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2267A - 장애인 승,하차를 위한 리프트가 설치된 대형 관광버스 - Google Patents

장애인 승,하차를 위한 리프트가 설치된 대형 관광버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2267A
KR20120102267A KR1020110020290A KR20110020290A KR20120102267A KR 20120102267 A KR20120102267 A KR 20120102267A KR 1020110020290 A KR1020110020290 A KR 1020110020290A KR 20110020290 A KR20110020290 A KR 20110020290A KR 20120102267 A KR20120102267 A KR 20120102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bus
plate
disabled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0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석수
Original Assignee
강석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석수 filed Critical 강석수
Priority to KR1020110020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2267A/ko
Publication of KR20120102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22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2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using lifts connected to the vehic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7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with compartment for horizontally storing the ramp or li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5Catwalks, running boards for vehicle tops, access means for vehicle tops; Handrai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1/00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 B62D31/02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for carrying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omnib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의 측면 중앙에 형성되는 주출입문의 안쪽 일 측에 유압구동수단에 의해 승,하강 작동되는 리프트를 설치하여, 필요 시 리프트를 이용하여 몸이 불편한 장애인이나 노약자들이 휠체어에 탑승한 채 그대로 버스 내부의 좌석설치 바닥면에 끼워 접근가능하게 함으로써, 좌석설치 바닥면의 바닥높이(floor level)가 일반버스에 비해 월등히 높은 대형 관광버스에 대한 장애인이나 노약자들의 승,하차 편의를 도모하는 것에 의해, 일반인들은 물론 장애인이나 노약자들도 손쉽고 안전하게 대형 관광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고급 대형 관광버스의 사용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측면에 형성된 출입문(4)의 계단(41)을 통해 승객이 좌석설치 바닥면(5)에 도달되도록 하는 대형 관광버스(a)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4)의 계단(41) 일 측의 차체 내부바닥판(42) 상에 중첩되게 일 측이 차체에 힌지결합된 상태에서 바깥으로 힌지 회동되어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한 승강판(1)과, 상기 승강판(1)의 일 측 공간을 리프트실(24)로 하여 지지판(21)을 직립설치 함과 동시에, 이 지지판(21) 전면에는 유압구동수단(23)에 의해 승,하강 되도록 L자형의 승,하강대(22)를 설치한 리프트(2)와, 상기 리프트실(24) 전면부를 필요 시 엄폐 또는 개방토록 하기 위한 엄폐도어(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승,하차를 위한 리프트가 설치된 대형 관광버스이다.

