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7250A - 공간 활용형 계단 장치 - Google Patents

공간 활용형 계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7250A
KR20190077250A KR1020190065151A KR20190065151A KR20190077250A KR 20190077250 A KR20190077250 A KR 20190077250A KR 1020190065151 A KR1020190065151 A KR 1020190065151A KR 20190065151 A KR20190065151 A KR 20190065151A KR 20190077250 A KR20190077250 A KR 20190077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movement
stepped
staircase
dri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5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민
Original Assignee
김동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민 filed Critical 김동민
Priority to KR1020190065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7250A/ko
Publication of KR20190077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72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4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 E04F11/06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collapsible, e.g. folding, telescopic
    • E04F11/068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collapsible, e.g. folding, telescopic telescop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내부로 출입하기 위해 설치되는 계단을 바닥과 수평하도록
설치된 구동부와 하층계단을 연결하여 계단을 사용할때는 계단 형태로 존재
하고, 계단을 사용하지 않을때에는 계단 미사용 형태로 계단이 계단함 안쪽
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무대, 단상 등의 공간을 확보하고 무대, 단상 아래 바
닥의 공간도 확보 하여 협소한 공간의 통행을 원활하게 해주며, 무대, 단상
등의 공간을확보 하여 행사중 계단으로 떨어지는 사고를 예방하고, 기존의
좁았던 무대 아래의 공간에서 리프트 등을 활용하여 장애우, 유모차, 노약자
들이 단상에 오르도록 할 수 있어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하고 생활을 편리성
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안전성도 챙길수 있어 협소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
하는데 이바지할 수 있는 공간 활용형 계단 장치 및 그 작동방법을 제공하고
자 한다.

