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5702B1 - 장애물 극복유닛과 고정부를 포함하는 전동휠체어 - Google Patents

장애물 극복유닛과 고정부를 포함하는 전동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5702B1
KR102445702B1 KR1020220080267A KR20220080267A KR102445702B1 KR 102445702 B1 KR102445702 B1 KR 102445702B1 KR 1020220080267 A KR1020220080267 A KR 1020220080267A KR 20220080267 A KR20220080267 A KR 20220080267A KR 102445702 B1 KR102445702 B1 KR 102445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wheelchair
obstacle
chair
unit
fix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0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웅
Original Assignee
박찬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웅 filed Critical 박찬웅
Priority to KR1020220080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57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5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6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with obstacle mounting facilities, e.g. for climbing stairs, kerbs or ste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8Accommodating or securing wheelchairs or stretchers
    • A61G3/0808Accommodating or securing wheel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1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having a specific drive-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59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72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rotating the whole seat around a vertic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89Anti-tip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8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4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si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Brushe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전동휠체어에 있어서, 전기를 동력으로 하여 작동하는 전동휠체어 본체; 상기 전동휠체어 본체에 장착되어 장애물을 대면하였을 때 본체를 승하강 시킬 수 있는 장애물 극복유닛; 상기 전동휠체어 본체의 상부에 장착되어 전동휠체어의 의자부가 회전되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제어하는 의자 제어부; 및 상기 전동휠체어를 정지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물 극복유닛과 고정부를 포함하는 전동휠체어를 제안한다.

Description

장애물 극복유닛과 고정부를 포함하는 전동휠체어{Electric Wheelchair Including Obstacle Overcoming Unit And Fixing Part}
본 발명은 장애물 극복유닛과 고정부를 포함하는 전동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동엑추에이터 암을 이용하는 장애물 극복유닛을 장착하여 이동시에 장애물을 넘어갈 수 있고 저상 버스에 탑승하거나 버스에 휠체어를 자체적으로 고정하여 안전하게 탑승할 수 있으며, 탑승시간을 줄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 질병이나 사고에 의한 장애우와 더불어 노령화에 따른 근 골격계 퇴화로 노령 장애인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노약자나 장애우의 대표적인 이동수단으로 휠체어가 사용되고 있다.
휠체어가 제공하는 편안함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평가기준은 사용자의 해부학적 요구를 완벽하게 맞춘다는 것이다. 해부학적 요구가 맞추어졌다 하더라도 휠체어를 노약자나 장애우(이하 사용자라 칭함)가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 하체부위의 운동력 감소, 장 기능저하, 그리고 혈액순환의 악화와 같은 신체기능의 물리적 손상을 초래한다. 뿐만 아니라, 앉아있음으로 인하여 창상의 위험도 존재한다.
한편, 휠체어는 앞바퀴 즉, 방향을 위한 전륜은 캐스터 볼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후륜은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고 있으므로 노면상에 상대적으로 큰 장애물 즉, 도로 경계석등과 같은 장애물이 있는 경우, 이동이 어려워 보호자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전륜을 이루는 캐스터볼은 이동궤적에 위치되는 장애물을 초기에 극복하여야한다. 그러나 전륜을 이루는 캐스터볼은 휠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아 장애물의 극복이 원활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장애우의 도우미가 휠체어를 밀고간다 하여도 이동 시 전륜에 걸리는 장애물을 쉽게 극복이 용이하지 않다. 장애우가 직접 휠체어의 후륜을 구동시키면서 이동하는 경우 전륜에 걸리는 장애물의 극복이 실질적으로 어렵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관련선행문헌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63242호(2014.12.04.)에는 장애물 극복 유닛을 갖는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관련선행문헌에서는 장애물극복유닛을 구비하고 휠체어가 전진하는 방향으로만 회전을 허용하는 제1원웨이 클러치와 제2 원웨이 클러치가 설치되어 장애물을 극복할 수 있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장애물을 극복하는 경우 휠체어가 기울어진 형태로 견인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안전하게 승차한 상태로 장애물 극복이 어려우며, 휠체어를 정지된 상태에서 바퀴의 움직임만을 고정하므로 바닥면에 대한 접지력이 부족하여 버스 등에 승차하는 경우 휠체어가 이동되어 위험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63242호(2014.12.04.)
