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9192A - 에스컬레이터 바 및 휠체어 - Google Patents

에스컬레이터 바 및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9192A
KR20160109192A KR1020150033186A KR20150033186A KR20160109192A KR 20160109192 A KR20160109192 A KR 20160109192A KR 1020150033186 A KR1020150033186 A KR 1020150033186A KR 20150033186 A KR20150033186 A KR 20150033186A KR 20160109192 A KR20160109192 A KR 20160109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calator
bar
wheelchair
fram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3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건무
Original Assignee
이건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건무 filed Critical 이건무
Priority to KR1020150033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9192A/ko
Publication of KR20160109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1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6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with obstacle mounting facilities, e.g. for climbing stairs, kerbs or steps
    • A61G5/061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with obstacle mounting facilities, e.g. for climbing stairs, kerbs or steps for climbing st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2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providing for travelling up or down a flight of stairs
    • B62B5/021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providing for travelling up or down a flight of stairs specially adapted for esca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휠체어가 개시된다. 상기 휠체어는, 좌석을 지지하며, 좌석의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 좌석 프레임 및 좌석의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좌석 프레임을 구비하는 좌석부, 좌석 등받이부, 발판부, 상기 휠체어의 우측에 위치하고, 상기 좌석 등받이가 결합될 수 있는 등받이 프레임과,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상측에 위치하는 손잡이부, 상기 좌석과 평행한 측면 프레임, 상기 측면 프레임의 일단과 결합되어 앞바퀴를 결합할 수 있는 앞바퀴 프레임, 상기 측면 프레임의 다른 일단과 결합되어 뒷바퀴를 결합할 수 있는 뒷바퀴 프레임, 상기 발판을 결합할 수 있는 발판 결합 프레임 및 접철부가 결합될 수 있는 하단 프레임을 구비하는 제 1 프레임, 상기 휠체어의 좌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프레임과 대응되는 프레임들을 구비하는 제 2 프레임, 상기 제 1 프레임의 하단 프레임 및 우측 좌석 프레임과 결합될 수 있는 제1 접철부 프레임, 상기 제 2 프레임의 하단 프레임 및 좌측 좌석 프레임과 결합될 수 있는 제 2 접철부 프레임 및 상기 제 1 및 제 2 접철부 프레임을 결합하는 힌지를 구비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좌석부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접철부,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의 상기 앞바퀴 프레임들에 조향 가능하도록 결합된 앞바퀴,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의 뒷바퀴 프레임들에 결합된 뒷바퀴 및 에스컬레이터 바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는, 상기 휠체어와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의 하면에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핸드 레일과 결합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는 집게부, 상기 휠체어의 탑승자로부터 상기 집게부에 대한 제어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스위치부, 및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탑승자의 제어 신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집게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스컬레이터 바 및 휠체어{ESCALATOR BAR AND WHEELCHAIR}
본 발명은 휠체어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휠체어에 대한 것이다.
휠체어는 걷는 것이 불편한 사람이나 다리에 장애가 있는 사람 또는 신체가 허약한 사람에게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이동 수단이다. 이러한 이동 수단으로서의 휠체어는 평활지 등의 장애가 없는 구간에서는 별다른 불편함이 없이 이동 수단으로서 사용될 수 있으나, 경사면 또는 계단이나 장애물이 있는 구간에서는 별도의 수단 없이는 자체적으로 이동이 곤란하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궤도를 이용한 다양한 전동 휠체어가 개발되어 있으나 휠체어에 사용되는 전동기구로 인한 중량 증가 및 비용 증가가 장애인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
한편, 이렇게 계단을 오르지 못하는 장애인들을 위하여 공공시설에서는 계단에 별도로 비탈길을 시공함으로써 휠체어도 올라갈 수 있도록 건축되고 있으나, 이런 편의시설은 별도의 건설비용이 너무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공공시설 외의 일반 건축물들은 대부분의 이런 장애인들을 위한 편의시설을 무시하고 건설비용을 최대한 절감하고자 그냥 계단으로만 건축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지하철 등에는 계단에 설치되는 휠체어용 리프트가 존재하나,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역무원을 호출하여야 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이 낮다. 그리고, 휠체어는 별도 고정 장치가 없이 단지 리프트에 실려, 안정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하철 등에는 계단 이동의 편의성을 위하여 에스컬레이터가 존재하나, 휠체어에 탄 장애인은 이를 하기가 어려워, 에스컬레이터로 장애인의 이동권을 보장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아직까지 휠체어를 탑승한 장애인들은 계단이라는 크나큰 장벽에 부딪혀 이동권에 대한 큰 제약을 받고 있는 사회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휠체어의 중량과 단가를 증가시키지 않고, 저렴한 가격으로 편리하게 장애인들의 이동권을 보장하기 위한 휠체어에 대한 수요가 존재할 수 있다.
