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3207A -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피난장치 - Google Patents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피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3207A
KR20110083207A KR1020100003312A KR20100003312A KR20110083207A KR 20110083207 A KR20110083207 A KR 20110083207A KR 1020100003312 A KR1020100003312 A KR 1020100003312A KR 20100003312 A KR20100003312 A KR 20100003312A KR 20110083207 A KR20110083207 A KR 20110083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balcony
balustrade
guide tub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3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9646B1 (ko
Inventor
이철우
박찬무
Original Assignee
마루기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루기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마루기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3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9646B1/ko
Publication of KR20110083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3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9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9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08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 A62B1/1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mechanically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 E06C9/08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 E06C9/1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forming part of a building, such as a balcony grid, window grid, or other window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람이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인명 피난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층아파트의 발코니 난간에 설치되어 화재나 긴급 상황 발생시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피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물의 각층에 각각 형성된 발코니(100)의 일측에 형성된 난간; 상기 난간의 외측에 구비되고, 하단이 개방되어 상기 난간의 상부와 하부에 고정되는 승강기 케이스; 상기 승강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승강기; 상기 승강기를 상기 승강기 케이스 하단을 통하여 상기 승강기가 설치된 건물의 아래층 발코니의 난간 외측으로 하강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피난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피난장치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별도의 전원장치로 인해 작동이 되고 고층아파트의 발코니의 난간에 구비되어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으며 화재 및 긴급 상황 발생시 거주하는 주민들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편리함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피난장치{life shelter device which is installed at a guardrail of balcony}
본 발명은 사람이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인명 피난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층아파트의 발코니 난간에 설치되어 화재나 긴급 상황 발생시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피난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구상의 인구는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대지의 효율적인 이용가치를 위하여 사람의 주거건물을 비롯하여 모든 건물이 대형화 및 고층화로 건설되고 있다. 경제가 발전하고 삶이 풍요로워 지면서 주거공간의 내부가구와 내장재가 보다 고급스러워지고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인테리어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런 내장재는 인화성과 유독성이 강한 재질을 많이 사용하여 화재가 발생할 경우 인체에 치명적인 유독가스가 발생하게 되었다. 이처럼 화재나 비상 상황이 발생하면 외부로 대피해야 하는데 현재의 고층건물이나 고층아파트에는 별도의 비상탈출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아니하기 때문에 문제가 많고, 고가소방사다리를 사용하여도 건물의 상단에 닿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하여 고층아파트의 발코니에는 비상시에 옆집과 연결가능한 칸막이가 설치되어 비상시에 칸막이를 제거하여 옆집으로 대피할 수 있었다. 