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2434B1 - 화재경고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경고시스템 - Google Patents
화재경고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경고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72434B1 KR102072434B1 KR1020180023087A KR20180023087A KR102072434B1 KR 102072434 B1 KR102072434 B1 KR 102072434B1 KR 1020180023087 A KR1020180023087 A KR 1020180023087A KR 20180023087 A KR20180023087 A KR 20180023087A KR 102072434 B1 KR102072434 B1 KR 1020724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re
- warning
- space
- module
- situ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1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panic or emergency door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경고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경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화재공간에서 경계영역에 설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되, 상기 화재공간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로부터 상기 화재공간의 화재정보를 획득하는 화재정보 획득부, 상기 화재정보 획득부에 연결되고, 획득된 상기 화재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화재공간의 화재상황을 단계별로 판단하는 화재상황 판단부 및 상기 화재상황 판단부에 연결되고, 단계별로 판단된 상기 화재상황에 대응되는 경고를 출력하는 화재경고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재경고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경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도시 개발 및 기술 발전에 따라 도심지에는 주상복합 건물과 같은 고층 건물이 증가하고 있는데, 이러한 고층 건물에는 내부 공간에 많은 사람들이 거주함과 동시에 많은 시설물이 존재하므로, 고층 건물의 화재 발생시 인명 피해 및 재산 피해가 매우 크게 확대된다.
특히, 고층 건물은 건물 특성상 화재 발생시 사람들이 대피하기가 상대적으로 어려우며, 특정 지점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다른 층 및 다른 공간에서는 이러한 화재 발생을 감지하지 못해 화재 피해를 더욱 확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고층 건물에는 건물 실내의 온도 감지 및 연기 감지 센서 등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화재 감지 시스템이 마련되어 있고, 화재가 감지된 경우, 스프링클러 등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화재 진압 시스템 등이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고층 건물의 화재에 대해 초기 진압에 실패한 경우, 화재의 확산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사람들의 대피가 용이하지 못하는 등의 이유로 화재 피해가 매우 크게 확대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특히, 고층 건물의 화재 시 초기 화재 진압 과정에서 각각의 내부 공간으로 소방관이 진입하고자 할 때, 소방관이 각각의 내부 공간의 상황에 대해 알 수가 없기 때문에 화재 상태에 따른 구조 계획에도 많은 어려움이 발생한다.
특히 화재 등의 긴급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실내에 갇힌 어린이, 장애인, 노약자들은 당황하거나 판단력이 상실되어 위험에 빠질 수 있다.
따라서 화재 시 사용자의 화재 공간의 화재 상황을 스스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화재발생시 각각의 실내 공간 및 실외 공간의 화재 상황을 실외 및 실내 각각에 표시하여 소방요원의 구조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의 화염 확대 및 연기와 유독가스 오염 등으로 인한 피난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화재 경고 장치들이 다양하게 마련될 필요가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화재공간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로부터 화재정보를 획득하여 화재공간 내부영역 및 화재공간 외부영역의 화재상황을 실외 및 실내에 각각 표시함으로써, 사용자 스스로가 화재상황을 인지할 수 있으며, 소방요원이 내부 화재 상황을 인지함으로써 구조에 활용할 수 있는 화재 경고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경고모듈은, 화재공간에서 경계영역에 설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되, 상기 화재공간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로부터 상기 화재공간의 화재정보를 획득하는 화재정보 획득부, 상기 화재정보 획득부에 연결되고, 획득된 상기 화재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화재공간의 화재상황을 단계별로 판단하는 화재상황 판단부 및 상기 화재상황 판단부에 연결되고, 단계별로 판단된 상기 화재상황에 대응되는 경고를 출력하는 화재경고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재경고 출력부는, 상기 경계영역을 중심으로 상기 케이스의 실내방향 일측에 구비되어, 실외의 화재상황에 대응되는 경고를 실내로 출력하는 제1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재경고 출력부는, 상기 경계영역을 중심으로 상기 케이스의 실외방향 타측에 구비되어, 실내의 화재상황에 대응되는 경고를 실외로 출력하는 제2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재경고모듈은, 상기 경계영역에 설치되는 도어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화재경고모듈은 상기 경계영역에 설치되는 도어프레임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경고시스템은, 화재공간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화재센서모듈, 기 화재센서모듈에서 감지된 정보를 기반으로 화재상황이 발생하면 상기 화재상황에 