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1643B1 - 휠체어용 계단 승강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휠체어용 계단 승강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1643B1
KR102381643B1 KR1020190151373A KR20190151373A KR102381643B1 KR 102381643 B1 KR102381643 B1 KR 102381643B1 KR 1020190151373 A KR1020190151373 A KR 1020190151373A KR 20190151373 A KR20190151373 A KR 20190151373A KR 102381643 B1 KR102381643 B1 KR 102381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chair
support
coupled
chain gear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1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3516A (ko
Inventor
이응혁
황현창
정지안
이원영
이철우
Original Assignee
한국공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공학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공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51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1643B1/ko
Publication of KR20210063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3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1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1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6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with obstacle mounting facilities, e.g. for climbing stairs, kerbs or steps
    • A61G5/061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with obstacle mounting facilities, e.g. for climbing stairs, kerbs or steps for climbing st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2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propelled by the patient or disabled person
    • A61G5/02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propelled by the patient or disabled person having particular oper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4Devices for lifting or tilting the whole wheel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7/00Chairs and seats
    • Y10S297/04Wheelc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휠체어용 계단 승강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휠체어의 바퀴간 간격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어 휠체어의 진행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 한 쌍의 지지부를 연결하는 축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는 체인기어; 복수의 체인기어 중 한 곳에 결합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복수의 체인기어를 연결하여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복수의 체인기어를 함께 구동시켜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바닥면에 접지되는 궤도바퀴; 일단이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일단이 회전하면 타단이 바닥면에 맞닿도록 회전하여 지지부를 기울어진 각도로 조정하는 경사대응부; 및 지지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휠체어의 바닥 및 손잡이 중 적어도 한곳 이상을 파지하며 휠체어를 고정시키고, 지지부의 기울어진 각도에 대응되도록 휠체어를 틸팅시켜 휠체어의 수평상태를 조정하는 틸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휠체어를 안정적 결합시킴과 동시에 계단을 오르내릴 때에 휠체어의 손잡이, 바퀴 및 휠체어의 하부프레임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휠체어를 승강시킴으로써 휠체어 탑승자에게 안전한 승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휠체어용 계단 승강 보조 장치{Lift apparatus for wheel chair}
본 발명은 휠체어용 계단 승강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휠체어를 안정적 결합시킴과 동시에 계단을 오르내릴 때에 안정적으로 휠체어를 승강시킴으로써 휠체어 탑승자에게 안전한 승강을 제공할 수 있는 휠체어용 계단 승강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체어는 주로 평지를 주행하도록 만들어져 특히 계단은 올라갈 수 없는 크나큰 단점이 있었다.
한편, 이렇게 계단을 오르지 못하는 장애인들을 위하여 공공시설에서는 계단에 별도로 비탈길을 시공함으로써 휠체어도 올라갈 수 있도록 건축되고 있으나, 이런 편의시설은 별도의 건설비용이 너무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공공시설 외의 일반건축물들은 대부분의 이런 장애인들을 위한 편의시설을 무시하고 건설비용을 최대한 절감하고자 그냥 계단으로만 건축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아직까지 휠체어를 탑승한 장애인들은 계단이라는 크나큰 장벽에 부딪혀 이동권에 대한 큰 제약을 받고 있는 사회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휠체어 이용에 따른 어려움 등을 고려하여 편의를 증진시켜주기 위한 휠체어용 승강장치가 개발 및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휠체어용 승강장치는 휠체어에 탑승한 탑승자를 휠체어와 함께 휠체어용 승강장치에 탑승시킨 상태에 리프트 등의 승강수단을 이용하여 휠체어를 원하는 위치까지 승강시킴으로써 휠체어에 탑승한 탑승자가 휠체어에서 내리지 않고도 차량에 탑승하거나 지상으로 이동 또는 계단을 오르내릴 수 있게 한 장치이다.
