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1811A - 휠체어 발판부 에스컬레이터 - Google Patents

휠체어 발판부 에스컬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1811A
KR19980041811A KR1019970037814A KR19970037814A KR19980041811A KR 19980041811 A KR19980041811 A KR 19980041811A KR 1019970037814 A KR1019970037814 A KR 1019970037814A KR 19970037814 A KR19970037814 A KR 19970037814A KR 19980041811 A KR19980041811 A KR 19980041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rest
wheelchair
escalator
rising
scaff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7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28866B1 (ko
Inventor
야스마사 하루다
Original Assignee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19980041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1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8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88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Control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1/00Accessories for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e.g. for sterilising or cleaning
    • B66B31/006Accessories for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e.g. for sterilising or cleaning for conveying hand carts, e.g. shopping carts

Abstract

통상 에스컬레이터와 같이 승강구에 많어도 2개의 발판을 한 수평면상태로 배치하는 스페이스에 대응한 길이의 틀로 구성할 수 있고, 틀의 전장을 특히 길게 할 필요가 없는 휠체어 발판부 에스컬레이터의 운전방법을 얻는다.
다수의 발판 7에 의한 반송대(6)에 설치한 제 2휠체어용 발판(22)의 상승발판(26)을 주틀(1)의 승강구(4) 쪽의 작동기구(12)와 걸어맞는 변위기구(23)에 의해 상승시킨다. 또, 제2휠체어용 발판(22)의 주틀(1) 상단(3)측에 제 1휠체어용 발판(19)을 설치해서, 연결암(21)을 주틀(1)의 승강구쪽의 작동기구(8)에 걸어맞는 진퇴기구(20)에 의해 돌출해서 상승한 상승발판(26)을 지지하고, 제 1휠체어용 발판(19)의 발판면에 의해 한 수평면을 형성한다. 또, 제 2휠체어용 발판(22)의 진입대(24)를 변위기구(23)에 의해 주틀(1) 하단(2)측에 돌출시킨다.

Description

휠체어 발판부 에스컬레이터
본 발명은, 다수의 발판이 연결된 반송대(帶)에 필요시에 복수의 발판을 연결해서 휠체어 적재면을 형성하는 휠체어용 발판이 설치된 휠체어발판부 에스컬레이터에 관한것이다.
종래의 기술로서, 예를 들어 일본국 특공 평 2-14278호 공보에 기재된 휠체어 발판부 에스컬레이터가 있고, 이들 구성에서는 승강구에서 정지상태에서 적어도 3개의 발판이 한 수평면상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정지상태의 발판과 승강구 사이를 휠체어가 승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휠체어 발판부 에스컬레이터에 있어서, 휠체어의 승강을 위해, 승강구에서 적어도 3개의 발판이 한 수평면 상태로 배치된다. 이 때문에, 에스컬레이터의 주틀의 전장이 길어저서 설치소요 스페이서의 확보가 곤란해지고 휠체어발판부 에스컬레이터의 설치가 제약을 받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기설의 통상 에스컬레이터를 휠체어발판부 에스컬레이터로 개조하는 경우에 기설의 주틀을 이용할 수 없어, 과분한 공사를 해야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된 것으로, 통상 에스컬레이터와 같이 승강구에 많어도 2개의 발판을 한 수평면상태로 배치하는 스페이스에 대응한 길이의 주틀에 의해 구성할 수 있는 휠체어 발판부 에스컬레이터의 운전방법 및 휠체어 발판부 에스컬레이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휠체어 발판부 에스컬레이터에 있어서는, 다수의 발판이 무단상으로 연결되어서 주틀을 순환이동하는 