Description

장애인 승,하차를 위한 리프트가 설치된 대형 관광버스{Sightseeing bus having a lift device for the disabled}
본 발명은 장애인 승,하차를 위한 리프트가 설치된 대형 관광버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스의 측면 중앙에 형성되는 주출입문의 안쪽 일 측에 유압구동수단에 의해 승,하강 작동되는 리프트를 설치하여, 필요 시 리프트를 이용하여 몸이 불편한 장애인이나 노약자들이 휠체어에 탑승한 채 그대로 버스 내부의 좌석설치 바닥면에 끼워 접근가능하게 함으로써, 좌석설치 바닥면의 바닥높이(floor level)가 일반버스에 비해 월등히 높은 대형 관광버스에 대한 장애인이나 노약자들의 승,하차 편의를 도모하는 것에 의해, 일반인들은 물론 장애인이나 노약자들도 손쉽고 안전하게 대형 관광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고급 대형 관광버스의 사용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귀빈들의 단체 이동이나 관광 등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관광버스의 경우, 근래 들어 고급화 및 대형화되는 추세에 따라, 탑승 시점(view point) 높여 승객들에 대한 양호한 조망권을 확보하기 위하여 버스 내부의 좌석설치 바닥면의 바닥 높이가 일반 버스들에 비해 매우 높은 위치에 설정되도록 설치되는 것인바, 이와같이 좌석설치 바닥면의 바닥높이가 높게 형성되는 대형 관광버스는 버스 측면으로 중앙부에 주출입문을 설치하여 승객들이 승,하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대형 관광버스는 좌석설치 바닥면이 매우 높은 위치에 형성됨 에도 불구하고, 승객들은 단순히 출입문을 통해 계단을 올라 버스 내부의 좌석설치 바닥면에 도달하게 하여, 좌석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어서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이나 몸이 불편한 노약자들의 경우에는, 버스에 승,하차하는 것이 매우 불편하거나 또는 근본적으로 불가능하게 되어, 높은 시점 확보에 따라 양호한 조망권을 갖는 대형 관광버스를 이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휠체어 이용자가 아니라도 잠시 다리나 몸이 불편한 승객들 역시도 이용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이 좌석설치 바닥면이 높게 형성됨 에도 불구하고 승객들에 대한 승,하차가 출입문을 통해 계단을 거쳐 이루어지도록 하는 종래의 대형 관광버스가 지닌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버스의 주출입문 안쪽 일측으로 유압에 의해 승,하강 작동되는 리프트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장애인은 물론 잠시 몸이 불편한 일반인들도 아주 간편하고 신속하게 높은 위치의 좌석설치 바닥면에 도달되게 함으로써, 좌석설치 바닥면이 높게 형성되어 양호한 조망권이 보장되는 대형 관광버스의 이용 편의성을 높여 몸이 불편한 장애인을 비롯한 보다 폭넓은 계층에서 대형 관광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장애인 승,하차를 위한 리프트가 설치된 대형 관광버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 승,하차를 위한 리프트가 설치된 대형 관광버스는, 측면에 형성된 출입문(4)의 계단(41)을 통해 승객이 좌석설치 바닥면(5)에 도달되도록 하는 대형 관광버스(a)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4)의 계단(41) 일 측의 차체 내부바닥판(42) 상에 중첩되게 일측이 차체에 힌지결합된 상태에서 바깥으로 힌지 회동되어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한 승강판(1)과, 상기 승강판(1)의 일 측 공간을 리프트실(24)로 하여 지지판(21)을 직립설치 함과 동시에, 이 지지판(21) 전면에는 유압구동수단(23)에 의해 승,하강 되도록 L자형의 승,하강대(22)를 설치한 리프트(2)와, 상기 리프트실(24) 전면부를 필요 시 엄폐 또는 개방토록 하기 위한 엄폐도어(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장애인 승,하차를 위한 리프트가 설치된 대형 관광버스에 의하면, 승객들의 탑승시점을 높여 버스에 탑승한 승객들에 대해 양호한 조망권을 제공토록 하기 위해 좌석설치 바닥면을 높게 설치한 대형 관광버스에 있어, 그 출입문 일 측의 공간을 리프트실로 구성하여, 유압구동수단에 의해 승,하강 구동되는 리프트를 설치함으로써,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이나 몸이 불편한 노약자 등의 승객들이 계단을 이용하지 않고, 리프트실의 리프트를 이용하여 높은 위치의 좌석설치 바닥면까지 간편하게 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확 트인 시야 확보가 가능한 고급시설의 대형 관광버스를 누구라도 불편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형 관광버스의 사용 편의를 도모하여 관광버스의 상품성을 제고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리프트가 설치된 대형 관광버스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리프트가 설치된 대형 관광버스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의한 리프트가 설치된 대형 관광버스에 적용된 리프트실의 설명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의한 리프트가 설치된 대형 관광버스에 적용된 승강판의 펼침 상태도.