하지만, 계단을 오르고 내릴 때에, 휠체어가 그 계단의 경사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탑승자가 심리적으로 불안함을 느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휠체어를 안정적으로 고정하지 못하여 승강장치에서 휠체어가 분리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83365 B1 (2011.11.14.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휠체어를 안정적 결합시킴과 동시에 계단을 오르내릴 때에 안정적으로 휠체어를 승강시킴으로써 휠체어 탑승자에게 안전한 승강을 제공할 수 있는 휠체어용 계단 승강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의 바퀴간 간격보다 휠체어의 진행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휠체어의 바퀴간 간격보다 작은 폭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 한 쌍의 지지부를 연결하는 축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는 체인기어; 복수의 체인기어 중 한 곳에 결합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복수의 체인기어를 연결하여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복수의 체인기어를 함께 구동시켜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바닥면에 접지되는 궤도바퀴; 일단이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일단이 회전하면 타단이 바닥면에 맞닿도록 회전하여 지지부를 기울어진 각도로 조정하는 경사대응부; 및 지지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휠체어의 바닥 및 손잡이 중 적어도 한곳 이상을 파지하며 휠체어를 고정시키고, 지지부의 기울어진 각도에 대응되도록 휠체어를 틸팅시켜 휠체어의 수평상태를 조정하는 틸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를 중심으로 전방, 후방 및 바닥면에 위치하는 물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센서; 지지부에 결합되어 지지부의 기울어진 각도를 센싱하는 제2 센서;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를 통해 센싱된 값을 바탕으로, 경사대응부 및 틸팅부의 회동조건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센서는 근접 또는 초음파 센서이며, 제2 센서는 기울기 센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틸팅부는 일단이 한 쌍의 지지부를 연결하는 제1 안내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측으로 연장되어 휠체어의 후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수직지지구; 일단이 수직지지구에 결합되고, 타단이 휠체어를 지지하는 후방에 제2 안내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직지지구의 각도가 조정되도록 틸팅력을 제공하는 유압구동부; 일단이 수직지지구의 하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지지부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휠체어의 바퀴를 고정시키는 한 쌍의 바퀴고정부; 및 일단이 바퀴고정부가 결합된 수직지지구의 상단 또는 하단에 결합되며, 타단에 'U'자 형상의 안착홈이 형성되어 휠체어의 프레임을 지지하는 한 쌍의 프레임지지구;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직지지구는 상단에 한 쌍의 지지부의 폭방향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손잡이지지대와, 손잡이지지대의 종단에 결합되어 휠체어의 손잡이 폴대를 감싸도록 회동구동하여 휠체어 손잡이와 고정되는 고정브라켓 및 고정브라켓을 회동구동시키는 작동버튼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체인기어는 제1 체인기어와, 제1 체인기어에서 일방향으로 이격배치되는 제2 체인기어 및 제2 체인기어에서 대각선 상측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3 체인기어를 구비하고, 궤도바퀴는 제1 체인기어, 제2 체인기어 및 제3 체인기어를 감싸면서, 제1 체인기어와 제3 체인기어를 잇는 상면이 경사를 형성하도록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경사를 형성하는 궤도바퀴의 상측면이 제2 체인기어와 제2 체인기어를 잇는 궤도바퀴의 하면과 동일한 수평상태가 되도록 궤도바퀴의 상측면 일영역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누르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아래로 누르는 풀리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경사대응부는 한 쌍의 지지부 사이에서 지지부 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축; 회동축의 종단에 결합되며 회동축이 바닥면을 향하여 돌출될 때에 바닥면에 맞닿아 궤도바퀴와 함께 접지력을 형성하는 이동바퀴; 일단이 이동바퀴에 결합되고, 타단이 지지부에 결합되어 회동축의 회동에 따라 이동바퀴의 위치를 안내하는 회동지지축; 및 회동축을 기설정된 각도로 구동시키는 회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며, 배터리는 궤도바퀴가 하측으로 이동할 때에 충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휠체어용 계단 승강 보조 장치는 휠체어를 안정적 결합시킴과 동시에 계단을 오르내릴 때에 휠체어의 손잡이, 바퀴 및 휠체어의 하부프레임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휠체어를 승강시킴으로써 휠체어 탑승자에게 안전한 승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방 및 후방에 다양한 위치하는 계단 및 장애물 등을 센싱하고, 그를 바탕으로 휠체어의 각도가 조정되도록 함으로써 탑승한 휠체어 탑승자에게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용 계단 승강 보조 장치의 사시도 이다.