Description

공간 활용형 계단 장치 {Space Utilized Stair}
본 발명은 공간 활용형 계단 장치 및 그 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내부 혹은 단상 위로 오르기 위해 설치되는 계단을 구동부의 작동에의해 계단이 계단함 안으로 들어가게 함으로써 기존의 사용할 수 없던 무대, 바닥공간을 확보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이동을 원활하게 하며 단순한 구조로 인하여 이미 설치된 무대, 단상 등의 재질, 크기 등에 맞춰 자유롭게 제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공간 활용형 계단 장치 및 그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계단은 건물의 내부로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가 형성된 장소에 시공되는 것으로서, 층계라고도 하며 높이가 다른 두 바닥면을 연결하거나 침수에 대비하여 지상으로부터 일정 높이 단차를 두어 시공되는 건물과 지면 사이에 시공되는 단형의 통로이다.
이러한 계단은 일반인들이 주로 이용하게 되는데, 무대 혹은 단상의 계단 같은 경우에는 공간 확보에도 불리하여 공연, 행사 진행중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경우도 많이 존재하고, 협소한 공간으로 인하여 계단 아래 바닥 통행시 휠체어, 유모차 등이 지나가기에 불편한 경우도 종종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상기 공간 활용형 계단 장치는 기존의 계단에 계단함 을 설치하고, 계단을 사용할때 구동부의 작동으로 계단이 계단함 밖으로 나오도록 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계단함으로 들어가게 하여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일반인의 단상 아래의 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고 휠체어, 유모차등이 원활하게 통행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부 전원에 의해 길이가 각각 신축되어 계단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가 존재하고 상기 구동부는 구동판으로 하층계단과 연결, 설치 되어 하층계단이 안전하고 원활하게 계단함 안쪽과 밖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복동식 유압 실린더를 사용하고 구동판과 하층계단의 안쪽부분이 결합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각각의 계단의 모서리 안쪽에는 계단을 이동시에 마찰과 소음을 줄이기 위하여 각각 바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층계단과 중층계단, 상층계단의 움직임을 공유하기위해 하층계단의 상부, 중층계단의 상/하부, 상층계단의 상/하부에 각각의 상/하부 고정 스텝을 설치하여 구동부와 하층계단의 움직임으로 중/상층계단을 원활하게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중/하층계단의 계단함 에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계단 끝부분에 사이드고정스텝을 설치하여 계단함 밖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간 활용형 계단 장치 및 그 작동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무대와 바닥의 공간을 확보하여 공간활용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단상, 무대의 공연, 행사 진행도중 혹은 단상, 무대 아래의 협소했던 공간에서 일어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바지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간 활용형 계단 장치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 활용형 계단 장치를 도시해 보인 밑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를 도시해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부를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부를 도시해 보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함을 도시해 보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을 도시해 보인 예시도.
도 8은 계단 미사용 전환 1단계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9는 계단 미사용 전환 2단계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10은 계단 미사용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11은 계단 사용 상태 전환 1단계 상황을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12는 계단 사용 상태 전환 2단계 상황을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간 활용형 계단 장치의 작동방법을 도시해 보인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간 활용형 계단 장치는 구동부(100)와 가이드부(200), 계단함(300), 및 제어부(400)로 크게 구성된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100)는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계단부(200)를 계단형태로 변환시키고 계단을 미사용시 계단부(200) 를 계단함 안쪽으로 끌어당겨 공간을 확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하층계단(201)에 구동판(101)과 연결되어 계단함 안쪽에 바닥면과 수평하게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계단부(200)에서 각각의 계단이 이동을 공유하기 위해서 하층계단(201)의 상부에 계단상부 고정 스텝(205)을 설치하여 하층계단 이동시 중층계단(202)의 계단 안쪽 혹은 계단하부 고정 스텝(206)을 접촉하여 이동을 공유하고 하층계단(201)과 이동을 공유한 중층계단(202)의 계단상부 고정 스텝(206)이 이동시 상층계단(203)의 계단하부 고정 스텝(206) 혹은 상층계단(203)의 계단 안쪽과 접촉되어 계단부(200)의 움직임을 공유하도록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계단 사용 형태일때 계단부(2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계단끝쪽에 계단사이드 고정 스텝(204)가 설치되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것이다.
이와 같이 다수의 구성품이 건물의 단차진 부분에 각각 설치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공간 활용형 계단 장치의 작동방법은 제 1 내지 제 7단계 (S100)~(S700) 에 의해 계단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 1단계(S100)는 평상시 일반인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계단 형태로 형성되게 설치되어 작동을 준비하고 있는 단계로서, 외부 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길이가 신축되는 구동부(100)와, 상기 구동부(100)는 구동판(101)으로로 인해 하층계단(101)과 연결, 설치되어 계단의 형태로 존재하여 작동대기하고 있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제 2단계(S200)는 기존 계단의 형태로 존재하던 계단부(200)을 미사용 계단형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제어부(400)의 조작에 의해 구동부(100)의 길이가 축소되고 하층계단(201)이 구동판(101)으로 인해 구동부(100)와 이동을 공유하여 계단함 안쪽으로 이동하게 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제 3단계(S300)는 하층계단(201)의 계단상부 고정 스텝(205)과 중층계단(202)의 계단하부 고정 스텝(206)과 접촉하여 하층계단(201)과 중층계단(202)가 이동을 공유하게 되고, 이동을 공유한 중층계단(202)의 계단상부 고정 스텝(205)와 상층계단(203)의 계단하부 고정 스텝(206)이 접촉하게 되어 이동을 공유하게 되면서 계단부(200)의 이동이 모두 공유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제 4단계(S400)는 이동을 공유한 계단부(200)가 계단함(300) 안쪽으로 완전히 삽입되어 계단부(200)가 다시 계단의 형태로 전환되도록 대기하고 있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제 5단계(S500)는 계단 미사용 형태의 계단부(200)가 다시 계단 사용 형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제어부(400)의 조작에 의해 구동부(100)가 이동을 하게 되고 구동부(100)와 이동을 공유한 하층계단(201)이 계단함 밖으로 나오게 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제 6단계(S600)는 이동을 공유한 상기 하층계단(201)의 이동으로 하층계단(201)의 계단상부 고정 스텝(205)과 중층계단(202)이 접촉하게 되어 이동을 공유하고, 이동을 공유한 중층계단(202)의 계단상부 고정 스텝(206)과 상층계단(203)이 접촉하게 되어 이동을 공유하게 되면서, 계단부(200)의 전체가 이동을 공유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제 7단계(S700)는 상기 구동부(100)의 이동을 공유한 계단부(20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각각의 계단 끝쪽에 설치된 계단사이드 고정 스텝(206)이 계단함과 접촉을 하게되면서 계단의 이탈을 방지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하며, 안전한 계단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간 활용형 계단 장치 및 그 작동방법을 적용할 수 있도록 이미 시공된 계단을 교체하게 되면 단상, 무대 공간은 물론 아래 바닥의 공간도 활용할 수 있고 단상, 무대 등의 공간 증가로 인하여 안전사고의 예방에도 도움이 되어 협소한 공간을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당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적 실시예가 제시될 수 있다.
공간 활용형 계단 장치의 가장큰 장점은 기존의 계단이 차지하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이기 때문에 무대, 단상 등의 공간이 넓어진다는 장점이 있어, 추후 개발을 통하여 확보한 공간에 리프트 등을 접목함으로써 좁은 공간을 매우 활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구조가 단순하여 이미 설치된 무대, 단상 등의 계단의 크기에 맞춰 자유롭게 제작이 가능하다.
100 : 구동부(실린더) 101 : 구동판
200 : 계단부 201 : 하층계단
202 : 중층계단 203 : 상층계단
204 : 계단사이드 고정 스텝 205 : 계단상부 고정 스텝
206 : 계단 하부 고정 스텝 207 : 계단 바퀴
300 : 계단함 400 : 제어부

