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5112B1 - 다중 자동차 운반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중 자동차 운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5112B1
KR100615112B1 KR1020027002957A KR20027002957A KR100615112B1 KR 100615112 B1 KR100615112 B1 KR 100615112B1 KR 1020027002957 A KR1020027002957 A KR 1020027002957A KR 20027002957 A KR20027002957 A KR 20027002957A KR 100615112 B1 KR100615112 B1 KR 100615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carrier
car carrier
container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2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8932A (ko
Inventor
리차드다우슨 콕스
살몬 피에나르
마크 레이시
Original Assignee
카-테이너 인터내셔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테이너 인터내셔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카-테이너 인터내셔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claimed from PCT/US1999/021155 external-priority patent/WO2001020104A1/en
Publication of KR20020048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8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5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5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60P3/07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for carrying roa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60P3/08Multilevel-deck construction carrying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6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 B65D2585/68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specific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 B65D2585/68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specific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vehicles
    • B65D2585/686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specific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vehicles automob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94Vehicle bo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Pallets (AREA)

Abstract

컨테이너(16)로 자동차들을 운반하기 위한 다중 운반시스템(A)은 첫번째 및 두번째 자동차캐리어들(18,20)을 포함한다. 첫번째 자동차캐리어(18)는 두개의 다리(42,44)를 갖는 베이스(24)를 구비하고, 두개의 다리는 베이스로부터 연장하여 서로 오프셋되어 자동차캐리어 수납공간을 형성한다. 경사 플랫폼(26)이 베이스로부터 연장하여 첫번째 자동차(10)를 경사지게 지지한다. 두번째 자도차(12)를 받쳐주는 두번째 자동차캐리어(20)는 2개의 다리(42,44)의 오프셋(46)보다 작은 폭을 갖는 전방부를 포함하기 때문에, 첫번째 자동차캐리어의 오프셋 다리들 사이로 두번째 자동차를 삽입할 수 있다.
자동차, 운반, 캐리어, 컨테이너

Description

다중 자동차 운반시스템{Multiple automobile transport system}
본 발명은 자동차 운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표준형 운반컨테이너로 여러대의 자동차들을 운반하기 위한 다중 자동차 운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판매에는 여러 장소로부터의 자동차 운반도 수반된다. 자동차는 제조공장에서 유통센터 및 최종적으로는 딜러에게 운반되어야 한다. 자동차 운반중에는, 자동차를 수리하여 전체적인 자동차 가격을 상승시키는 원인이 되는 파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동차의 안전한 운반을 확보하는 이외에도, 가능한한 많은 자동차를 한번에 운반하여 전체적인 운반비를 절감하는 것도 중요하다.
여러대의 자동차를 동시에 운반하는 한가지 방법으로는, 트랙터로 고속도로에서 견인되는 육상운반차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런 캐리어들은 그 본래 목적에는 유용하지만, 자동차를 주변에 노출시키므로 길가에서 날라오는 돌 등에 의해 운반중에 자동차를 파손시킬 염려가 있다.또, 이런 운반차들은 대형이고 자동차를 주변으로부터 보호하지 않기 때문에 운반용으로는 적절하지 않다.
자동차를 운반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운반 컨테이너에 여러대의 자동차를 싣 는 방법이 있다. 이런 운반시스템은 자동차를 밀폐하여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보호한다. 현재, 자동차를 컨테이너에 적재하는데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다.
컨테이너에 자동차를 적재하는 첫번째 방법은 컨테이너 내부로 자동차를 운전하여 적재하는 방법이다. 이방법은 "내부 적재"로 알려져 있다. 내부 적재의 문제점은, 자동차와 컨테이너 측벽 사이에 여유가 거의 없어 운전사가 자동차에 탑승했을 때 자동차 문이 부딪칠 위험이 있다는 것이다. 또, 컨테이너의 좁은 내부공간으로 자동차를 운전하는 동안 자동차가 실수로 손상될 염려가 항상 있다는 것이다.또, 컨테이너 내부로 자동차를 운전할 때, 자동차가 대부분 컨테이너 바닥에 적재되므로, 컨테이너는 두대의 자동차를 적재하기에 충분한 길이를 가져야만 한다.