반송대와, 주틀의 승강구 가까이에 설치된 작동기구와, 발판 상호간에 배치되어 작동기구에 필요시에 걸어맞는 진퇴기구에 의해 주틀의 하단측으로 변위하는 연결암이 설치된 제 1휠체어용 발판과, 발판 상호간에 배치되어 제 1휠체어용 발판의 주틀의 하단측에 배치되고 작동기구에 필요시에 걸어맞게되는 승강기구에 의해 상승 변위하는 상승발판 및 작동기구에 걸어맞는 진퇴기구에 의해 주틀의 하단측으로 변위하는 승차대가 설치되고, 상승변위한 상승발판이 돌출변위한 연결암에 지지되어 제 1휠체어용 발판의 면에 의해 한 수평면을 형성하는 제 2휠체어용 발판이 설치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휠체어 발판부 에스컬레이터에서는, 주틀의 하단측의 승강구에서 제 1휠체어용 발판이 점증경사이동의초기에 수평이동중의 제 2휠체어용 발판에 대해 단차가 있는 상태에서, 상승기구에 의해 상승변위한 상승발판을 돌출변위한 지지암에 의해 지지하고, 제 1휠체어용 발판의 판면에 의해 한 수평면을 형성하는 위치에 상승발판이 지지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휠체어 발판부 에스컬레이터에서는 주틀의 하단측 승강구에서 제 1휠체어용 발판이 점증 경사이동 초기에 있어서, 수평이동중의 제 2휠체어용 발판에 대해 단차가 있는 상태에서 반송대가 정지상태가 되고 상승기구에 의해 상승 변위한 상승발판을 돌출변위한 지지암에 의해 지지하고, 제 1휠체어용 발판면에 의해 한 수평면을 형성하는 위치에 상승발판을 지지하고, 한 수평면을 형성한 상태에서 제 1휠체어용 발판 및 제 2휠체어용 발판이 일정 경사이동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을 표시하는 도면으로, 휠체어 발판부 에스컬레이터의 요부를 개념적으로 표시하는 측면도
도 2는 도 1에서의 경사 휠체어용 발판이 하단측의 승강구에서 제 1작동기구에 대응한 상태를 표시하는 확대도
도 3은 도 1에서의 제 1휠체어용 발판이 하단측의 승강구에서 제 1작동기구에 대응한 상태를 표시하는 확대도
도 4는 도 1에서의 제 2휠체어용 발판이 하단측의 승강구에서 제 2작동기구에 대응한 상태를 표시하는 확대도
도 5는 도 1에서의 제 1휠체어용 발판의 연결암이 하단측의 승강구에서 주틀의 하단측으로 변위한 상태를 표시하는 확대도
도 6은 도 1에서의 제 2휠체어용 발판의 진입대가 하단측의 승강구에서 주틀의 하단측으로 변위하는 상태를 표시하는 확대도
도 7은 도 1에서의 제 2휠체어용 발판의 진입대가 하단측의 승강구에서 주틀의 하단측으로 변위한 상태를 표시하는 확대도
도 8은 도 1에서의 제 2힐체어용 발판의 차체정지체가 하단측의 승강구에서 상방으로 변위한 상태를 표시하는 확대도
도 9는 도 1에서의 경사휠체어용 발판이 상단측의 승강구에서 제 3작동기구에 대응한 상태를 표시하는 확대도
도 10는 도 1에서의 제 1휠체어용 발판이 상단측의 승강구에서 제 3작동기구에 대응한 상태를 표시하는 확대도
도 11는 도 1에서의 제 2휠체어용 발판이 상단측의 승강구에서 제 4작동기구에 대응한 상태를 표시하는 확대도
도 12는 도 1에서의 제 2휠체어용 발판으로부터 상단측의 승강구에서 제 4작동기구가 떨어진 상태를 표시하는 확대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를 표시하는 도면으로 전술한 도 4상당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를 표시하는 도면으로 전술한 도 4상당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주틀2:하단
3:상단4:승강구
5:빗살(節)6:반송대
7:발판8:제 1작동기구(작동기구)
12:제 2작동기구(작동기구)13:제 3작동기구(작동기구)
14:제 4작동기구(작동기구)15:경사휠체어용 발판
17:경사기구18:경사발판
19:제 1휠체어용 발판20:진퇴기구
21:연결암22:제 2휠체어용 발판
23:변위기구24:진입대
25:차 정지체26:상승발판
29:변위기구(롤러)30:작동기구(캠)
실시의 형태 1
도 1~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한 예를 표시하는 도면으로 도 1은 휠체어 발판부 에스컬레이터의 요부를 개념적으로 표시하는 측면도, 도 2는 도 1에서의 경사 휠체어용 발판이 하단측의 승강구에서 제 1작동기구에 대응한 상태를 표시하는 확대도, 도 3은 도 1에서의 제 1휠체어용 발판이 하단측의 승강구에서 제 1작동기구에 대응한 상태를 표시하는 확대도, 도 4는 도 1에서의 제 2휠체어용 발판이 하단측의 승강구에서 제 2작동기구에 대응한 상태를 표시하는 확대도이다.
또, 도 5는 도 1에서의 제 1휠체어용 발판의 연결암이 하단측의 승강구로 주틀의 하단측으로 변위한 상태를 표시하는 확대도, 도 6은 도 1에서의 제 2휠체어용 발판의 승차대가 하단측의 승강구에서 주틀의 하단측에 변위하는 상태를 표시하는 확대도, 도 7은 도 1에서의 제 2휠체어용 발판의 승차대가 하단측의 승강구에서 주틀의 하단측으로 변위한 상태를 표시하는 확대도, 도 8은 도 1에서의 제 2휠체어용 발판의 휠체어 정차체가 하단측의 승강구에서 상방으로 변위한 상태를 표시하는 확대도이다.
