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2017A - 전동휠체어 - Google Patents

전동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2017A
KR20050112017A KR1020040036973A KR20040036973A KR20050112017A KR 20050112017 A KR20050112017 A KR 20050112017A KR 1020040036973 A KR1020040036973 A KR 1020040036973A KR 20040036973 A KR20040036973 A KR 20040036973A KR 20050112017 A KR20050112017 A KR 20050112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horizontal
moving
wheel
occup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6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학
Original Assignee
김현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학 filed Critical 김현학
Priority to KR1020040036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12017A/ko
Publication of KR20050112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201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6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with obstacle mounting facilities, e.g. for climbing stairs, kerbs or steps
    • A61G5/061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with obstacle mounting facilities, e.g. for climbing stairs, kerbs or steps for climbing st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6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with obstacle mounting facilities, e.g. for climbing stairs, kerbs or steps
    • A61G5/066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with obstacle mounting facilities, e.g. for climbing stairs, kerbs or steps with endless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81Parts, details or accessories with shock absorbers or other suspension arrangements between frame and 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89Anti-tip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1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head or 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8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61G2203/34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for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61G2203/42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for inclin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한궤도를 이용하여 각종의 장애물을 용이하게 넘어 가도록 하고, 노면의 경사에 무관하게 의자와 탑승자는 항상 수평을 유지함과 동시에 의자와 탑승자의 무게중심을 기울기 반대쪽으로 자동으로 이동시켜 휠체어의 전도(顚倒)가 방지되도록 하는 전동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동휠체어는 제자리회전 및 등판능력을 가진 무한궤도(110)가 구비된 이동부(100)와, 상기 이동부(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탑승하는 의자부(200)와, 상기 의자부(2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의자부(200)의 수평을 유지하는 수평유지부(300)와, 상기 의자부(2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부(100), 의자부(200) 및 수평유지부(300)를 조작하는 조작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장애자의 이동능력을 향상시켜 주므로 경제 사회 활동의 참여가 확대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동휠체어{A automatic wheel chair}
본 발명은 전동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턱, 계단, 모래밭 등 기존의 바퀴 굴림식 전동휠체어가 통과할 수 없는 험한지형에서도 탑승자를 안전하게 수송할 수 있도록 탑승자가 앉은 자세에서의 수평유지와 동시에, 의자와 탑승자의 무게중심을 기울기 반대편으로 이동시켜주는 장치가 구비된 전동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체어는 다리를 사용하지 못하는 장애인이 이동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으로서,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휠(Wheel)을 회동시켜 이동하는 수동식 휠체어와 모터의 구동에 따른 바퀴의 회전동작에 따라 이동되는 전동휠체어로 구분된다.
