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6041B1 - 화재발생시 대피기능을 갖춘 소방용 공동주택 발코니 장치 - Google Patents

화재발생시 대피기능을 갖춘 소방용 공동주택 발코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6041B1
KR101656041B1 KR1020160062274A KR20160062274A KR101656041B1 KR 101656041 B1 KR101656041 B1 KR 101656041B1 KR 1020160062274 A KR1020160062274 A KR 1020160062274A KR 20160062274 A KR20160062274 A KR 20160062274A KR 101656041 B1 KR101656041 B1 KR 101656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hole
fire
fixed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2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근
Original Assignee
(주)한동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동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한동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60062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60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6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6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03Balconies; De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발생시 대피기능을 갖춘 소방용 공동주택 발코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층으로 구성된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서 화재발생시 신속하게 대피로를 확보하여 인명사고를 막을 수 있도록 개선된 화재발생시 대피기능을 갖춘 소방용 공동주택 발코니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재발생시 대피기능을 갖춘 소방용 공동주택 발코니 장치{Balcony apartment house fire in case of fire evacuation devices with features}
본 발명은 소방 기술 분야 중 화재발생시 대피기능을 갖춘 소방용 공동주택 발코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층으로 구성된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서 화재발생시 신속하게 대피로를 확보하여 인명사고를 막을 수 있도록 개선된 화재발생시 대피기능을 갖춘 소방용 공동주택 발코니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건축기술이 발전하는 것과 함께 생활 편의를 위해 건축물이 점차 고층화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고층 건축물들, 특히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은 생활에 편의성을 가져오는 것이 현실이나 각종 화재나 재난에 취약한 문제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예컨대, 고층 공동주택은 화재에 취약하며 각 층의 출입구 부근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창이나 발코니 등을 통해 탈출이 불가능하여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것이 현실이다.
때문에, 공동주택의 경우에는 발코니의 일측벽면을 쉽게 부쉴 수 있도록 구성하여 화재 등 인명피해가 예상되는 긴급상황에서 이를 파손시킨 후 옆집으로 대비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하지만, 각 세대내에서는 안전불감증도 원인이기는 하지만, 물건 수납처가 마땅치 않아 대부분 긴급피난처로 사용되어야 할 벽면에 다수의 물건들을 적재한 상태로 생활하다보니 화재발생과 같은 긴급상황에 대처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안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고층의 공동주택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주로 소방서의 고가사다리차에 의해 구조가 이루어지는 것이 현실이며, 그러다 보니 인명구조에 따른 한계가 분명하게 드러나게 된다.
즉, 사다리차의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는 높이에 한계가 있고, 또한 탑승시킬 수 있는 인원도 한계가 있으며, 오르내리는데 걸리는 시간도 있어 효과적인 대피 수단이 될 수 없다.
이에, 발코니를 이용한 탈출방법이 개시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 발코니의 바닥에 대피통로를 만들고 평시에는 덮개로 덮어 두었다가 필요시에만 덮개를 열어 대피통로에 구비되어 있는 접이식 사다리를 펼쳐 사다리를 통해 아래층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예시할 수 있다.
하지만, 이처럼 대피통로와 접이식 사다리의 경우 수동으로 작동되는 기계식이기 때문에 상층에서 쉽게 개방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호기심이 높은 아이들이 손쉽게 개방할 수 있는 문제로 이웃 간에 사생활 침해로 인한 분쟁을 일으킬 소지가 있다.