본 발명의 목적은 전동엑추에이터 암을 이용하는 장애물 극복유닛을 장착하여 이동시에 장애물을 넘어갈 수 있고 의자 제어 액추에이터를 구비하여 의자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며, 저상 버스에 탑승하여 고정부를 자동으로 버스에 고정하여 운전기사의 도움없이도 안전하게 탑승할 수 있어 탑승시간을 줄일 수 있는 장애물 극복유닛과 고정부를 포함하는 전동휠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애물 극복유닛과 고정부를 포함하는 전동휠체어는, 전기를 동력으로 하여 작동하는 전동휠체어 본체; 상기 전동휠체어 본체에 장착되어 장애물을 대면하였을 때 본체를 승하강 시킬 수 있는 장애물 극복유닛; 상기 전동휠체어 본체의 상부에 장착되어 전동휠체어의 의자부가 회전되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제어하는 의자 제어부; 및 상기 전동휠체어를 정지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애물 극복유닛은, 상기 장애물 극복유닛 구동 시 장애물을 올라갈 때 후륜에서 전륜 방향으로 진행되고 장애물에서 내려올 때 전륜에서 후륜 방향으로 진행되어 장애물을 넘어가도록 구동되며; 상기 장애물 극복 유닛에 의해 안정적으로 전동휠체어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되어 장애물을 넘어갈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의자 제어부는, 상기 장애물 극복유닛이 구동 시 의자부가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 구동부가 구비되며; 상기 의자부의 높이 및 의자부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의자 제어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의자부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의자부의 간격을 조절하여 전동휠체어가 장애물을 넘어갈 때 무게중심을 본체의 가운데에 위치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의자 제어부는, 상기 의자 제어 액추에이터를 통해 상기 전동휠체어가 버스에 탑승하여 고정될 때 의자부의 높이를 조절하여 무게 중심을 낮춰서 안정적으로 탑승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의자 제어부는, 상기 의자부의 하부에 구비된 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의자부의 간격을 조절하고, 본체부의 상부에 구비된 회전 구동부를 통해 의자부를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액츄에이터를 통해 회전 시 의자부에 연결되어 구비된 다리 받침부를 올려 본체와의 충돌을 방지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부는, 버스 탑승 시 안전바에 고리를 걸어 고정시킬 수 있는 제1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부는, 의자부의 등받이부 후면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에 장착되어 승하강 구동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전동휠체어 이동 시 상기 제1 고정부는 레일부의 상단에 위치하고, 고정 시 안전바의 높이에 맞춰 하강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부는, 버스 탑승 시 안전바로 확장되어 갈고리 잠금 고정시킬 수 있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고정부는, 의자부의 후면에 장착되어 구비되고, 일측 또는 양측으로 확장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 내측 일단에 개폐 가능한 갈고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가 안전바가 위치하는 곳까지 확장되며, 안전바를 감싸도록 갈고리부를 폐쇄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부는, 버스 탑승 시 바닥면 접지하여 본체의 접지력을 높일 수 있는 제3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고정부는, 액츄에이터를 이용하여 바닥지지대를 하강시켜 버스 바닥면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고정부의 하면에는 바닥면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무패드 소재의 마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애물 극복유닛은, 전동휠체어 본체의 전륜에 2개 후륜에 1개씩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장애물을 올라갈 때와 장애물에서 내려올 때 전동휠체어의 진행방향을 다르게 하여, 장애물 극복유닛이 안정적으로 전동휠체어를 지지하도록 하며; 상기 의자 제어부는, 상기 장애물 극복유닛 구동 시 전동휠체어의 진행방향을 다르게 하는 경우에도 의자부를 회전시켜 탑승자가 항상 