도 1 에는 일반적인 전동휠체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전동휠체어(10)는 지상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되어 프레임(12)에 의하여 지지되며, 손잡이(14)가 구비된 등받이를 포함하는 휠체어의자(16)와, 상기 휠체어의자(16)의 후방 아래쪽에 설치되어 모터(도시되지 않음) 및 구동축(18a)으로 이루어지는 구동부재(18)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휠체어의자(16)를 지지하는 프레임(12)의 후면 양쪽에서 외측 지면과 접촉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재(18)를 구성하는 구동축(18a)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재(18)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전달받아 전후방향으로 회동되는 바퀴(20)와, 상기 프레임(12)의 선단 양쪽에서 지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후 및 좌우 회전되면서 전동휠체어(10)의 이동방향을 제어하는 좌우 한쌍의 조향바퀴(22)와, 상기 조향바퀴(22)가 설치된 프레임에 지지된 상태에서 휠체어의자(16)의 전방 아래쪽으로 설치되는 발받침판(24)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조의 종래 전동휠체어(10)에서는 구동부재(18)를 구성하는 모터(도시되지 않음)가 구동되면, 바퀴(20)와 연결된 구동축(18a)이 회동됨에 따라 휠체어의 전방 또는 후방이동이 이루어지고, 전동휠체어(10) 전면에 설치된 조향바퀴(22)를 좌우 방향으로 조절함에 따라 전동휠체어(10)의 이동방향이 조절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 전동휠체어의 경우 전방 또는 후방으로의 주행이동은 가능하여 평탄한 노면에서는 이동에 별다른 문제가 없지만 계단을 오르내리거나 인도상에 설치되는 경계턱, 폭이 좁은 도랑 등을 통과할 수 없기 때문에 휠체어용 경사로나 장애인용 리프트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건물이나 지하철역사의 출입은 불가능하여 이동권이 제한된다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각종의 장애물을 용이하게 넘어 가도록 무한궤도가 구비된 전동휠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노면의 경사에 무관하게 의자와 탑승자는 항상 수평을 유지함과 동시에 의자와 탑승자의 무게중심을 기울기 반대쪽으로 저절로 이동시켜서 휠체어의 전도(顚倒)를 방지하도록 하는 전동휠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탑승자의 심리적, 신체적 평안함을 유지한 체로 타인의 큰 도움없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전동휠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전동휠체어는, 제자리회전 및 등판능력을 가진 무한궤도가 구비된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탑승하는 의자부와, 상기 의자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의자부의 수평을 유지하는 수평유지부와, 상기 의자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부, 의자부 및 수평유지부를 조작하는 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부는 이동동력을 발생시키는 이동모터와, 상기 이동모터의 동력을 무한궤도에 전달하는 동력바퀴와, 상기 무한궤도를 타고 주행하는 주행바퀴와, 상기 무한궤도의 장력을 유지하는 탄성바퀴와, 상기 탄성바퀴의 일측과 결합되어 휠체어의 전도(顚倒)를 방지하는 늘임다리와, 상기 늘임다리를 올리거나 내려주도록 동력을 발생시키는 늘임다리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의자부는 탑승자가 앉을 수 있는 의자와, 상기 의자의 일측에 구비되어 탑승자의 체격에 따라 높이조절과 무릎각도 조절이 가능한 발받침대와, 상기 의자의 일측에 구비되어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주는 머리받침대와, 상기 의자의 일측에 구비되어 의자의 충격완화 및 회전과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가스완충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유지부는 의자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의자수평센서와, 상기 의자수평센서에 의해 의자의 수평을 자동으로 유지시켜 주는 수평기어와, 상기 수평기어에 동력을 발생시키는 수평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작부는 주행 및 회전을 조작하는 주행조작기와, 상기 의자 및 늘임다리 등을 조작하는 보조조작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부에는 노면상태를 감지하는 압력센서와, 노면의 경사를 감지하는 차체수평센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의자부에는 상기 탑승자의 목이나 머리를 보호하는 머리보호대와, 상기 탑승자의 어깨를 잡아주는 어깨받침대와, 상기 탑승자가 의자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안전벨트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유지부에는 휠체어로 경사진 곳을 오르내리거나 상기 의자를 회전할 때 무게중심을 이동시켜주는 이송랙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부의 주행바퀴는 상기 무한궤도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전,후 대응되는 갯수로 구비되며, 중앙부 주행바퀴 사이의 간격이 타 주행바퀴 사이의 간격보다 상대적으로 더 넓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장애자의 이동능력을 향상시켜 주므로 경제 사회 활동의 참여가 확대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동휠체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전동휠체어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 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전동휠체어의 배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 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전동휠체어의 계단 오르내림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5 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전동휠체어의 