도 2는 휠체어용 계단 승강 보조 장치에 휠체어가 탑승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용 계단 승강 보조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휠체어용 계단 승강 보조 장치의 경사대응부의 구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A' 부분 상세도이다.
도 6은 도 2의 'B' 부분 상세도이다.
도 7은 도 2의 'C' 부분 상세도이다.
도 8은 휠체어용 계단 승강 보조 장치의 센서의 배치위치 및 센싱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용 계단 승강 보조 장치의 작동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용 계단 승강 보조 장치의 사시도 이며, 도 2는 휠체어용 계단 승강 보조 장치에 휠체어가 탑승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용 계단 승강 보조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용 계단 승강 보조 장치(10)는 휠체어(W)를 탑승시켜 휠체어(W)를 상층 또는 하층으로 안정적인 승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지지부(110), 체인기어(120), 구동부(130), 궤도바퀴(140), 경사대응부(150) 및 틸팅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은 휠체어가 후면이 배치되는 방향을 전방, 그 반대방향을 후방으로 정의한다.
지지부(110)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휠체어(W)의 진행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휠체어(W)의 바퀴간 간격보다 작은 폭으로 배치된다.
체인기어(120)는 한 쌍의 지지부(110)를 연결하는 축의 양단에 지지부(110)의 바깥방향에 각각 결합되며, 지지부(110)의 연장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된다.
구동부(130)는 복수의 체인기어(120) 중 한 곳에 결합되어 체인기어(120)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한다.
궤도바퀴(140)는 복수의 체인기어(120)를 연결하여 구동부(130)의 구동에 따라 복수의 체인기어(120)가 함께 구동되도록 한다. 궤도바퀴(140)는 계단 등과 같은 바닥면에서 접지력을 제공하여 안정적인 승강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경사대응부(150)는 일단이 지지부(1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일단이 회전하면서 타단이 바닥면에 맞닿도록 회전하여 지지부(110)를 기울어진 각도로 조정한다.
틸팅부(160)는 지지부(1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휠체어(W)의 바닥 및 손잡이(H) 중 적어도 한곳 이상을 파지하며 휠체어(W)를 고정시키고, 지지부(110)의 기울어진 각도에 대응되도록 휠체어(W)를 틸팅시켜 휠체어(W)의 수평상태를 조정한다.
이하에서, 각 구성에 대해서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휠체어용 계단 승강 보조 장치의 경사대응부의 구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2의 'A' 부분 상세도이고, 도 6은 도 2의 'B' 부분 상세도이고, 도 7은 도 2의 'C' 부분 상세도이고, 도 8은 휠체어용 계단 승강 보조 장치의 센서의 배치위치 및 센싱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용 계단 승강 보조 장치의 작동 개념도이다.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각 구성에 대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지지부(110)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다. 지지부(110)는 전방에 상하로 체인기어(122, 123)가 구비되기 때문에 후방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며, 복수의 결합축(111)을 통해 지지부(110)의 둘레방향을 고정하여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체인기어(120)는 제1 체인기어(121)와, 제2 체인기어(122) 및 제3 체인기어(123)를 구비한다. 제1 체인기어(121)는 지지부(110)의 후방에 결합된다. 제1 체인기어(122)는 제1 체인기어(121)에서 일방향으로 이격된 지지부(110)의 전방에 결합된다. 그리고, 제3 체인기어(123)는 제2 체인기어(122)에서 대각선 상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지지부(110)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제2 체인기어(122) 및 제3 체인기어(123)를 상방향으로 적층 배열되며, 그 면을 따라 궤도바퀴(140)가 계단 등에 접지면적으로 형성함으로써 계단과 같은 오르막 또는 내리막을 주행할 때에 전도되지 않고 안정적인 주행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체인기어(120)는 3개로 형성된 것을 예시로 하였으나, 제1 체인기어(121) 및 제2 체인기어(122) 사이에 추가적인 기어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로 형성되는 체인기어에 기어의 회전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판브레이크가 구비될 수 있다. 판프레이크는 본 발명이 하측으로 이동하여 중력에 의해 슬라이딩 구동할 때에,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속도를 기설정된 속도 이하가 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하강구동을 제공할 수 있다.