한국 등록특허 10-1433746은 휠체어가 에스컬레이터를 탑승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에 관련한 내용을 개시하고 있으나, 해당 기술에서 개시하고 있는 구조물은 부피가 커 휴대하기 곤란하고, 별도의 설치가 필요한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에게 안전함을 제공하며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휠체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휠체어의 무게를 크게 증가시키지 않고도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휠체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평상시에도 휴대할 수 있는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휠체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장애인들이 저비용으로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휠체어를 이용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장애인들이 저렴한 비용으로 이동권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휠체어가 개시된다. 상기 휠체어는, 좌석을 지지하며, 좌석의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 좌석 프레임 및 좌석의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좌석 프레임을 구비하는 좌석부, 좌석 등받이부, 발판부, 상기 휠체어의 우측에 위치하고, 상기 좌석 등받이가 결합될 수 있는 등받이 프레임과,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상측에 위치하는 손잡이부, 상기 좌석과 평행한 측면 프레임, 상기 측면 프레임의 일단과 결합되어 앞바퀴를 결합할 수 있는 앞바퀴 프레임, 상기 측면 프레임의 다른 일단과 결합되어 뒷바퀴를 결합할 수 있는 뒷바퀴 프레임, 상기 발판을 결합할 수 있는 발판 결합 프레임 및 접철부가 결합될 수 있는 하단 프레임을 구비하는 제 1 프레임, 상기 휠체어의 좌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프레임과 대응되는 프레임들을 구비하는 제 2 프레임, 상기 제 1 프레임의 하단 프레임 및 우측 좌석 프레임과 결합될 수 있는 제1 접철부 프레임, 상기 제 2 프레임의 하단 프레임 및 좌측 좌석 프레임과 결합될 수 있는 제 2 접철부 프레임 및 상기 제 1 및 제 2 접철부 프레임을 결합하는 힌지를 구비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좌석부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접철부,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의 상기 앞바퀴 프레임들에 조향 가능하도록 결합된 앞바퀴,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의 뒷바퀴 프레임들에 결합된 뒷바퀴 및 에스컬레이터 바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는, 상기 휠체어와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의 하면에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핸드 레일과 결합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는 집게부, 상기 휠체어의 탑승자로부터 상기 집게부에 대한 제어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스위치부, 및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탑승자의 제어 신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집게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휠체어가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에스컬레이터 바가 개시된다.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는, 상기 휠체어와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의 하면에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핸드 레일과 결합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는 집게부, 상기 휠체어의 탑승자로부터 상기 집게부에 대한 제어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스위치부 및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탑승자의 제어 신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집게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안전함을 제공하며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휠체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휠체어의 무게를 크게 증가시키지 않고도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휠체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평상시에도 휴대할 수 있는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휠체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장애인들이 저비용으로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휠체어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장애인들이 저렴한 비용으로 이동권을 보장받을 수 있다.
도 1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휠체어의 사시도이다.
도 1b 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휠체어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휠체어의 정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에스컬레이터 바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4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에스컬레이터 바를 위에서 내려다 본 모습으로, 너비조절부에 의해 너비가 늘어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에스컬레이터 바를 위에서 내려다 본 모습으로, 너비조절부에 의해 너비가 늘어난 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에스컬레이터 바를 정면에서 본 모습으로, 집게부 동작 스위치가 푸시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에스컬레이터 바를 정면에서 본 모습으로, 집게부 동작 스위치가 푸시되어 집게가 동작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에스컬레이터 바를 정면에서 본 모습으로, 집게부 해제 스위치가 푸시되어 집게가 해제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에스컬레이터 바를 정면에서 본 모습으로, 에스컬레이터 바의 상면에 위치하는 접철부에 의해 에스컬레이터 바가 접히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에스컬레이터 바를 정면에서 본 모습으로, 에스컬레이터 바의 상면에 위치하는 접철부에 의해 에스컬레이터 바가 접힌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에스컬레이터 바를 위에서 내려다 본 모습으로, 에스컬레이터 바의 측면에 위치하는 접철부에 의해 에스컬레이터 바가 접힌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에스컬레이터 바의 배면도로, 에스컬레이터 바의 연결부가 돌출되어 휠체어와 연결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에스컬레이터 바의 배면도로, 연결부가 에스컬레이터 바 내부로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에스컬레이터 바의 측면을 투시한 도면으로, 연결부를 수납할 수 있는 롤부 및 연결부가 에스컬레이터 바 내부로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사용자" 및 "탑승자"는 종종 상호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휠체어의 사시도이다.