또한, 접이식 사다리의 경우 많은 기어, 링크 및 피벗으로 결합된 구조이므로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잘 펴지지 않는 문제도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952387호(2010.04.05.) '건축물의 발코니 대피구조'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복층으로 구성된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서 화재발생시 신속하게 대피로를 확보하여 인명사고를 막을 수 있도록 개선된 화재발생시 대피기능을 갖춘 소방용 공동주택 발코니 장치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건축물의 상하층이 연결되도록 발코니(700) 바닥에 형성된 관통구멍(710)에 수직으로 설치된 레일(100); 상기 관통구멍(710)을 밀폐하면서 잠금장치(300)를 통해 걸려 있는 대피판(400); 상기 레일(100)에 끼워지고 상기 대피판(400) 상부에 설치된 가이드관(430); 상기 레일(100)을 벽체에 고정하는 지지대(730);를 포함하는 화재발생시 대피기능을 갖춘 소방용 공동주택 발코니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730)의 하단면 일부에는 스프링실린더(900)가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실린더(900)는 상단에 스프링실린더(900) 보다 큰 반경을 갖는 고정플랜지(902)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플랜지(902)는 상기 지지대(730)의 하단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다수의 볼트로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실린더(900)의 고정플랜지(902) 하측에는 직경방향으로 관통한 끼움구멍(904)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구멍(904)에는 스프링고정구(906)가 끼워진 다음 너트(908)로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실린더(900)의 내부에는 코일스프링(SP)이 장입되며, 코일스프링(SP)의 일단은 링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고정구(906)가 관통된 상태로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프링실린더(900)의 하단에는 캡(910)이 나사고정되는데, 상기 캡(910)은 중앙에 구멍이 뚫려 있어 와이어(W)가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와이어(W)의 일단은 상기 캡(910)을 관통한 다음 상기 스프링실린더(900) 내부의 코일스프링(SP) 타단에 결속되고, 상기 캡(910)의 표면 일부에는 제1쉬브(912)가 브라켓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와이어(W)는 상기 제1쉬브(912)를 경유하여 상향 배치되고, 상기 레일(100)에 끼워진 가이드관(430)의 상단 둘레 일부에는 제2쉬브(914)가 브라켓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와이어(W)는 상기 제2쉬브(914)를 경유하여 꺽인 후 하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쉬브(914)와 간격을 두고 상기 가이드관(430)의 외주면 상에는 대략 'ㄱ' 형상의 고정브라켓(920)이 고정되며, 상기 고정브라켓(920)의 상단절곡편(922)에는 와이어통공(924)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브라켓(920)의 폭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 슬라이드홈(926)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홈(926)에는 슬라이더(930)가 끼워지고, 상기 슬라이더(930)와 상기 상단절곡편(922) 사이에는 탄발스프링(932)이 개재되며, 상기 와이어(W)의 단부는 상기 와이어통공(924)을 관통한 다음 상기 탄발스프링(932)의 내부를 거쳐 상기 슬라이더(930)에 결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발생시 대피기능을 갖춘 소방용 공동주택 발코니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층으로 구성된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서 화재발생시 신속하게 대피로를 확보하여 인명사고를 막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코니 장치를 보인 예시적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발코니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발코니 장치의 주요 구성품을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발코니 장치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코니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발코니 장치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및 요부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코니 장치가 작동된 것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 9는 도 8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예시도,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발코니 장치는 복층으로 구성된 공동주택의 발코니(70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발코니(700)에는 관통구멍(710)이 형성된다.
이때, 관통구멍(710)은 후술할 대피로(210)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대피로(210)와 관통구멍(710)은 사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으로 제작되거나 원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에서는 관통구멍(710)과 대피로(210)가 원형인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발코니(700)의 바닥에 형성되는 관통구멍(710)은 각 층의 발코니(700) 바닥의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멍(710)의 내측에는 배수장치(200)가 설치된다.
상기 배수장치(200)는 관통구멍(710) 주변의 오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한편, 화재시 상층 또는 하층의 발코니(700)로 연결되는 대피로(210)가 구비되는 것으로서, 대피로(210)의 주변에는 원형의 배수로(230)가 형성된다.
