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3292A - 계단 이송 가능 휠체어 - Google Patents

계단 이송 가능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3292A
KR20160023292A KR1020140109465A KR20140109465A KR20160023292A KR 20160023292 A KR20160023292 A KR 20160023292A KR 1020140109465 A KR1020140109465 A KR 1020140109465A KR 20140109465 A KR20140109465 A KR 20140109465A KR 20160023292 A KR20160023292 A KR 20160023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heel
wheelchair
chai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9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슬민
김동하
Original Assignee
김슬민
김동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슬민, 김동하 filed Critical 김슬민
Priority to KR1020140109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3292A/ko
Publication of KR20160023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32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6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with obstacle mounting facilities, e.g. for climbing stairs, kerbs or steps
    • A61G5/061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with obstacle mounting facilities, e.g. for climbing stairs, kerbs or steps for climbing st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6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with obstacle mounting facilities, e.g. for climbing stairs, kerbs or steps
    • A61G5/066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with obstacle mounting facilities, e.g. for climbing stairs, kerbs or steps with endless bel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단을 오르내리기 편리하면서도 작동이 간편하고 많은 부피를 차지 하지 않는 계단 이송 가능 휠체어를 제공하는 과제를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단 이송 가능 휠체어는, 양측에 복수의 주행바퀴가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주행바퀴 사이에 의자가 안착되며, 상기 의자의 전면 하단에는 복수의 보조바퀴가 결합되고, 상기 의자 양측에 복수의 바퀴프레임이 형성되며, 상기 바퀴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손잡이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의자 하측에 의자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무환궤도고정프레임이 구비되는 휠체어프레임; 상기 바퀴프레임 내부에 인입되어 형성되며 필요시 상기 바퀴프레임으로부터 인출되는 연장프레임; 상기 연장프레임으로부터 하향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지지프레임이 구비되는 배면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는 무한궤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계단 이송 가능 휠체어{STAIRCASE PASSABLE WHEELCHAIR}
본 발명은 계단 이송 가능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휠체어를 간단히 조작하여 계단을 하강할 수 있는 계단 이송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체어는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 의자와 의자 양측에 형성된 휠이 구비되고, 착석자는 휠을 손으로 잡고 굴리면서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휠체어 사용자는 보호자와 동행하는 경우가 매우 많은데, 이때 보호자는 휠체어 배면에 형성된 손잡이를 잡고 휠체어 뒤에서 휠체어를 밀면서 휠체어를 이동시킨다.
한편, 병원이나 공공시설과 같이 장애인을 위한 장치가 잘 되어 있는 곳은 휠체어가 오르내리기 용이하도록 램프나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지만, 장애인관련 건축법의 적용을 받지않는 건물에는 승강수단으로 계단만이 설치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휠체어 사용자는 보호자가 부축하여 계단을 오르고, 보호자가 다시 계단을 내려가 휠체어를 갖고 올라온 후 휠체어 사용자를 태워 이동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써 대한민국 실용등록 제20- 0358373호(2004.08.06. 등록)이 게시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 기술은 등받이와 쿠션부재로 된 좌석부가 구비되고, 좌석부의 양측면에 후방 휠이 형성되며, 좌석부의 전방 양측면에는 방향의 전환을 위해 형성된 가이드 휠을 포함하는 휠체어에 있어서, 상기 좌석부의 좌우측 손잡이 프레임의 전방 외측으로 고정된 고정프레임과 일측 단부가 상기 고정프레임의 단부와 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다단계로 프레임이 접철되게 형성된 회전프레임과 상기 회전프레임의 타측 단부에 내측으로 접혀지게 체결된 지지체인을 포함하는 휠체어에 관하여 게시하고 있다.
이 종래의 기술은 회전프레임에 감겨있는 지지체인을 펼친 다음 잡아당겨 지지체인을 가이드 휠 앞쪽에 있는 걸림턱이나 계단의 사이에 놓고 계단을 오르내리게 되고, 계단이 끝나면 회전프레임을 상측으로 올린 다음 연장된 프레임을 접철시켜 그 길이를 줄이고 이후 지지체인을 내측으로 접은 다음 끝단의 연결고리를 서로 체결시켜 회전프레임을 감싸도록 한 후 측면에 형성된 걸고리를 이용하여 회전프레임에 걸어놓게 된다.