구동부(130)는 지지부(110)의 후방에 배치된다. 구동부(130)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지지부(110)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체인기어(121)가 동시에 구동될 수 있도록 각각에 기어결합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130)에 일측면에 이격배치되어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180)가 구비된다. 배터리(180)는 충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배터리(180)는 내리막에서 중력에 의한 슬라이딩 구동을 통해 전력을 사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구동단계에서 배터리(180)가 충전될 수 있다.
궤도바퀴(140)는 제1 체인기어(121), 제2 체인기어(122) 및 제3 체인기어(123)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궤도바퀴(140)는 접지면이 요철(凹凸)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바닥면과의 접지력을 증대시켜 계단과 같은 경사로에서 미끄러짐 없이 원활한 이동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1 체인기어(121) 및 제3 체인기어(123)를 잇는 상면이 경사를 형성하도록 루프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궤도바퀴(140)의 상측면이 경사를 형성하게 되면, 휠체어가 후방으로 진입하여 안착될 때에, 경사진 궤도바퀴(140)의 상측면으로 인해서 휠체어의 진입 및 안착이 방해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풀리기어(170)를 구비한다.
풀리기어(170)는 경사를 형성하는 궤도바퀴(140)의 상측면이 제1 체인기어(121)와 제2 체인기어(122)를 잇는 궤도바퀴(140)의 하면과 동일한 수평상태가 되도록 궤도바퀴(140)의 상측면의 일영역을 상측에서 하측 아래로 누를 수 있도록 축을 통해 지지부(110)에 결합된다. 풀리기어(170)는 외주면이 궤도바퀴(140)의 요철형상의 접지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풀리기어(170)는 별도의 구동부없이 궤도바퀴(140)에 회전에 따라 그 접촉면에 접촉되면서 회전한다.
경사대응부(150)는 일단이 지지부(1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일단이 회전하면서 타단이 바닥면에 맞닿도록 회전하여 지지부(110)를 기울어진 각도로 조정하여 계단과 같은 단차형성되는 지형에서 원활한 승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회동축(151), 이동바퀴(152), 회동모터(153) 및 회동지지축(1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동축(151)은 한 쌍의 지지부(110) 사이에서 지지부(110)의 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전방을 향하여 연장된다. 회동축(151)은 평지를 주행할 때에는 구동하지 않기 때문에 지지부(110) 사이에서 바깥으로 돌출되지 않고 숨겨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다가, 회동축(151)은 계단과 같은 단차형성되는 경사로에서는 돌출되며, 종단에 결합되는 이동바퀴(152)를 통해 궤도바퀴(140)가 계단과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원활한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회동축(151)의 종단 영역에 스톱퍼(1511)가 구비될 수 있다. 스톱퍼(1511)는 회동축(151)이 기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충격 등에 의해서 회동축(151)이 잘못된 각도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승강구동할 때에 안정적인 구동을 제공할 수 있다.
이동바퀴(152)는 회동축(151)의 종단에 결합되며 회동축(151)이 바닥면을 향하여 돌출될 때에 바닥면에 맞닿아 궤도바퀴(140)와 함께 접지력을 형성하게 된다. 이동바퀴(152)는 계단과 같은 단차가 형성되는 위치에서 궤도바퀴(140)가 승강할 수 있도록 지렛대와 같은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접촉면에서 미끄러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매끄럽지 않으면서 쿠션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동모터(153)는 회동축을 기설정된 각도로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회동지지축(154)은 일단이 이동바퀴(152)에 결합되고, 타단이 지지부(110)에 결합되어 회동축(151)의 회동에 따라 이동바퀴(152)의 위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회동지지축(154)은 회동축(151)이 안정적으로 회동되도록 안내할 수 있으며, 회동축(151)이 지지부(151)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도 충격 등에 의해서 바깥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틸팅부(160)는 지지부(1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휠체어(W)의 바닥 및 손잡이(H)를 파지하며 지지부(110)의 기울어진 각도에 대응되도록 휠체어(W)를 틸팅시켜 휠체어(W)를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계단과 같은 경사로를 승강할 때에 휠체어(W)가 분리되는 방지하는 것으로서, 수직지지구(161), 유압구동부(162), 바퀴고정부(163) 및 프레임지지구(164)를 구비한다.