또, 도 9는 도 1에서의 경사 휠체어용 발판이 상단측의 승강구에서 제 3작동기구에 대응한 상태를 표시하는 확대도, 도 10은 도1에서의 제 1휠체어용 발판이 상단측의 승강구에서 제 3작동기구에 대응한 상태를 표시하는 확대도, 도 11은 도 1에서의 제 2휠체어용 발판이 상단측의 승강구로 제 4작동기구에 대응한 상태를 표시하는 확대도, 제 12는 도 1에서의 제 2휠체어용 발판으로부터 상단측의 승강구로 제 4작동기구가 떨어진 상태를 표시하는 확대도이다.
도면에서, 1은 경사하여 배치된 에스컬레이터의 주틀, 2는 주틀 1의 하단, 3은 주틀 1의 상단, 4는 주틀 1의 하단 및 상단 3에 각각 형성된 승강구, 5는 승강구 4에 설치된 주틀(1)의 중간부쪽으로 배치된 빗살, 6은 다수의 발판 7이 무단상태로 연결되어 주틀(1)을 순환이동하는 반송대이다.
8은 주틀(1)내에 설치되고 하단(2)쪽으로 배치된 제 1작동기구로, 전동기(9)에 의해 구동되는 크랭크기구(10)에 의해 승강동작하고, 다른 전동기(도시않음)에 의해 구동되어서 동작하는 롤러체인으로 된 전동기구(1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12는 주틀(1)내에 설치되고, 제 1작동기구(8)보다도 하단(2)쪽으로 배치된 제 2작동기구로, 전동기(9), 크랭크기구(10), 전동기구(11)에 의해 제 1작동기구(8)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13은 주틀(1)내에 설치되어 상단(3)측에 배치된 제 3작동기구로, 전동기(9) 랭크기구(10), 전동기구(11)에 의해 제 1작동기구(8)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14는 주틀(1)내에 설치되어 제 3작동기구(13)보다도 하단(2)쪽으로 배치된 제 4작동기구로, 전동기(9), 링크기구(10), 전동기구(11)에 의해 제 1작동기구(8)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15는 발판(17)의 상호간에 배치된 경사 휠체어용 발판으로, 필요시에 제 1작동기구(8)에 걸어맞춰 구동되고, 변위해서 주틀(1)에 설치된 경사 휠체어용 발판용 레일(16)에 안내되는 경사용 롤러(171)를 갖는 경사기구(17) 및 경사기구(17)에 의해 경사하는 경사발판(18)이 설치되어 있다.
19는 발판(7)의 상호간에 배치되어서 경가 휠체어용 발판(15)의 주틀(1)의 하단(2)측에 배치된 제 1휠체어용 발판으로, 필요시에 제 1작동기구(8)에 걸어맞아 구동되는 진퇴기구(20)에 의해 주틀(1)의 하단측에 돌출 변위하는 연결암(21)이 설치되어 있다.
22는 발판(7)의 상호간에 배치되어 제 2휠체어용 발판(19)의 주틀(1)의 하단(2)쪽으로 배치된 제 2휠체어용 발판으로 필요시에 제 2작동기구(12)에 걸어맞추어 구동되는 변위기구(23)로 되는 진퇴기구에 의해 주틀(1)의 하단(2)측으로 돌출변위하는 진입대(24), 변위기구(23)에 의해 돌출동작하는 차체정지체(25) 및 변위기구(23)에 의해 상승변위하는 동시에 제 1휠체어용 발판(19)이 변위한 연결함(21)에 지지되어 또 상승변위하는 상승발판(26)이 설치되어 있다.
27은 휠체어로 주로 제 1휠체어용 발판(19) 및 휠체어용 발판(22)에 의해 형성된 휠체어 적재면에 탑재되어 반송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휠체어 발판부 에스컬레이터에서, 평상시에는 제 1작동기구(8), 제 2작동기구(12), 제 3작동기구 및 제 4작동기구(14)의 전동기구(11)가 각각 하강위치에 배치된다. 또, 경사 휠체용 발판(15)의 경사발판(18)은 수평자세위치에 보존되어 제 1휠체어용 발판(19)의 연결암(21)은 인퇴위치에 배치된다. 또, 제 2휠체어용 발판(22)의 진입대(24), 차체정체(25) 및 상승발판(26)은 각각 인퇴위치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반송대(6)가 주틀(1)내를 순환운전되어 발판(7), 경사 휠체어용 발판(15), 제 1휠체어용 발판(19) 및 제 2휠체어용 발판(22)에 의해 일반 승객이 반송된다. 또, 반송대(6)의 순환운전에 의한 제 1휠체어용 발판(19) 등의 전부의 발판은, 상승운전의 경우에 하단(2)측의 승강구(4)로부터 수평이동하고, 계속해서 경사각도가 점증하는 점증 경사이동한다. 계속해서, 일정 경사각도에 의한 일정경사 이동해서 상단(2)측의 승강구(4)에 근접하면 경사각도가 점감하는 점감경사이동을 한다.