그러나, 이 종래의 기술을 계단을 오르내리기 전, 상기한 바와 같이,지지체인을 펼치기 위하여 여러단계를 거쳐야 함에 따라 이동시간이 오래 걸리고, 상기 단계들을 시행하는 보호자가 상당히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지체인은 휠체어의 양옆에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지지체인을 고정하고 있는 지지체인 가이드와 말아서 보관되는 지지체인으로 인해 휠체어의 크기가 양옆으로 커짐에 따라 좁은곳을 통과할 수 없으며, 후방휠 보다 지지체인이 양 옆으로 더 튀어 나와있어, 휠체어 옆에서 걷는 행인에게 상처를 입힐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개선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계단을 오르내리기 편리하면서도 작동이 간편하고 많은 부피를 차지 하지 않는 계단 이송 가능 휠체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는, 양측에 복수의 주행바퀴가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주행바퀴 사이에 의자가 안착되며, 상기 의자의 전면 하단에는 복수의 보조바퀴가 결합되고, 상기 의자 양측에 복수의 바퀴프레임이 형성되며, 상기 의자 하측에 의자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무환궤도고정프레임이 구비되는 휠체어프레임; 상기 바퀴프레임 내부에 인입되어 형성되며 필요시 상기 바퀴프레임으로부터 인출되는 연장프레임과, 상기 연장프레임으로부터 하향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지지프레임이 구비되는 배면프레임; 상기 일측이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무한궤도고정프레임에 결합되는 무한궤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이송 가능 프레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바퀴프레임에는 상기 연장프레임의 인출정도를 조절하는 고정수단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바퀴프레임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프레임에는 상기 홈에 삽입되는 스토퍼가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연장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된 레버와 연결되어 상기 스토퍼를 조정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무한궤도는 상기 지지프레임과 같은 방향으로 길게 결합되되, 양단부에는 상부보조휠과 하부보조휠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보조휠과 하부보조휠을 감싸며 회전하는 레일바퀴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보조휠은 지지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하부프레임은 상기 휠체어 프레임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보조휠과 하부보조휠 사이에는 지지휠이 구비되어 이송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단 이송 가능 휠체어는, 주행바퀴 외에 무한궤도가 설치되어 계단을 오르내리기 용이하며, 상기 무한궤도가 설치된 배면프레임은 휠체어 프레임으로부터 인입·인출 가능한 것으로, 평소에는 인입되어 휠체어 전체의 부피감을 줄여줌에 따라 휠체어의 주행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애 따른 계단 이송 가능 휠체어는 무한궤도가 설치된 배면 프레임의 인출 정도를 조절할 수 있어 계단의 경사도에 맞도록 무한궤도를 조정할 수 있어 계단을 오르내리는 것을 더욱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 이송 가능 휠체어의 정면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 이송 가능 휠체어의 배면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 이송 가능 휠체어의 측면도와 확대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 이송가능 휠체어의 평상시 사용 상태도.
도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 이송 가능 휠체어의 무한궤도를 사용하기 위해 배면프레임을 인출하는 사용 상태도.
도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 이송 가능 휠체어의 무한궤도를 사용하여 계단을 내려가는 사용 상태도.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 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 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 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단 이송 가능 휠체어(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복수의 주행바퀴(110)가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주행바퀴(110) 사이에 의자(120)가 안착되며, 상기 의자(120)의 전면 하단에는 복수의 보조바퀴(112)가 결합되고, 상기 의자(120) 양측에 복수의 바퀴프레임(130)이 형성되며, 상기 바퀴프레임(130)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손잡이프레임(122)이 형성되고 상기 의자(120) 하측에 의자(120)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무환궤도고정프레임(140)이 구비되는 휠체어프레임(100); 상기 바퀴프레임(130) 내부에 인입되어 형성되며 필요시 상기 바퀴프레임(130)으로부터 인출되는 연장프레임(210); 상기 연장프레임(210)으로부터 하향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지지프레임(220)이 구비되는 배면프레임(200);과, 상기 지지프레임(220)에 결합되는 무한궤도(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휠체어 프레임(100)은 일반적인 휠체어에 부속되는 모든 부속품을 의미하는 것으로, 주행바퀴(110)와, 의자(120)와, 보조바퀴(112)와, 바퀴프레임(130)과 무환궤도고정프레임(140)과 손잡이(122)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때 휠체어 프레임(100)은 휠체어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의자(120)와 상기 의자(120)에 결합되어 주행가능한 주행바퀴(110)와 보호자가 뒤에서 휠체어를 밀어 휠체어를 주행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122)가 마련된다면 어떤 휠체어 형태라도 이라도 무방하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바퀴(112)와 주행바퀴(110)를 유연하게 이어주는 호형의 바퀴프레임(130)이 형성되고, 상기 바퀴프레임(130) 사이에 의자(120)가 안착되며, 상기 보조바퀴(112) 사이에는 발받침(114)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의자(120)의 후면에는 보호자가 휠체어를 뒤에서 주행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122)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122)는 바퀴프레임(130)으로부터 연장되 형성되지만 의자(120) 후면부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보호자가 휠체어를 용이하게 밀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 이라면 어디라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단 주행 가능 휠체어(1)는 바퀴프레임(130)이 보조바퀴(112)와 주행바퀴(110)를 유연하게 이어주며 휠체어 사용자의 팔걸이를 동시에 할수 있도록 호형으로 형성되는데, 이 바퀴프레임(130)은 내부에 통공이 형성된 파이프로 형성되고, 스틸 파이프, 스텐레스 파이프, 알루미늄 파이프, 티타늄 파이프, 복합재료 및 고강도 플라스틱 등 주행 부하를 최소한으로 하도록 가볍고, 사람의 체중을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진 어떤 소재로도 형성될 수 있다.