좌우 경사로 운행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 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전동휠체어의 궤도변형 적용 예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전동휠체어는 크게 제자리회전 및 등판능력을 가진 무한궤도(110)가 구비된 이동부(100)와, 상기 이동부(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탑승하는 의자부(200)와, 상기 의자부(2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의자부(200)의 수평을 유지하는 수평유지부(300)와, 상기 의자부(2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부(100), 의자부(200) 및 수평유지부(300)를 조작하는 조작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동부(100)는 상기 무한궤도(1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이동동력을 발생시키는 이동모터(120)와, 상기 이동모터(120)와 연결되고 상기 무한궤도(110)와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이동모터(120)의 동력을 상기 무한궤도(110)에 전달하는 동력바퀴(130)와, 상기 동력바퀴(130)의 하방으로 상기 무한궤도(110)와 접촉되어 무한궤도(110)를 타고 주행하는 다수개의 주행바퀴(140)와, 상기 동력바퀴(130)의 반대편으로 상기 무한궤도(110)의 장력을 유지하는 탄성바퀴(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동부(100)의 주행바퀴(140)는 상기 무한궤도(110)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전,후 대응되는 갯수로 구비되며, 중앙부에 형성된 주행바퀴(110) 즉 세번째에 구비된 주행바퀴(140)와 네번째에 구비된 주행바퀴(140) 사이의 간격이 타 주행바퀴(140) 사이의 간격보다 상대적으로 더 넓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동휠체어의 하향회전이 좀 더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동력바퀴(130)와 탄성바퀴(150)의 일측과 결합되어 전동휠체어의 전도(顚倒)를 방지하는 늘임다리(160)와, 상기 동력바퀴(130)와 탄성바퀴(150)의 일측과 결합된 늘임다리(160)의 타측으로 상기 늘임다리(160)를 올리거나 내려주도록 동력을 발생시키는 늘임다리모터(170)가 더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주행바퀴(140)의 상측에는 노면상태, 즉 계단, 턱, 고랑 등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압력센서(180)가 구비되고, 상기 주행바퀴(140)들이 설치된 중앙부에는 상기 이동부(100) 및 노면의 경사(좌우 기울기)를 감지하기 위한 차체수평센서(190)가 구비되어 전동휠체어의 안전 주행을 담당하게 된다.
상기 의자부(200)는 탑승자가 앉을 수 있는 의자(210)와, 상기 의자(210)의 하측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체격에 따라 발 높이조절과 무릎 각도조절이 가능한 발받침대(220)와, 상기 의자(210)의 상측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주는 머리받침대(240)와, 상기 의자(210)의 하측에 구비되어 의자(210)의 충격완화 및 회전과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가스완충기(2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의자(210)에는 탑승자가 기댈 수 있는 등받이(230)와 탑승자가 팔을 올릴 수 있는 팔걸이(250)가 물론 포함된다.
상기 발받침대(220)에는 탑승자의 체격에 따라 높이조절이 가능한 발높이조절기(222)와, 탑승자의 피로를 줄이기 위해 무릎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발받침대조절기(224) 등이 더 설치된다.
상기 팔걸이(250)는 탑승자의 승하차가 용이하도록 팔걸이회전축(252)에 의해 후방으로 90도 정도 이동되며, 상기 팔걸이(250)의 상단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각종 조작을 위한 조작부(400)가 부착되고, 상기 팔걸이(250)의 하단에는 탑승자가 의자(2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안전벨트(254)가 장착된다.
상기 등받이(230)의 하측에는 젖힘각도를 조절하는 등받이조절기(232)가 장착되고, 상기 등받이(230)의 상측에는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주는 머리받침대(240)가 설치되며, 상기 머리받침대(240)의 하단에는 머리받침대높이조절기(242)가 더 설치된다.
또한, 상기 의자부(200)에는 전동휠체어가 전도(顚倒)되었을 때 탑승자의 목이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머리보호대(270)가 상기 머리받침대(240)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머리보호대(270)의 하단에는 머리보호대(270)의 높이를 적절한 높이로 조절이 가능하도록 머리보호대높이조절기(272)가 더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머리보호대(270)의 일측에 결합되어 탑승자의 어깨를 잡아주는 어깨받침대(280)가 설치된다. 상기 어깨받침대(280)는 탑승자가 하반신 불구인 경우 허리에 힘이 없어서 앉은 자세로 오래 있기 힘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탑승자의 어깨를 잡아서 앞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어깨받침대(280)에는 탑승자의 체격에 따라 높이를 적당하게 조절하고 승차하기 용이하도록 뒤로 젖혀지는 어깨받침대조절기(282)와, 상황에 따라 상기 어깨받침대의 깊이를 조절할 있는 어깨받침대깊이조절기(284)가 포함되어 상기 머리보호대(270)의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의자(210)의 하측에는 이용상황에 따라 의자(210)의 높이가 조절 가능하고 수직충격완화 및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가스완충기(260)가 구비된다.