상기에서 배수로(230)는 상부가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배수로(230)로 유입되는 오수에 섞여 있는 이물질이 쌓이면 주기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배수로(230)의 개방된 상부에는 배수로(230)로 유입되면 오수의 흐름을 방해할 정도의 크기를 가진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집수공(221)이 형성된 오수덮개(220)가 덮여진다.
이와 같이 중앙에 대피로(210)가 형성되며 관통구멍(710)의 주변에서 발생되는 오수가 대피로(210)를 통해 아래층의 발코니(70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배수장치(200)는 배수로(230)로 유입된 오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공(240)이 더 형성된다.
상기에서 배수공(240)은 기존의 발코니(700)에 설치된 배수구(720)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배수장치(200)로 유입된 오수는 오수덮개(220)에 의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며 배수로(230)로 유입된 오수는 배수공(240)을 통해 기존에 설치되어 사용되던 배수구(720)로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관통구멍(710)과 배수장치(200)의 대피로(210)에는 레일(100)이 구비된다.
상기 레일(100)은 발코니(700)의 관통구멍(710)을 따라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발코니(700)의 벽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지지대(730)에 고정된다.
이때, 레일(100)이 고정되는 지지대(730)의 단부에는 측면으로 돌출되는 환형의 멈춤구(110)가 설치되고, 상기 멈춤구(110)의 상부에는 합성수지 재질의 완충부재(120)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장치(200)의 하부에는 잠금장치(300)가 구비된다. 상기 잠금장치(300)는 배수장치(200)의 중앙에 형성된 대피로(210)와 연결되는 통공(311, 도 7 참조)이 형성된 링 형상의 케이스(310)와 상기 케이스(3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위치 봉(321)이 구비된 솔레노이드 스위치(320)로 구성된다.
상기 솔레노이드 스위치(320)는 케이스(310)의 내부에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솔레노이드 스위치(320)의 스위치 봉(321)은 상기 케이스(310)의 통공(311)을 향해 입출되게 구성된다.
상기 배수장치(200)의 대피로(210)에는 대피판(400)이 구비된다.
상기 대피판(400)은 화재가 발생되지 않았을 때에는 외부에서 인위적으로 대피로(2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없는 구조로서, 평면의 형성은 대피로(210)의 형성과 동일한 원형이며, 측면에는 상기 잠금장치(300)의 스위치 봉(321)이 삽입되는 멈춤홈(420)이 형성된다.
이러한 대피판(400)은 레일(100)을 따라 발코니(700) 하부로 이동하는 것으로서, 중앙에는 레일(100)이 삽입되는 가이드홀(410)이 형성되고, 가이드홀(410)의 주변에는 원형의 안치홈(450)이 형성된다.
상기 안치홈(450)에는 레일(100)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가이드관(430)의 하부가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관(430)은 원형의 중공 기둥으로서, 탈출시 파지하는 봉으로 사용되는 한편, 대피판(400)이 배수장치(200) 하부로 원활히 분리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대피판(400)에는 베어링(411)이 더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베어링(411)은 대피판(400)과 레일(100)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을 감소시켜 대피판(400)이 레일(100)을 따라 중력에 의해 원활히 하강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배수장치(200)와 대피판(400)의 측면은 경사면(201,401)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대피판(400)은 외부 측면이 하부로 확장되는 경사면(401)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배수장치(200)의 내부 측면인 대피로(210)의 측면도 상기 대피판(400)의 측면과 대면될 수 있도록 하부로 확장되는 경사면(201)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대피판(400)과 배수장치(200)의 대피로(210)의 측면을 하광/상협의 사다리꼴 형성으로 제작하는 것은 경사면(201,401)을 통해 수밀을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대피판(400)이 배수장치(200)의 대피로(210)로부터 분리되는 순간 양측의 대면되는 면에서 마찰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에서 대피판(400)과 배수장치(200)의 대피로(210)에 형성된 경사면(201,401)에 수밀을 유지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구성으로는 방수층(480)을 형성시키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다.