도 1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100)는 좌석부(1), 좌석 등받이부(2), 발판부(3), 제 1 프레임(10), 제 2 프레임(10`), 앞바퀴(4), 뒷바퀴(5), 안전벨트(6), 접철부(20), 및 에스컬레이터 바(200)를 포함할 수 있다.
좌석부(1)는 좌석면이 존재하고, 좌석의 양측에 좌석을 지지하는 좌석 프레임들을 구비한다. 좌석의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 좌석 프레임 및 좌석의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좌석 프레임은 접철부(20)와 연결되어 좌석을 지지한다. 좌석부(1)는 휠체어 전면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의 프레임을 갖지 않음으로써, 좌석부(1)는 접철부(20)의 동작에 따라 접힐 수 있다. 좌석은 접힐 수 있는 재질로서 천, 가죽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좌석의 재질은 예시로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좌석부(1)는 탑승자에게 안락함을 제공하기 위하여 스펀지 등의 탄성 소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좌석 등받이부(2)는 상기 좌석부와 소정의 각도(예컨데, 직각)가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좌석 등받이부(2)의 일측은 제1 프레임(10)의 등받이 프레임(11)과 결합되고, 다른 일측은 제 2 프레임(10`)의 등받이 프레임(11`)과 결합된다. 좌석 등받이부(2)는 상기 좌석부(1)와 같은 재질로 구성되어서, 상기 접철부(20)의 동작에 따라서 접철될 수 있다. 또한, 좌석 등받이부(2)는 상기 좌석부(1)와는 다른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좌석 등받이부(2)는 탑승자에게 안락함을 제공하기 위하여 스펀지 등의 탄성 소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발판부(3)는 발판 결합 프레임(16, 16`)에 결합될 수 있다. 발판부(3)는 휠체어(100) 운행시 탑승자의 발이 땅에 끌리지 않도록, 탑승자가 발을 올려둘 수 있다. 발판부(3)는 탑승자가 발을 땅에 디딜 필요가 있을 때(예를 들면, 휠체어(100)를 타고 내릴 때 등) 탑승자가 발을 땅에 디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측 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앞바퀴(4)는 복수(예컨대, 2개)로 구성되며, 휠체어(100)가 주행시 조향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앞바퀴(4)는 제 1 및 제 2 프레임의 앞바퀴 프레임(14, 14`)에 결합된다. 앞바퀴(4)는 일반적으로 뒷바퀴(5)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나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른 다양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뒷바퀴(5)는 복수(예컨대, 2개)로 구성되며, 휠체어(100)가 평지에서 주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뒷바퀴(5)는 제 1 및 제 2 프레임의 뒷바퀴 프레임(15, 1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뒷바퀴(5)는 일반적으로 앞바퀴(4)에 비해 큰 직경을 가지나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른 다양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뒷바퀴(5)에는 브레이크가 장착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상기 휠체어(100)는 제동될 수 있다.
안전 벨트(6)는 등받이 프레임(11, 11`) 또는 상기 등받이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안전 벨트(6)는 상기 휠체어(100)가 에스컬레이터를 승하강 할 때, 탑승자의 몸을 고정하여, 탑승자가 상기 휠체어(100)에서 낙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탑승자가 보다 안전하게 상기 휠체어(100)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 1 프레임(10)은 탑승자를 기준으로 하여 휠체어(100)의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 프레임(10)은 좌석 등받이(2)가 결합될 수 있는 등받이 프레임(11)과,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상측에 위치하는 손잡이부(12), 상기 좌석과 평행한 측면 프레임(13), 상기 측면 프레임의 일단과 결합되어 앞바퀴를 결합할 수 있는 앞바퀴 프레임(14), 상기 측면 프레임의 다른 일단과 결합되어 뒷바퀴를 결합할 수 있는 뒷바퀴 프레임(15), 상기 발판을 결합할 수 있는 발판 결합 프레임(16) 및 접철부가 결합될 수 있는 하단 프레임(17)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 1 프레임(10)은 철제, 알루미늄, 플라스틱 등의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소재는 예시일 뿐이며, 적절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제 2 프레임(10`)은 탑승자를 기준으로 하여 휠체어(100)의 좌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 2 프레임(10`)은 제 1 프레임(10)과 대응되는 프레임들을 구비할 수 있다. 제 2 프레임(10`)은 제 1 프레임(10)과 같은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팔걸이(18)는 제 1 및 제 2 프레임(10, 10`)의 측면 프레임(13, 13`)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팔걸이(18)는 등받이 프레임(11, 11`), 앞바퀴 프레임(14, 14`)과 결합할 수 있다.