그러나, 컨테이너가 충분한 높이를 가지면, 자동차를 운반하는데 경사진 자동차캐리어들을 이용할 수도 있다. 경사진 자동차캐리어 시스템이 공동출원중인 미국특허출원 08/943,539에 예시되어 있다. 경사진 자동차캐리어 시스템의 경사램프로 인해 컨테이너 내부의 수직공간으로 두대의 자동차들을 추가로 운반할 수 있다. 통상, 컨테이너 내부에 경사 자동차캐리어들을 적재하기 전에 자동차를 경사 자동차캐리어들 위로 운전한다. 자동차가 경사진 자동차캐리어에 적재되면, 경사진 자동차캐리어를 지게차로 들어올려 컨테이너 내부에 위치시킨다. 이런 기술을 "외부적재"라 한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는, 한대의 자동차캐리어를 이용해 두대의 자동차를 운반할 수 없는 제한이 있다. 이런 제한은, 운반컨테이너의 사이즈나 운반될 자동차의 사이즈로 인해 생길 수 있다. 예컨대, 어떤 운반컨테이너들은 높이가 낮아 상부 자동차 지지대의 경사를 제한하기 때문에, 하나의 자동차캐리어를 이용해 여러대의 자동차를 운반할 수 없게 된다. 또, SUV(sport utility vehicle) 같은 자동차는 아주 크고 무겁다. 따라서, 이런 형태의 비슷한 자동차 두대를 하나의 자동차캐리어에 배치하면, 그 무게가 무거워 지게차로 들어올릴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 이런 자동차들의 사이즈와 컨테이너의 제한된 높이가 결합하여, 경사진 자동차 밑에 한대의 자동차를 위치시킬 경우, 필요한 각도가 너무 급해 실현될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두대 이상의 자동차를 표준형 컨테이너로 부적절한 문제점 없이 운반할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이 필요하다. 또, 이런 시스템은 운반 컨테이너에 자동차를 싣고 내리는 동안 자동차를 쉽게 취급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두대 이상의 자동차를 운반 컨테이너를 통해 동시에 운반할 수 있도록 경사진 자동차 지지대를 이용할 수 있는 수평 팰릿 디자인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컨테이너 내부의 자동차들을 순서대로 내릴 수 있도록 팰릿들을 연결하기 위한 잠금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대형 자동차를 운반하기 위한 독특한 팰릿 디자인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상의 목적들은 컨테이너로 자동차들을 운반하는 다중 자동차 운반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된다. 이 운반시스템은 서로 중첩되는 첫번째 및 두번째 자동차캐리어들을 포함한다. 첫번째 자동차캐리어에는 컨테이너 바닥에 놓 이는 베이스가 있다. 두번째 자동차캐리어에도 컨테이너 바닥에 놓이는 베이스가 있다. 이 베이스는 두번째 자동차를 받쳐주는 플랫폼을 이룬다. 첫번째와 두번째 캐리어들은 길이방향으로 겹치도록 구성되어, 컨테이너 내부에서 가능한 각도와 길이로 자동차를 비스듬하게 지지함으로써 수평한 두대의 자동차의 길이보다 짧은 공간에 두대의 자동차를 적재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표준 컨테이너로 운반되는 3대의 자동차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자동차 운반시스템에 사용되는 각각의 자동차캐리어들의 베이스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자동차 운반시스템에 사용되는 경사진 자동차캐리어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자동차 운반시스템에 사용되는 경사진 자동차캐리어의 베이스 팰릿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자동차 운반시스템에 사용되는 수평 자동차캐리어의 베이스팰릿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자동차 운반시스템에 사용되는 각각의 자동차캐리어들을 연결하기 위한 잠금기구의 측면도;
도 7은 충분한 길이를 갖는 컨테이너로 4대의 대형 자동차를 운반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두번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자동차 운송시스템(A)은 3대 이상의 자동차, 즉 첫번째 자동차(10), 두번째 자동차(12) 및 세번째 자동차(14)를 표준 컨테이너(16)에 실어서 운반하는데 이용된다. 첫번째 자동차(10)는 첫번째 자동차 캐리어(18)에 의해 비스듬하게 지지된다. 두번째 자동차(12)는 첫번째 자동차(10) 밑으로 일부 삽입되어 두번째 자동차 캐리어(20)에 지지된다. 세번째 자동차(14)는 두번째 자동차 캐리어(20) 뒤의 세번째 자동차 캐리어(22)에 지지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대의 자동차 캐리어들은 표준 컨테이너 내부에 끼워지도록 같은 폭을 갖는다. 이 폭은 2300㎜가 바람직하다. 자동차 캐리어들은 컨테이너(16) 바닥면의 공통 종축선을 따라 배치된다. 이런 배열에서 3대의 자동차를 컨테이너(16) 내부에 적재할 수 있다. 첫번째 및 두번째 자동차 캐리어들(18,20)은 종방향으로 서로 중첩되어, 컨테이너 바닥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두대의 자동차보다 짧은 길이로 두대의 자동차들을 배치할 수 있다.