상기에서 방수층(480)은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수층(480)은 잠금장치(300)에 의해 대피판(400)이 대피로(210)의 내부에 고정되는 순간 대피판(400)과 대피로(210) 사이에서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되는 것으로서, 가압되면서 대피판(400)과 대피로(210) 사이를 완전히 밀폐시킨다.
상기에 더불어 대피판(400)의 상부에는 방수덮개(46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방수덮개(460)는 대피판(400)과 배수장치(200)의 연결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대피판(400)의 상부에 얇은 원형판으로 구비된다.
이러한 방수덮개(460)는 대피판(400)과 배수장치(200)의 연결면 사이로 오수가 유입되지 못하게 하는 한편, 배수장치(200)의 배수로(23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에서 대피판(400)의 상부와 배수장치(200)의 상부에 걸쳐지면서 설치되는 방수덮개(460)는 연질이면서 얇은 연질의 합성수지이므로 대피판(400)이 하강할 때 대피판(400)의 무게를 지탱하지 못하고 변형되면서 대피로(210)의 내부로 유입된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대피판(400)은 배수장치(200)의 대피로(210)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대피판(400)의 측면에 형성된 멈춤홈(420)에 잠금장치(300)의 스위치 봉(321)이 돌출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가능하고, 대피판(400)이 대피로(2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은 외부에 구비되는 제어부(600)에 의해 가능하다.
상기에서 제어부(600)는 건축물의 방재실이나 관리실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건축물의 각 층에 설치되어 있는 화재감지센서(500)에서 화재를 감지하여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신호로 알려오면 상기 화재신호를 인지하여 잠금장치(300)에 해제신호를 보내게 된다.
상기에서 제어부(600)는 싸이렌과 경광등과 연결될 수도 있으며, 상기 싸이렌과 경광등을 통해 관리사무소(801) 및 소방서(802)에 해당 건축물의 화재를 통보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코니 장치는 공동주택의 각 층에 구비된 화재감지센서(500)가 화재를 감지했을 때에만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대피판(400)을 인위적으로 대피로(210)로부터 분리시킬 수는 없도록 [0041] 구성된다. 즉, 화재가 발생되어 화재감지센서(500)에서 화재를 감지한 뒤 해당 층에 화재가 발생하였다는 신호를 제어부(600)로 전달하면 제어부(600)는 상기 화재신호를 바탕으로 소방서(802)와 관리사무소(01)에 해당 층의 화재를 알리는 신호를 보냄과 동시에 잠금장치(300)에 해제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제어부(600)에서 해제신호를 수신한 잠금장치(300)는 솔레이노이드 스위치 내부로 스위치 봉(321)이 삽입된다. 이때 스위치 봉(321)이 솔레노이드 스위치(320) 내부로 삽입되면 잠금장치(300)의 통공(311) 내부의 모든 스위치 봉(321)은 통공(311)에서 제거된다.
이와 같이 통공(311)에서 스위치 봉(321)이 제거되면 대피판(400)은 지지되는 스위치 봉(321)이 없어지게 되므로 레일(100)을 따라 아래층 발코니(700)로 자중에 의해 이동하게 되고 아래층 레일(100)의 멈춤구(110)에 고정된다.
이때, 대피판(400)은 멈춤구(110)의 상부에 구비된 완충부재(120)에 의해 충격이 완화되므로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대피판(400)은 내부에 구비된 베어링(411)과 상부에 구비된 가이드관(430)에 의해 신속하게 하부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대피판(400)이 분리되어 아래층의 발코니(700)로 이동하게 되면, 대피판(400)이 분리된 발코니(700)의 바닥에는 대피로(210)가 형성되고, 분리된 대피판(400)은 아래층 발코니(700)의 중간정도의 위치에 머무르게 된다.
