 하강시 지지판(40)이 하방으로 절첩(회동)하는 경우, 지지판(40)은 댐핑부재(50)의 댐핑력에 의해 저속으로 선회되면서 절첩된다. 즉 탈출자(P)의 하강속도를 늦출 수 있도록 지지판(40)은 댐핑부재(50)에 의해 최초에는 저속으로 일정각도만큼 절첩된다. 즉 댐핑부재(50)는 댐퍼본체(56)의 댐핑력에 의해 지지포스트(57)가 저속으로 선회되도록 하는데, 이때 지지 포스트(57)가 지지판(40)을 지지함으로써 지지판(40)의 절첩속도를 늦추는 역할을 한다.
즉, 지지판(40)의 하향 절첩시, 지지판(40)이 지지봉(41)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기준으로, 지지판(40)의 최초 선회반경(예를 들어 15도)에서는 댐퍼본체(56)의 댐핑력에 의해 저속으로 선회되는 댐핑구간을 형성한다. 이 댐핑구간 이후에는 담힘 가속구간을 형성하여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지지판(40)의 절첩이 이루어진다. 반대로 절첩된 상태의 지지판(40)이 원상태로 복귀하는 경우에는 최초 댐핑구간과 같은 저속으로 원상태로 복귀됨으로써 하강 중인 탈출자(P)의 신체일부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댐핑부재(50)는 최초 15도 반경에서는 지지판(40)이 탈출자(P)를지지하는 댐핑력을 제공하고, 그 이후에는 지지판(40)의 선회속도를 가속화시켜 절첩되게 함으로써, 탈출자(P)의 하강시 하강속도를 늦추는 동시에 그 이후에는 지지판(40)의 빠른 절첩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탈출자(P)의 하강시 원활한 작동이 가능하고 하강하는 탈출자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댐핑부재(50)로는 예를 들어 통상의 유압식(오일댐퍼식)이나 스프링식 도어 클로저의 댐퍼구조가 채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동시 지지판의 댐핑구간과 가속구간 및 지지판의 절첩상태에서 원상태로 저속으로 복귀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예를 들어 지지판(30)의 하부에는 제1 지지 포스트(57a,57b)가 댐퍼 본체(56)의 선회부(55)에서 'V'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견고하게 제1 지지판(30)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판(30)은 가장자리의 일부에 오목하게 형성된 충돌회피부(36)가 형성되어 지지판의 절첩 과정시 하강하는 탈출자(P)의 신체 일부(머리나 등)가 지지판(30)에 부딛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안내봉
20: 중앙 지지봉
20a: 제1 지지봉
20b: 제2 지지봉
25a: 제1 발판 가이드
25b: 제2 발판 가이드
28a: 간섭회피영역
28b: 간섭회피영역
30: 제1 지지판
35: 중앙 발판
35a: 제1 발판
35b: 제2 발판
36: 충돌회피부
40: 제2 지지판
40a: 제1 발판
40b: 제2 발판
41: 제1 측면 지지봉
42: 제2 측면 지지봉
43: 발판 가이드
46: 보조 지지판
46a: 제1 보조판
46b: 제2 보조판
50: 댐핑부재
50a: 제1 댐퍼
50b: 제2 댐퍼
51: 장착 브라켓
51a: 장착공
51b: 장착공
52: 포스트 가이드부재
53: 체결공
54: 장착부
56: 댐퍼 본체
57: 지지 포스트
60: 절첩식 출입구
61: 제1 출입막
62: 제2 출입막
63: 제3 출입막
65: 롤러부
67: 절첩 프레임
68: 연결대
100: 비상 탈출구

Claims (5)