탑승자는 팔걸이(18)에 자신의 팔을 위치시킴으로써, 휠체어(100)탑승시 편안함과 안락함을 영위할 수 있다. 또한, 팔걸이(18)는 상기 측면 프레임(13), 등받이 프레임(11), 앞바퀴 프레임(14)과 사각형 형상의 폐쇄부를 생성하여, 에스컬레이터 바(200)의 휠체어 결합부(211, 211`)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접철부(20)는 상기 제 1 프레임의 하단 프레임(17) 및 우측 좌석 프레임과 결합될 수 있는 제1 접철부 프레임(21), 상기 제 2 프레임의 하단 프레임 및 좌측 좌석 프레임과 결합될 수 있는 제 2 접철부 프레임(22) 및 상기 제 1 및 제 2 접철부 프레임을 결합하는 힌지(23)를 구비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좌석부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휠체어(100)는 접철부(20)에 의하여 폭이 조절될 수 있으므로, 탑승자가 에스컬레이터의 폭에 적응적으로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에스컬레이터 바(200)는 휠체어와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210), 에스컬레이터의 핸드 레일과 결합할 수 있는 집게부(220, 220`), 휠체어의 탑승자로부터 상기 집게부(220, 220`)에 대한 제어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는 스위치부(230), 상기 스위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탑승자의 제어 신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집게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40),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200)의 너비를 조절할 수 있는 너비 조절부(250, 250`), 및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를 접철할 수 있도록 하는 접철부(26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b 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휠체어의 사시도이다.
에스컬레이터 바(200)는 결합부(210), 집게부(220), 스위치부(230), 제어부(240), 너비 조절부(250) 및 접철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210)는 일단은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200)의 일측에 결합되고, 다른 일단은 연결부와 결합할 수 있는 결합구를 가지는 고정부(214), 상기 고정부(214)와 결합할 수 있는 체결구를 가지며 다른 일단은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200)의 다른 일측에 결합되는 연결부(212) 및 탑승자가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를 사용하지 않는 때,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의 보관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부 및 고정부를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 내부에 수납하기 위한 롤 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200)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취하므로써, 특수 제작된 휠체어가 아닌 일반 휠체어의 프레임의 폐쇄부 또는 바퀴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휠체어의 정면도이다.
접철부(20)는 상기 제 1 프레임의 하단 프레임(17) 및 우측 좌석 프레임(1``)과 결합될 수 있는 제1 접철부 프레임(21), 상기 제 2 프레임의 하단 프레임(17`) 및 좌측 좌석 프레임(1`)과 결합될 수 있는 제 2 접철부 프레임(22) 및 상기 제 1 및 제 2 접철부 프레임을 결합하는 힌지(23)를 구비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좌석부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휠체어(100)의 사용자가 상기 휠체어(100)의 좌측 및 우측에서 상기 휠체어(100)의 중심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상기 제 1 및 제 2 접철부 프레임(21, 22)이 상기 힌지(23)를 중심으로 피벗(pivot)운동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접철부 프레임(21, 22)와 상기 힌지(23)이 만드는 각 중 상기 힌지의 상측 및 하측 각도가 감소하여, 상기 휠체어(100)의 제 1 및 제 2 프레임(10, 10`)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휠체어(100)는 폭이 줄어들 수 있으며, 이로써 휠체어(100)의 탑승자는 폭이 좁은 에스컬레이터에서도 상기 휠체어를 타고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휠체어(100)의 사용자는 상기 휠체어(1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휠체어(100)의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에스컬레이터 바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에스컬레이터 바(200)는 결합부(210), 집게부(220, 220`), 스위치부(230), 제어부(240), 너비 조절부(250, 250`) 및 접철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210)는 상기 휠체어(100)와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200)를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결합부(210)는 일단은 상기 휠체어(200)에 결합되고, 다른 일단은 연결부(212, 212`)결합할 수 있는 결합구를 가지는 휠체어 결합부(211, 211`), 상기 휠체어 결합부(211, 211`)와 결합할 수 있는 체결구를 가지며 다른 일단은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200)에 결합되는 연결부(212, 212`) 및 탑승자가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를 사용하지 않는 때,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200)의 보관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부(212, 212`)를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200) 내부에 수납하기 위한 롤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휠체어 결합부(211, 211`)는 휠체어(100)의 제 1 및 제 2 프레임(10, 10`)상의 폐쇄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프레임(10, 10`)는 등받이 프레임(11), 측면 프레임(13), 앞바퀴 프레임(14) 및 팔걸이(18)가 사각형 형태의 폐쇄부를 생성할 수 있다. 휠체어 결합부(211, 211`)는 상기 휠체어(100)의 제 1 및 제 2 프레임(10, 10`)의 상기 폐쇄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휠체어 결합부(211, 211`)의 다른 일단은 상기 연결부(212, 212`)와 결합할 수 있는 결합구를 구비할 수 있다.