Claims (8)


  1. 외부 전원에 의해 길이가 신축되어 계단부(200)를 계단함(300) 안쪽으로 이
    동할 수 있도록 하층계단(201)과 계단판(101)으로 연결된 구동부(100)와;

    계단 형태일때 사람들이 오르내릴수 있도록 하는 계단부(200)와;

    계단 미사용 형태일때 계단부(200)를 구동부(100)로 이동하여 보관할수 있는
    계단함(300)와;

    상기 구동부를 스위치 조작에 의해 구동시켜 상기 계단부(200)를 계단 미사
    용 형태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
    징으로 하는 공간 활용형 계단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00)는 하층계단(201)안쪽에 구동판(101)으로
    인하여 결합되어 길이가 신축되는 복동식실린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활용형 계단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부(200)는 하층계단(201), 중층계단(202), 상층
    계단(20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활용형 계단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부(200)의 하층계단(201), 중층계단(202), 상층
    계단(203)은 각각의 계단에 계단상부 고정 스텝(205) 계단하부 고정 스
    텝(206)으로 인하여 움직임을 공유하며, 각각의 계단 안쪽에는 자유회전 하
    는 계단 바퀴(207)가 존재하여 각각의 계단의 마찰과 소음을 줄여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활용형 계단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함(300) 안쪽에는 계단부(200)가 존재하고, 제어
    부(400)의 조작으로 구동부(100)를 조작하여 계단부(200)의 이동이 원활하게
    가능하도록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활용형 계단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함(300)에서 계단부(200)의 이탈을 방지하고 안
    전사고를 대비하기 위하여 계단사이드 고정 스텝(204)을 계단부에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활용형 계단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0)는 버튼을 조작하여 구동부(100)을 신축
    시킬수 있도록 하는 IN, OUT 버튼과 비상시 사용하여 정지 하도록 할 수 있
    는 비상정지 버튼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활용형 계단 장치.
  8. 외부 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길이가 신축되는 구동부(100)와 상기 구동
    부(100)와 연결, 설치되어 계단부(200)와 연결되도록 하는 구동판(101)이 존
    재하고, 계단부(200)의 하층계단(201)과 구동판(101)이 연결되어 제어
    부(400)의 조작으로 인하여 구동부(100)의 움직임을 공유하도록 하여 계단
    부(200)를 계단함(300) 밖에서 대기하는 계단 사용 형태인 제 1단계(S100)
    와;

    계단 미사용 형태로 전환하기 위해 제어부(400)의 조작으로 인해
    구동부(100)가 작동하여 하층계단(201)을 이동시켜 계단함(300) 안으로 이동
    하여 계단 미사용 형태로 전환하는형태인 제2단계(S200)와;