따라서, 화재가 발생된 층의 사람은 상기 분리된 대피판(400)을 발로 밟고 내려선 다음 아래층의 발코니(700) 바닥으로 내려서서 대피하게 되고, 복수의 층에 연속해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대에는 순차적으로 대피로(210)를 통해 아래층으로 내려가 있는 대피판(400)을 밟고 아래층 발코니(700)로 이동하고, 다음 층으로도 동일한 방법으로 이동하면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고층 공동주택의 특정 층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도 사람들은 신속하게 안정한 층으로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와 달리 제어부(600)에서 신호를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인위적으로 대피판(400)을 대피로(2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없도록 구성되어 상하층 간의 발코니(700)가 차단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런데, 이 구조에서는 여러명이 대피하기 어렵고 한 사람만 대피하면 대피판(400)이 하강된 상태로 있어 다른 사람들은 뛰어내려야 하는데, 층간 높이가 2m에 이르기 때문에 긴급한 상황에서 낙상에 의한 치명적인 인명피해가 속출할 수도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8 및 도 9의 예시와 같이,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면서 여러사람이 순차적으로 탑승하강할 수 있도록 구조 일부를 개량한다.
도 8 및 도 9에 따르면, 지지대(730)의 하단면 일부에는 스프링실린더(900)가 고정된다.
상기 스프링실린더(900)는 상단에 스프링실린더(900) 보다 큰 반경을 갖는 고정플랜지(902)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플랜지(902)는 상기 지지대(730)의 하단면에 밀착되며, 그 상태에서 다수의 고정볼트(미도시)를 통해 볼트 체결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실린더(900)의 상단부, 즉 상기 고정플랜지(902) 하측에는 이를 직경방향으로 관통한 끼움구멍(904)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구멍(904)에는 스프링고정구(906)가 끼워진 다음 너트(908)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실린더(900)의 내부에는 코일스프링(SP)이 장입되며, 코일스프링(SP)의 일단은 링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고정구(906)가 관통된 상태로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실린더(900)의 하단에는 캡(910)이 나사고정되는데, 상기 캡(910)은 중앙에 구멍이 뚫려 있어 와이어(W)가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와이어(W)의 일단은 상기 캡(910)을 관통한 다음 상기 스프링실린더(900) 내부의 코일스프링(SP) 타단에 결속된다.
또한, 상기 캡(910)의 표면 일부에는 제1쉬브(912)가 브라켓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W)는 상기 제1쉬브(912)를 경유하여 상향 배치된다.
아울러, 상기 레일(100)에 끼워진 가이드관(430)의 상단 둘레 일부에는 제2쉬브(914)가 브라켓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W)는 상기 제2쉬브(914)를 경유하여 꺽인 후 하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된다.
나아가, 상기 제2쉬브(914)와 간격을 두고 상기 가이드관(430)의 외주면 상에는 대략 'ㄱ' 형상의 고정브라켓(920)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브라켓(920)의 상단절곡편(922)에는 와이어통공(92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920)의 폭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 슬라이드홈(926)이 형성되는데, 상기 슬라이드홈(926)은 확대 예시된 단면도와 같이 끼워지면 쉽게 빠지지 않는 대략 'Ω'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홈(926)에는 슬라이더(930)가 끼워지며, 상기 슬라이더(930)와 상기 상단절곡편(922) 사이에는 탄발스프링(932)이 개재되는데, 상기 탄발스프링(932)의 상단은 상기 상단절곡편(922)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슬라이더(930)에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와이어(W)의 단부는 상기 와이어통공(924)을 관통한 다음 상기 탄발스프링(932)의 내부를 거쳐 상기 슬라이더(930)에 결속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W)는 두 개의 스프링에 의해 탄성완충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예컨대, 선 탑승자가 대피판(400)에 탑승하게 되면 하중이 작용하면서 가이드관(430)이 레일(100)을 따라 하강하게 된다.