진행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탑승자가 안전하게 장애물을 넘어갈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애물 극복유닛과 고정부를 포함하는 전동휠체어는 전동엑추에이터 암을 이용하는 장애물 극복유닛을 장착하여 이동시에 장애물을 넘어갈 수 있고 의자 제어 액추에이터를 구비하여 의자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며, 저상 버스에 탑승하여 고정부를 자동으로 버스에 고정하여 운전기사의 도움없이도 안전하게 탑승할 수 있어 탑승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물 극복유닛과 고정부를 포함하는 전동휠체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물 극복유닛과 고정부를 포함하는 전동휠체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휠체어의 의자 제어 액추에이터의 구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휠체어의 장애물 극복유닛을 구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휠체어의 제1 고정부의 구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휠체어의 제2 고정부의 구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휠체어의 제3 고정부의 구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제3 고정부의 구동상태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애물 극복유닛과 고정부를 포함하는 전동휠체어는, 전기를 동력으로 하여 작동하는 전동휠체어 본체(150)와 전동휠체어 본체(150)에 장착되어 장애물을 대면하였을 때 본체를 승하강 시킬 수 있는 장애물 극복유닛(100)과 전동휠체어 본체(150)의 상부에 장착되어 전동휠체어의 의자부가 회전되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제어하는 의자 제어부(120) 및 전동휠체어를 바닥면 또는 안전바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동휠체어 본체(150)는 전륜(21) 2개와 후륜(23) 2개로 총 4개의 바퀴가 구비될 수 있으며, 장애물 극복유닛(100)은, 전동휠체어 본체(150)의 양측에 전륜(21)에 2개씩(101,102,103,104) 후륜에 1개씩(105,106)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장애물 극복유닛(100)은 장애물을 올라갈 때 후륜이 전방을 향하도록 진행되고, 내려갈 때 전륜이 전방을 향하도록 진행한다. 즉, 장애물 극복 시 후륜에서 전륜 순서로 장애물을 올라가고, 전륜에서 후륜 순서로 장애물을 내려가도록 한다.
이때, 탑승자는 의자부가 회전하여 항상 진행방향을 바라볼 수 있도록 하여, 탑승자가 안전하게 장애물을 넘어갈 수 있다.
전동휠체어가 이동 시 진행방향에 장애물을 감지하면 안정적으로 장애물을 넘어갈 수 있도록 후륜(23)에서 전륜(21) 방향으로 장애물을 넘어가도록 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부(15)를 의자 제어부(120)를 통해 회전하여 탑승자는 진행방향을 항상 바라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 제어부(120)는, 장애물 극복유닛(100)이 구동 시 의자부(15)가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 구동부(128)가 구비되며, 의자부(15)의 높이 및 의자부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의자 제어 액추에이터(121 내지 124)를 포함한다.
또한, 의자부(15)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의자부(15)의 간격을 조절하여 전동휠체어가 장애물을 넘어갈 때 무게중심을 본체(150)의 가운데에 위치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장애물이 감지되어 전륜측(101 내지 104)에 배치된 장애물 극복 유닛을 구동하여 장애물을 넘어가려고 하는 경우에 탑승자를 포함하는 전동휠체어의 부하가 후륜 쪽으로 쏠려, 후륜 쪽에 구비된 장애물 극복유닛(105, 106)에 무리가 갈 수 있어서 반복되는 장애물 극복 시 후륜 쪽에 구비된 장애물 극복유닛(105, 106)의 파손이 될 수 있으므로 장애물이 감지되면 전동휠체어를 회전하여 후륜에서 전륜 방향으로 장애물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여 장애물 극복유닛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장애물 극복유닛은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장애물을 감지하는 경우 전동휠체어의 진행방향을 회전시켜 후륜(23)에서 전륜(21) 방향으로 진행되어 장애물을 넘어가도록 구동되며, 장애물 극복 유닛(100)에 의해 안정적으로 전동휠체어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되어 장애물을 넘어갈 수 있다.