대응되는 경고를 출력하는 화재경고모듈, 상기 화재경고모듈로부터 경고가 출력되면 상기 화재공간에서 경계영역에 설치된 도어의 잠금 해제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 결과에 따라 상기 도어의 잠금 해제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화재공간의 경계영역에 화재경고모듈을 설치함으로써 화재상황을 단계별로 판단하고, 이에 대응되도록 경고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대피 가능한지의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대피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 받음으로써 안전한 대피 경로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조자는 외부에서 화재 상황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소방관의 실내 진입 시 구조 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재 발생 시 자동 도어 해제를 통해 빠른 탈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a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재경고모듈의 제1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재경고모듈의 제2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재경고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재경고모듈이 도어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재경고모듈이 도어프레임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재경고모듈을 포함하는 화재경고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재경고모듈의 제2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재경고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재경고모듈이 도어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재경고모듈이 도어프레임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재경고모듈을 포함하는 화재경고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재경고모듈의 제1 사시도이며,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재경고모듈의 제2 사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재경고모듈(100)은 케이스(110), 화재정보 획득부(210), 화재상황 판단부(220) 및 화재경고 출력부(230)를 포함한다.
화재경고 출력부(230)는 제1 출력부(230a) 및 제2 출력부(230b)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출력부(230a)는 케이스(110)의 실내방향 일측에 구비되어 실외의 화재상황에 대응되는 경고를 실내로 출력한다.
한편, 상기 제2 출력부(230b)는 케이스(110)의 실외방향 타측에 구비되어 실내의 화재상황에 대응되는 경고를 실외로 출력한다.
본 발명에서의 화재경고모듈(100)은 화재공간의 경계영역에 설치되어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화재공간의 화재정보를 획득하고, 화재상황을 판단하여 경고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화재공간의 경계영역의 구체적인 예시로는, 출입문 도어 및 창문 등을 의미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공간을 구분하는 경계영역 어디에든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화재경고모듈(100)은 제1 출력부(230a)가 구비된 부분이 실내를 향해 설치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실내는, 입구방향공간을 의미하며, 실외는, 출구방향공간을 의미한다.
화재경고모듈(100)의 구체적인 기능에 대해서는 도 2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재경고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재경고모듈(100)은 화재정보 획득부(210), 화재상황 판단부(220) 및 화재경고 출력부(230)를 포함한다.
화재정보 획득부(210)는 화재공간에서 경계영역에 설치되는 케이스(110)에 구비되되, 상기 화재공간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로부터 상기 화재공간의 화재정보를 획득한다.
이때 상기 복수의 센서는 화재 상황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에 관한 것으로 영상 센서, 가스 센서, 불꽃 감지 센서, 연기 감지 센서 및 동체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영상 정보, 가스의 종류 정보, 불꽃의 발생 유무 정보, 연기의 발생 유무 정보 및 사용자 유무 정보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의 종류 및 상기 감지정보의 종류들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화재경고모듈(100)은 무선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무선통신부는 무선 랜(WLAN),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브로(WiBro), 무선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RFID, IrDA 기반의 적외선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재경고모듈(100)은 무선통신부를 구비함으로써 화재공간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로부터 화재공간의 화재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화재정보 획득부(210)는 화재공간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로부터 화재공간의 화재정보를 획득한다.
이때, 화재정보 획득부(210)는 상기 경계영역을 기준으로 실외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로부터 실외 화재정보를 획득하고, 실내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로부터 실내 화재정보를 각각 구분하여 획득할 수 있다.
화재상황 판단부(220)는 상기 화재정보를 기반으로 화재공간의 화재상황을 단계별로 판단한다.
즉, 화재상황 판단부(220)는 상기 화재정보 획득부(210)에서 획득된 정보를 종류별로 각각 수치화한다. 이후, 상기 수치화된 정보를 합산하여 기 설정된 임계값에 의해 복수의 단계로 구분한다.