도 2,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번째 자동차캐리어(18)는 컨테이너(16) 바닥에 놓이는 첫번째 자동차캐리어 베이스(24)와 경사램프(26)를 구비한다. 첫번째 자동차캐리어 베이스(24)는 후방 프레임부(30)와 전방 프레임부(32)를 구비한다. 후방 프레임부(30)는 전방 프레임부재(34), 좌측 프레임부재(36), 우측 프레임부재(38) 및 후방 프레임부재(40)를 구비한다. 후방 프레임부(30)는 또한 서로 오 프셋되는 다수의 내부 가로 프레임부재들(48)과, 서로 오프셋되고 다른 프레임부재들과 협력하여 경량 팰릿을 형성하는 다수의 내부 세로 프레임부재들(50)을 포함한다. 후방프레임부(30)에 포크 삽입부(52)가 달려 있어, 지게차와 같은 취급장치의 아암을 삽입하여 첫번째 자동차캐리어(18)를 컨테이너(16) 내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첫번째 자동차캐리어(18)의 전방 프레임부(32)는 좌측 프레임부재(36)에서 전방 프레임부재(34)를 지나쳐 연장되는 첫번째 다리(42)와, 우측 프레임부재(38)에서 전방 프레임부재(34)를 지나쳐 연장되는 두번째 다리(44)를 구비한다. 첫번째 다리(42)와 두번째 다리(44) 사이에 두번째 자동차캐리어의 수납공간(46)이 형성된다. 뒤에 자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첫번째, 두번째 다리(42,44)의 간격이 대개 전방 프레임부재(32)의 폭과 두번째 자동차캐리어(20)의 전방부의 폭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 간격은 약 2000㎜이고 양쪽 다리의 길이는 약 1430㎜이다. 첫번째 자동차캐리어(16)의 전체 길이는 약 4450㎜이다.
도 1,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번째 자동차(10)는 첫번째 자동차캐리어(18)에 의해 첫번째 자동차캐리어 베이스(24) 위로 비스듬하게 경사램프(26)에 지지된다. 경사램프(26) 둘다에 횡방향 프레임부재(48)에 연결되는 U형 브래킷들이 달린 제1 단부가 있다. 경사진 위치로 경사램프(26)를 지지하기 위해, 첫번째 다리(42)에 첫번째 경사램프 지지부(54)가 지지되고, 두번째 다리(44)에 두번째 경사램프 지지부(56)가 지지된다. 이들 첫번째 및 두번째 경사램프 지지부들(54,56) 모두 각각의 다리에서 위로 이어진다. 첫번째, 두번째 경사램프 지지부들에 수평 지지바아(58)가 지지된다. 경사램프(26) 둘다에는 수평 지지바아(58)에 결합되는 U형 브래킷들이 달린 제2 단부가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경사램프들(26)은 다리(42,44) 위로 약 121.92㎝(4ft)의 높이로 상승되어, 두번째 자동차캐리어 수납공간(46)에 위치되는 두번째 자동차의 후드에 대해 충분한 여유를 갖도록 한다.