상기 가스완충기(260)에는 상기 의자(210)의 높이를 조절하는 의자높이조절기(262)와 의자(210)의 회전 상황에 따른 회전제어를 위한 의자회전제어기(264)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의자높이조절기(262)와 의자회전제어기(264)는 탑승자가 용이하게 조절하도록 레버로 형성되어 양측으로 설치된다.
한편, 상기 수평유지부(300)는 상기 의자(210)의 기울어짐을 감지하는 의자수평센서(320)와, 상기 의자수평센서(320)에 의해 의자(210)의 수평을 자동으로 유지시켜 주는 수평기어(340)와 상기 수평기어(340)에 동력을 발생시키는 수평모터(3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수평유지부(300)는 노면의 기울기를 상기 차체 및 의자수평센서(190,320)가 감지를 하면, 해당되는 기울어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평모터(360)를 상기 의자수평센서(320)가 수평을 재인식할 때까지 작동시켜서 상기 수평기어(34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상기 의자부(200) 및 탑승자의 무게중심을 상향 또는 하향기울기 반대편으로 저절로 이동하게 되어 전동휠체어의 전도(顚倒)를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상기 수평기어(340)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고 동작의 목적만 달성될 수 있으면 다른 구조의 적용도 가능할 것이다. 즉, 공압 또는 유압실린더나 리니어모터 등으로 대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수평유지부(300)의 하단에는 상기 수평기어(340)와 더불어 전동휠체어로 경사진 곳을 오르내리거나 상기 의자(210)를 회전할 때 무게중심을 이동시켜주는 이송랙(380)이 구비된다. 상기 이송랙(380)은 회전방향으로 적당한 거리만큼 상기 수평유지부(300)를 강제로 슬라이딩 이송시켜 상기 의자부(200) 및 수평유지부(300)의 무게중심을 좀 더 많이 움직이게 하여 좀 더 안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상기 조작부(400)는 주행 및 회전을 조작하는 주행조작기(420)와 상기 의자(210) 및 늘임다리(160) 등을 조작하는 보조조작기(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주행조작기(420)는 상기 의자(210)의 좌측에 형성된 상기 팔걸이(250)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주행조작기(420)에는 전동휠체어의 전, 후, 좌, 우, 제자리에서 회전 등의 주행을 조작하는 운전레버(422)와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기(424)가 구비된다.
상기 보조조작기(440)는 상기 의자(210)의 우측에 형성된 상기 팔걸이(250)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보조조작기(440)에는 상기 늘임다리(160)의 동작을 자동/수동으로 절환시켜 주는 늘임다리절환스위치(442)와, 상기 늘임다리(160)를 수동으로 조작하게 하는 늘임다리조작레버(444)와, 상기 의자(210)의 자세를 자동/수동으로 절환시켜 주는 자세조절절환스위치(445)와, 상기 의자(210)의 기울기를 수동으로 좌, 우, 앞, 뒤로 조절하는 기울임버튼(446)과, 상기 의자(210)의 수동 조절된 자세를 최초의 영점 설정상태로 되돌려주는 수평회복버튼(448)이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전동휠체어의 작동상태에 대해서 살펴본다.
먼저 상기 이동부(10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늘임다리(160)의 작동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 등을 오르내릴 때 상기 차체수평센서(190)의 감지에 의하여 정해진 기울기 이상으로 전동휠체어가 기울어지면 그 기울어지는 방향의 늘임다리(160), 즉 내려갈 때는 전방의 늘임다리(160)가, 그리고 올라갈 때는 후방의 늘임다리(160)가 해당 늘임다리모터(170)의 작동에 의하여 내려오므로, 상기 무한궤도(110)가 그만큼 연장되어 전동휠체어의 접지 및 자세유지의 안전성을 확보하게 된다.
그리고, 계단이 끝나서 노면기울기가 정해진 기울기 이하가 되면 상기 늘임다리(160)가 해당 늘임다리모터(170)의 작동에 의해 올라가게 되어 상기한 바와 같은 주행편이성을 확보하게 된다.