도 5a 및 5b는 본 발명에 의한 리프트가 설치된 대형 관광버스에 적용된 리프트의 작동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리프트가 설치된 대형 관광버스에 적용된 리프트의 다른 실시 예시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 승,하차를 위한 리프트가 설치된 대형 관광버스(a)는 크게 승강판(1), 리프트(2) 및 엄폐도어(3)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승강판(1)은, 버스(a)의 측면 대략 중앙부에 형성되어 출입문(4)이 설치되는 출입구의 차체 내부바닥판(42) 상에 중첩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그 일 측이 차체에 힌지(hinge) 축에 의해 힌지 결합되어 필요 시 차체 바깥쪽으로 힌지 회동되어 펼쳐지거나 다시 접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로표면으로부터 차체 내부바닥판(42)까지 연결되는 경사면이 형성되게 하여, 휠체어나 보행이 불편한 승객이 보다 간편하고 안전하게 차체 내부바닥판(42)에 도달 가능하게 하여 일차 버스(a)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리프트(2)는, 상기 승강판(1)이 중첩 설치되는 차체 내부바닥판(42) 일 측에 일정 크기의 공간부 형태로 형성되는 리프트실(24)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판(1)을 이용하여 일차 탑승한 장애인이나 몸이 불편한 사람이 휠체어 등을 이용하여 버스(a) 내부의 좌석설치 바닥면(5)에 안전하고 간편하게 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차체 내부바닥판(42) 상에 직립상태로 설치되는 지지판(21) 일측에 대략 L자형의 승,하강대(22)를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승,하강대(22)는 지지판(21) 후부에 설치되는 유압구동수단(23)에 연결되어 별도의 스위치 작동에 따라 지지판(21) 내부에서 유압실린더가 확장 또는 신축되는 것에 의해, 이와 연결된 승,하강대(22)가 승,하강 동작하도록 하여, 승,하강대(22)의 저판(22a) 상에 올려 놓여진 휠체어를 목적한 버스(a) 내부의 좌석설치 바닥면(5)에 까지 안전하게 도달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승,하강대(22)의 임의 위치에는 선택적으로 접이식 보조의자(22b)를 설치하여, 휠체어가 아닌 몸이 불편한 승객이 리프트(2)의 보조의자(22b)를 이용하여 앉은 상태로 버스(a) 내부의 좌석설치 바닥면(5)에 까지 또는 출입구의 승강판(1)에 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한 엄폐도어(3)는, 상기 리프트(2)가 설치된 리프트실(24) 전면부에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되는 접이식이나 롤 방식의 커튼형식으로 되어 리프트실(24) 내부를 출입구와 격리 엄폐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 승,하차를 위한 리프트가 설치된 대형 관광버스(a)의 실시, 작동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대형 관광버스(a)에 장애인이나 몸이 불편한 사람이 휠체어를 이용하여 탑승하고자 하는 경우, 버스(a)의 출입문(4)을 개방한 상태에서 출입구 측 차체 내부바닥판(42) 상에 중첩된 승강판(1)을 그대로 차체 바깥쪽으로 들어올려 힌지회동시켜 도로바닥면 측으로 펼치게 되면, 도로바닥면과 버스(a)의 출입구 측 차체 내부바닥판(42)은 승강판(1)에 의해 서로 경사지게 연결된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휠체어가 승강판(1)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차체 내부로 이동 가능하게 되고, 이후 출입구 측의 차체 내부바닥판(42) 상에 도달된 휠체어의 방향을 90°회전시킨 상태에서 엄폐도어(3)를 열고 내측의 리프트실(24)로 휠체어를 이동시켜 휠체어가 승,하강대(22)의 저판(22a) 상에 위치하게 한다.
이후 유압구동수단(23)을 구동시키게 되면, 유압구동수단(23)과 연결된 승,하강대(22) 내부의 유압실린더가 작동하여 이 유압실린더와 연결된 승,하강대를 밀어올려, 승,하강대(22) 바닥의 저판(22a)이 좌석설치 바닥면(5)과 동일높이(level)가 되도록하면, 저판(22a) 상의 휠체어는 안전하게 버스(a) 내부의 좌석설치 바닥면(5)에 도달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승강 된 승,하강대(22)는 버스(a) 출발 전 다시 하강시켜 최초의 위치, 즉 승,하강대(22)의 저판(22a)이 버스(a)의 차체 내부 바닥판(42)에 밀접 된 상태로 두고, 이후 모든 승객이 버스(a)에 탑승완료되게 되면, 펼쳐진 승강판(1)을 앞서와는 반대 방향으로 힌지 회동시켜 차체 내부바닥판(42) 상면에 그대로 중첩되는 상태로 원위치시킨 후, 개방되었던 버스(a)의 출입문(4)을 닫고 출발하게 되면 된다.
이때 상기 리프트실(24)의 승,하강대(22)에는 선택적으로 접이식보조의자(22b)를 더 설치하여 휠체어뿐만 아니라, 몸이 불편한 승객이 휠체어를 이용하지 않고 직접 접이식 보조의자(22b)에 앉아 버스(a)의 출입구로부터 좌석설치 바닥면(5)으로 안전하고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 승,하차를 위한 리프트가 설치된 대형 관광버스(a)는, 출입문(4)에 의해 개폐되는 출입구의 일 측 공간을 리프트실(24)로 구성하고, 이 리프트실(24) 내에는 승,하강대(22)가 유압구동수단(23)에 의해 승,하강하는 리프트(2)를 설치함으로써, 장애인이나 몸이 불편한 사람들이 이용하는 휠체어를 간편하고 안전하게 버스(a) 내부의 좌석 설치 바닥면(5)에 까지 이동시킬 수 있게 되므로, 높은 탑승시점을 갖는 양호한 전망의 고급대형 관광버스를 신체조건에 구애받지 않고 누구나 이용할 수 있게 하여 버스의 사용 편의성을 한층 더 제고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상기의 실시 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승강판 2 : 리프트 3 : 엄폐도어
4 : 출입문 5 : 좌석설치 바닥면 21 : 지지판
22 : 승,하강대 23 : 유압구동수단 24 : 리프트실