이때 상기 임계값은 화재 상황에서 사람의 대피가 가능한 환경인가의 여부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실시 예로는, 제1 단계는 진입 가능 단계, 제2 단계는 진입 위험 단계, 제3 단계는 진입 불가 단계로 구분하여 화재공간의 화재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화재경고 출력부(230)는 제1 출력부(230a) 및 제2 출력부(230b)를 포함한다.
이때, 화재경고 출력부(230)는 상기 화재상황 판단부(220)로부터 단계별로 화재상황에 대응되는 경고를 출력하며, 복수의 LED 모듈 또는 스피커를 구비함으로써, 시각적 경고 및 청각적 경고를 실내 및 실외에 출력한다.
한편, 상기 화재경고 출력부(230)는 시각적 경고인 색깔 및 청각적 경고인 소리를 각각 출력하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제 1 출력부(230a)는, 경계영역을 중심으로 상기 케이스(110)의 실내방향 일측에 구비되어, 실외의 화재상황에 대응되는 경고를 실내로 출력한다.
제2 출력부(230b)는, 경계영역을 중심으로 상기 케이스(110)의 실외방향 타측에 구비되어, 실내의 화재상황에 대응되는 경고를 실외로 출력한다.
이때 제1 출력부(230a) 및 제2 출력부(230b)는 제1 단계는 녹색, 제2 단계는 주황색, 제3 단계는 빨간색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색상은 이에 대한 예시이며 다양하게 변경하여 출력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시각적 경고 청각적 경고 또한 단계에 대응되도록 다양하게 변경하여 출력이 가능하다.
이때 본 발명에서의 화재경고모듈(100)의 케이스(110)는 화재공간의 경계영역에 설치되며, 이때 상기 경계영역은 공간을 구분하는 경계영역을 의미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출입하는 공간의 경계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상기 케이스(110)의 실내방향은, 공간에서의 입구방향을 의미하며, 상기 케이스(110)의 실외방향은, 공간에서의 출구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화재경고모듈(100)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는 실내에서 제1 출력부(230a)를 통해 실외의 화재상황을 인지할 수 있으며, 구조자는 제2 출력부(230b)를 통해 실외에서 실내의 화재상황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만약 화재상황에서 사용자가 대피하고자 하는 경우, 복수 개의 공간에 설치된 화재경고모듈(100)에서 출력되는 화재 상황 단계에 대응되는 출력에 따라 대피 가능 여부를 인지하여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재경고모듈(100)이 복수 개의 창문에 구비되는 경우 구조자는 건물 외부에서 각 유리창이 구비된 공간마다 화재 상황의 정도를 파악하고 화재 상태, 발생 위치를 인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최적의 진입경로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재경고모듈(100)은 무선통신부를 통해 구조자의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로, 화재경고모듈(100)은 구조자의 단말기로부터 구조중임을 알려주는 정보, 구조 과정에 대한 정보, 또는 대피 방법 등과 같은 음성 또는 텍스트 메시지와 같은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화재경고 출력부(23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구조중임을 알려주는 정보, 구조 과정에 대한 정보, 또는 대피 방법과 같은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함으로써 더욱 안전하게 구조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재경고모듈이 도어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재경고모듈(300)은 다양한 도어프레임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는 도어프레임(310)의 하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였으나, 도어프레임(310)의 하단 뿐만 아니라 상단, 둘레 등 다양한 위치에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재경고모듈(300)은 다양한 도어프레임(3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므로 간편하게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재경고모듈(400)이 도어프레임(410)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는 화재경고모듈(400)이 도어프레임(410)의 하단에 도어프레임(410)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었으나, 이 또한 하단 뿐만 아니라 상단 및 둘레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재경고모듈을 포함하는 화재경고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경고시스템(500)은 화재센서모듈(510), 화재경고모듈(100), 제어모듈(520) 및 출력모듈(530)을 포함한다.