그후에 상단(2)측의 승강구(4)에 수평이동한다. 또, 하강 운전때는 전부의 발판이 상승운전의 경우와 역의 순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휠체어(27)를 상승으로 반송하는 경우에는 즉 휠체어(27)를 하단(2)측의 승강구(4)로부터 상단 3측의 승강구(4)에 반송할 때는, 휠체어 발판부 에스컬레이터의 휠체어 운전스위치(도시않음)에 의해 휠체어운전으로 전환된다. 제 1작동기구(8)가 작동되어 그 전동기구(11)가 상승위치에 배치되어서 반송대(6)가 상승운전된다.
그리고, 도 2에 표시한 상태에서, 경사 휠체어용 발판(15)의 경사기구(17)가 제 1작동기구(8)의 전동기구(11)에 걸어맞어 통과한다. 이로인해 경사기구(17)의 수평자세 유지가 해제되어 경사발판(18)이 도 3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경사하고, 그 후에 경사용 롤러(171)가 경사 휠체어용 발판용 레일(16)에 안내됨으로써 경사자세가 유지된다.
그리고 도 3에 표시하는 상태 즉 경사발판(18)이 경사하고, 제 1휠체어용 발판(19)은 점증 경사이동의 초기에 있어, 수평이동중의 제 2휠체어용 발판(22)에 대해 단차가 있는 상태에 있다. 또, 제 2훌체어용 발판(22)의 주틀(1)의 하단(2)측의 발판(7)이 빗살(5)로부터 이동방향에 따른 길이의 거의 1/3이 나온 상태에서 반송대(6)가 정지한다.
계속해 제 2작동기구(12)가 작동되어 그 전동기구(11)가 상승해서 제 2휠체어용 발판(22)의 변위기구(23)에 걸어맞추어 구동한다. 이로 인해 상승발판(26)의 유지가 해제되어 상승변위하고 제 1휠체어용 발판(19)의 발판위치에 배치되어 도 4에 표시한 상태가 된다.
다음, 도 4에 표시한 상태에서 제 1작동기구(8)이 전동기구(11)가 작동되어서 여기에 걸어맞아있는 진퇴기구(20)에 의해 연결함(21)이 주틀(1)의 하단측에 돌출변위한다. 이로써 제 2휠체어용 발판(22)의 상승발판(26)이 연결암(21)에 지지되어 도 5에 표시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제 2작동기구(12)의 전동기구(11)가 작동되어서 제 2휠체어용 발판(22)의 변위기구(23)를 통해서 진입대(24)가 주틀(1)의 하단(2)측에 돌출변위한다. 이로인해 도 6에 표시하는 상태를 거처 진입대(24)가 주틀(1) 하단(2)측의 빗살(5)에 닿는 위치에 배치되어 도 7에 표시하는 상태가 된다.
또, 진입대(24)가 주틀(1)의 하단(2)측에 변위해서, 하단(2)측의 승강구(4)의 상면에 중합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이라도 후술하는 작용을 얻을 수가 있다. 그리고 도 7에 표시하는 상태에서 휠체어(27)가 탑재되고, 계속해서 제 2작동기구(12)의 전동기구(11)가 작동되어서 제 2휠체어용 발판(22)의 변위기구(23)를 통해서 제 2휠체어용발판의 진입대(24)가 후퇴한다. 또, 변위기구(23)을 통해서 차 정지체(25)가 돌출해서 도 8에 표시한 상태가 된다.
또, 차 정지체(25)대신에 승강구(24)가 상방향으로 회동변위해서 차 정지체의 역할을 다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 8에 표시한 상태에 의해 탑재된 휠체어(27)의 주틀(1) 하단(2)측 이동이, 돌출한 차 정치체(25)에 의해 저지되어서 에스컬레이터가 상승운전된다. 이로인해, 제 1휠체어용 발판(19)의 발판과 제 2휠체어용 발판(22)의 상승발판(20)은 한 수평면을 유지하고 상하 이동하고, 도 1에 표시한 바와 같이 휠체어(27)가 경사 휠체어용 발판(15), 제 1휠체어용 발판(19) 및 제 2휠체어용 발판(22)에 의 반송된다.