도 2,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번째 자동차캐리어(20)와 세번째 자동차캐리어(22)는 동일하다. 세번째 자동차캐리어(22)를 두번째 자동차캐리어(20)와 동일하게 하면, 컨테이너(16) 내부에 각각의 자동차캐리어들을 배열하는데 융통성이 있다. 이들 자동차캐리어 둘다 자동차캐리어 베이스(60)를 갖는다. 자동차캐리어 베이스(60)는 후방 프레임부재(62)와 전방 프레임부재(64)를 포함한다. 후방 프레임부재(62)는 전방 프레임부재(66)보다 넓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후방 프레임부재(62)의 폭은 약 2300㎜이고, 전방 프레임부재(66)의 폭은 약 1970㎜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두번째 자동차캐리어 수납공간은 두번째 자동차캐리어(20)의 전방 프레임부재(66)를 수납하기에 충분한 크기를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후방 프레임부재(62)는 좌측 사이드부재(68), 후방 사이드부재(70), 우측 사이드부재(72)로 구성된다. 전방 프레임부재(66)는 전방좌측 프레임부재(74)와 전방우측 프레임부재(76)를 포함한다. 전방좌측 프레임부재(74)는 후방 프레임부재(62)의 좌측 사이드부재(68)에서 약 150㎜ 정도 오프셋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전방우측 프레임부재(76) 역시 후방 프레임부재(62)의 우측 사이드부재(72)에서 약 150㎜ 정도 오프셋되어 있다. 전방좌측 프레임부재(74) 및 전방우측 프레임부재(76)는 각각 오프셋 프레임부재(78,80)에 의해 후방 프레임부재(62)에 연결된다. 물론, 전방 프 레임부가 첫번째 자동차캐리어의 오프셋에 수납될 수 있는 한 후방 프레임부와 전방 프레임부의 폭은 동일할 수 있다. 두번째 자동차캐리어(20)는 또한 차륜을 수납하기 위한 다수의 차륜 홈(82)을 구비한다. 자동차캐리어 베이스에 차륜을 고정하는데 고정구(84)를 이용한다. 또, 자동차캐리어 베이스(60)에는 지게차의 포크들을 삽입하기 위한 포크 삽입부(52)가 달려있다.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번째 자동차캐리어(20)나 세번째 자동차캐리어(22)가 첫번째 자동차캐리어(18)와 일부 겹쳐지기 때문에 3대의 자동차캐리어들을 표준 컨테이너 내부에 동시에 설치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중첩부의 길이는 약 1430㎜이다. 중첩부로 인해, 두번째 자동차(12)의 전방부 위로 올라가면서도 높이 약 8.5ft의 표준 컨테이너보다 높지 않도록 하는 경사각으로 경사램프들(26)이 기울어질 수 있다.
3대의 자동차들이 표준 컨테이너(16) 내부에 운반을 위해 포장된다. 표준형 컨테이너 외부에서, 첫번째 자동차(10)를 경사램프(26) 위로 운전하여 적재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경사램프(26)에는 자동차의 앞바퀴를 경사램프에 고정하기 위한 너클부(86)가 있다. 또, 외부에서 두번째, 세번째 자동차들을 저상 팰릿위로 운전하여 차륜 홈에 위치시킨 다음 고정구로 고정하여 각각의 자동차캐리어들에 적재한다. 3대의 자동차들을 각각 외부에서 자동차캐리어에 적재한 뒤, 지게차의 포크를 각각의 포크 삽입부에 삽입하여 각각의 팰릿들을 들어올린 다음 표준 컨테이너의 내부에 위치시킨다. 통상, 두번째나 세번째 자동차캐리어중 하나를 먼저 적재한 다음 나머지 비슷한 자동차캐리어를 적재한다. 이런식으로, 두번째 적재된 자동 차캐리어를 지게차로 들어올려 첫번째 적재된 자동차캐리어에 맞댄다음 뒤로 밀어서, 첫번째와 두번째 적재된 자동차캐리어들을 모두 컨테이너 안으로 밀어넣는다. 다음, 첫번째 자동차캐리어의 전방 다리들 사이에 두번째나 세번째 자동차캐리어의 전방 프레임부가 위치하도록 전방 다리들을 위치시킨채 첫번째 자동차캐리어를 적재한다.