집게부(220, 220`)는 에스컬레이터 바(200)의 하면에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핸드 레일과 결합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집게부(220, 220`)는 제어부(240)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핸드 레일과 결합하여 상기 휠체어(100)의 탑승자가 휠체어를 탑승한 채로 상기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집게부(220, 220`)는 사용자가 집게부 해제 스위치(232)를 조작하는 때,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200)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집게부(220, 220`)가 사용 중이지 않을 때,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200) 내부에 상기 집게부(220, 220`)를 수납함으로써, 집게부(220, 220`)의 파손을 막고,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200)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집게부(220, 220`)는 복수의 집게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집게들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핸드 레일과 결합될 수 있도록 에스컬레이터 바 하면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집게부(220, 220`)는 좌측에 3 쌍의 집게, 우측에 3 쌍의 집게를 포함하여 총 6쌍의 집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집게의 개수는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집게부는 다양한 숫자의 집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부(230)는 상기 휠체어의 탑승자로부터 상기 집게부에 대한 제어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230)는 집게부 동작 스위치(231, 231`) 및 집게부 해제 스위치(2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230)는 푸시 버튼(push button)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집게부 동작 스위치(231, 231`)는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200)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핸드 레일에 위치하는 것으로 푸시되어, 집게부(220, 220`)의 동작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200)의 하면에 상기 집게부(220, 220`)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집게부 동작 스위치(231, 231`)는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200)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핸드 레일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핸드 레일에 의하여 푸시될 수 있도록,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200) 하면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집게부 해제 스위치(232)는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200)와 상기 핸드 레일과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한 상기 집게부의 해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탑승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20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게부 해제 스위치(232)는 접철부(260)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240)는 통상적으로 에스컬레이터 바(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집게부(220, 220`)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집게부(220, 220`)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핸드 레일과 결합하거나 또는 결합을 해제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200)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된 상기 집게부 동작 스위치들(232) 모두로부터 상기 집게부의 동작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집게부(220, 220`)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핸드 레일과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집게부(220, 2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 상면에 배치된 상기 집게부 해제 스위치(232)로부터 상기 집게부(220, 220`)의 해제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집게부(220, 220`)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핸드 레일의 결합이 해제 되도록 상기 집게부(220, 220`)를 제어할 수 있다. 탑승자는 상기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여 에스컬레이터의 끝까지 온 경우, 상기 집게부 해제 스위치(232)를 조작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200)와 상기 에스컬레이터 핸드 레일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24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씌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너비 조절부(250, 250`)는 집게부(220, 220`)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핸드 레일들 간의 너비에 적응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200)의 너비를 조절할 수 있다. 너비 조절부(250, 250`)는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200)의 양측면에 배치되어, 사용자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200)의 너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로서 에스컬레이터 바(200)는 상기 에스컬레이터 핸드 레일들 간의 너비에 적응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200)를 용이하게 보관 및 휴대할 수 있다.
접철부(260) 상기 탑승자가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200)를 사용하지 않는 평지 주행시에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를 접어서 보관하도록 에스컬레이터 바가 접히도록 할 수 있다. 접철부(260)는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의 상면 또는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를 상면에서 보았을 때 길이가 긴 양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서 사용자는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200)를 용이하게 보관 및 휴대할 수 있다.