화재센서모듈(510)은 화재공간의 복수의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센서는 화재 상황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에 관한 것으로 영상 센서, 가스 센서, 불꽃 감지 센서, 연기 감지 센서 및 동체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영상 정보, 가스의 종류 정보, 불꽃의 발생 유무 정보, 연기의 발생 유무 정보 및 사용자 유무 정보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의 종류 및 상기 감지정보의 종류들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화재경고모듈(100)은 무선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무선통신부는 무선 랜(WLAN),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브로(WiBro), 무선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RFID, IrDA 기반의 적외선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재경고모듈(100)은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화재공간의 화재정보를 획득하여 화재상황을 단계별로 판단하고, 단계별로 판단된 화재상황에 대응되는 경고를 출력한다.
제어모듈(520)은 화재경고모듈(100)로부터 경고가 출력되면 상기 화재공간에서 경계영역에 설치된 도어의 잠금 해제 여부를 제어한다.
이때 제어모듈(520)은 도어의 잠금 해제 여부를 실내 화재 상황 및 실외 화재 상황을 구분하여 해제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모듈(520)은 상기 화재경고모듈(100)이 판단한 단계에 따라 도어의 해제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실시예로는, 제1 단계 및 제2 단계에서는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제 3단계에서는 도어의 잠금을 유지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는, 화재 상황 모두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출력모듈(530)은 상기 제어 결과에 따라 도어의 잠금 해제 신호를 출력한다.
출력모듈(530)이 잠금 해제 신호를 출력하게 되면 도어의 잠금이 해제됨으로써 도어가 개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재경고시스템(500)을 구비함에 따라 화재상황 발생시 자동 도어 해제를 통해 빠른 탈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300, 400 : 화재경고모듈
110 : 케이스
210 : 화재정보 획득부
220 : 화재상황 판단부
230 : 화재경고 출력부
230a : 제1 출력부
230b : 제2 출력부
310, 410 : 도어프레임
500 : 화재경고시스템
510 : 화재센서모듈
520 : 제어모듈
530 : 출력모듈
110 : 케이스
210 : 화재정보 획득부
220 : 화재상황 판단부
230 : 화재경고 출력부
230a : 제1 출력부
230b : 제2 출력부
310, 410 : 도어프레임
500 : 화재경고시스템
510 : 화재센서모듈
520 : 제어모듈
530 : 출력모듈
Claims (6)
- 화재공간에서 경계영역에 설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되, 상기 화재공간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로부터 상기 화재공간의 화재정보를 획득하는 화재정보 획득부;
상기 화재정보 획득부에 연결되고, 획득된 상기 화재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화재공간의 화재상황을 단계별로 판단하는 화재상황 판단부; 및
상기 화재상황 판단부에 연결되고, 단계별로 판단된 상기 화재상황에 대응되는 경고를 출력하는 화재경고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재경고 출력부는,
상기 경계영역을 중심으로 상기 케이스의 실내방향 일측에 구비되어, 화재공간에 해당하는 실외의 화재상황에 대응되는 경고를 실내로 출력하는 제1 출력부; 및
상기 경계영역을 중심으로 상기 케이스의 실외방향 타측에 구비되어, 화재공간에 해당하는 실내의 화재상황에 대응되는 경고를 실외로 출력하는 제2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화재상황 판단부는 상기 화재정보 획득부에서 획득된 정보를 종류별로 각각 수치화하고, 상기 수치화된 정보를 합산하여 기 설정된 임계값에 의해 상기 화재공간의 화재상황을 진입 가능 단계(제1 단계), 진입 위험 단계(제2 단계) 및 진입 불가 단계(제3 단계)로 구분하여 판단하고, 상기 제1 출력부 및 제2 출력부는 상기 단계별로 다른 색상의 시각적 경고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경고모듈.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경고모듈은, 상기 경계영역에 설치되는 도어프레임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경고모듈.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경고모듈은 상기 경계영역에 설치되는 도어프레임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경고모듈.