다음, 모든 자동차캐리어가 컨테이너 내부에 적재될 때까지 첫번째 자동차캐리어를 다른 자동차캐리어 내부로 밀어준다. 자동차들을 외부에서 적재하기 때문에, 자동차가 파손될 위험이 감소된다. 또, 두번째 및 세번째 자동차캐리어가 동일하기 때문에, 자동차캐리어들을 호환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자동차들을 취급하기가 용이하다. 두번째나 세번째 자동차캐리어를 특별한 순서로 컨테이너 내부에 배치할 필요는 없는데, 이는 이들 자동차캐리어들 전방 프레임부재를 첫번째 자동차캐리어에 암수형태로 삽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팰릿을 제공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자동차들을 쉽게 적재하여 컨테이너 내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도 6은 SUV와 같은 크고 무거운 자동차들을 적재하기 위한 본 발명의 두번째 실시예를 보여준다. SUV는 다른 차량보다 무겁고 크기 때문에, 지게차로 취급하려면 캐리어 1대당 차량 한대만을 운반하는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SUV의 외장 길이는 15피트이고 높이는 5.5피트이다. SUV를 첫번째 캐리어(10)로 운반하려면, 경사램프(26)가 베이스에 대해 21°로 기울어지는 것이 좋다. 이 각도에서 SUV의 높이와 길이를 수용하도록 베이스 위에 SUV를 위치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경사램프(26)의 높이는 베이스 위로 약 5피트이다. 이 높이에서는, 두번째 자동차 캐리어(12) 위의 낮은 SUV의 전방부를 램프 밑에 위치시킬 수 있다. 첫번째 자동차캐리어(10)의 후방 프레임부(20)의 전방 프레임부재(34)는 첫번째와 두번째 다리(42,44)의 단부로부터 약 4.5피트 떨어져 이들 다리 사이에 횡으로 위치한다. 전방 프레임부재(34)는 두번째 자동차캐리어(12)의 전연부와 맞닿아 정지구 역할을 한다. 두번째 자동차캐리어(12)가 두번째 자동차캐리어 수납공간(46)에 위치하면, 두번째 자동차캐리어(12)의 전연부가 전방 프레임부재(34)에 맞닿을 때까지 앞으로 밀린다. 이런 맞닿음으로 인해, 자동차가 경사램프에 걸려 파손되지 않도록 경사진 상부 자동차 밑으로 자동차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이런 맞닿음으로 인해, 자동차의 파손의 염려 없이 지게차 등을 이용해 하부 자동차를 뒤에서부터 조작할 수 있다. 일단 두번째 자동차캐리어를 첫번째 자동차캐리어의 두번째 자동차캐리어 수납공간에 위치시키면, 조작자는 두번째 자동차캐리어가 전방 프레임부에 맞닿을 때까지 캐리어를 전진시키기만 하면 된다.
도 3, 4,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번째와 두번째 자동차캐리어들(10,12)을 잠금장치(86)로 잠근다. 잠금장치(86)는 첫번째 자동차캐리어(10)의 첫번째 다리(42)를 가로지르는 사각형 형태의 수평 바아(88)와, 두번째 자동차캐리어(12)에 달린 래치(90)를 포함한다. 래치(90)는 테이퍼형 전단부(92)와, 래치 하우징(94)에 피봇 지지된 후단부를 구비한다. 래치(90)는 또한 수평바아(88)에 걸리도록 사각형 형태로 된 래치홈(96)을 더 포함한다. 수평바아(88)와 래치홈(96)은 두번째 자동차캐리어가 전방 프레임부재(34)에 맞닿을 때 서로 맞물리도록 위치된다. 자동차캐리어들이 맞닿을 때 래치(90)의 무게로 인해 래치가 하강하여 수평바아(88)에 맞물리 도록 래치홈을 수평바아 위에 위치시키도록 하는 오버래핑 배열로 자동차캐리어들이 위치함에 따라, 래치(90)의 테이퍼형 전단부가 수평바아(88) 위로 미끄러질 수 있다.
각각의 자동차캐리어들을 폐쇄 컨테이너에 적재할 때, 두번째 자동차캐리어(12)를 첫번째 자동차캐리어(10)와 겹치도록 위치시키기 때문에, 두번째 자동차캐리어의 전방부가 전방 프레임부재(34)에 맞닿음과 동시에 래치홈(96)이 수평바아(88)에 맞물려 두번째 자동차캐리어가 첫번째 자동차캐리어(10)에 고정된다. 물론, 첫번째와 두번째 자동차캐리어들이 서로 겹쳐진채 운반될 때 이런 잠금기구에 의해 고정되기만 하면 수평바아(88)와 래치(90)를 어떻게 위치시켜도 된다.
또, 두번째 자동차캐리어에도 세번째 자동차캐리어의 래치(90)에 맞물리는 수평바아(88)가 있다. 이 경우, 래치(90)는 두번째 자동차캐리어에 달려 있다. 세번째 자동차캐리어나 두번째-첫번째 자동차캐리어 조립체는 두번째 자동차캐리어와 겹치지 않으므로, 세번째 자동차캐리어의 전방부나 두번째-첫번째 자동차캐리어 조립체의 전방부가 두번째 자동차캐리어의 후방에 맞닿을 때 잠금기구가 작용하도록 고안된다. 이런식으로, 여러개의 운반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서로 겹쳐 있는 첫번째, 두번째 자동차캐리어들 및 두번째 자동차캐리어의 후방부에 맞닿는 세번째 자동차캐리어를 이용해 세대의 자동차를 운반할 수 있다. 이들 캐리어 각각을 잠금기구로 고정한다. 또, 대형 컨테이너로 SUV를 운반하려면, 서로 겹치는 첫번째, 두번째 자동차캐리어 조립체 두개를 컨테이너 내부에 위치시켜 4대의 자동차를 운반할 수 있다. 각각의 자동차캐리어 역시 잠금기구로 서로 고정한다.