    하층계단(201)의 이동으로 인해 하층계단(201)의 계단상부 고정 스텝(205)와
    (중층계단(202)의 계단하부 고정 스텝(206)이 접촉하게되어 하층계단(201)과
    중층계단(202)가 이동을 공유하게 되고 중층계단(202)의 이동으로 인해 중층
    계단(202)의 계단상부 고정 스텝(205)과 상층계단(203)의 계단하부 고정 스
    텝(206)이 접촉하게 되어 계단부(200)모두가 이동을 공유하는 형태인 제3단
    계(S300)와;

    이동을 공유한 상기 계단부(200)가 구동부(100)에 의하여 이동하게 되고 계
    단부(200)가 계단함(300) 안에서 대기하는 형태인 제4단계(S400)와;

    상기 제 4단계의 형태에서 다시 계단의 형태로 전환하기 위해 제어부(400)의
    조작으로 구동부(100)가 작동하여 하층계단(201)을 이동시켜 계단함(300) 밖
    으로 이동하여 계단 사용 형태로 전환하는형태인 제5단계(S500)와;

    하층계단(201)의 이동으로 인해 하층계단(201)의 계단상부 고정 스텝(205)과
    중층계단(202)이 접촉하게 되어 이동을 공유하게 되고 중층계단(202)의 이동
    으로 인해 중층계단의 계단상부 고정 스텝(205)이 상층계단(203)과 접촉하고
    이동을 공유하게 되어 계단부(200)의 이동이 공유되는 형태인 제6단계(S600)
    와;

    이동을 공유한 계단부(200)가 계단함(300) 밖으로 전진하게 되고 각각의 계
    단에 설치된 계단사이드 고정 스텝(204)이 계단함(300)과 접촉하게 되고 계
    단의 정지와 동시에 계단의 이탈을 방지하게 하여 다시 계단 사용 형태로
    복귀하게된 제7단계(S700);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활용
    형 계단 장치의 작동방법.
KR1020190065151A 2019-06-03 2019-06-03 공간 활용형 계단 장치 KR201900772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151A KR20190077250A (ko) 2019-06-03 2019-06-03 공간 활용형 계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151A KR20190077250A (ko) 2019-06-03 2019-06-03 공간 활용형 계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7250A true KR20190077250A (ko) 2019-07-03

Family

ID=67258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5151A KR20190077250A (ko) 2019-06-03 2019-06-03 공간 활용형 계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725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0782B1 (ko) 계단 겸용 수직형 리프트장치 및 그 작동방법
US5937971A (en) Convertible lift mechanism
JP7069146B2 (ja) 高さの差を克服するための移動補助デバイス
KR101220161B1 (ko)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리프트 겸용 하이브리드 계단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보조장치의 이동방법
EP3768912B1 (en) A stair assembly, an object and a stair assembly operating method
US6601677B1 (en) Convertible lift mechanism having a number of retractable stairs with a lift platform positioned thereunder
KR102153477B1 (ko) 장애인용 계단겸용 리프트장치
KR20190108528A (ko) 공간 활용형 리프트 계단장치
KR102068931B1 (ko) 이동가능한 계단겸용 장애인용 리프트장치
KR20190077250A (ko) 공간 활용형 계단 장치
JP2013085638A (ja) 建物内避難設備
JPH11199186A (ja) 階段段差解消装置
KR20190086632A (ko) 공간 절약형 계단 장치
KR19980041811A (ko) 휠체어 발판부 에스컬레이터
KR200384963Y1 (ko) 사다리 각도와 연동되는 승강기 접근계단
KR20200134488A (ko) 이동식 계단
KR102252381B1 (ko) 공간 활용형 리프트 계단장치
JPH09108268A (ja) 車椅子の段差解消機
KR102499849B1 (ko) 무대 리프트 겸용 가변식 계단장치
TW201522755A (zh) 樓梯輔助升降總成結構
JP2500370B2 (ja) 身障者用階段昇降機
JPH11290469A (ja) 避難バルコニー
JPH05147869A (ja) 昇降装置
JP2003160287A (ja) 車椅子等階段昇降装置
TW200906706A (en) Mechanism of tread type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