도 4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에스컬레이터 바를 위에서 내려다 본 모습으로, 너비조절부에 의해 너비가 늘어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에스컬레이터 바를 위에서 내려다 본 모습으로, 너비조절부에 의해 너비가 늘어난 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및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에스컬레이터 바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에스컬레이터 바(200)의 너비를 조절할 수 있는 너비조절부(250, 250`)를 포함한다.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200)는 집게부 동작 스위치(231, 231`) 및 집게부(220, 220`)를 포함하는 양 측면 프레임 및 접철부(260) 및 집게부 해제 스위치(232)를 포함하는 중앙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양 측면 프레임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프레임의 내부로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200)의 너비는 L이 된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측면 프레임은 중앙 프레임에서 슬라이딩하여 에스컬레이터 바의 너비(L`, L`>L)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일 실시예와 관련된 에스컬레이터 바(200)는 에스컬레이터 핸드 레일 간의 너비에 적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200)를 사용하지 않을 때,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200)의 너비를 줄일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200)를 보관 및 휴대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에스컬레이터 바를 정면에서 본 모습으로, 집게부 동작 스위치가 푸시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에스컬레이터 바를 정면에서 본 모습으로, 집게부 동작 스위치가 푸시되어 집게가 동작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에스컬레이터 바를 정면에서 본 모습으로, 집게부 해제 스위치가 푸시되어 집게가 해제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내지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200)는 집게부(220, 220`), 집게부 동작 스위치(231, 231`), 집게부 해제 스위치(232)를 포함할 수 있다. 휠체어의 탑승자가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고자 할 때, 상기 사용자는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200)와 휠체어(100)를 결합하고,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200)의 하면이 에스컬레이터 핸드 레일에 위치하도록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200)를 상기 핸드 레일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도 5a의 화살표). 집게부 동작 스위치(231, 231`)들이 푸시되지 않은 경우에는, 집게부(220, 220`)는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200) 내부에 수납되어 집게부(220, 220`)의 파손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200)용이하게 보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200)가 상기 핸드 레일에 위치하여, 상기 집게부 동작 스위치(231, 231`)이 모두 푸시 된 경우, 제어부(240)는 집게부 동작 스위치(231, 231`)들 모두로부터 집게부의 동작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집게부(200)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핸드 레일과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집게부(220, 220`)를 제어할 수 있다(도 5b). 집게부 동작 스위치(231, 231`)들이 모두 푸시 된 경우, 에스컬레이터 바(200)에 수납된 집게부(220, 220`)가 돌출되어 핸드 레일과 결합하여, 상기 집게부(220, 220`)는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200)가 상기 핸드 레일과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휠체어(100)에 결합된 에스컬레이터 바(200)가 상기 핸드 레일과 결합하여, 상기 휠체어의 탑승자는 에스컬레이터를 휠체어에 탑승한 채로 안정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탑승자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끝 부분에 도달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이용을 마친 경우에 상기 탑승자는 집게부 해제 스위치(232)를 조작하여, 집게부(220, 220`)와 에스컬레이터 핸드 레일의 결합을 해제 할 수 있다(도5c). 탑승자가 상기 집게부 해제 스위치(232)를 조작한 경우, 상기 집게부 해제 스위치(232)는 집게부의 해제 제어 신호를 제어부(240)에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집게부의 해제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집게부(220, 220`)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핸드 레일의 결합이 해제 되도록, 상기 집게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집게부(220, 220`)는 다시 에스컬레이터 바(200)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에스컬레이터 바를 정면에서 본 모습으로, 에스컬레이터 바의 상면에 위치하는 접철부에 의해 에스컬레이터 바가 접히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에스컬레이터 바를 정면에서 본 모습으로, 에스컬레이터 바의 상면에 위치하는 접철부에 의해 에스컬레이터 바가 접힌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에스컬레이터 바를 위에서 내려다 본 모습으로, 에스컬레이터 바의 측면에 위치하는 접철부에 의해 에스컬레이터 바가 접힌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내지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에스컬레이터 바(200)는 접철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a 내지 6b는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200)의 상면에 배치된 접철부(260)에 의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200)가 접철되는 것을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접철부(260)는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200)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에스컬레이터 바(200)의 접철부(260) 양측은 접철부를 기준으로 하여 피벗(pivot)운동하여, 접힐 수 있다. 도 6a 내지 6b는 이러한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b에서 접철부(260)에 의해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200)가 접히게 되고, 이때, 집게부 해제 스위치(232)가 푸시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집게부 해제 스위치(232)가 사전 설정된 시간 이상 푸시될 경우, 수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도 6c는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를 상면에서 보았을 때, 길이가 긴 양 측면에 위치하는 접철부(260)에 의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200)가 접철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200)의 접철부(260) 양측은 접철부를 기준으로 하여 피벗 운동하여 접힐 수 있다. 