3대의 자동차캐리어만 운반할 수 있는 소형 컨테이너에 자동차캐리어들을 적재할 때, 첫번째 자동차캐리어를 지게차로 조작하여 컨테이너에 적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캐리어를 컨테이너 안쪽으로 밀어넣는다. 다음, 두번째 자동차캐리어를 컨테이너 내부에 놓은 다음 첫번째 자동차캐리어와 겹쳐지도록 밀어넣는다. 이렇게 겹쳐지는 위치로 되었을 때, 잠금기구에 의해 첫번째와 두번째 자동차캐리어들이 서로 고정된다. 다음, 세번째 자동차캐리어를 컨테이너 내부에 놓고 두번째 캐리어에 닿을 때까지 전진시킨다. 두번째 캐리어에 닿으면, 잠금기구에 의해 두번째와 세번째 자동차캐리어들이 서로 고정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4대의 자동차를 운반할 경우, 첫번째와 두번째 자동차캐리어 조립체를 두세트 이용한다. 첫번째 세트에서 2대의 캐리어들이 서로 겹쳐지게 고정되고, 두번째 세트에서도 2대의 캐리어들이 서로 겹쳐지게 고정된다. 또, 첫번째 세트와 두번째 세트를 이들 사이의 잠금기구로 고정한다.
자동차캐리어들을 내릴 때에는, 컨테이너 도어에 가까운 자동차캐리어를 지게차를 이용해 뒤로 이동시킨다. 자동차캐리어들이 모두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은 모두 같이 움직인다. 인접한 자동차캐리어들의 래치와 수평바아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지게차로 조작된 자동차캐리어를 위로 들어올려 컨테이너에서 내린다. 동일한 방식으로 다른 캐리어들을 내린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표준 운반컨테이너로 자동차를 운반하는데 있어 아 주 유용한 방식이 제공된다. 각각의 자동차캐리어들을 제공함으로써 자동차를 지게차를 이용해 외부에서 적재하고 취급할 수 있다. 첫번째 자동차가 두번째 자동차의 후드 위로 경사지도록 하는 독특한 설계로 인해, 자동차캐리어들을 겹쳐놓을 수 있다. 이때문에, 표준 컨테이너의 수평 바닥공간의 이용을 극대화하여 표준 컨테이너에 자동차를 자동차를 3대까지 적재할 수 있다.

Claims (14)

  1. 삭제
  2. 컨테이너로 자동차를 운반하기 위한 다중 자동차 운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의 바닥에 지지되는 첫번째 자동차캐리어 베이스, 자동차캐리어 수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베이스로부터 서로 떨어져 연장되는 첫번째 및 두번째 다리들, 상기 베이스로부터 위로 연장하여 첫번째 자동차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경사램프, 및 컨테이너내에서 상기 첫번째 자동차캐리어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지게차의 포크를 삽입하기 위한 첫번째 포크삽입부 쌍을 포함하는 첫번째 자동차캐리어; 및
    상기 컨테이너 바닥에 지지되어 두번째 자동차를 지지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두번째 자동차캐리어;를 포함하고,
    상기 두번째 자동차캐리어 베이스는 전방부와 후방부를 포함하며;
    상기 두번째 자동차캐리어 베이스의 전방부의 폭은 상기 첫번째 자동차캐리어의 첫번째 및 두번째 다리들의 간격보다 좁기 때문에, 운반부를 형성하는 첫번째 자동차캐리어의 자동차캐리어 수납공간에 상기 두번째 자동차캐리어의 전방부를 수납하되, 상기 두번째 자동차캐리어 베이스의 전방부가 첫번째 자동차캐리어 위로 겹쳐지고;
    상기 두번째 자동차캐리어 베이스가 운반위치에 있을 때, 두번째 자동차캐리어 베이스의 후방부는 그 전방부와 첫번째 자동차캐리어가 겹치는 부분을 지나 뻗어있으며;