이때, 슬라이더(930)는 탄발스프링(932)을 압축하면서 상단절곡편(922) 쪽으로 최대한 이동하게 되고, 이후 당겨지는 와이어(W)에 의해 코일스프링(SP)이 늘어나면서 탄성완충된 상태로 대피판(400)을 하강 이동시키므로 선 탑승자는 아래층 발코니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하여, 선 탑승자가 대피판(400)으로부터 내려오게 되면 대피판(400)에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들이 원래 위치로 복귀되면서 대피판(400)을 상승시켜 대피판(400)의 원래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즉, 대피판(400)이 상승하게 된다.
때문에, 후 탑승자(400)는 자연스럽게 대피판(400)을 타고 다시 하강하여 아래층으로 대피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여러명의 대피자가 자연스럽게 번갈아가면서 대피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데, 이것은 대피판(400)이 상승하는 구조를 갖췄기 때문에 가능하다.
물론, 이에 더하여 탑승자가 탑승할 때 대피판(400)이 하강하지 않고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와이어(W)를 붙잡아 주는 수단을 더 구비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에 더하여 화재 발생시 발코니(700)의 벽면으로부터 소화액을 분사하는 도 10과 같은 발포유닛(UN)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포유닛(UN)의 설치는 발코니(700)의 벽면에 매립하는 형태로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발포유닛(UN)은 유닛케이스(1410)를 포함하며, 상기 유닛케이스(1410)의 상단과 하단에는 나사고정을 위한 고정플랜지(1412)가 구비되고, 상기 유닛케이스(1410)의 전면에는 일부가 개구된 상태로 방출구(1414)가 형성되며, 상기 유닛케이스(1410)의 내부는 빈 공간으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유닛케이스(1410)의 빈 공간에 발포하우징(1430)을 내장시킬 수 있도록 상기 유닛케이스(1410)는 종방향으로 분할된 상태에서 다수의 스크류(SS)를 통해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유닛케이스(1410)를 분리한 상태에서 내부 공간에 발포하우징(1430)을 장입한 다음 유닛케이스(1410)를 조립하여 스크류(SS)로 고정하게 되면 상기 발포하우징(1430)은 유닛케이스(1410)에 갇힌 상태로 방출구(1414)를 통해서만 일부가 노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방출구(1414)는 그물(1420)로 커버되는데, 상기 그물(1420)은 섬유로 조직된 격자형 망이고, 상기 그물(1420)의 둘레에는 그물테두리(1422)가 구비되며, 상기 그물테두리(1422)는 접착제를 통해 상기 방출구(1414) 주변의 유닛케이스(1410) 상에 접착고정된다.
때문에, 상기 그물(1420)은 쉽게 찢어질 수 있고, 또한 그물테두리(1422)가 쉽게 떨어질 수 있어 발포유닛(UN)에 내장된 내화발포재가 쉽게 폭발하여 터져 나올 수 있도록 하되, 그물(1420)이 찢어지면서 그 파편이 주변 사람들에게 상해를 입히지 않도록 구성된다.
즉, 단순 섬유망 그물(1420)이므로 폭발에 의해 찢어져도 주변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발포하우징(1430)의 전면에는 개구부(1432)가 형성되고, 후면에는 백커버(1434)가 고정되며, 내부에는 찢어지기 쉬운 비닐 형태의 원통형 부재(1436)에 내화발포재가 충전된 상태로 내장된다.
이때, 상기 내화발포재는 공지된 물질로서 아파트 등의 입상배관에 설치되어 화재시 고온에 의하여 자기 몸집의 약 300-400배로 볼륨이 커지는 발포재이다. 따라서, 화재시 발생되는 고온에 의해 급격히 팽창하면서 폭발하게 된다.