이때는 접철에 의하여 스위치가 푸시되지 않는다. 이로서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200)의 사용자는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200)를 사용하지 않는 때, 접철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200)를 보다 편리하게 휴대 및 보관할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에스컬레이터 바의 배면도로, 에스컬레이터 바의 연결부가 돌출되어 휠체어와 연결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에스컬레이터 바의 배면도로, 연결부가 에스컬레이터 바 내부로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에스컬레이터 바의 측면을 투시한 도면으로, 연결부를 수납할 수 있는 롤부 및 연결부가 에스컬레이터 바 내부로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내지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에스컬레이터 바(200)는 연결부(212, 212`), 및 롤 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에스컬레이터 바의 배면도로, 에스컬레이터 바(200)의 연결부(212, 212`)가 돌출되어 휠체어와 연결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에스컬레이터 바의 배면도로, 에스컬레이터 바(200)의 연결부(212, 212`)가 롤부(213)에 의해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200)내부로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c는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200)의 측면 투시도로, 롤 부(213)에 의해 상기 연결부(212, 212`)가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200)내부로 수납된 사태를 도시한다. 롤 부(213)는 상기 연결부(212, 212`)를 권취하여 에스컬레이터 바(200) 내부에 수납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12, 212`)는 롤 부(213)에 권취되기 위하여, 유연성이 있는 소재(예컨대, 직물)로 구성될 수 있다. 롤 부(213)는 상기 연결부(212, 212`)를 권취하기 위하여 내부에 탄성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롤 부(213)에 의하여 연결부(212, 212`)가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200)내부에 권취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200)를 보다 용이하게 휴대 및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롤 부(213)에 의하여 상기 연결부(212, 21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200)를 휠체어(100)와 적절한 거리를 갖게끔 결합하여, 용이하게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게 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좌석부(1);
좌석 등받이부(2);
발판부(3);
제 1 프레임(10);
제 2 프레임(10`);
접철부(20);
앞바퀴(4);
뒷바퀴(5);
안전벨트(6);
에스컬레이터 바(200);

Claims (10)

  1.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휠체어로서,
    좌석을 지지하며, 좌석의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 좌석 프레임 및 좌석의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좌석 프레임을 구비하는 좌석부;
    좌석 등받이부;
    발판부;
    상기 휠체어의 우측에 위치하고, 상기 좌석 등받이가 결합될 수 있는 등받이 프레임과,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상측에 위치하는 손잡이부, 상기 좌석과 평행한 측면 프레임, 상기 측면 프레임의 일단과 결합되어 앞바퀴를 결합할 수 있는 앞바퀴 프레임, 상기 측면 프레임의 다른 일단과 결합되어 뒷바퀴를 결합할 수 있는 뒷바퀴 프레임, 상기 발판을 결합할 수 있는 발판 결합 프레임 및 접철부가 결합될 수 있는 하단 프레임을 구비하는 제 1 프레임;
    상기 휠체어의 좌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프레임과 대응되는 프레임들을 구비하는 제 2 프레임;
    상기 제 1 프레임의 하단 프레임 및 우측 좌석 프레임과 결합될 수 있는 제1 접철부 프레임, 상기 제 2 프레임의 하단 프레임 및 좌측 좌석 프레임과 결합될 수 있는 제 2 접철부 프레임 및 상기 제 1 및 제 2 접철부 프레임을 결합하는 힌지를 구비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좌석부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접철부;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의 상기 앞바퀴 프레임들에 조향 가능하도록 결합된 앞바퀴;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의 뒷바퀴 프레임들에 결합된 뒷바퀴; 및
    에스컬레이터 바;
    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는,
    상기 휠체어와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의 하면에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핸드 레일과 결합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는 집게부;
    상기 휠체어의 탑승자로부터 상기 집게부에 대한 제어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스위치부; 및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탑승자의 제어 신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집게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휠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는,
    상기 집게부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핸드 레일들 간의 너비에 적응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의 너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너비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휠체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부는,
    복수의 집게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집게들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핸드 레일과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 하면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되는,
    휠체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푸시 버튼(push button)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핸드 레일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스위치부가 푸시(push)되어 상기 집게부의 동작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에서 상기 집게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집게부 동작 스위치; 및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와 상기 핸드 레일과의 결합을 해제하기위한 상기 집게부의 해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탑승자가 손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 상면에 배치되는 집게부 해제 스위치;
    를 포함하는,