또한, 계단이나 낙차가 큰 턱 등을 내려갈 때 탑승자가 혹시 앞으로 엎어지지나 않을까 하는 불안감을 해소하고 상기 늘임다리(160)의 확실한 작동확인을 위하여 상기 늘임다리조작레버(444)를 앞으로 밀어주면, 상기 늘임다리(160)가 미리 내려와서 상기 무한궤도(110)를 연장시키게 되어 계단을 내려가게 된다. 그런 다음, 계단을 내려와서 상기 차체수평센서(190)에서 감지한 기울기가 정해진 기울기 이하일 때 다시 상기 늘임다리(160)가 올라감으로써 좀 더 확실한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이동부(100)의 압력센서(180)의 작용을 살펴보면 계단이나 턱 등의 장애물을 막 내려 갈려고 할 때, 다수개의 상기 주행바퀴(140) 중 그 장애물을 넘은 주행바퀴(140) 다음에 위치한 주행바퀴(140)의 상단에 설치된 압력센서(180)에는 압력이 급증하게 되고, 상기 장애물을 통과한 주행바퀴(140) 상단에 설치된 압력센서(180)에는 압력이 거의 해제가 된다.
이어서 순차적으로 상기 장애물을 통과한 주행바퀴(140)를 뒤따라 장애물을 넘을 주행바퀴(140) 상단에 설치된 압력센서(180)에도 압력이 증감되고, 이러한 신호가 상기 이동부(100)에 전달되어 상기 무한궤도(110)의 전방에 구비된 늘임다리(160)를 내려줌과 동시에 상기 수평유지부(300)의 수평모터(360)를 작동시켜 전동휠체어의 기울어진 각도만큼 상기 의자(210)를 미리 뒤로 기울여서 계단을 좀 더 안전하게 내려가도록 한다.
상기 압력센서(180)는 부착하는 방법이나 상황에 따라 근접스위치, 리미트스위치, 압력소자 등으로 대체하여 해당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면 어떤 종류라도 대용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번째에 형성된 주행바퀴(140)와 네번째에 형성된 주행바퀴(140) 사이의 간격이 다른 주행바퀴(140) 사이의 간격보다 넓은 것(a 〉b)은 계단 등을 내려갈 경우 전동휠체어의 하향회전이 좀 더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앞으로 기울어질 때 좀 더 천천히 기울어지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늘임다리(160)를 필요시 외에는 올린 상태를 유지하는 이유는 방향 전환시에 소요되는 통로의 폭을 최소화하여 이동의 범위을 최소화하고, 도로턱 등의 장애물을 좀 더 쉽게 넘어가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수평유지부(30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도 4 와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면의 기울기를 상기 차체 및 의자수평센서(190,320)가 감지를 하여 해당되는 기울어짐을 해소하기 위해 상기 수평모터(360)를 의자수평센서(320)가 수평을 재인식할 때까지 작동시켜서 상기 수평기어(34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상기 의자(210)의 수평을 자동으로 유지시켜 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의자부(200) 및 탑승자의 무게중심이 하향기울기 반대편으로 저절로 이동하게 되므로 전동휠체어의 전도(顚倒)를 방지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수평유지부(300)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조작기(440)의 자세조절절환스위치(445) 및 기울임버튼(446)을 이용하여 탑승자가 설정한 상태로 운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물론 이 경우에도 노면의 기울기가 상기 차체수평센서(190)에 의해 감지가 되면 상기 의자수평센서(320)가 상기 기울임버튼(446)의 조작에 의해 이미 변경되어진 만큼은 제한상태의 조정된 수평을 재인식할 때까지 상기 수평모터(360)를 자동으로 동작시켜 주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 범위 안에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동휠체어에서는, 제자리회전 및 강력한 등판능력을 가진 무한궤도가 구비되어 계단이나 턱 등의 장애물을 용이하게 넘어갈 수 있도록 운행되고, 탑승자가 탑승하는 의자부의 수평을 유지하는 수평유지부가 형성되며, 수평센서와 압력센서가 구비되어 노면상태나 기울기를 인식하여 의자부 및 수평유지부의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여 탑승자가 전동휠체어의 전복 위험의 불안감을 떨쳐 버릴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기존의 휠체어나 전동휠체어로 가기가 어려운 곳을 갈 수 있게 됨으로써 장애자의 이동능력을 향상시켜 줄 수 있게 되어, 다소 소외되어 있던 장애자의 경제 사회 활동의 참여를 확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그리고, 기존의 생활환경에 많은 개조가 없어도 장애자의 활발한 이동으로 비장애자가 활동하는 생활환경에 근접 및 사용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사회기반시설의 개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전동휠체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전동휠체어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전동휠체어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전동휠체어의 계단 오르내림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전동휠체어의 좌우 경사로 운행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전동휠체어의 궤도변형 적용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이동부 110. ..... 무한궤도