수직지지구(161)는 한 쌍으로 형성되며, 일단이 지지부(1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측으로 연장되어 휠체어의 후측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수직지지구(161)는 유압구동부(162)의 작동에 따라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각도가 조정될 수 있다. 수직지지구(161)는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는데, 상부 및 하부 각각에 이격된 거리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킴과 동시에 휠체어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간격유지부(1614)를 통해 서로 이웃되도록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수직지지구(161)는 손잡이지지대(1611), 고정브라켓(1612) 및 작동버튼(1613)을 구비할 수 있다. 손잡이지지대(1611)는 수직지지구(161)의 상단에서 폭방향 양측으로 연장되며, 휠체어의 손잡이(H)의 위치에 따라 수직지지구(161)에 가변적으로 결합되는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고정브라켓(1612)은 손잡이지지대(1611)의 종단에 결합되어 휠체어 손잡이(H)의 폴대(P)를 감싸는 방향이 고리형상으로 형성되고, 고리영역이 회동구동하여 휠체어 손잡이(H)를 고정함으로써 수직지지구(161)에 지지되는 휠체어(W)가 움직이지 않도록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작동버튼(1613)은 고정브라켓(1612)을 작동시키는 역할을 하며, 누름에 따라 고정브라켓(1612)을 일방향을 따라 회동시키고, 누름을 해제함에 따라 고정브라켓(1612)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인덱스 플런지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 고정브라켓(1612)의 작동방법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유압구동부(162)는 일단이 수직지지구(161)에 결합되고, 타단이 지지부(1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축을 통해 결합된다. 유압구동부(162)의 타단은 제2 체인기어(122) 및 제3 체인기어(123) 사이에 결합되는 축을 통해 휠체어를 지지하는 전방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유압력을 통해 실린더가 확장 또는 수축되면서 수직지지구(161)의 각도가 조정되도록 틸팅력을 제공한다.
바퀴고정부(163)는 일단이 수직지지구(161)의 하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지지부(11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휠체어의 바퀴(T)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바퀴고정부(161)는 지지부(110)의 폭방향을 따라 양방향을 따라 소정거리 연장된 전방을 향하여 굴절형성되고, 다시 바깥방향으로 굴절형성되어 휠체어의 바퀴(T)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바퀴고정부(163)는 휠체어(W)가 전방을 향해서 진입하게 되면, 휠체어(W) 바퀴(T)를 감싸는 방향으로 자동으로 구동할 수 있다.
프레임지지구(164)는 일단이 바퀴고정부(163)가 결합된 수직지지구(161)의 상단 또는 하단에 결합되며, 타단에 'U'자 형상의 안착홈(1641)이 형성되어 휠체어의 하부프레임(BF)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하, 안착홈(1641)에는 휠체어의 하부프레임(BF)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부고정브라켓(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하부고정브라켓은 하부프레임(BF)을 감싸는 방향으로 회동구동함으로써 하부프레임(BF)이 안착홈(1641)이 미끄러지지 않고, 견고한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부를 중심으로 전방, 후방 및 바닥면에 위치하는 물체를 감지할 수 있는 제1 센서(190)와 지지부(110)의 기울어진 정도를 센싱할 수 있는 제2 센서(194) 및 각각의 센서를 통해 센싱된 값에 따라 경사대응부(150) 및 틸팅부(160)의 작동상태를 조정할 수 있는 제어부(200)를 포함한다.
제1 센서(190)는 전방에 구비되는 제1 전방 센서(191), 후방에 구비되는 제1 후방 센서(192) 및 중앙에 구비되는 제1 중앙 센서(193)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방 센서(191)는 전방에 지지부(110)를 서로 이격되게 결합시키는 결합축(111)을 따라 복수로 배치된다.
