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8958U - 절첩 가능한 콘테이너 램프 - Google Patents

절첩 가능한 콘테이너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8958U
KR19990028958U KR2019970041596U KR19970041596U KR19990028958U KR 19990028958 U KR19990028958 U KR 19990028958U KR 2019970041596 U KR2019970041596 U KR 2019970041596U KR 19970041596 U KR19970041596 U KR 19970041596U KR 19990028958 U KR19990028958 U KR 1999002895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amp
forklift
ground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15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성일
Original Assignee
현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성일 filed Critical 현성일
Priority to KR20199700415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8958U/ko
Publication of KR199900289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958U/ko

Links

Landscapes

  • Auxiliary Methods And Devices For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테이너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 협소한 장소에서도 쉽게 콘테이너와 접속시킬 수 있는 절첩 가능한 콘테이너용 램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콘테이너용 램프는 제1바디와 제2바디로 구성되며, 이들은 힌지로 연결된다. 상기 제1바디는 상기 콘테이너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제1보조판이 일측단에 설치되며, 상기 램프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바퀴들이 저면의 양측단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바디의 일측단에는 상기 지게차가 램프 위로 올라갈 수 있도록 지면에 안착되는 제2보조판이 설치되어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절첩 가능한 콘테이너 램프
본 고안은 콘테이너용 램프(Ramp)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협소한 공간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간단히 접고 펼 수 있는 콘테이너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콘테이너에 물건을 실던지 혹은 콘테이너에 적재된 물건을 내리기 위하여 통상 지게차 또는 하역기계를 사용해야 한다. 여기서 상기 지게차(하역기계)를 콘테이너의 내부에 진입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장비가 콘테이너용 램프(Ramp)이다. 즉, 상기 콘테이너용 램프는 콘테이너의 입구와 접속되어 지면과 콘테이너의 높이차를 완만한 경사로 형성하여 상기 콘테이너 내부로 지게차가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콘테이너용 램프는 항상 12도 이하의 완만한 경사를 가지고 상기 지게차의 하중에 견딜 수 있는 강도로 제작된다.
하지만, 종래의 콘테이너용 램프는 일체식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콘테이너와의 접속에 필요한 코너링 혹은 핸드링시 넓은 장소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보관 시에도 많은 공간을 차지하였다. 또한 상기 콘테이너용 램프는 높낮이가 항상 일정함으로써 지면의 상태, 즉 지면의 파손부분에서는 상기 램프와 콘테이너의 입구가 접속되지 않아 상기 콘테이너 내의 물건을 상/하차시킬 때 많은 불편함을 야기시켰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협소한 장소에서도 쉽게 콘테이너와 접속시킬 수 있는 절첩 가능한 콘테이너용 램프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지면의 굴곡상태에 따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콘테이너용 램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절첩 가능한 콘테이너용 램프는 일측단에 설치되어 상기 콘테이너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제1보조판과, 저면의 양측단에 설치되어 상기 램프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바퀴들을 가지는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와 힌지로 연결되며, 상기 지게차가 램프 위로 올라갈 수 있도록 지면에 안착되는 제2보조판이 설치된 제2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절첩 가능한 콘테이너 램프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절첩 가능한 콘테이너 램프의 펴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제3도는 제2도의 평면도.
제4도는 제1도의 절첩 가능한 콘테이너 램프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바디18 : 승강부
20 : 제1보조판22 : 제2보조판
24 : 축26 : 파이프
28 : 제1바디30 : 삽입대
32 : 힌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트릴 수 있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첩 가능한 콘테이너용 램프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1도를 참조하면, 콘테이너용 램프(Ramp) 500은 크게 제1바디 10과 제2바디 28로 구성되며, 이들은 힌지 32로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제1바디 10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일측단에는 제1보조판 20이 설치된다. 상기 제1보조판 20은 핀 또는 힌지로 상기 제1바디 19와 연결되어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며 콘테이너 200의 바닥면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1바디 10의 우측저면에는 사각 파이프 16이 부착되며, 상기 사각 파이프 16에는 기둥 14가 끼워져 있다. 또한 상기 기둥 14의 끝단에는 바퀴 14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사각 파이프 16의 일측면에는 승강부 18이 설치되며, 상기 승강부 18은 상기 기둥 14의 높낮이를 조절한다. 즉, 상기 승강부 18에 핸들(도시하지 않음)을 장착하여 돌리면 상기 기둥 14는 사각 파이프 14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1바디 10의 좌측 저면에는 바퀴 36이 설치된 브라켓 34가 고정 부착된다.