    컨테이너내의 두번째 자동차캐리어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지게차의 포크를 삽입하기 위한 두번째 포크삽입부 쌍이 있고;
    상기 첫번째 및 두번째 자동차캐리어들이 지게차에 의해 컨테이너내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위치하되, 운반위치에서는 서로 겹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자동차 운반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바닥에 지지되는 세번째 자동차캐리어를 더 포함하고, 세번째 자동차캐리어는 세번째 자동차를 지지하며 두번째 자동차캐리어와 같은 형상을 가지며, 운반위치에서 서로 떨어진 다리들을 갖는 첫번째 자동차캐리어에 첫번째 자동차를 경사지게 지지하고 이들 다리 사이로 두번째나 세번째 자동차캐리어를 교대로 배치하여 표준형 컨테이너로 3대의 자동차를 운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자동차 운반시스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첫번째 및 두번째 자동차캐리어들 모두 소정 길이를 갖고, 이들 길이의 합은 상기 운반위치로 결합되지 않았을 때보다 운반위치로 결합되었을 때 더 짧아 첫번째와 두번째 자동차캐리어들을 운반위치로 결합했을 때는 운반위치로 결합하지 않았을 때보다 컨테이너 바닥의 더 좁은 영역을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자동차 운반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첫번째 자동차캐리어는 제1 잠금수단을 구비하고, 두번째 자동차캐리어는 자동차캐리어가 상기 자동차 수납공간에 수납되었을 때 상기 제1 잠금수단에 맞물리는 제2 잠금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자동차 운반시스템.
  7. 컨테이너로 자동차들을 운반하기 위한 다중 자동차 운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의 바닥에 지지되는 첫번째 자동차캐리어 베이스, 자동차캐리어 수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베이스로부터 서로 떨어져 연장하는 첫번째 및 두번째 다리들, 상기 자동차 수납공간의 전방 경계를 형성하는 상기 첫번째, 두번째 다리 연장부들을 서로 연결하는 가로부재, 및 상기 베이스로부터 위로 연장하여 첫번째 자동차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경사램프를 포함하는 첫번째 자동차캐리어; 및
    상기 컨테이너 바닥에 지지되어 일반적 형상의 두번째 자동차를 지지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두번째 자동차캐리어;를 포함하고,
    상기 두번째 자동차캐리어 베이스는 전방부와 후방부를 포함하며;
    상기 두번째 자동차캐리어 베이스의 전방부의 폭은 상기 첫번째 자동차캐리어의 첫번째 및 두번째 다리 사이의 간격보다 좁기 때문에, 운반부를 형성하는 첫번째 자동차캐리어의 자동차캐리어 수납공간에 상기 두번째 자동차캐리어의 전방부를 수납할 수 있고;
    두번째 자동차의 앞바퀴들을 받쳐주도록 상기 두번째 자동차캐리어 베이스에 달려 있는 적어도 한쌍의 차륜 지지부들은 상기 전방부로부터 소정 간격 오프셋되어 있으며;
    상기 차륜 지지부의 오프셋은 상기 두번째 자동차캐리어를 자동차캐리어 수납공간에 삽입했을 때 상기 일반형 두번째 자동차가 첫번째 자동차캐리어의 경사램프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에 충분한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자동차 운반시스템.