계속해서, 반송대(6)가 이동해서 경사휠체어용 발판(15)이 상단(2)측의 승강구(4)에 근접해서 점감경사 이동하면, 경사 휠체어용 발판용 레일(16)에 의해 경사용 롤러(171)를 통해서, 경사 휠체어용 발판(15)의 경사발판(18)의 경사 자세보존이 해제된다. 또, 제 3작동기구(13)가 작동되어 이의 전동기구(11)가 도 9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승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승한 전동기구(11)에 경사기구(17)가 걸어맞추어 통과함으로써 경사기구(17)가 수평자세로 복귀해서 보존된다.
그리고, 또 반송대(6)가 이동해서 경사 휠체어용 발판(15)의 경사 발판(18)이, 도 10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단(3)측의 승강구(4)의 빗살(5)에 대해 이동방향에 다른 길이의 약 2/3가 들어간 상태에서 반송대(6)가 정지한다. 계속해, 도 10의 상태에서 휠체어(27)가 제 1휠체어용 발판(19)으로 주틀(1) 상단(2)측의 승강구(4)에 내리게 된다.
다음에, 제 4작동기구(14)가 작동되어 그 전동기구(11)가 상승위치에 배치되어, 제 2휠체어용 발판(22)의 상승발판(26)을 지지한다. 이 상태에서, 제 3작동기구(13)의 전동기구(11)가 동작하고, 제 1휠체어용 발판(19)의 진퇴기구(20)를 통해 연결암(21)을 후퇴시킨다. 이로인해, 제 1휠체어용 발판(19)과 제 2휠체어용 발판(22)의 연결이 해제되어서 도 11에 표시하는 상태가 된다.
계속해, 제 4작동기구(14)의 전동기구(11)가 동작해서 변위기구(23)를 통해서 차 정지체(25)가 휘퇴한다. 또, 제 4작동기구(14)가 작동되어서 그 전동기구(11)가 하강해서, 제 2휠체어용 발판(22)의 상승발판(26)이 하강한다. 그리고 제 4작동기구(14)의 전동기구(11)가 작동되어서 변위기구(23)를 통해서 상승발판(26)이 하강위치로 보존되고, 도 12에 표시하는 상태가 된다. 이로인해, 휠체어(27)의 상승반송운전이 종료하고, 휠체어 발판부에스컬레이터가 통상운전으로 전환됨으로써 반송대(6)가 통상상태에서 이동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운전방법에 의해, 도 3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빗살(5)로부터 이동방향에 따른 길이의 약 1/3이 나온 상태의 제 2휠체어용 발판(22)의 주틀(11) 하단(2)측의 발판(7)과, 수평이동에서의 제 2휠체어용 발판(22)에 대응한 주틀(1)의 단부길이에 비해, 휠체어(27)의 탑재용 스페이스, 즉 제1휠체어용 발판(19) 및 제 2휠체어용 발판(22)에 의한 휠체어(27)의 탑재용의 한 수평면이 형성된다.
이 때문에, 에스컬레이터의 주틀(11)의 전장을 특히 길게할 필요가 없는 휠체어 발판부 에스컬레이터를 얻을 수가 있어, 휠체어 발판부 에스컬레이터의 설치소요 스페이스에 따른 설치제약을 적게할 수가 있다. 또, 기설의 통상 에스컬레이터를 휠체어 발판부 에스컬레이터로 개조할 때, 기설의 주틀이 이용되어 공사를 간략화 할 수가 있어, 개조비를 저감할 수가 있다.
도 1~도 12의 실시의 형태에서, 도 4의 상태로는 제 2휠체어용 발판(22)의 상승발판(26)이 상승하고, 도 12의 상태에서는 상승발판(26)이 하강한다. 이 상승발판(26)의 승강높이는 주틀(1)의 하단측(2)과 상단(3)측에서 같게할 필요는 없고, 진입대(24)의 구조의 형편등에 따라 적당히 다른 승강높이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상승발판(26)의 승강높이는, 제 2작동기구(12)의 전동기구(11)와 제 4작동기구(14)의 전동기구(11)의 승강행정을 서로 변경함으로써 대응할 수가있다.
또, 제 2휠체어용 발판(22)의 상승발판(26)에 상당하는 발판이 승강구(4)쪽에서 반전동작해서 전개하고, 휠체어 탑재용 스페이스를 형성하는 형식이 휠체어 발판부 에스컬레이터가 있다. 이런 형식의 경우에는, 발판이 반전동작할때에 휠체어 이용자의 동반인의 발이끼는 등의 좋지않은 점이 있다. 그러나, 이런 불편함이 도 1~도 12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생기는 일이 없다.