그러나 설치된 칸막이 앞에 잡다한 물건들을 쌓아놓아 실제 화재나 긴급 상황이 발행하였을 때는 전혀 사용이 안 되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에 대형피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화재를 비롯한 고층아파트로부터 안전하고 신속하게 피난할 수 있는 피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고층아파트의 난간에 별도의 비상탈출장치를 제작하여 복잡하거나 어렵지 않고 간단하면서 안전하고 화재시 전기공급이 중단되어도 대피가 가능한 피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건물의 각층에 각각 형성된 발코니(100)의 일측에 형성된 난간(110); 상기 난간(110)의 외측에 구비되고, 하단이 개방되어 상기 난간(110)의 상부와 하부에 고정되는 승강기 케이스(200); 상기 승강기 케이스(2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승강기(300); 상기 승강기(300)를 상기 승강기 케이스(200) 하단을 통하여 상기 승강기(300)가 설치된 건물의 아래층 발코니(100)의 난간(110) 외측으로 하강시키기 위한 구동장치(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피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400)는 상측단이 상기 승강기가 설치된 발코니(100)의 천정에 고정되고 하측단이 상기 승강기의 내부에 위치하는 안내관(410); 상기 안내관(410)의 내벽과 접촉하며 상기 안내관(410) 내부에 설치되는 피스톤(420); 상측단이 피스톤(420)에 고정되고 하측단이 상기 안내관(410)의 밀폐된 하측단을 관통하여 상기 승강기(300) 바닥에 고정 연결되는 이동봉(430); 상기 피스톤(420)과 상기 안내관(410) 하측단 사이에 충전된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밸브(440)가 구비되며 상기 안내관(410)의 하측부에 연결되는 배출관(450); 상기 밸브(4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레버(600);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300)의 전면에는 레일바퀴(310)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기(300)의 전면과 마주보는 벽면에 상기 레일바퀴(310)와 맞물려 하강하는 상기 승강기(300)를 안내해주는 레일(320)이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하로 상호 이웃한 건물에 각각 설치되는 상기 승강기 케이스(200)는 각각 지그재그로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400)는 상기 승강기 케이스(200)의 상면에 고정되어 회전운동 하는 구동판(500)과 구동모터(510); 상기 승강기 케이스(200)의 상면에 고정되며 구동판(500)의 일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풀리(520); 일측단이 상기 승강기(300)의 상면에 체결되어 상기 풀리(520)와 상기 구동판(500)에 감기어 지지되고 상기 구동모터(510)의 회전력으로 인해 상기 승강기(300)가 건물의 아래층 발코니(100)의 난간(110)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와이어로프(530); 상기 구동모터(5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레버(600);가 구비되어 있다.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피난장치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별도의 전원장치로 인해 작동이 되고 고층아파트의 발코니의 난간에 구비되어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으며 화재 및 긴급 상황 발생 시 거주하는 주민들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편리함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피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피난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피난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피난장치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피난장치의 승강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피난장치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예시도면으로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술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피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피난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피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피난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피난장치의 승강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피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고층의 아파트나 빌라에는 외부로 돌출된 발코니(100)가 형성된다. 발코니(100)는 각층마다 각각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발코니(100)의 일측에는 건물에 주거하는 사람의 안전을 위하여 난간(110)이 설치된다. 난간(110)은 난간손잡이(111)와 난간기둥(112)로 구성된다. 난간기둥(112)은 발코니(110)의 끝단부에 형성된 루버(101)의 상측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난간손잡이의(111)의 높이는 발코니(100)의 바닥으로부터 1.2M이상의 높이이여야 한다. 난간기둥(112)의 간격은 10CM 이하로 설치하여 사람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난간손잡이(111)에는 하단이 개방되는 승강기 케이스(200)가 설치된다. 승강기케이스(200)의 좌우측 상단에는 제 1 고정대(210)가 각각 형성된다. 제 1 고정대(210)는 림형상일 수도 있다. 제 1 고정대의 내주면에 난간손잡이(111)의 외주면이 밀착되어 끼워져 고정된다. 또는 제 1 고정대(210)가 상부와 하부로 나누어져 난간손잡이(111)를 감싸며 볼트로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승강기 케이스(200)의 좌우측 하단에는 제 2 고정대(220)가 돌출 형성된다. 제 2 고정대(220)는 수직방향으로된 판 형상이다. 제 2 고정대(220)에는 다수개의 관통홀(도면부호미부여)이 형성된다. 제 2 고정대(220)는 루버(101)에 밀착되어 관통홀(도면부호미부여)을 관통하여 일반볼트나 앵커볼트로 고정된다. 승강기 케이스(200)의 전면에는 출입이 가능한 도어(230)가 형성된다. 승강기 케이스(200)의 내부에는 승강기(300)가 설치된다. 승강기(300)는 전면이 개방되어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도 2 를 참조하여 승강기(300)의 이동을 제어하는 구동장치(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승강기 케이스(200)의 내부의 천정면에 안내관(410)이 구비된다. 안내관(410)의 상측단은 승강기 케이스(200)의 천정면에 볼트로 고정되어진다. 안내관(410)은 승강기(300)의 후면에 구비될 수 있고 승강기(300)의 폭만큼 이격되어 다수개 구비될 수 있다. 안내관(410)의 내부에는 내벽과 밀착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피스톤(420)이 형성된다. 상측단은 피스톤(420)이 하면에 고정되고, 하측단은 안내관(410)의 하측단을 관통하여 안내관(410)의 외부로 돌출되는 이동봉(430)이 형성된다. 돌출된 이동봉(430)의 하측단은 절곡되어 승강기(300)의 바닥에 고정 연결된다.