  1. 비상시 지상으로 탈출하기 위해 건물에 설치되는 비상탈출용 완강 조립체로서,
    지상에서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고 내부에 폐쇄된 공간을 갖는 비상 탈출구;
    상기 비상 탈출구의 내부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탈출자가 파지한 상태로 하강을 안내하는 안내봉;
    상기 비상 탈출구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안내봉과 평행하게 설치된 지지봉;
    상기 지지봉에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고어 상기 탈출자의 하강시 상기 지지봉에서 하방으로 절첩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과 상기 지지봉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판의 절첩시 댐핑력을 제공하고 접첩된 상태의 상기 지지판을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댐핑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이 절첩된 상태에서 상기 비상 탈출구의 내측공간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비상 탈출구의 내부벽에는 오목한 형상의 간섭회피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봉을 중심으로 양측에 수직하게 배치된 복수의 측면 지지봉,
    상기 측면 지지봉에 각각 절첩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측면 지지봉에 댐퍼를 매개로 연결된 복수의 발판, 및
    상기 측면 지지봉에서 상기 발판 주위를 따라 원호형상으로 연장된 발판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의 일부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충돌회피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완강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탈출구에는 절첩식 출입구가 연결되며,
    상기 절첩식 출입구는 상기 비상 탈출구의 측면에 설치된 연결대,
    상기 연결대에서 인출가능하게 설치된 절첩 프레임, 및
    상기 절첩 프레임의 내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복수의 난연천을 서로 겹쳐서 구성한 출입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완강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부재는,
    상기 지지봉에 장착되는 장착 브라켓,
    상기 장착 브라켓에 연결된 댐퍼 본체,
    상기 댐퍼 본체에 연결되어 일정반경으로 선회되는 지지 포스트, 및
    상기 지지 포스트가 전후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지지판의 하면에 설치된 포스트 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완강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포스트는, 상기 지지봉에 직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초기 회전시에는 상기 댐퍼 본체의 댐핑력에 의해 저속의 댐핑구간을 형성하고, 상기 댐핑구간 이후에는 가속구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완강 조립체.
  5. 삭제
KR1020200101063A 2020-08-12 2020-08-12 비상탈출용 완강 조립체 KR102471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063A KR102471462B1 (ko) 2020-08-12 2020-08-12 비상탈출용 완강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063A KR102471462B1 (ko) 2020-08-12 2020-08-12 비상탈출용 완강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0582A KR20220020582A (ko) 2022-02-21
KR102471462B1 true KR102471462B1 (ko) 2022-11-28

Family

ID=80475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1063A KR102471462B1 (ko) 2020-08-12 2020-08-12 비상탈출용 완강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146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387B1 (ko) * 2010-02-12 2010-04-14 (주)건정 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발코니 대피구조
KR100967563B1 (ko) * 2009-12-22 2010-07-05 김광수 피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5965A (ja) * 1997-11-27 1999-06-15 Junichi Yoshimori 円筒状の脱出シュートにスプリング付油圧式緩降機に よる乗り込み制御ダンパーを取り付けた避難装置
KR101656297B1 (ko) * 2014-12-29 2016-09-12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563B1 (ko) * 2009-12-22 2010-07-05 김광수 피난장치
KR100952387B1 (ko) * 2010-02-12 2010-04-14 (주)건정 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발코니 대피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0582A (ko) 2022-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3585B1 (ko) 층간 비상탈출장치
EP3639896B1 (en) Fire/disaster evacuation facility for building
KR102076672B1 (ko) 완강형 소방 및 재난 대피장치
KR101030286B1 (ko) 베란다의 난간대에 전용 탑승구가 구비된 긴급 피난장치
KR100923639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2202565B1 (ko) 내진구조를 갖는 소방용 대피장치
KR100927317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20130103132A (ko) 해치형 비상 피난장치
KR102471462B1 (ko) 비상탈출용 완강 조립체
KR101913093B1 (ko) 건물용 비상 탈출장치
US3915258A (en) Escape system
KR101548010B1 (ko) 공동주택의 비상대피 기능을 갖춘 베란다 휀스장치
KR20160143606A (ko) 응급탈출용 비상사다리
JPH0246373Y2 (ko)
US20040245047A1 (en) Device for rescuing persons from edifices such as buildings, drilling platforms, ships or the like
KR102109587B1 (ko) 접이식 피난 기구
KR20100137131A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047147B1 (ko) 고층건물 피난장치
KR102105877B1 (ko)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소방용 베란다 완강기
KR100915305B1 (ko) 방열천이 장착된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20130017592A (ko) 방화용 대피 사다리
KR101725864B1 (ko)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 난간
KR20210009876A (ko) 공동주택 및 고층건물의 기계식 비상 탈출장치
KR101944474B1 (ko) 옥외 탈출용 수직구조대
KR20230007700A (ko) 하향식 터널형 피난 사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