실시예의 형태 2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의 한 예를 표시하는 도면으로 상술한 도 4의 상당 도면이고, 도 13이외는 휠체어 발단부 에스컬레이터가 상술한 도 1~도 12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서, 도 4와 같은 부호는 상당부분을 표시하고, 28은 제 2휠체어용 발판(22)에 설치되어 변위기구(23)의 요부를 구성하는 상승 링크기구로 제 2작동기구(12)의 상승한 전동기구(11)의 동작에 의해 구동되어 상승발판(26)을 승강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휠체어 발판부 에스컬레이터에 있어서도, 상술한 도 1~도 12와 같은 제 1휠체어용 발판(19), 제 2휠체어용 발판(22), 제 1~제 4작동기구(8), (12), (13), (14)가 설치되어 도 1~도 12의 실시의 형태와 같이 동작한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나 도 13은 실시의 형태에서도 도 1~도 12의 실시의 형태와 같은 작용이 얻어진다.
실시의 형태 3
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의 한 예로서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 13은 실시의 형태를 응용해서 제 2작동기구(12)의 전동기구(11)의 롤러체인을 고정구조로 해서, 제 2휠체어용 발판(22)의 수평 이동동작에 의해, 제 2휠체어용 발판(22)의 변위기구(23)의 스프로켓 휠이 걸어맞추어 이동해서 구동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변위기구(23)의 스프로켓 휠의 회전에 의해 변위기구(23)을 통해서 상승발판(26)을 승강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휠체어 발판부 에스컬레이터에서도, 상술한 도 1~도 12와 같은 제 1휠체어용 발판(19), 제 2휠체어용 발판(22), 제 1~제 4작동기구(8), (12), (13), (14)가 설치되어 도 1~도 12의 실시의 형태와 같이 동작한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나 실시의 형태 3에서도 도 1~도 12의 실시의 형태와 같은 작용이 얻어진다.
실시의 형태 4
도 14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의 한 예를 표시하는 도면으로, 전술한 도 4의 상당 도면이고, 도 14이외는 휠체어 발판부 에스컬레이터가 전술한 도 1~도 12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서, 도 4와 같은 부호는 상당 부분을 표시하고, 29는 제 2휠체어용 발판(22)의 상승발판(26)의 하면부에 부착된 롤러로 되는 변위기구이다.
30은 레일상의 캠으로 되는 작동기구로, 주틀(1)에 설치되어서 주틀(1) 하단(2)측에서 상승발판(26)을 상승변위시키는 위치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되어서 제 2휠체어용 발판(22)의 수평이동동작에 의해 변위기구(29)에 걸어맞어서 상승발판(26)을 상승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휠체어 발판부 에스컬레이터에서도, 전술한 도 1~도 12와 같은 제 1휠체어용 발판(19), 제 2휠체어용 발판(22), 제 1~제 4작동기구(8), (12), (13), (14)가 설치되어서 도 1~도 12의 실시의 형태와 같이 동작한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나 도 14의 실시의 형태에서도 도 1~도 12의 실시의 형태와 같은 작용이 얻어진다.
또, 상기 실시의 형태는 상승운반의 경우로 설명하였으나, 하강운반의 경우는 전혀 역으로 동작이 된다. 이때 진입대(24)는 동작해도 되나 동작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다수의 발판이 무단상으로 연결되어 주틀을 순환이동하는 반송대와, 주틀의 승강구 근처에 설치된 작동기구와 발판 상호간에 배치되어 작동기구에 필요시에 걸어맞는 진퇴기구에 의해 주틀의 하단측으로 변위하는 연결암이 설치된 제 1휠체어용 발판과 발판상호간에 배치되어 제 1휠체어용 발판의 주틀의 하단측에 배치되고, 작동기구에 필요시에 걸어맞는 상승기구에 의해 상승변위하는 상승발판 및 작동기구에 필요시에 걸어맞는 진퇴기구에 의해 주틀의 하단측에 변위하는 진입대가 설치되고, 상승 변위한 상승발판이 돌출변위한 연결암에 지지되어서 제 1휠체어용 발판의 발판면에 의해 한 수평면을 형성하는 제 2휠체어용 발판을 설치한 것이다.
이로 인해, 통상 에스컬레이터와 같이 승강구에 많어도 2개의 발판을 한 수평면 상태로 배치하는 스페이스에 대응한 길이의 주틀에 의해 휠체어 발판부 에스컬레이터를 구성할 수가 있고, 주틀의 전장을 특히 길게 할 필요가 없는 휠체어 발판부 에스컬레이터를 얻을 수가 있다. 따라서, 휠체어 발판부 에스컬레이터의 설치 스페이스에 의한 제약을 적게하는 효과가 있다. 또, 기설의 통상 에스컬레이터를 휠체어 발판부 에스컬레이터로 개조하는 경우에, 기설 주틀의 유용이 가능해서 공사가 간략화되고 개조비를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주틀의 하단측의 승강구에서 제 1휠체어용 발판이 점증경사이동의 초기에 수평이동중의 제 1휠체어용 발판에 대해 단차가 있는 상태에서, 상승기구에 의해 상승 변위한 상승발판을 돌출변위한 지지암으로 지지해서, 제 1휠체어용 발판의 발판면에 의해 한 수평면을 형성하는 우치에 상승발판을 지지한 것이다.