상기 제1바디 10의 좌측단에는 제2바디 28이 힌지 32로 연결 설치된다. 즉, 상기 제1바디 10과 제2바디 28은 힌지 32에 의해 경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2바디 28의 좌측단에는 제2보조판 22가 핀 혹은 힌지로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2보조판 22는 지면과 접촉되어 지게차가 자연스럽게 상기 제2바디 28로 오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바디 28의 저면에는 파이프 26이 용접에 의해 고정 부착되며, 상기 파이프 26에는 축 24가 끼워져 설치된다. 상기 축 24의 양측단에는 내부에 소정 깊이의 홈을 가지는 삽입대 30이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기 삽입대 30의 홈에는 지게차의 포크(Fork) 102가 끼워지며, 상기 지게차 10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삽입대 30은 축 24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운동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절첩 가능한 콘테이너용 램프의 동작과정(사용상태)을 제2도 내지 제4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콘테이너용 램프 500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상 제2바디 28이 제1바디 10에 접혀진 상태로 있다. 이후, 콘테이너에 적재된 물건을 하역시키고자 할 때는(즉, 콘테이너 램프 500을 펴고자 할 때는) 지게차의 포크 102를 제2바디의 삽입대 30에 삽입시킨 후 콘테이너용 램프 500을 콘테이너 200의 입구까지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제1바디 10의 높이와 콘테이너 200의 높이가 맞지 않을 시에는 승강부 18에 핸들을 꽂은 후 돌린다. 그러면 사각 파이프 16에 끼워진 기둥 14는 상/하로 이동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바디 10의 높이는 조절된다. 이후 상기 제1바디 10의 높이와 콘테이너 200의 높이가 일치되면, 상기 제1바디 10의 끝에 설치된 제1보조판 20을 회전시켜(펴서) 콘테이너 200의 바닥면에 안착시킨다.
이후, 지게차 100을 후진시키면서 동시에 지게차의 포크 102를 상승시킨다. 그러면 상기 삽입대 30은 파이프 26에 설치된 축 24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회전운동을 하며, 이와 동시에 제2바디 28은 힌지 32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서서히 펴지게 된다. 이후 계속해서 상기 지게차 100을 후진시키며, 이때 상기 제2바디 28과 제1바디 10과의 각도가 90도를 넘어서게 되면 상기 지게차 100은 후진하면서 포크 102를 하강시킨다. 이후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상기 제2바디 28의 끝단이 지면에 접촉되면, 상기 지게차 100은 삽입대 30으로부터 포크 102를 분리시킨다. 이후 상기 제2바디 28의 끝단에 설치된 제2보조판 22를 펴서 지면에 안착시킨다. 이로써 상기 지게차 100은 콘테이너 램프 500에 의해 콘테이너 200의 내부로 진입하여 물건을 하역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콘테이너 램프 500을 접고자 할 때는 먼저, 제2보조판 22를 제2바디 28 쪽으로 접은 후 지게차의 포크 102를 삽입대 30에 삽입시킨다. 이후 상기 지게차의 포크 102를 상승시키면서 동시에 지게차 100을 전진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2바디 28은 힌지 32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1바디 10쪽으로 접히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삽입대 30은 상부로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제2바디 28과 제1바디 10 사이의 각도가 예각으로 되면, 상기 지게차 100은 전진하면서 포크 102를 하강시킨다. 이후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상기 제2바디 28은 완전히 접혀져 제1바디 10에 안착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삽입대 30은 제2바디 28의 저면에 안착된다. 이후 상기 삽입대 30으로부터 지게차의 포크 102를 분리시킴으로써 상기 콘테이너용 램프 500은 완전히 접혀진 상태로 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두 개의 바디로 절첩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협소한 공간에서도 콘테이너의 접속에 필요한 코너링 혹은 핸드링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보관시에 많은 공간을 차지 않는 잇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콘테이너용 램프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지면의 상태 즉, 지면의 파손부분 혹은 굴곡부분에 관계없이 상기 콘테이너용 램프를 콘테이너의 입구와 접속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콘테이너 내의 물건을 상/하차시킬 때 지게차 혹은 하역기계가 상기 콘테이너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콘테이너용 램프에 있어서,
    일측단에 설치되어 상기 콘테이너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제1보조판과, 저면의 양측단에 설치되어 상기 램프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바퀴들을 가지는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와 힌지로 연결되며, 상기 지게차가 램프 위로 올라갈 수 있도록 지면에 안착되는 제2보조판이 설치된 제2바디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 가능한 콘테이너 램프.
KR2019970041596U 1997-12-23 1997-12-23 절첩 가능한 콘테이너 램프 KR1999002895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1596U KR19990028958U (ko) 1997-12-23 1997-12-23 절첩 가능한 콘테이너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1596U KR19990028958U (ko) 1997-12-23 1997-12-23 절첩 가능한 콘테이너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958U true KR19990028958U (ko) 1999-07-15