도 2 의 (a)를 참조하면 안내관(410)의 내부에는 가스가 충전되어있다. 피스톤(420)과 안내관(410)의 하측단 사이에는 가스가 충전되고 피스톤(420)은 안내관(410)의 상측에 밀착되어 있다. 이때는 승강기(300)가 승강기 케이스(20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안내관(410)의 하측에 배출관(450)이 구비된다. 배출관(450)의 일측단은 안내관(410)의 하측을 관통하여 고정되고, 타측단은 배출관(450)을 통하여 외부로 가스를 제어하는 밸브(440)에 연결된다. 배출관(450)은 자유자재로 변형이 가능하도록 고무나 후렉시블로 형성된다. 밸브(440)는 승강기(300)의 내부에 설치되기도 하고, 또는 밸브(440)에 별도의 작동레버(600)를 승강기 내부에 설치하여 밸브(440)의 작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밸브(440)는 스로틀밸브, 볼밸브등 가스의 배출이 용이한 밸브라면 그 어떠한 것을 써도 무방하다.
도 2 의 (b)를 참조하면 밸브(440)가 개방되면 안내관(410)의 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방출되면서 안내관(410) 내부의 가스가 방출되면서 피스톤(420)은 안내관(410)의 하측으로 서서히 내려온다. 동시에 이동봉(430)에 고정되어있던 승강기(300)와 이동봉(430)이 함께 승강기 케이스(200)의 하단을 지나 발코니(100)의 아래층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2 와 도 3 을 참조하면 승강기(300)의 전면에는 레일바퀴(310)가 설치된다. 레일바퀴(310)는 승강기(300)의 좌우측 하단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각각 4개 설치된다. 레일바퀴(310)는 다수개 구비될 수 있다. 승강기(300)의 전면과 마주보는 루버(101)에는 레일(320)이 루버(101)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레일(320)은 레일바퀴(310)가 이격된 폭만큼 이격되어 좌우측에 각각 구비된다. 레일(320)은 아래층 발코니(100)의 난간손잡이(111)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레일(320)의 일측단에 난간손잡이(111)와 결합가능한 수단인 레일고정부(330)가 연장 형성된다. 레일고정부(330)는 난간손잡이(111)의 외주면의 둘레를 감싸고 그 끝단부가 용접되어 고정될 수 있다. 레일(320)을 난간손잡이(111)에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그 어떠한 방법이라도 무방하다. 레일바퀴(310)는 레일(320)에 맞물려 승강기(300)를 고정한다. 레일(320)에 안착되어진 레일바퀴(310)는 승강기(300)가 하강할 때 승강기(300)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도 4 를 참조하면 건물의 각층마다 구비된 발코니(100)의 난간(110)에 승강기케이스(200)가 각각 지그재그로 엇갈리게 설치되어진다.
도 5 와 도 6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동장치(400)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로프(rope)가 감기는 릴(reel)형상으로 된 구동판(500)이 승강기(300)가 설치된 승강기 케이스(200)의 천정에 고정되어 형성된다. 구동판(500)에 연결되어 구동판(500)을 회전시켜주는 구동모터(510)가 구비된다. 구동판(500)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풀리(520)가 승강기 케이스(200)의 천정에 고정되어 형성된다. 일측단은승강기(300)의 상면에 체결되어 고정되고, 타측단은 구동판(500)에 감기어 승강기를 지지하는 와이어로프(530)가 구비된다. 승강기(300)의 상면에 체결되어진 와이어로프(530)의 타측단은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풀리(520)에 1차적으로 감긴다. 그리고 와이어로프(530)의 타측단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동판(500)에 형성된 안내홈(미도시)을 따라 2차적으로 감긴다. 구동판(500)에 감기는 와이어로프(530)의 길이는 승강기(300)가 하강하는 길이만큼 감기면 된다.
도 5 를 참조하면 승강기(300)의 내부에는 구동모터(5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레버(600)가 구비된다. 작동레버(600)는 ON/OFF로 작동된다. ON 상태일 때는 구동모터(510)가 작동하여 구동판(500)이 회전하면서 감겨있던 와이어로프(530)가 풀리게 된다. 이때 승강기(300)는 아래층 발코니(100)의 난간(110)으로 하강하게 된다. OFF 상태일 때는 구동모터(510)의 작동이 멈추게 된다. 구동모터(510)의 내부에는 별도의 충전지를 구비하여 충전지의 전력으로 구동모터(500)를 작동시킨다.