이로 인해, 통상 에스컬레이터와 같이 승강구에 많어도 2개의 발판을 한 수평면 상태로 배치하는 스페이스에 대응한 길이의 주틀에 의해 휠체어 발판부 에스컬레이터를 구성할 수가 있고, 주틀의 전장을 특히 길게할 필요가 없는 휠체어 발판부 에스컬레이터를 얻을 수가 있다. 따라서, 휠체어 발판부 에스컬레이터의 설치 스페이스에 의한 제약을 적게하는 효과가 있다. 또, 기설의 통상 에스컬레이터를 휠체어 발판부 에스컬레이터로 개조하는 경우에, 기설주틀의 유용이 가능해져 공사를 간략화할 수 있고, 개조비를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주틀의 하단측의 승강구에서 제 1휠체어용발판이 점증 경사이동의 초기에 있어 수평이동중의 제 2휠체어용 발판에 대해 단차가 있는 상태에서 반송대가 정지상태가 되고, 상승기구에 의해 상승 변위한 상승발판을 돌출변위한 지지암에 의해 지지되어, 제 1휠체어용 발판의 발판면에 의해 한 수평면을 형성하는 위치에 상승발판을 지지하고, 한 수평면을 형성한 상태에서 제 1휠체어용 발판 및 제 2휠체어용 발판이 일정 경사이동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통상 에스컬레이터와 같이 승강구에 많어도 2개 발판을 한 수평면 상태로 배치하는 스페이스에 대응한 길이의 주틀에 의해 휠체어 발판부 에스컬레이터를 구성할 수가 있고, 주틀의 전장을 특히 길게할 필요가 없는 휠체어 발판부 에스컬레이터를 얻을 수가 있다. 따라서 휠체어 발판부 에스컬레이터의 설치 스페이스에 의한 제약을 작게하는 효과가 있다. 또, 기설의 통상 에스컬레이터를 휠체어 발판부 에스컬레이터로 개조하는 경우에, 기설 주틀의 유용이 가능하게 되어 공사를 간략화 할 수 있어, 개조비를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
통상 에스컬레이터와 같이 승강구에 많어도 2개의 발판을 한 수평면상태로 배치하는 스페이스에 대응한 길이의 주틀에 의해 구성이 가능한 휠체어 발판부 에스컬레이터의 운전방법 및 휠체어 발판부 에스컬레이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Claims (3)

  1. 다수의 발판이 무단상으로 연결되어서 주틀을 순환이동하는 반송대와, 상기 주틀의 승강구쪽에 설치된 작동기구와, 상기 발판의 상호간에 배치되어서 상기 작동기구에 필요시에 걸어맞는 진퇴기구에 의해 상기 주틀의 하단측으로 변위하는 연결암이 설치된 제 1휠체어용 발판과, 상기 발판의 상호간에 배치되어서 상기 제 1휠체어용 발판의 상기 주틀의 하단측에 배치되고, 상기 작동기구에 필요시에 걸어맞는 상승기구에 의해 상승변위하는 상승발판 및 상기 작동기구에 필요시에 걸어맞는 진퇴기구에 의해, 상기 주틀의 하단측으로 변위하는 진입대가 설치되고, 상승 변위한 상기 상승발판이 돌출변위한 상기 연결함에 지지되어서 상기 제 1휠체어용 발판이 발판면에 의해 한수평면을 형성하는 제 2휠체어용 발판을 구비한 휠체어 발판부 에스컬레이터.
  2. 제 1항에 있어서,
    주틀의 하단측의 승강기구에서 제 1휠체어용 발판이 점증 경사이동의 초기에는 수평이동중의 제 2휠체어용 발판에 대해 단차가 있는 상태로, 상승기구에 의해 상승 변이한 상승발판을 돌출변위한 지지암에 의해 지지하고, 상기 제 1휠체어용 발판의 발판면에 의해 한 수평면을 형성하는 위치에 상기 상승 발판을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발판부 에스컬레이터.
  3. 제 1항에 있어서,
    주틀의 하단측의 승강구에서 제 1휠체어용 발판이 점증 경사이동의 초기에 수평이동중의 제 2휠체어용 발판에 대해서 단차가 있는 상태에서 반송대가 정지상태가 되고 상술기구에 의해 상승 변위한 상승발판을 돌출변위한 지지암에 의해 지지하고, 상기 제 1휠체어용 발판의 발판면에 의해 한 수평면을 형성하는 위치에 상기 상승발판을 지지하고, 상기 한 수평면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제 1휠체어용 발판 및 제 2휠체어용 발판이 일정경사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발판부 에스컬레이터.
