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0935A - 화재대피난간 - Google Patents

화재대피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0935A
KR20110070935A KR1020090127569A KR20090127569A KR20110070935A KR 20110070935 A KR20110070935 A KR 20110070935A KR 1020090127569 A KR1020090127569 A KR 1020090127569A KR 20090127569 A KR20090127569 A KR 20090127569A KR 20110070935 A KR20110070935 A KR 201100709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rail
fire
railing
loop
security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7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근
Original Assignee
박태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근 filed Critical 박태근
Priority to KR1020090127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0935A/ko
Publication of KR20110070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09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65Collapsible or portable balustrad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2011/1868Miscellaneous features of handr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011/1876Movable elements, e.g. against sunl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2011/1868Miscellaneous features of handr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011/1882Miscellaneous features of handr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traction cable inside post or rai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고층빌딩 및 아파트의 화재시 각층의 대피소가 없고, 노약자나 어린이가 손쉽게 작동 안전한 피난처를 제공하여 소방사다리의 운용에 관한 시간을 벌어주며,인명을 보호하는 시설물이다.
기술의 진보로 고층설계가 일반화되어있으나 화재시의 안전한 대피소가 없는 실정인 점을 감안해 저비용으로 인명을 보호하고 각 가구의 대피소를 확보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현재의 화재시 난간에 매달려 화재 열에 의해 추락하여 사망하는 사람이 많은 관계로 이 시설물의 설치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개발한 개발품임.
Figure 112009078687021-PAT00001
화재대피난간, 아파트난간, 고층안전난간, 스틸대피난간, 보호난간

Description

화재대피난간 {a fire balustrade}
고층건물의 화재시 대피와 피신을 목적으로 만든 발명품이며 기존의 난간에 발명품의 기술을 더하여 대피공간의 기능과 인명을 구하기 위해 만든 발명품임.
일반적으로 현재 적용되는 난간은 사람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이나, 발명품은 그 기능과 더불어 대피공간으로의 기능을 더 추가하여 기존의 난간 높이보다 높이고 기능과 안전을 강화함으로서 인명을 보호하고 구조의 시간을 늘리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화재시 사람들이 실내를 빠져나가지 못했을시 창문에 기대어 구조를 기다리는것에 착안 안전핀을 뽑은후 원터치 방식으로 난간이 전개되어 사람이 구조를 기다리는 시간을 확보하고 화염과 반사열에 의해 인명이 피해보는 것을 막고자 함.
본 발명은 화재시 인명을 대피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화재시 직접적인 열에의한 추락사를 방지하고, 구조의 시간을 만들기위한 장치이다.
기존의 난간은 형식상 사람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서만 시공 되었다.
어린이와 노약자가 쉽게 기능을 숙지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추락을 방지하고 대피 및 피신을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함으로서 화재시 인명을 보호하고 구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
고층건물의 화재시 사람이 피신할 곳이 없다는 것이 현재 문제점이다.
피난로프는 어린이나 노약자가 이용하기에는 구조가 복잡하고 추락사에 의한 위험에 노출되게된다.
또한 각 층의 특별한 대피소도 분리해서 만들어지지 않는 현실에서 각 가구의 대피소가 절실히 필요한 이유에서 발명품은 그 해결책이 될 수 있는 것이다.
화재시 사람의 피신을 유도하여 안전하게 인명을 구하는데 도움을 준다는 발명으로
대피난간의 효과는 크다고 할 수 있다.
화재가 발생하면 도6의 3(안전핀)을 어느 방향의 창문을 열어도 가운데 위치시켜 손가락을 걸고 밖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한다. 3(안전핀)이 제거되고 2(안전바)를 아래로 누르면 난간은 도4의 6(난간고리)에 의해 풀리면서 회전하여 자동으로 앞으로 밀린다.
2(안전바)는 그 자리에서 아래로 회전하고 1(난간)만 앞으로 이동하여 아래로 회전하여 90도의 각을 이루는 지점까지 펼쳐진다.
앞으로밀린 1(난간)은 7(P.C강선고리)에걸린 8(강선)이 1(난간)을 견고하게 잡아주며 사람은 도2의 2(안전바)를 잡고 난간 끝으로 이동할 수 있다.
난간으로 이동 후 최대한 몸을 숙이거나 누워 12(아크릴판)을 수직으로 세우면 화재의 직접적인 열과 연기를 막을 수 있다.
화재시 열과 연기는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 아래의 찬바람과 함께 수직으로 상승한다.
사람은 창문하단부 끝의 수평선상아래 생존하여 있으므로 화마를 피할 수 있다.
12(아크릴판)은 방열,방염처리되어 화재시에 직접적인 열을 받더라고 휘어지거나 불이 붙지 않도록 제작되므로 열과의 접촉에서 사람을 보호할 수 있다.
1(난간)이 13(하부난간뭉치)에 접하는 곳은 이중구조로서 하중과 인장에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어지고 강선은 한쪽이 1ton이상을 견디는 인장력이 설계되어 500kg이상(여러명)의 사람이 대피하더라고 안전할 수 있도록 시공 되어진다.
도2은 발명품의 전체구조물이며 발명품의 뼈대를 이룬다. 1(난간)을 잡아주고 고정시켜준다.
13(하부난간뭉치)은 1(난간)이 고정되어 회전하는 회전축이며 1(난간)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6(난간고리)는 고무코팅된 제품이며 평상시에는 1(난간)을 잡아주는 역할을하고 화재시에는 3(안전핀)이 제거되어 2(안전바)가 회전력을주면 4(안전바연결빔)에 전달되어 6(난간고리)에 직접적인 회전력이 전달된다.
전달된 회전력은 1(난간)을 6(난간고리)가 놓아주고 뒤에서 밀어주어 난간을 펼쳐지게 한다.
고무코팅은 1(난간)이 바람에 흔들리는 소음과 진동을 잡아준다.
15(아크릴판핀)은 90도로만 회전하며 12(아크릴판)을 세워주고 16(실리콘고무)는 바람에 흔들릴 수 있는 12(아크릴판)의 소음과 흔들림을 잡아준다.
도1은 안전핀을 제거한후 사람이 대피할 수 있도록 전개 되어진 모양이다.
도2은 난간을 설치하기 전의 개발품 설치물 이다.
도3은 난간상부를 잡아주는 상부난간 뭉치이다.
도4은 난간하부를 잡아주는 하부난간 뭉치이다.
도5은 난간이 전개 되어진 측면도이다.
도6은 난간 안전핀의 상세이다.
도7은 상부난간부와 강선과의 연결상세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난간 2.안전바 3.안전핀 4.안전바연결빔 5.상부난간고리뭉치 6.난간고리 7.P.C강선고리 8.P.C강선 9.P.C강선완충기 10.P.C강선완충기고리 11.P.C강선난간연결고리 12.아크릴판(방열,방염) 13.하부난간고리뭉치 14.앙카볼트 15.아크릴판핀 16.실리콘고무