도 7 을 참조하면 구동장치(400)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구동판(500))과 구동모터(510)는 승강기(300)의 하면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구동판(500)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풀리(520)가 승강기(300)의 하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승강기 케이스(200)의 천정에 풀리(520)가 설치된다. 승강기 케이스(200)의 천정에 설치된 풀리(520)는 승강기(300)의 하면에 설치된 풀리(520)와 마주보는 위치에 있다. 승강기 케이스(200)의 천정에 와이어로프(530)을 고정하는 고정대(531)가 설치된다. 와이어로프(530)는 고정대(531)에 고정되어 1차적으로 풀리(520)에 감기고 2차적으로 구동판(500)에 감기어 승강기(300)를 고정한다. 구동모터(510)가 작동하여 구동판(500)이 회전하면 감겨있던 와이어로프(530)가 풀리게 된다. 이때 승강기(300)는 아래층 발코니(100)의 난간(110)으로 하강하게 된다. 상기 구동장치(400)의 위치는 승강기(300)를 지지하고 하강시킬 수 있는 위치라면 좌우측 어느 곳에 있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사용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아파트에 화재나 긴급 상황이 발생하여 건물내부에 위치한 사람이 외부로 대피하지 못할 때 발코니(100)로 대피하여 승강기 케이스(110)의 도어(120)를 개방하고 승강기(300)에 탑승한다. 승강기(300)의 내부에 설치된 작동레버(600)를 작동시키면 승강기(300)는 아래층 발코니(100)의 난간(110)으로 하강하게 된다. 승강기(300)가 난간(300)에 안착되면 아래층 발코니(100)로 뛰어내린다. 이처럼 화재나 긴급 상황이 발생할 때 건물내부에 있는 사람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 된다. 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0 : 발코니 101 : 루버
110 : 난간 111 : 난간손잡이
112 : 난간기둥 200 : 승강기 케이스
210 : 제 1 고정대 220 : 제 2 고정대
230 : 도어 300 : 승강기
310 : 레일바퀴 320 : 레일
400 : 구동장치 410 : 안내관
420 : 피스톤 430 : 이동봉
440 : 밸브 450 : 배출관
500 : 구동판 510 : 구동모터
520 : 풀리 530 : 와이어로프
600 : 작동레버

Claims (5)

  1. 건물의 각층에 각각 형성된 발코니(100)의 일측에 형성된 난간(110);
    상기 난간(110)의 외측에 구비되고, 하단이 개방되어 상기 난간(110)의 상부와 하부에 고정되는 승강기 케이스(200);
    상기 승강기 케이스(2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승강기(300);
    상기 승강기(300)를 상기 승강기 케이스(200) 하단을 통하여 상기 승강기(300)가 설치된 건물의 아래층 발코니(100)의 난간(110) 외측으로 하강시키기 위한 구동장치(4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피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400)는,
    상측단이 상기 승강기가 설치된 발코니(100)의 천정에 고정되고 하측단이 상기 승강기의 내부에 위치하는 안내관(410);
    상기 안내관(410)의 내벽과 접촉하며 상기 안내관(410) 내부에 설치되는 피스톤(420);
    상측단이 피스톤(420)에 고정되고 하측단이 상기 안내관(410)의 밀폐된 하측단을 관통하여 상기 승강기(300) 바닥에 고정 연결되는 이동봉(430);
    상기 피스톤(420)과 상기 안내관(410) 하측단 사이에 충전된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밸브(440)가 구비되며 상기 안내관(410)의 하측부에 연결되는 배출관(450);
    상기 밸브(4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레버(6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피난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300)의 전면에는 레일바퀴(310)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기(300)의 전면과 마주보는 벽면에 상기 레일바퀴(310)와 맞물려 하강하는 상기 승강기(300)를 안내해주는 레일(32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피난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하로 상호 이웃한 건물에 각각 설치되는 상기 승강기 케이스(200)는 각각 지그재그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피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400)는,
    상기 승강기 케이스(200)의 상면에 고정되어 회전운동 하는 구동판(500)과 구동모터(510);
    상기 승강기 케이스(200)의 상면에 고정되며 구동판(500)의 일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풀리(520);
    일측단이 상기 승강기(300)의 상면에 체결되어 상기 풀리(520)와 상기 구동모판(500)에 감기어 지지되고 상기 구동모터(510)의 회전력으로 인해 상기 승강기(300)가 건물의 아래층 발코니(100)의 난간(110)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와이어로프(530);
    상기 구동모터(5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레버(6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피난장치.