KR1019970037814A 1996-11-05 1997-08-07 휠체어 발판부 에스컬레이터 KR1002288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92608 1996-11-05
JP29260896A JP3866341B2 (ja) 1996-11-05 1996-11-05 車椅子踏段付エスカレーターの運転方法及び車椅子踏段付エスカレータ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1811A true KR19980041811A (ko) 1998-08-17
KR100228866B1 KR100228866B1 (ko) 1999-11-01

Family

ID=17784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7814A KR100228866B1 (ko) 1996-11-05 1997-08-07 휠체어 발판부 에스컬레이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992605A (ko)
JP (1) JP3866341B2 (ko)
KR (1) KR100228866B1 (ko)
CN (1) CN110177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2064B1 (ko) * 2003-11-29 2005-10-18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에스컬레이터의 스텝롤러 상승억제장치
ES2323442B1 (es) * 2008-01-14 2010-03-16 Jesus Sanchez Piñeiro Escalera mecanica.
ES2333640B1 (es) * 2009-06-26 2010-09-13 Thyssenkrupp Elevator Innovation Center, S.A. Sistema de transporte para pasajeros/mercancias.
US9560853B2 (en) * 2014-12-23 2017-02-07 Aleksandr Taslagyan Return flow conveyor device for heating food items
CN108996381A (zh) * 2018-09-06 2018-12-14 孙永生 一种优化搭乘体验的自动扶梯
CN108975141A (zh) * 2018-09-06 2018-12-11 孙永生 一种自动扶梯
CN109019279A (zh) * 2018-09-06 2018-12-18 孙永生 一种智能的自动扶梯
US10414632B1 (en) * 2019-05-13 2019-09-17 Constanza Terry Escalator system for facilitating the transport of goods
CN111747278B (zh) * 2020-07-10 2022-03-25 杭州职业技术学院 一种可扩展型自动扶梯踏板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23782A (ja) * 1984-04-19 1985-11-0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スカレ−タ装置
US4873140A (en) * 1988-04-27 1989-10-1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rticles having low adhesion articles having coatings thereon
KR920007805B1 (ko) * 1988-06-09 1992-09-17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기가이샤 휠체어 승용계단이 부가된 에스컬레이터
JP2695677B2 (ja) * 1989-05-31 1998-01-1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スカレータ装置
JP2546102B2 (ja) * 1992-03-19 1996-10-23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スカレータ等のステップ
JPH062581A (ja) * 1992-06-15 1994-01-11 Nippondenso Co Ltd スロットル制御装置
JP3140293B2 (ja) * 1994-05-23 2001-03-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スカレータ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139348A (ja) 1998-05-26
CN1181347A (zh) 1998-05-13
CN1101779C (zh) 2003-02-19
US5992605A (en) 1999-11-30
JP3866341B2 (ja) 2007-01-10
KR100228866B1 (ko) 1999-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33293A (en) Vertical-horizontal passenger conveying system
EP3587332B1 (en) A lift for telescopic passenger stairs for boarding passengers in wheelchairs on a plane
KR20070039532A (ko) 승강하는 피반송물 지지대를 구비한 반송장치
KR19980041811A (ko) 휠체어 발판부 에스컬레이터
KR920007805B1 (ko) 휠체어 승용계단이 부가된 에스컬레이터
US5526919A (en) Escalator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on
GB2258202A (en) "escalator apparatus"
JP3318749B2 (ja) 高速エスカレータ装置
JP3945883B2 (ja) 車椅子踏段付エスカレーター
JP3958407B2 (ja) 車椅子踏段付エスカレーターの運転方法及び車椅子踏段付エスカレーター
KR910008114B1 (ko) 팰리트 고정장치
JP3828710B2 (ja) 車両におけるデッキ昇降格納装置
CN114059814B (zh) 停车库及其控制方法
JP2561781B2 (ja) 車いす兼用エスカレーター
CN216971775U (zh) 一种双向移动的防喷器转运吊
JP3828709B2 (ja) 車両におけるデッキ昇降格納装置
KR20020006537A (ko) 휠체어 대응 에스컬레이터장치
JPH02100989A (ja) エスカレータ
JP3987647B2 (ja) 車椅子用踏段付エスカレーター
JPH11116172A (ja) 車椅子踏段付エスカレーター
JP3821552B2 (ja) 車椅子踏段付エスカレーター
JP3950231B2 (ja) 車椅子踏段付エスカレーター
JP4616970B2 (ja) 車椅子踏段付エスカレーター
JP3821584B2 (ja) 車椅子踏段付エスカレーター
JPH07456A (ja) 車椅子用斜行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1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