    휠체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부 동작 스위치는,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핸드 레일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핸드 레일에 의하여 푸시 될 수 있도록,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 하면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 하면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된 상기 집게부 동작 스위치들 모두로부터 상기 집게부의 동작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집게부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핸드 레일과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집게부를 제어하고, 그리고,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 상면에 배치된 상기 집게부 해제 스위치로부터 상기 집게부의 해제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집게부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핸드 레일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상기 집게부를 제어하는,
    휠체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는,
    상기 탑승자가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를 사용하지 않는 평지 주행시에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를 접어서 보관하기 위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가 접힐 수 있도록 하는 접철부;
    를 더 포함하는,
    휠체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일단은 상기 휠체어에 결합되고, 다른 일단은 연결부와 결합할 수 있는 결합구를 가지는 휠체어 결합부;
    상기 휠체어 결합부와 결합할 수 있는 체결구를 가지며 다른 일단은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에 결합되는 연결부; 및
    탑승자가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를 사용하지 않는 때,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의 보관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부를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 내부에 수납하기 위한 롤 부;
    를 포함하는,
    휠체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일단은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의 일측에 결합되고, 다른 일단은 연결부와 결합할 수 있는 결합구를 가지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결합할 수 있는 체결구를 가지며 다른 일단은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의 다른 일측에 결합되는 연결부; 및
    탑승자가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를 사용하지 않는 때,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의 보관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부 및 고정부를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 내부에 수납하기 위한 롤 부;
    를 포함하는,
    휠체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휠체어가 상기 에스컬레이터 상에서 승하강될 때, 상기 휠체어의 탑승자의 신체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좌석 등받이부에 결합되는 안전 벨트부;
    를 더 포함하는,
    휠체어.
  10. 휠체어가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에스컬레이터 바로서,
    상기 휠체어와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
    상기 에스컬레이터 바의 하면에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핸드 레일과 결합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는 집게부;
    상기 휠체어의 탑승자로부터 상기 집게부에 대한 제어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스위치부; 및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탑승자의 제어 신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집게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에스컬레이터 바.
KR1020150033186A 2015-03-10 2015-03-10 에스컬레이터 바 및 휠체어 KR201601091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186A KR20160109192A (ko) 2015-03-10 2015-03-10 에스컬레이터 바 및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186A KR20160109192A (ko) 2015-03-10 2015-03-10 에스컬레이터 바 및 휠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192A true KR20160109192A (ko) 2016-09-21

Family

ID=57080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3186A KR20160109192A (ko) 2015-03-10 2015-03-10 에스컬레이터 바 및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919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69717A1 (en) * 2018-08-21 2021-06-10 Adaptdefy Limited Mobility chairs and retention systems for mobility chairs
CN116176376A (zh) * 2023-03-17 2023-05-30 扬州市高升机械有限公司 一种工程车座椅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69717A1 (en) * 2018-08-21 2021-06-10 Adaptdefy Limited Mobility chairs and retention systems for mobility chairs
US12048657B2 (en) * 2018-08-21 2024-07-30 Adaptdefy Limited Mobility chairs and retention systems for mobility chairs
CN116176376A (zh) * 2023-03-17 2023-05-30 扬州市高升机械有限公司 一种工程车座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2554B1 (en) Powered patient lift device
JP6733906B2 (ja) 入浴介護装置
CN105882477A (zh) 急救交通工具患者运送系统和在简易床上运送患者的方法
AU2019202342B2 (en) Baby and Infant Emergency Evacuation Systems and Methods
CN109938945A (zh) 一种多功能轮椅床
US20100154116A1 (en) Wheelchair transfer device
JP2002028202A (ja) 歩行補助機
JP2007090020A (ja) 自力乗り移り車椅子
JP2014144036A (ja) 移乗補助装置
US20080134436A1 (en) Stretcher with brake mechanism
KR20160109192A (ko) 에스컬레이터 바 및 휠체어
JP2004267571A (ja) 車椅子装置及びそれに使用する椅子本体
JP2001321404A (ja) 歩行器兼用車椅子
KR20100045157A (ko) 전동식 이동보조장치
KR20190031963A (ko) 휠체어에 장착되는 이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휠체어
JP6298614B2 (ja) 歩行車
JP6082376B2 (ja) 移乗移動装置
KR102186013B1 (ko) 실내외 겸용 휠체어
JPH09285496A (ja) 歩行支援機の機体移動機構
US11259984B2 (en) Reciprocating rollator
JP2012152297A (ja) 立ち上がり補助椅子
KR20160023292A (ko) 계단 이송 가능 휠체어
KR20150097971A (ko) 계단용 응급 구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응급 구조 방법
KR101244450B1 (ko) 휠체어 사용자의 하중을 이용한 휠체어 제동장치
CN101692994A (zh) 康复锻炼步行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