이때, 제1 전방 센서(191)는 결합축(111)을 따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지 않고, 상측, 전면 및 하측을 향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전방의 전 영역이 센싱되도록 함으로써, 승강구동 및 전후진 하는 휠체어의 다양한 환경을 정확하게 센싱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후방 센서(192)는 복수의 센서를 통해 후방을 센싱하는 것으로서, 제1 전방 센서(191)와 동일하게 배치방향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중앙 센서(193)는 지지부(110)를 하부의 축 방향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복수로 배치되어 하면을 센싱한다. 제1 센서(190)는 근접 또는 초음파 센서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센서(194)는 지지부(110)에 결합되어 지지부(110)의 기울어진 각도를 센싱한다. 제2 센서는 기울기 센서로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제1 센서(190) 및 제2 센서(194)를 통해 센싱된 값을 바탕으로, 경사대응부(150) 및 틸팅부(160)의 회동조건을 제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동부(130)의 작동상태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단을 내려가는 경우에서는 구동부(130)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중력에 의한 자유슬라이딩 구동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휠체어용 계단 승강 보조 장치는 휠체어를 안정적 결합시킴과 동시에 계단을 오르내릴 때에 휠체어의 손잡이, 바퀴 및 휠체어의 하부프레임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휠체어를 승강시킴으로써 휠체어 탑승자에게 안전한 승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방 및 후방에 다양한 위치하는 계단 및 장애물 등을 센싱하고, 그를 바탕으로 휠체어의 각도가 조정되도록 함으로써 탑승한 휠체어 탑승자에게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10 : 지지부 120 : 체인기어
130 : 구동부 140 : 궤도바퀴
150 : 경사대응부 160 : 틸팅부
170 : 풀리기어 180 : 배터리
190 : 제1 센서 200 : 제어부

Claims (9)

  1. 휠체어의 진행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휠체어의 바퀴간 간격보다 작은 폭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
    상기 한 쌍의 지지부를 연결하는 축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는 체인기어;
    상기 복수의 체인기어 중 한 곳에 결합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복수의 체인기어를 연결하여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체인기어를 함께 구동시켜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바닥면에 접지되는 궤도바퀴;
    일단이 상기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일단이 회전하면 타단이 바닥면에 맞닿도록 회전하여 상기 지지부를 기울어진 각도로 조정하는 경사대응부; 및
    상기 지지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휠체어의 바닥 및 손잡이 중 적어도 한곳 이상을 파지하며 휠체어를 고정시키고, 상기 지지부의 기울어진 각도에 대응되도록 휠체어를 틸팅시켜 휠체어의 수평상태를 조정하는 틸팅부;를 포함하되,
    상기 경사대응부는,
    상기 지지부 사이에서 상기 지지부 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축;
    상기 회동축의 종단에 결합되며 상기 회동축이 바닥면을 향하여 돌출될 때에 바닥면에 맞닿아 상기 궤도바퀴와 함께 접지력을 형성하는 이동바퀴;
    일단이 상기 이동바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축의 회동에 따라 상기 이동바퀴의 위치를 안내하는 회동지지축; 및
    상기 회동축을 기 설정된 각도로 구동시키는 회동모터;를 포함하는 휠체어용 계단 승강 보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를 중심으로 전방, 후방 및 바닥면에 위치하는 물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센서;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의 기울어진 각도를 센싱하는 제2 센서; 및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를 통해 센싱된 값을 바탕으로, 상기 경사대응부 및 상기 틸팅부의 회동조건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계단 승강 보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는,
    근접 또는 초음파 센서이며,
    상기 제2 센서는,
    기울기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계단 승강 보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부는,
    일단이 상기 한 쌍의 지지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측으로 연장되어 휠체어의 후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수직지지구;
    일단이 상기 수직지지구에 결합되고, 타단이 휠체어를 지지하는 후방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직지지구의 각도가 조정되도록 틸팅력을 제공하는 유압구동부;
    일단이 상기 수직지지구의 하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부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휠체어의 바퀴를 고정시키는 한 쌍의 바퀴고정부; 및
    일단이 상기 바퀴고정부가 결합된 상기 수직지지구의 상단 또는 하단에 결합되며, 타단에 'U'자 형상의 안착홈이 형성되어 휠체어의 하부프레임을 지지하는 한 쌍의 프레임지지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계단 승강 보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구는,
    상단에 상기 한 쌍의 지지부의 폭방향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손잡이지지대와, 상기 손잡이지지대의 종단에 결합되어 휠체어의 손잡이 폴대를 감싸도록 회동구동하는 고정브라켓 및 상기 고정브라켓을 회동구동시키는 작동버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계단 승강 보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기어는,
    제1 체인기어와, 상기 제1 체인기어에서 일방향으로 이격배치되는 제2 체인기어 및 상기 제2 체인기어에서 대각선 상측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3 체인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궤도바퀴는,
    상기 제1 체인기어, 상기 제2 체인기어 및 상기 제3 체인기어를 감싸면서, 상기 제1 체인기어와 상기 제3 체인기어를 잇는 상면이 경사를 형성하도록 루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계단 승강 보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를 형성하는 상기 궤도바퀴의 상측면이 상기 제2 체인기어와 상기 제2 체인기어를 잇는 상기 궤도바퀴의 하면과 동일한 수평상태가 되도록 상기 궤도바퀴의 상측면 일영역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누르는 풀리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계단 승강 보조 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상기 궤도바퀴가 하측으로 이동할 때에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계단 승강 보조 장치.