장애물 극복유닛 구동상태를 살펴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휠체어의 센서부(미도시)에서 장애물(B)을 감지하거나 조작부(19)를 통해 장애물 극복유닛(100)을 구동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6 장애물 극복 유닛(101 내지 106)이 모두 하강하여 장애물 높이까지 전동휠체어를 상승시키고, 장애물의 일단에서 후륜(23)쪽에 배치된 제5 및 제6 장애물 극복 유닛(105, 106)이 장애물에 안착되면, 제2 내지 제4 장애물 극복 유닛(101 내지 104)을 통해 전동휠체어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하고, 이동에 따라 순차적으로 전륜 쪽에 배치된 제3 및 제4 장애물 극복 유닛(103, 104)이 안착되고, 이후에 제1 및 제2 장애물 극복 유닛(101, 102)이 안착될 수 있고, 이후에 장애물 타단에서 전륜 쪽의 장애물 극복 유닛(101, 102, 103, 104)이 하강되어 전동휠체어를 지지하고, 순차적으로 후륜 쪽(105, 106)의 장애물 극복 유닛이 하강하여 전동 휠체어를 지지하고, 장애물을 넘어가면 다시 장애물 극복 유닛이 모두 상승하여 장애물을 극복할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의자 제어부(120)는 전동휠체어가 버스에 탑승하여 고정될 때 의자부(15)의 높이를 액츄에이터(121 내지 124)를 통하여 조절하여 무게 중심을 낮춰서 안정적으로 탑승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의자 제어부(120)는, 의자부(15)의 하부에 구비된 레일부(15a)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의자부(15)의 간격을 조절하고, 본체부(150)의 상부에 구비된 회전 구동부(128)를 통해 의자부(15)를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액츄에이터(126)를 통해 회전 시 의자부에 연결되어 구비된 다리 받침부(20)를 올려 본체(150)와의 충돌을 방지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고정부는, 버스 탑승 시 안전바에 고리를 걸어 고정시킬 수 있는 제1 고정부(12)와, 버스 탑승 시 안전바로 확장되어 갈고리 잠금 고정시킬 수 있는 제2 고정부(16) 및 버스 탑승 시 바닥면 접지하여 본체의 접지력을 높일 수 있는 제3 고정부(160) 중 어느 하나 이상 또는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부(12)는, 의자부(15)의 등받이부(10) 후면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레일부(18)와 레일부(18)에 장착되어 승하강 구동되는 구동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부(12)는 전동휠체어 이동 시 레일부(18)의 상단에 위치하여 고정되고, 고정 시 안전바(P)의 높이에 맞춰 하강할 수 있다.