Claims (2)

  1. 아파트 및 고층건물의 창문과 베란다에 설치한다.
    3(안전핀)을 제거하고 2(안전바)의 회전운동으로 4(안전바연결빔)에 힘이 전달되고 6(난간고리)가 회전하여 난간이 앞으로 넘어지면서 펼쳐진다.
    6(난간고리)은 고무코팅으로 난간의 흔들림의 소리를 잡아주고 견고한 강철로 난간을 고정시킨다.
    13(난간하부뭉치)은 회전력을 원할히 전달하고 1(난간)을 견고하게 고정시킴.
  2. 제1항에 있어서 회전된 1(난간)은 8(강선)에의해 지팅되어지며, 견고하게 힘을 분배하기 위하여 큰 인장력을 적용한다.
    12(아크릴판)는 방염,방열처리되어 사람에게 전달되는 복사열을 막아준다.
    3(안전핀)의 제거후 원터치 방식으로 펼쳐져 작동을 원할하게 해준다.
KR1020090127569A 2009-12-19 2009-12-19 화재대피난간 KR201100709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569A KR20110070935A (ko) 2009-12-19 2009-12-19 화재대피난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569A KR20110070935A (ko) 2009-12-19 2009-12-19 화재대피난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0935A true KR20110070935A (ko) 2011-06-27

Family

ID=44402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7569A KR20110070935A (ko) 2009-12-19 2009-12-19 화재대피난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7093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77840A (zh) * 2012-05-31 2012-09-19 张朝峰 窗口s形报警护栏及其制造方法
KR20190091872A (ko) 2018-01-29 2019-08-07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난간을 활용한 대피용 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77840A (zh) * 2012-05-31 2012-09-19 张朝峰 窗口s形报警护栏及其制造方法
KR20190091872A (ko) 2018-01-29 2019-08-07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난간을 활용한 대피용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5090B1 (ko) 대피용 구조물
KR101607133B1 (ko) 공동주택용 비상대피 난간
KR101684335B1 (ko)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CN102711922A (zh) 火灾避难逃离装置
CN104667441B (zh) 楼房折叠逃生箱
KR100937336B1 (ko) 화재 도피 수단이 구비된 안전 난간대
KR101099760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20090009138U (ko) 고층건물용 비상탈출장치
KR20070060646A (ko) 비상시 건물 탈출용 사다리 구조
KR20090042692A (ko) 화재 대피 기능을 가지는 베란다 안전 회전 난간
KR20110070935A (ko) 화재대피난간
KR100613880B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 대피장치
KR101647013B1 (ko) 고층 건물의 베란다 난간 설치구조
RU2555951C2 (ru) Спасательно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KR20100137127A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20080071107A (ko) 고층 건물용 리프트형 비상 탈출장치
CN102022067A (zh) 防火防盗逃生网
RU146691U1 (ru) Междуэтажная откидная спасательная платформа
KR200461476Y1 (ko) 추락방지용 네트장치
KR200467632Y1 (ko) 안전난간 탈부착 결합구
KR100915305B1 (ko) 방열천이 장착된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080810B1 (ko) 화재 피난용 반원형 안전 난간대
KR101077571B1 (ko) 건축물 층간화재 확산 방지가 가능한 발코니 난간
KR100937385B1 (ko) 건축물의 비상대피용 발코니 난간
CN201883897U (zh) 防火防盗逃生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