KR1020190151373A 2019-11-22 2019-11-22 휠체어용 계단 승강 보조 장치 KR102381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373A KR102381643B1 (ko) 2019-11-22 2019-11-22 휠체어용 계단 승강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373A KR102381643B1 (ko) 2019-11-22 2019-11-22 휠체어용 계단 승강 보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516A KR20210063516A (ko) 2021-06-02
KR102381643B1 true KR102381643B1 (ko) 2022-04-04

Family

ID=76372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1373A KR102381643B1 (ko) 2019-11-22 2019-11-22 휠체어용 계단 승강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16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9583B1 (ko) * 2022-08-12 2023-05-08 (주)스페이스엔지니어링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피난용 슬라이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860B1 (ko) * 2011-09-15 2012-03-16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휠체어의 보조이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2126A (ja) * 1994-03-04 1995-09-19 Koyo Seiko Co Ltd 車両用発電装置
KR20050112017A (ko) * 2004-05-24 2005-11-29 김현학 전동휠체어
JP2006025822A (ja) * 2004-07-12 2006-02-02 Sanwa:Kk 車椅子用階段昇降機
KR101191139B1 (ko) * 2010-02-11 2012-10-15 김한주 다기능 전동체어
KR101083365B1 (ko) 2011-05-19 2011-11-14 (주)다성테크놀로지 휠체어 승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860B1 (ko) * 2011-09-15 2012-03-16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휠체어의 보조이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516A (ko) 2021-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19163A (en) Curb climbing wheel chair
US7316405B2 (en) Stair-climbing apparatus
EP1616545B1 (en) Stair-climbing wheelchair carrier
KR100992110B1 (ko) 휠체어
KR102046151B1 (ko) 계단승강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
KR102070575B1 (ko) 계단 승월형 구동장치의 승월 구동방법
KR102382528B1 (ko) 휠체어용 계단 승강 보조 장치를 이용한 계단 승강방법
CN111494109A (zh) 一种爬楼梯轮椅
WO2008128950A2 (en) Vehicle with variable geometry for users with deambulation problems
WO2010109466A1 (en) Wheelchair
KR102445702B1 (ko) 장애물 극복유닛과 고정부를 포함하는 전동휠체어
KR102366931B1 (ko) 평지 진입 구간의 감지가 가능한 전동 어시스트 모듈
KR102381643B1 (ko) 휠체어용 계단 승강 보조 장치
KR102206884B1 (ko) 장애물을 타넘기 위한 운반 기구
KR102325075B1 (ko) 계단 승월 장치
KR102373539B1 (ko) 계단 및 단차 지형의 휠체어 주행을 위한 전동 어시스트 모듈
JP2002178930A (ja) 階段走行可能な運搬車
CN206324939U (zh) 爬楼梯轮椅
JP2011045538A (ja) クローラー椅子
CN110742743A (zh) 一种全地形电动轮椅
KR20210034877A (ko) 휠체어 탈부착 계단 승월 전동 어시스트
KR102647202B1 (ko) 계단 승하강이 가능한 휠체어
JP3980917B2 (ja) 車椅子等階段昇降補助装置
JP4030009B2 (ja) 移乗機
JP2001199371A (ja) 階段昇降可能な走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