배면프레임(200)은 휠체어 프레임에 연결되어 계단을 오르내리기 용이하도록 하는 것으로, 바퀴프레임(130) 내부로 인입되는 연장프레임(210)과, 무한궤도(300)가 장착된 지지프레임(2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연장프레임(210)은 바퀴프레임(130)으로부터 인출가능하도록 인입되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프레임(210)은 바퀴프레임(130)의 내부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바퀴프레임(130)의 곡률과 같은 곡률로 형성되어 바퀴프레임(130) 내부로 인입과 인출이이 용이하도록 하며,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지만, 디자인 통일성과 내구성을 위하여 바퀴프레임(130)과 같은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연장프레임은(210) 평소에는 바퀴프레임(130) 내부로 인입되어 휠체어의 부피감을 줄이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을 오르내릴때 지지프레임(220)에 설치된 무한궤도(30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바퀴프레임(130) 외부로 인출되게 된다.
상기 연장프레임(210)은 상기 바퀴프레임(13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일단은 항상 바퀴프레임(130) 내부에 위치하며, 타단은 지지프레임(220)과 연결되는데, 이 지지프레임(220)은 바퀴프레임(130)으로 부터 하향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장프레임(210)의 호각과 직교를 이루며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장프레임(210)을 바퀴프레임(130)으로부터 인출시킬 때 연장프레임(210)과 지지프레임(220)이 만나는 부분을 손으로 쥐어 당기면 용이하게 연장프레임(210)이 인출된다.
이때, 바퀴프레임(130)에는 연장프레임(210)의 인출정도를 조절하는 고정수단이 형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방법의 고정수단이 장치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퀴프레임(130)에는 하단에 다수개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프레임에는 상기 홈 방향으로 탄성편향되어 상기 홈에 삽입되는 스토퍼(214)가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214)는 상기 연장프레임(210)의 일측에 형성된 레버(212)와 연결되어 상기 레버(212)를 손으로 파지하게 되면 탄성 편향된 스토퍼(214)가 내측으로 이동하여 연장프레임(210)을 인출할 수 있다. 레버(212)와 스토퍼(214)의 연결관계는 공지된 기술이기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홈은 바퀴프레임(130)에 다수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레버(212)를 파지한 상태로 연장프레임(210)을 인출하고 다시 상기 레버(212)를 놓으면 스토퍼(214)가 다시 탄성편향되어 또 다른 홈에 삽입됨에 따라 연장프레임(210)의 인출을 멈춘다. 따라서 사용자는 연장프레임(210)의 인출정도를 상기 홈에 스토퍼(214)를 걸리도록 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지지프레임(220)은 일단이 상기 연장프레임(210)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타단이 무한궤도(300)와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무한궤도는 강판재의 판을 체인 모양으로 연결하고, 이것을 앞 뒤 바퀴에 벨트처럼 걸어 동력으로 회전시켜서 주행하게 되는 장치로, 보통의 바퀴에 비해 접지면적이 크고 지면과의 마찰도 크므로 요철이 심한 곳에서도 자유로이 주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한궤도(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상기 지지프레임(220)과 연결되는 상부보조휠(310)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휠체어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상부보조휠(310)과 하부보조휠(320)에 레일바퀴(340)를 벨트처럼 걸어 상부보조휠(310)과 하부보조휠(320)의 동력으로 레일바퀴(340)를 움직이는 것으로, 지지프레임(220)과 무한궤도(300)는 그 기울기가 함께 움직이도록 상부보조휠(310)은 지지프레임(220)에 고정되어 형성되고, 하부보조휠(320)은 무한궤도고정프레임(140)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무한궤도고정프레임(140)을 축으로 지지프레임(220)과 무한궤도(300)가 함께 움직인다.