이 경우, 폭발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충격폭발재(1440)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충격폭발재(1440)는 상기 백커버(1434)와 상기 원통형 부재(1436) 사이에 배치되는 시트형 부재로서, 염소산칼륨이 부착된 제1시트(1442)와 적인(적린)이 부착된 제2시트(1444)가 서로 간격을 두고 마주본 상태로 이격 배치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염소산칼륨은 수용성이기 때문에 물에 녹여 제1시트(1442) 상에 스프레이되는 형태로 일정두께로 도포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적인은 불용성이므로 제2시트(1444)가 고화되기 전에 고체상의 분말을 뿌려 고착시키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제1,2시트(1442,1444)는 모두 폴리우레탄수지를 시트상으로 만든 것을 사용한다.
그리고, 제1,2시트(1442,1444) 사이에는 페이퍼(Paper), 즉 종이가 다수겹 쌓여 0.5cm의 두께를 갖도록 한 상태에서 개재된다.
따라서, 화재 등에 의해 열을 받게 되면 종이가 타게 되는데 종이가 타서 없어지면 제1,2시트(1442,1444)가 열에 의해 부풀어 오르면서 서로 접촉되고, 그 순간 염소산칼륨과 적인 극렬하게 반응하면서 폭발하며, 그 폭발력에 의해 원통형 부재(1436)가 터지면서 내장된 내화발포재가 비산되어 소화작용을 즉시에 진행하게 된다.
물론, 충격폭발재(1440)가 폭발하지 않더라도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시 가해지는 고열에 의해 내화발포재가 급격히 팽창하면서 자동 폭발하게 되므로 소화작용에는 문제가 없지만, 내화발포재가 폭발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보조적으로 설치된 충격폭발재(1440)가 폭발해 줌으로써 내화발포재의 폭발을 유도하게 된다.
100: 레일 200: 배수장치
300: 잠금장치 400: 대피판
500: 화재감지센서 600: 제어부
700: 발코니

Claims (1)

  1. 건축물의 상하층이 연결되도록 발코니(700) 바닥에 형성된 관통구멍(710)에 수직으로 설치된 레일(100); 상기 관통구멍(710)을 밀폐하면서 잠금장치(300)를 통해 걸려 있는 대피판(400); 상기 레일(100)에 끼워지고 상기 대피판(400) 상부에 설치된 가이드관(430); 상기 레일(100)을 벽체에 고정하는 지지대(730);를 포함하는 화재발생시 대피기능을 갖춘 소방용 공동주택 발코니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730)의 하단면 일부에는 스프링실린더(900)가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실린더(900)는 상단에 스프링실린더(900) 보다 큰 반경을 갖는 고정플랜지(902)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플랜지(902)는 상기 지지대(730)의 하단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다수의 볼트로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실린더(900)의 고정플랜지(902) 하측에는 직경방향으로 관통한 끼움구멍(904)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구멍(904)에는 스프링고정구(906)가 끼워진 다음 너트(908)로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실린더(900)의 내부에는 코일스프링(SP)이 장입되며, 코일스프링(SP)의 일단은 링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고정구(906)가 관통된 상태로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프링실린더(900)의 하단에는 캡(910)이 나사고정되는데, 상기 캡(910)은 중앙에 구멍이 뚫려 있어 와이어(W)가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와이어(W)의 일단은 상기 캡(910)을 관통한 다음 상기 스프링실린더(900) 내부의 코일스프링(SP) 타단에 결속되고, 상기 캡(910)의 표면 일부에는 제1쉬브(912)가 브라켓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와이어(W)는 상기 제1쉬브(912)를 경유하여 상향 배치되고, 상기 레일(100)에 끼워진 가이드관(430)의 상단 둘레 일부에는 제2쉬브(914)가 브라켓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와이어(W)는 상기 제2쉬브(914)를 경유하여 꺽인 후 하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쉬브(914)와 간격을 두고 상기 가이드관(430)의 외주면 상에는 대략 'ㄱ' 형상의 고정브라켓(920)이 고정되며, 상기 고정브라켓(920)의 상단절곡편(922)에는 와이어통공(924)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브라켓(920)의 폭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 슬라이드홈(926)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홈(926)에는 슬라이더(930)가 끼워지고, 상기 슬라이더(930)와 상기 상단절곡편(922) 사이에는 탄발스프링(932)이 개재되며, 상기 와이어(W)의 단부는 상기 와이어통공(924)을 관통한 다음 상기 탄발스프링(932)의 내부를 거쳐 상기 슬라이더(930)에 결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발생시 대피기능을 갖춘 소방용 공동주택 발코니 장치.