또한, 제2 고정부(16)는, 의자부(15)의 후면에 장착되어 구비되고, 일측 또는 양측으로 확장되는 걸림부(17)와 걸림부(17) 내측 일단에 개폐 가능한 갈고리부(17a)를 포함하며, 걸림부(17)가 안전바(P)가 위치하는 곳까지 확장되며, 안전바를 감싸도록 갈고리부(17a)를 폐쇄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제3 고정부(160)의 하면에는 고무패드와 같은 바닥면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마찰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고정부(12) 내지 제3 고정부(160)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의해 전동휠체어를 안정하게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애물 극복유닛과 고정부를 포함하는 전동휠체어는 전동엑추에이터 암을 이용하는 장애물 극복유닛을 장착하여 이동시에 장애물을 넘어갈 수 있고 의자 제어 액추에이터를 구비하여 의자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며, 저상 버스에 탑승하여 고정부를 자동으로 버스에 고정하여 운전기사의 도움없이도 안전하게 탑승할 수 있어 탑승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장애물 극복유닛과 고정부를 포함하는 전동휠체어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가지 실시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설명 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등받이부
11: 손잡이부
12: 제1 고정부
15: 의자부
16: 제2 고정부
17: 걸림부
19: 조작부
20: 다리 받침부
30: 발판부
31: 보조휠
100: 장애물 극복유닛
101 내지 106: 장애물 극복 액추에이터
120: 의자 제어부
121 내지 124: 의자 제어 액추에이터
150: 본체부
160: 제3 고정부

Claims (10)

  1. 전동휠체어에 있어서,
    전기를 동력으로 하여 작동하는 전동휠체어 본체;
    상기 전동휠체어 본체에 장착되어 장애물을 대면하였을 때 본체를 승하강 시킬 수 있는 장애물 극복유닛;
    상기 전동휠체어 본체의 상부에 장착되어 전동휠체어의 의자부가 회전되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제어하는 의자 제어부; 및
    상기 전동휠체어를 정지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의자 제어부는, 상기 장애물 극복유닛이 구동 시 의자부가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 구동부와, 상기 의자부의 높이 및 의자부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의자 제어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의자부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의자부의 간격을 조절하여 전동휠체어가 장애물을 넘어갈 때 무게중심을 본체의 가운데에 위치할 수 있도록 제어하며;
    상기 의자 제어부는,
    상기 의자부의 하부에 구비된 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의자부의 간격을 조절하고, 본체부의 상부에 구비된 회전 구동부를 통해 의자부를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액츄에이터를 통해 회전 시 의자부에 연결되어 구비된 다리 받침부를 올려 본체와의 충돌을 방지하도록 구동되는 장애물 극복유닛과 고정부를 포함하는 전동휠체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애물 극복유닛은,
    상기 장애물 극복유닛 구동 시 장애물을 올라갈 때 후륜에서 전륜 방향으로 진행되고 장애물에서 내려올 때 전륜에서 후륜 방향으로 진행되어 장애물을 넘어가도록 구동되며;
    상기 장애물 극복 유닛에 의해 안정적으로 전동휠체어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되어 장애물을 넘어갈 수 있는 장애물 극복유닛과 고정부를 포함하는 전동휠체어.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의자 제어부는, 상기 의자 제어 액추에이터를 통해 상기 전동휠체어가 버스에 탑승하여 고정될 때 의자부의 높이를 조절하여 무게 중심을 낮춰서 안정적으로 탑승할 수 있도록 하는 장애물 극복유닛과 고정부를 포함하는 전동휠체어.
  5. 삭제
  6. 전동휠체어에 있어서,
    전기를 동력으로 하여 작동하는 전동휠체어 본체;
    상기 전동휠체어 본체에 장착되어 장애물을 대면하였을 때 본체를 승하강 시킬 수 있는 장애물 극복유닛;
    상기 전동휠체어 본체의 상부에 장착되어 전동휠체어의 의자부가 회전되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제어하는 의자 제어부; 및
    상기 전동휠체어를 정지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버스 탑승 시 안전바에 고리를 걸어 고정시킬 수 있는 제1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부는, 의자부의 등받이부 후면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에 장착되어 승하강 구동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전동휠체어 이동 시 상기 제1 고정부는 레일부의 상단에 위치하고, 고정 시 안전바의 높이에 맞춰 하강하도록 제어되는 장애물 극복유닛과 고정부를 포함하는 전동휠체어.