- 화재공간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화재센서모듈;
상기 화재센서모듈에서 감지된 정보를 기반으로 화재상황이 발생하면 상기 화재상황에 대응되는 경고를 출력하는, 제 1항, 제 4항 및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재경고모듈;
상기 화재경고모듈로부터 경고가 출력되면 상기 화재공간에서 경계영역에 설치된 도어의 잠금 해제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 결과에 따라 상기 도어의 잠금 해제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경고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3087A KR102072434B1 (ko) | 2018-02-26 | 2018-02-26 | 화재경고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경고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3087A KR102072434B1 (ko) | 2018-02-26 | 2018-02-26 | 화재경고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경고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02566A KR20190102566A (ko) | 2019-09-04 |
KR102072434B1 true KR102072434B1 (ko) | 2020-02-03 |
Family
ID=67950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23087A KR102072434B1 (ko) | 2018-02-26 | 2018-02-26 | 화재경고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경고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72434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6045580A (ja) * | 2014-08-20 | 2016-04-04 | トヨタホーム株式会社 | 異常通報システム |
JP2016045687A (ja) * | 2014-08-22 | 2016-04-04 | 株式会社シブタニ | 非常口への誘導灯 |
US20170018153A1 (en) * | 2015-07-16 | 2017-01-19 | National Chung Hsing University | Explicit real-time fire disaster alarming device and method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A2569800A1 (en) * | 2004-06-08 | 2005-12-22 | Kieran Patterson | Emergency lighting |
KR101590055B1 (ko) * | 2015-10-23 | 2016-02-02 | 엔팩토리주식회사 | 대기환경 정보를 활용한 창문 부착형 앱세서리 장치 |
KR101771689B1 (ko) | 2016-04-22 | 2017-09-05 | (주)티엘씨테크놀로지 | 스마트 내열복 및 이의 작동방법 |
-
2018
- 2018-02-26 KR KR1020180023087A patent/KR10207243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6045580A (ja) * | 2014-08-20 | 2016-04-04 | トヨタホーム株式会社 | 異常通報システム |
JP2016045687A (ja) * | 2014-08-22 | 2016-04-04 | 株式会社シブタニ | 非常口への誘導灯 |
US20170018153A1 (en) * | 2015-07-16 | 2017-01-19 | National Chung Hsing University | Explicit real-time fire disaster alarming device and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02566A (ko) | 2019-09-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96740B1 (ko) | 화재경보장치 및 화재경보시스템 | |
US6873256B2 (en) | Intelligent building alarm | |
KR101920894B1 (ko) | 화재 수신기에 의한 제연설비 통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
CN105378808B (zh) | 疏散引导通知装置及系统 | |
CN106355827B (zh) | 具有外显式即时救灾警示系统的装置及其使用方法 | |
US20050128070A1 (en) | Building emergency path finding systems and method | |
KR101681032B1 (ko) | 피난용 사다리를 이용한 피난 관리 시스템 | |
JP6372851B2 (ja) | 避難支援設備 | |
CN109812172B (zh) | 防火门控制装置与系统 | |
JP2002509850A (ja) | 火災時に緊急脱出退避手段として作動可能なエレベータ・システムを有する多層階ビルディング | |
KR101436471B1 (ko) | 질식사고를 방지하는 이산화탄소 안전 소화설비 및 이산화탄소 안전 소화방법 | |
KR101100795B1 (ko) | 고층 건물 비상탈출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100925515B1 (ko) | 안전장치를 갖춘 비상피난기구가 설치되는 세대홈시스템 및그 제어방법 | |
CN102530668B (zh) | 电梯系统 | |
KR20170073392A (ko) | 방화문 자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
KR102072434B1 (ko) | 화재경고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경고시스템 | |
KR102105877B1 (ko) |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소방용 베란다 완강기 | |
KR101311016B1 (ko) | 유무선통신 제어 비상피난시스템 | |
Kai et al. | Simulation of hotel fire and safe evacuation based on FDS and Pathfinder | |
KR101588838B1 (ko) | 개별 세대마다 설치된 피난구실의 개폐를 관리하는 피난구실 관리 장치, 피난구실 관리 시스템 및 피난구실 관리 방법 | |
CN109785567B (zh) | 防火门集中提示装置与防火门系统 | |
CN104847240B (zh) | 一种带拉簧和电子开关的物联网防盗护栏连接件 | |
JPH07104989B2 (ja) | 火災時の避難誘導方法 | |
KR101034068B1 (ko) | 대중교통시설의 화재 진압 장치 | |
JP6463923B2 (ja) | 避難設備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