Claims (1)

  1. 측면에 형성된 출입문(4)의 계단(41)을 통해 승객이 좌석설치 바닥면(5)에 도달되도록 하는 대형 관광버스(a)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4)의 계단(41) 일 측의 차체 내부바닥판(42) 상에 중첩되게 일측이 차체에 힌지결합된 상태에서 바깥으로 힌지 회동되어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한 승강판(1)과, 상기 승강판(1)의 일 측 공간을 리프트실(24)로 하여 지지판(21)을 직립설치 함과 동시에, 이 지지판(21) 전면에는 유압구동수단(23)에 의해 승,하강 되도록 L자형의 승,하강대(22)를 설치한 리프트(2)와, 상기 리프트실(24) 전면부를 필요 시 엄폐 또는 개방토록 하기 위한 엄폐도어(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승,하차를 위한 리프트가 설치된 대형 관광버스.
KR1020110020290A 2011-03-08 2011-03-08 장애인 승,하차를 위한 리프트가 설치된 대형 관광버스 KR201201022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290A KR20120102267A (ko) 2011-03-08 2011-03-08 장애인 승,하차를 위한 리프트가 설치된 대형 관광버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290A KR20120102267A (ko) 2011-03-08 2011-03-08 장애인 승,하차를 위한 리프트가 설치된 대형 관광버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2267A true KR20120102267A (ko) 2012-09-18

Family

ID=47110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0290A KR20120102267A (ko) 2011-03-08 2011-03-08 장애인 승,하차를 위한 리프트가 설치된 대형 관광버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226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873B1 (ko) * 2013-04-18 2014-10-27 자일대우버스(주) 휠체어 리프트 장치
CN111422260A (zh) * 2019-01-08 2020-07-17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873B1 (ko) * 2013-04-18 2014-10-27 자일대우버스(주) 휠체어 리프트 장치
CN111422260A (zh) * 2019-01-08 2020-07-17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2007008026A (es) Elevador portatil de silla de ruedas.
CN205874997U (zh) 一种辅助轮椅上下公交车的装置
KR100936020B1 (ko) 저상식 휠체어 리프트
US20110088341A1 (en) Stairs adaptable for use by disabled persons
KR20120102267A (ko) 장애인 승,하차를 위한 리프트가 설치된 대형 관광버스
KR20160037509A (ko) 휠체어 리프트를 구비한 장애인용 버스
JP5511247B2 (ja) トイレ用手摺り装置
KR100970208B1 (ko) 이동식 화장실
CN111422722B (zh) 一种智能无障碍化斜坡升降台
KR20100012327A (ko) 휠체어 통로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
CN206107120U (zh) 一种具有升降台阶的公交车
KR100466446B1 (ko) 차량의 휠체어 승강장치
KR100960941B1 (ko) 장애우용 차량
JP2665278B2 (ja) 車両用垂直昇降装置
JPH0712152Y2 (ja) 座いす付き斜行機を備えたバス
KR20120102889A (ko) 전동 휠체어
JP3587808B2 (ja) 入浴補助リフトおよび入浴補助リフト付きユニットバス
JP2007030677A (ja) 乗降用車両
KR200276415Y1 (ko) 운구용 엘리베이터의 의자구조
KR100706039B1 (ko) 장애우용 화장실이 부설된 이동식 화장실
KR200472158Y1 (ko) 차량용 회전 의자
JP2665277B2 (ja) 車両用垂直昇降装置
JPH119378A (ja) 玄関用昇降ベンチ
JP2007089616A (ja) 車椅子輸送車
CN110897799A (zh) 一种子母可分离式电动轮椅车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