  7. 전동휠체어에 있어서,
    전기를 동력으로 하여 작동하는 전동휠체어 본체;
    상기 전동휠체어 본체에 장착되어 장애물을 대면하였을 때 본체를 승하강 시킬 수 있는 장애물 극복유닛;
    상기 전동휠체어 본체의 상부에 장착되어 전동휠체어의 의자부가 회전되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제어하는 의자 제어부; 및
    상기 전동휠체어를 정지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버스 탑승 시 안전바로 확장되어 갈고리 잠금 고정시킬 수 있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고정부는, 의자부의 후면에 장착되어 구비되고, 일측 또는 양측으로 확장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 내측 일단에 개폐 가능한 갈고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가 안전바가 위치하는 곳까지 확장되며, 안전바를 감싸도록 갈고리부를 폐쇄하여 고정할 수 있는 장애물 극복유닛과 고정부를 포함하는 전동휠체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버스 탑승 시 바닥면 접지하여 본체의 접지력을 높일 수 있는 제3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고정부는, 액츄에이터를 이용하여 바닥지지대를 하강시켜 버스 바닥면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애물 극복유닛과 고정부를 포함하는 전동휠체어.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3 고정부의 하면에는 바닥면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무패드와 같은 소재의 마찰부를 더 포함하는 장애물 극복유닛과 고정부를 포함하는 전동휠체어.
  10. 전동휠체어에 있어서,
    전기를 동력으로 하여 작동하는 전동휠체어 본체;
    상기 전동휠체어 본체에 장착되어 장애물을 대면하였을 때 본체를 승하강 시킬 수 있는 장애물 극복유닛;
    상기 전동휠체어 본체의 상부에 장착되어 전동휠체어의 의자부가 회전되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제어하는 의자 제어부; 및
    상기 전동휠체어를 정지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장애물 극복유닛은, 상기 장애물 극복유닛 구동 시 장애물을 올라갈 때 후륜에서 전륜 방향으로 진행되고 장애물에서 내려올 때 전륜에서 후륜 방향으로 진행되어 장애물을 넘어가도록 구동되며;
    상기 장애물 극복 유닛에 의해 안정적으로 전동휠체어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되어 장애물을 넘어갈 수 있으며;
    상기 장애물 극복유닛은, 전동휠체어 본체의 전륜에 2개 후륜에 1개씩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장애물을 올라갈 때와 장애물에서 내려올 때 전동휠체어의 진행방향을 다르게 하여, 장애물 극복유닛이 안정적으로 전동휠체어를 지지하도록 하며;
    상기 의자 제어부는, 상기 장애물 극복유닛 구동 시 전동휠체어의 진행방향을 다르게 하는 경우에도 의자부를 회전시켜 탑승자가 항상 진행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탑승자가 안전하게 장애물을 넘어갈 수 있도록 하는 장애물 극복유닛과 고정부를 포함하는 전동휠체어.

KR1020220080267A 2022-06-30 2022-06-30 장애물 극복유닛과 고정부를 포함하는 전동휠체어 KR102445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267A KR102445702B1 (ko) 2022-06-30 2022-06-30 장애물 극복유닛과 고정부를 포함하는 전동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267A KR102445702B1 (ko) 2022-06-30 2022-06-30 장애물 극복유닛과 고정부를 포함하는 전동휠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5702B1 true KR102445702B1 (ko) 2022-09-22

Family

ID=83445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0267A KR102445702B1 (ko) 2022-06-30 2022-06-30 장애물 극복유닛과 고정부를 포함하는 전동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57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84837A (ko) 2022-12-07 2024-06-14 주식회사 케이엘큐브 전동보조기기 이용자 사고감지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8857A (ja) * 1997-12-19 1999-07-06 Daiwa House Ind Co Ltd 車椅子
JP2003245308A (ja) * 2002-02-26 2003-09-02 Yamatomekku:Kk 昇降機能付き軽車両