KR1020160062274A 2016-05-20 2016-05-20 화재발생시 대피기능을 갖춘 소방용 공동주택 발코니 장치 KR101656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274A KR101656041B1 (ko) 2016-05-20 2016-05-20 화재발생시 대피기능을 갖춘 소방용 공동주택 발코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274A KR101656041B1 (ko) 2016-05-20 2016-05-20 화재발생시 대피기능을 갖춘 소방용 공동주택 발코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6041B1 true KR101656041B1 (ko) 2016-09-09

Family

ID=56939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2274A KR101656041B1 (ko) 2016-05-20 2016-05-20 화재발생시 대피기능을 갖춘 소방용 공동주택 발코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604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387B1 (ko) 2010-02-12 2010-04-14 (주)건정 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발코니 대피구조
KR101027371B1 (ko) * 2010-09-02 2011-04-11 (주)해승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비상대피용 발코니 구조
KR101065487B1 (ko) * 2010-12-10 2011-09-20 세민텍크 주식회사 피난용 사다리
KR20120007787U (ko) * 2011-05-04 2012-11-14 (주)반초기업 슬립형 하향식 피난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387B1 (ko) 2010-02-12 2010-04-14 (주)건정 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발코니 대피구조
KR101027371B1 (ko) * 2010-09-02 2011-04-11 (주)해승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비상대피용 발코니 구조
KR101065487B1 (ko) * 2010-12-10 2011-09-20 세민텍크 주식회사 피난용 사다리
KR20120007787U (ko) * 2011-05-04 2012-11-14 (주)반초기업 슬립형 하향식 피난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2803B1 (ko) 고층 건물의 신속 탈출구
KR100952387B1 (ko) 건축물의 발코니 대피구조
US20080223656A1 (en) Self-deploying automatic inflatable fire escape (SAFE)
KR20090060033A (ko) 고층건물 피난장치
CN102649006A (zh) 建筑物火灾逃生系统及避难仓
KR100476536B1 (ko) 인명 피난 장비
CA2820247A1 (en) Public building and school evacuation system
US20080245612A1 (en) Moldular, External Emergency Structure Particularly Suitable for use as a Fire Escape
KR101976476B1 (ko) 화재 재난용 긴급탈출 승강장치
KR102202565B1 (ko) 내진구조를 갖는 소방용 대피장치
KR101545524B1 (ko) 피난 장치
KR101656041B1 (ko) 화재발생시 대피기능을 갖춘 소방용 공동주택 발코니 장치
CN211634944U (zh) 自动减速速降装置及高层火灾避烟速降逃生系统
CN110339497B (zh) 自动减速速降装置及高层火灾避烟速降逃生系统
WO2003043699A1 (fr) Dispositif de securite permettant l'evacuation d'un batiment
CN102935270A (zh) 一种高楼紧急避险逃生方法及逃生系统
KR102105877B1 (ko)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소방용 베란다 완강기
KR101093039B1 (ko) 건축물의 비상대피용 발코니 구조
US20040245047A1 (en) Device for rescuing persons from edifices such as buildings, drilling platforms, ships or the like
JP2006510404A (ja) 建築物用避難装置
RU2274481C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экстренного спуска из здания
KR20190101779A (ko) 중력가속도 저감을 통한 피난장치
RU2455040C2 (ru) Индивидуальное средство спасения
JP6496261B2 (ja) 防煙装置
JP3024457U (ja) 自由落下速度緩和式滑走パイ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