120. ..... 이동모터 130. ..... 동력바퀴
140. ..... 주행바퀴 150. ..... 탄성바퀴
160. ..... 늘임다리 170. ..... 늘임다리모터
180. ..... 압력센서 190. ..... 차체수평센서
200. ..... 의자부 210. ..... 의자
220. ..... 발받침대 222. ..... 발높이조절기
224. ..... 발받침대조절기 230. ..... 등받이
232. ..... 등받이조절기 240. ..... 머리받침대
242. ..... 머리받침대높이조절기 250. ..... 팔걸이
252. ..... 팔걸이회전축 254. ..... 안전벨트
260. ..... 가스완충기 262. ..... 의자높이조절기
264. ..... 의자회전제어기 270. ..... 머리보호대
272. ..... 머리보호대높이조절기 280. ..... 어깨받침대
282. ..... 어깨받침대조절기 284. ..... 어깨받침대깊이조절기
300. ..... 수평유지부 320. ..... 의자수평센서
340. ..... 수평기어 360. ..... 수평모터
380. ..... 이송랙 400. ..... 조작부
420. ..... 주행조작기 422. ..... 운전레버
424. ..... 속도조절기 440. ..... 보조조작기
442. ..... 늘임다리절환스위치 444. ..... 늘임다리조작레버
445. ..... 자세조절절환스위치 446. ..... 기울임버튼
448. ..... 수평회복버튼

Claims (9)

  1. 제자리회전 및 등판능력을 가진 무한궤도가 구비된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탑승하는 의자부와,
    상기 의자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의자부의 수평을 유지하는 수평유지부와,
    상기 의자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부, 의자부 및 수평유지부를 조작하는 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휠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이동동력을 발생시키는 이동모터와,
    상기 이동모터의 동력을 무한궤도에 전달하는 동력바퀴와,
    상기 무한궤도를 타고 주행하는 주행바퀴와,
    상기 무한궤도의 장력을 유지하는 탄성바퀴와,
    상기 탄성바퀴의 일측과 결합되어 휠체어의 전도(顚倒)를 방지하는 늘임다리와,
    상기 늘임다리를 올리거나 내려주도록 동력을 발생시키는 늘임다리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휠체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부는,
    탑승자가 앉을 수 있는 의자와,
    상기 의자의 일측에 구비되어 탑승자의 체격에 따라 높이조절과 무릎각도 조절이 가능한 발받침대와,
    상기 의자의 일측에 구비되어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주는 머리받침대와,
    상기 의자의 일측에 구비되어 의자의 충격완화 및 회전과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가스완충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휠체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유지부는,
    의자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의자수평센서와,
    상기 의자수평센서에 의해 의자의 수평을 자동으로 유지시켜 주는 수평기어와,
    상기 수평기어에 동력을 발생시키는 수평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휠체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주행 및 회전을 조작하는 주행조작기와,
    상기 의자 및 늘임다리 등을 조작하는 보조조작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휠체어.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에는,
    노면상태를 감지하는 압력센서와,
    노면의 경사를 감지하는 차체수평센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휠체어.
  7.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부에는,
    상기 탑승자의 목이나 머리를 보호하는 머리보호대와,
    상기 탑승자의 어깨를 잡아주는 어깨받침대와,
    상기 탑승자가 의자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안전벨트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휠체어.
  8.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유지부에는 휠체어로 경사진 곳을 오르내리거나 상기 의자를 회전할 때 무게중심을 이동시켜주는 이송랙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휠체어.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의 주행바퀴는,
    상기 무한궤도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전,후 대응되는 갯수로 구비되며, 중앙부 주행바퀴 사이의 간격이 타 주행바퀴 사이의 간격보다 상대적으로 더 넓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휠체어.