CN1582873B (zh) * 2003-08-22 2010-04-28 贾荣显 气动助力可上下楼梯的轮椅车
KR20120074467A (ko) * 2010-12-28 2012-07-06 전자부품연구원 턱이 있는 보도에서도 주행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
KR101463242B1 (ko) 2013-07-03 2014-12-04 주식회사 아이런 장애물 극복 유닛을 갖는 휠체어
KR200481603Y1 (ko) * 2015-11-03 2016-10-24 김도현 휠체어 고정장치
KR20170061926A (ko) * 2015-11-27 2017-06-07 윤수경 장애물을 용이하게 오르내릴 수 있는 삼단 상하운동 바퀴를 구비한 전동휠체어
CN107049631A (zh) * 2017-06-12 2017-08-18 深圳市井智高科机器人有限公司 一种轮椅及其方法
JP6220069B2 (ja) * 2014-07-11 2017-10-25 国立大学法人 東京大学 走行装置
KR20210071521A (ko) * 2019-12-06 2021-06-16 문준연 안전 고정 휠체어
CN216124703U (zh) * 2021-07-14 2022-03-25 绍兴市人民医院 一种能始终保持水平的轮椅
KR102405249B1 (ko) * 2020-07-16 2022-06-03 박찬웅 가변시트를 구비한 장애물 극복형 전동 휠체어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8857A (ja) * 1997-12-19 1999-07-06 Daiwa House Ind Co Ltd 車椅子
JP2003245308A (ja) * 2002-02-26 2003-09-02 Yamatomekku:Kk 昇降機能付き軽車両
CN1582873B (zh) * 2003-08-22 2010-04-28 贾荣显 气动助力可上下楼梯的轮椅车
KR20120074467A (ko) * 2010-12-28 2012-07-06 전자부품연구원 턱이 있는 보도에서도 주행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
KR101463242B1 (ko) 2013-07-03 2014-12-04 주식회사 아이런 장애물 극복 유닛을 갖는 휠체어
JP6220069B2 (ja) * 2014-07-11 2017-10-25 国立大学法人 東京大学 走行装置
KR200481603Y1 (ko) * 2015-11-03 2016-10-24 김도현 휠체어 고정장치
KR20170061926A (ko) * 2015-11-27 2017-06-07 윤수경 장애물을 용이하게 오르내릴 수 있는 삼단 상하운동 바퀴를 구비한 전동휠체어
CN107049631A (zh) * 2017-06-12 2017-08-18 深圳市井智高科机器人有限公司 一种轮椅及其方法
KR20210071521A (ko) * 2019-12-06 2021-06-16 문준연 안전 고정 휠체어
KR102405249B1 (ko) * 2020-07-16 2022-06-03 박찬웅 가변시트를 구비한 장애물 극복형 전동 휠체어
CN216124703U (zh) * 2021-07-14 2022-03-25 绍兴市人民医院 一种能始终保持水平的轮椅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84837A (ko) 2022-12-07 2024-06-14 주식회사 케이엘큐브 전동보조기기 이용자 사고감지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00046B2 (ja) 輸送装置
JP4202916B2 (ja) 起立補助車椅子
WO2015196942A1 (zh) 多功能无障碍出行电动轮椅
CN107307949B (zh) 载人机器人
KR20090103357A (ko) 계단 주행이 가능한 휠체어 및 그 바퀴
KR101215285B1 (ko) 턱이 있는 보도에서도 주행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
KR102046151B1 (ko) 계단승강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
KR102445702B1 (ko) 장애물 극복유닛과 고정부를 포함하는 전동휠체어
KR102235701B1 (ko) 탑승기능을 가지는 휠체어
WO2008128950A2 (en) Vehicle with variable geometry for users with deambulation problems
EP1951180B1 (en) Wheelchair
KR20100082817A (ko) 휠체어
KR102423485B1 (ko)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
KR20160129986A (ko) 기립 보조장치
KR102382528B1 (ko) 휠체어용 계단 승강 보조 장치를 이용한 계단 승강방법
KR20210055412A (ko) 계단 승월 장치
KR20050112017A (ko) 전동휠체어
JP5771344B1 (ja) 介護用車椅子
KR20230059003A (ko) 계단 승강 휠체어
KR102381643B1 (ko) 휠체어용 계단 승강 보조 장치
KR101463242B1 (ko) 장애물 극복 유닛을 갖는 휠체어
JP2011045538A (ja) クローラー椅子
JP3058272B2 (ja) 電動車椅子
CN210433633U (zh) 带有升降功能的行走转移装置
JP2005198926A (ja) 車椅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