  8. 컨테이너로 4대의 자동차를 운반하기 위한 운반시스템에 있어서:
    컨테이너 바닥에 첫번째 자동차를 경사지게 받쳐주는 경사부와 베이스를 갖는 첫번째 자동차캐리어;
    첫번째 자동차 밑에 두번째 자동차를 수평으로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를 갖고, 상기 첫번째 자동차캐리어와 길이방향으로 겹쳐져 컨테이너 바닥에 두대의 자동차를 길이방향으로 배열할 때 필요한 공간보다 좁은 공간에 두대의 자동차를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두번째 자동차캐리어;
    컨테이너 바닥에 세번째 자동차를 경사지게 받쳐주는 경사램프와 베이스를 갖는 세번째 자동차캐리어; 및
    세번째 자동차 밑에 네번째 자동차를 수평으로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를 갖고, 상기 세번째 자동차캐리어와 길이방향으로 겹쳐져 컨테이너 바닥에 두대의 자동차를 길이방향으로 배열할 때 필요한 공간보다 좁은 공간에 두대의 자동차를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네번째 자동차캐리어;를 포함하고,
    상기 두번째 자동차캐리어를 자동차캐리어 수납공간에 넣을 때 첫번째와 두번째 자동차캐리어들을 단단히 고정하기 위해 서로 결합되는 잠금수단이 첫번째, 두번째 자동차캐리어들에 있으며;
    각각의 자동차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는 각각의 자동차캐리어에 의해 하나의 컨테이너로 4대의 자동차들을 운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시스템.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두번째 및 세번째 자동차캐리어들에는 세번째 자동차캐리어가 두번째 자동차캐리어에 맞닿을 때 이들 캐리어들을 서로 고정하기 위한 결합잠금수단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이 수평바아와 이 수평바아에 대응하는 단면을 갖는 래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세번째 및 네번째 자동차캐리어들에는 네번째 자동차캐리어를 세번째 자동차캐리어의 자동차수납공간에 삽입했을 때 이들 캐리어들을 서로 고정하기 위한 결합잠금수단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시스템.
  13. 삭제
  14. 삭제
KR1020027002957A 1999-09-10 1999-09-10 다중 자동차 운반시스템 KR1006151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1999/021155 WO2001020104A1 (en) 1998-08-25 1999-09-10 Multiple automobile transport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8932A KR20020048932A (ko) 2002-06-24
KR100615112B1 true KR100615112B1 (ko) 2006-08-23

Family

ID=22273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2957A KR100615112B1 (ko) 1999-09-10 1999-09-10 다중 자동차 운반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222347A4 (ko)
JP (1) JP2003509303A (ko)
KR (1) KR100615112B1 (ko)
AU (1) AU604059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58537B2 (ja) * 2004-08-04 2011-03-23 日本郵船株式会社 車輌積付け方法
CN106760743A (zh) * 2017-02-10 2017-05-31 晏绍昆 一种侧方双层立体停车库及应用其的停车方法
CN108674865B (zh) * 2018-05-04 2023-12-26 重庆长良物流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样车运输的料架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23428C2 (de) * 1979-06-09 1986-04-30 H. Spier + Sohn, 3282 Steinheim Stapel- und Fixiervorrichtung für Personenkraftwagen zu Transportzwecken
US5344266A (en) * 1993-04-16 1994-09-06 Kolb Peter W Fully adjustable storage device for loading and transporting vehicles in containers
US5567111A (en) * 1993-12-28 1996-10-22 G & G Intellectual Properties, Inc. Method for handling and transporting wheeled veh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22347A4 (en) 2006-05-24
JP2003509303A (ja) 2003-03-11
EP1222347A1 (en) 2002-07-17
KR20020048932A (ko) 2002-06-24
AU6040599A (en) 2001-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16515C (en) Palletizer trailer and storage container
US5938397A (en) Loading and unloading ramp for pickup trucks trailers and vans
CA1293285C (en) Transportation container
EP1022185B1 (en) Transport cart system and method of its manufacture and operation
AU1781299A (en) Foldable container for vehicles
US3993343A (en) Transporting system
JPH03501106A (ja) 貨物輸送用の一貫輸送コンテナの輸送能力を増大する方法と装置
US20170217354A1 (en) Individual, universal, removable, load-bearing pallet for car-carrying vehicle
US9440769B2 (en) Platform for use in a logistic system
KR100615112B1 (ko) 다중 자동차 운반시스템
US6196776B1 (en) Multiple automobile transport system
US3934926A (en) Transporting system
JP2868964B2 (ja) 自動倉庫の入出庫設備及びそれを使っての入出庫方法
JP3203574U (ja) かご車運搬用パレット
JP2022071813A (ja) 車タイヤの搬送システム
US3752085A (en) Vehicle transporter
US20160159266A1 (en) Vehicle, facility and stations for loading and unloading a container
WO2001020104A1 (en) Multiple automobile transport system
EP3294645B1 (en) Vehicle body carrier and method of loading a vehicle body onto such a carrier
CN211282251U (zh) 车辆运输架
NL1022349C2 (nl) Laad- en lossysteem.
JP2995050B1 (ja) コンテナーによる自動車輸送方法に用いる支持台
JPH11278144A (ja) 板ガラスなどの板状物の配送車
JPH0561095U (ja) 作業車の梱包枠
US20040244129A1 (en) Container r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