이때 무한궤도고정프레임(140)은 휠체어 프레임(100)의 일부분으로, 바퀴프레임(130)으로부터 연장된 축에 결합 고정되며 의자(120) 등받이 하측에 의자(120)와 평행하도록 형성되어 연장프레임(210)이 인입 또는 인출되더라도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어 있어 무한궤도(300)가 움직일 때 중심점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무한궤도(300)는 상부보조휠(310)과 하부보조휠(320)사이에 지지휠(330)이 설치되어 상부보조휠(310)과 하부보조휠(320)에 걸리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으며, 상기 체인 벨트는 계단 이동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요철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소재는 금속, 우레탄, 고무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 이송 가능 휠체어(1)는 계단을 오르내릴수 있는 무한궤도(300)가 배면프레임(200)에 결합되어 계단을 용이하게 오르내릴 수 있으며, 상기 배면프레임(200)은 평소에는 바퀴프레임(130) 내부에 인입되어 휠체어 이동에 장애를 주지 않으면서 사용시에는 바퀴프레임(130)으로부터 인출되어 무한궤도(300)의 각도를 조정하게 되어, 무한궤도(300)의 계단 이동을 더욱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1 : 휠체어
100 : 휠체어프레임
110 : 주행바퀴
112 : 보조바퀴
114 : 발받침
120 : 의자
122 : 손잡이
130 : 바퀴프레임
140 : 무한궤도고정프레임
142 : 축
200 : 배면프레임
210 : 연장프레임
212 : 레버
214 : 스토퍼
220 : 지지프레임
300 : 무한궤도
310 : 상부보조휠
320 : 하부보조휠
330 : 지지휠
340 : 레일바퀴

Claims (5)

  1. 양측에 복수의 주행바퀴가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주행바퀴 사이에 의자가 안착되며, 상기 의자의 전면 하단에는 복수의 보조바퀴가 결합되고, 상기 의자 양측에 복수의 바퀴프레임이 형성되며, 상기 의자 하측에 의자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무환궤도고정프레임이 구비되는 휠체어프레임;
    상기 바퀴프레임 내부에 인입되어 형성되며 필요시 상기 바퀴프레임으로부터 인출되는 연장프레임과, 상기 연장프레임으로부터 하향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지지프레임이 구비되는 배면프레임; 및
    상기 일측이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무한궤도고정프레임에 결합되는 무한궤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이송 가능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프레임에는 상기 연장프레임의 인출정도를 조절하는 고정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이송 가능 프레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바퀴프레임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프레임에는 상기 홈에 삽입되는 스토퍼가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연장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된 레버와 연결되어 상기 스토퍼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이송 가능 프레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한궤도는
    양단부에는 상부보조휠과 하부보조휠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보조휠과 하부보조휠을 감싸며 회전하는 레일바퀴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보조휠은 지지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하부프레임은 상기 휠체어 프레임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이송 가능 휠체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휠과 하부보조휠 사이에는 지지휠이 구비되어 휠체어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이송 가능 휠체어.
KR1020140109465A 2014-08-22 2014-08-22 계단 이송 가능 휠체어 KR201600232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465A KR20160023292A (ko) 2014-08-22 2014-08-22 계단 이송 가능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465A KR20160023292A (ko) 2014-08-22 2014-08-22 계단 이송 가능 휠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3292A true KR20160023292A (ko) 2016-03-03

Family

ID=55535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9465A KR20160023292A (ko) 2014-08-22 2014-08-22 계단 이송 가능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329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1082A (ko) * 2018-02-22 2019-08-30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의자형 접철식 들것
CN111096860A (zh) * 2019-12-31 2020-05-05 南京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可多功能轮椅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1082A (ko) * 2018-02-22 2019-08-30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의자형 접철식 들것
CN111096860A (zh) * 2019-12-31 2020-05-05 南京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可多功能轮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3389B2 (en) Wheelchair stair assist apparatus
US8056158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body elevation
US11292695B2 (en) Stair lift device
KR101150165B1 (ko) 계단 통행이 가능한 휄체어
JP2016163622A (ja) 階段昇降用アシスト装置
US20140338119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Body Elevation
KR100911171B1 (ko) 환자와 장애인 및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
JP2007090020A (ja) 自力乗り移り車椅子
US6360833B1 (en) Chair lift for stairs
KR20160023292A (ko) 계단 이송 가능 휠체어
KR101743876B1 (ko) 침대형 휠체어용 탈부착 들것
CN211642381U (zh) 一种轮椅爬楼车
KR20120114559A (ko) 컨베이어 벨트가 구비된 침대, 휠체어 및 이를 채용한 장애인 보조 시스템
KR102186013B1 (ko) 실내외 겸용 휠체어
KR20160109192A (ko) 에스컬레이터 바 및 휠체어
JPH03188853A (ja) 車椅子
JPH09285496A (ja) 歩行支援機の機体移動機構
TWM504587U (zh) 上下樓梯輔具
CN110464609A (zh) 多功能助老装置
RU259612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ъема и спуска инвалидов в коляске по лестничным маршам
KR101158845B1 (ko)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
KR101136987B1 (ko)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
KR20120102889A (ko) 전동 휠체어
KR200295718Y1 (ko) 편리한 장애우 전용 지하철 이용기구
KR20160109188A (ko) 계단 승하강 기능을 제공하는 휠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