Family

ID=69695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1596U KR19990028958U (ko) 1997-12-23 1997-12-23 절첩 가능한 콘테이너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8958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780B1 (ko) * 2019-03-20 2020-05-15 이혜옥 장애인용 경사보도판 및 그 이용방법
KR20210091626A (ko) * 2020-01-14 2021-07-22 오양순 휴대가 용이한 캐리어형 휠체어 경사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780B1 (ko) * 2019-03-20 2020-05-15 이혜옥 장애인용 경사보도판 및 그 이용방법
KR20210091626A (ko) * 2020-01-14 2021-07-22 오양순 휴대가 용이한 캐리어형 휠체어 경사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81859A (en) Trailer for selectively transporting vehicles and general freight
KR20010080046A (ko) 차량용 절첩식 콘테이너
CA2689366C (en) Collapsible trailer
CN101941562B (zh) 货物用板架
CA1289591C (en) Convertible beverage body for delivery truck or trailer
US7658587B1 (en) Hydraulic tail trailer
KR19990004669U (ko) 접이식 계단
USD401731S (en) Ramp for loading and unloading trucks
KR19990028958U (ko) 절첩 가능한 콘테이너 램프
WO1989006199A1 (en) Loading ramp
WO2002049875A8 (fr) Camionnette a cabine avancee et a plate-forme de transport de marchandises ou de personnes
US5004102A (en) Rack for transporting vehicle center console assemblies
CA2283442A1 (en) Terminal for transferring containers, and a container car
EP0586318A1 (fr) Plancher double mixte transformable en une structure porte-véhicules pour unité de transport
US20040179925A1 (en) Forklift loading support
US6227788B1 (en) Side loading transport apparatus for swathers and the like
GB2168323A (en) Load elevating device
JPH10218586A (ja) フォークリフト用のパレット兼用バスケット
EP0799789A1 (fr) Dispositif de solidarisation d'un chariot de manutention à un camion, châssis de support et camion correspondants
JP2740721B2 (ja) 車両運搬車
KR920702310A (ko) 자동차 및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가동 플랫폼
FR2809057A1 (fr) Agencement de coffre de vehicule automobile a toit repliable
KR100615112B1 (ko) 다중 자동차 운반시스템
KR102409363B1 (ko) 특장차의 화물 상하차용 리프트 게이트
CN210084035U (zh) 汽车运输架及具有其的集装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