KR1020100003312A 2010-01-14 2010-01-14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피난장치 KR101159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312A KR101159646B1 (ko) 2010-01-14 2010-01-14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피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312A KR101159646B1 (ko) 2010-01-14 2010-01-14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피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207A true KR20110083207A (ko) 2011-07-20
KR101159646B1 KR101159646B1 (ko) 2012-06-26

Family

ID=44920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3312A KR101159646B1 (ko) 2010-01-14 2010-01-14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피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964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548B1 (ko) * 2011-11-02 2012-02-29 (주) 크로텍 화재 피난 대피시설
KR101235308B1 (ko) * 2012-09-26 2013-02-20 (주)건축사사무소청남씨앤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
WO2013066059A1 (ko) * 2011-11-02 2013-05-10 (주) 이엔에프테크 화재 피난 대피시설
CN108245794A (zh) * 2017-12-24 2018-07-06 丁浩然 一种高楼火灾逃生装置
KR102144458B1 (ko) * 2019-10-02 2020-08-13 주식회사 진성플러스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5354A (ko) * 2002-10-08 2005-07-20 이스케이프 레스큐 시스템즈 엘티디. 대피 시스템 및 방법
KR200357968Y1 (ko) * 2004-04-09 2004-08-02 배종식 피난용 난간
JP3107891U (ja) * 2004-09-24 2005-04-07 恣意 陳 ビル避難用設備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548B1 (ko) * 2011-11-02 2012-02-29 (주) 크로텍 화재 피난 대피시설
WO2013066059A1 (ko) * 2011-11-02 2013-05-10 (주) 이엔에프테크 화재 피난 대피시설
KR101235308B1 (ko) * 2012-09-26 2013-02-20 (주)건축사사무소청남씨앤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
CN108245794A (zh) * 2017-12-24 2018-07-06 丁浩然 一种高楼火灾逃生装置
KR102144458B1 (ko) * 2019-10-02 2020-08-13 주식회사 진성플러스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9646B1 (ko) 2012-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06351A (en) Emergency escape system for use in multistoried buildings
KR101197832B1 (ko) 승강 보조기
KR101159646B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피난장치
KR101173585B1 (ko) 층간 비상탈출장치
KR101216204B1 (ko) 다층건축물의 매입형 비상탈출장치
KR101119886B1 (ko) 건물의 층간 비상탈출장치
JP2008014112A (ja) 津波避難装置
JP2007120241A (ja) 避難用タワー
KR100977858B1 (ko) 비상탈출장치
KR20110114190A (ko) 승강기의 추락방지 장치
CN107419878A (zh) 逃生通道及楼房
JP6031704B2 (ja) 津波・洪水など非常事態時の避難用シェルター
KR101093039B1 (ko) 건축물의 비상대피용 발코니 구조
KR101771712B1 (ko)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
RU273794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кстренной эвакуации людей из высотных зданий
RU2007132502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вакуации людей при пожарах в высотных зданиях и сооружениях
KR20140133378A (ko) 고층 건물 화재 대비 비상용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형성하는 방법
KR20180070283A (ko) 건물 옥상용 비상탈출장치
KR101130971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101419026B1 (ko) 다목적 소방호스 건조 타워
KR20070087319A (ko) 비상 승강장치
KR200381379Y1 (ko)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KR20120007787U (ko) 슬립형 하향식 피난구
RU2651656C1 (ru) Устройство экстренной эвакуации людей из высотных зданий
JP2004197456A (ja) 非常用梯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