KR1020040036973A 2004-05-24 2004-05-24 전동휠체어 KR200501120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973A KR20050112017A (ko) 2004-05-24 2004-05-24 전동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973A KR20050112017A (ko) 2004-05-24 2004-05-24 전동휠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2017A true KR20050112017A (ko) 2005-11-29

Family

ID=37287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6973A KR20050112017A (ko) 2004-05-24 2004-05-24 전동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12017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203B1 (ko) * 2014-09-22 2015-02-17 (주)독도 충격흡수용 무한궤도 및 이를 구비한 전동 휠체어
KR20160042313A (ko) * 2014-10-08 2016-04-19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무한궤도
KR20210063516A (ko) * 2019-11-22 2021-06-02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휠체어용 계단 승강 보조 장치
KR20220003941A (ko) * 2020-07-02 2022-01-11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평지 진입 구간의 감지가 가능한 전동 어시스트 모듈
KR20220010651A (ko) * 2020-07-16 2022-01-26 박찬웅 가변시트를 구비한 장애물 극복형 전동 휠체어
KR102457836B1 (ko) * 2022-08-12 2022-10-26 쿠가 주식회사 전동식 모빌리티
KR20220155162A (ko) * 2021-05-14 2022-11-22 배동권 가변 궤도바퀴를 이용한 전동휠
KR20230080654A (ko) * 2021-11-30 2023-06-07 김규성 경사주행이 가능한 전동휠체어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203B1 (ko) * 2014-09-22 2015-02-17 (주)독도 충격흡수용 무한궤도 및 이를 구비한 전동 휠체어
KR20160042313A (ko) * 2014-10-08 2016-04-19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무한궤도
KR20210063516A (ko) * 2019-11-22 2021-06-02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휠체어용 계단 승강 보조 장치
KR20220003941A (ko) * 2020-07-02 2022-01-11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평지 진입 구간의 감지가 가능한 전동 어시스트 모듈
KR20220010651A (ko) * 2020-07-16 2022-01-26 박찬웅 가변시트를 구비한 장애물 극복형 전동 휠체어
KR20220155162A (ko) * 2021-05-14 2022-11-22 배동권 가변 궤도바퀴를 이용한 전동휠
KR20230080654A (ko) * 2021-11-30 2023-06-07 김규성 경사주행이 가능한 전동휠체어
KR102457836B1 (ko) * 2022-08-12 2022-10-26 쿠가 주식회사 전동식 모빌리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1755B2 (en) Vehicle with driver's seat with adjustable inclination
KR101215285B1 (ko) 턱이 있는 보도에서도 주행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
KR102046151B1 (ko) 계단승강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
KR102186898B1 (ko) 수평 유지 기능을 갖는 휠체어
CN103129423A (zh) 汽车座椅和载货车
WO2008128950A2 (en) Vehicle with variable geometry for users with deambulation problems
KR20130006902A (ko) 이동 보조 시스템
KR20050112017A (ko) 전동휠체어
JP3502335B2 (ja) 病弱者用階段等自走車
KR101623825B1 (ko) 휠체어용 자세 유지 장치
KR20160129986A (ko) 기립 보조장치
JP4529543B2 (ja) 電動車椅子
KR200173709Y1 (ko) 동력휠체어
KR101053691B1 (ko) 전동 스쿠터
KR101216028B1 (ko) 밸런싱 2륜 주행 로봇기능을 응용한 휠체어
KR101393452B1 (ko) 탑승형 자세 균형 이동장치
KR102445702B1 (ko) 장애물 극복유닛과 고정부를 포함하는 전동휠체어
KR20220071991A (ko) 신체 약자용 이송 로봇
JP3698619B2 (ja) 車椅子用昇降機
KR102393474B1 (ko) 전동보장구
JP4030009B2 (ja) 移乗機
JP2002293245A (ja) 階段等昇降車両
JP3709546B2 (ja) 自転車用サドル
KR20170002568U (ko) 노약자 및 장애인을 위한 전동 트랙체어
JPH0780469B2 (ja) 二階建バ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