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0941B1 - 장애우용 차량 - Google Patents

장애우용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0941B1
KR100960941B1 KR1020100006339A KR20100006339A KR100960941B1 KR 100960941 B1 KR100960941 B1 KR 100960941B1 KR 1020100006339 A KR1020100006339 A KR 1020100006339A KR 20100006339 A KR20100006339 A KR 20100006339A KR 100960941 B1 KR100960941 B1 KR 100960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handicapped
vehicle body
seat
wheel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6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권
김종기
Original Assignee
창림정공(주)
김종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림정공(주), 김종기 filed Critical 창림정공(주)
Priority to KR1020100006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09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0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0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1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using r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2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using lifts connected to the vehic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7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with compartment for horizontally storing the ramp or lif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우용 차량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휠체어를 타고 이동하는 장애우가 차량의 측면도어를 이용하여 차에 탑승하도록 하기 위하여 차체를 저상화하여 구성하고, 장애우가 차량에 탑승했을 시 차량 내부에서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애우용 차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승객이 탑승하기 위한 일정공간이 구비되고 각각의 좌석이 분리 가능한 차체, 상기 차체의 측면 후방도어의 배면에 힌지에 의해 결합되며, 서로 힌지로 결합되어 회동되는 제1 및 제2 플레이트,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가 접히도록 하는 구동수단,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차체의 외부에서 조절이 가능하도록 통신부가 구비되는 제어부 및 상기 차제의 전륜 또는 후륜의 일측에 구비되어 차체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휠체어가 원활히 승, 하차 하도록 하기위하여 공압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도록 통신부가 구비되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장애우용 차량에 의하면,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우들이 쉽게 차량에 탑승할 수 있고, 기존의 별도의 리프트 등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비용절감의 효과가 있고, 차량의 공간을 보다 넓게 이용할 수 있어 장애우들이 탑승하지 않을 경우에도 일반인들이 차량을 이용할 수 있는 큰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차량의 플로워(Floor) 높이를 저상화하여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들이 손쉽게 차량의 내부로 진입하여 운전할 수 있는 큰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장애우용 차량{Handicapped person's car}
본 발명은 장애우용 차량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휠체어를 타고 이동하는 장애우가 차량의 측면도어를 이용하여 차에 탑승하도록 하기 위하여 차체를 저상화하여 구성하고, 장애우가 차량에 탑승했을 시 차량 내부에서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애우용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은 장거리를 이동할 경우에 장애우 차량을 이용하고 있고, 이때 휠체어를 이용하여 차량까지 이동한 후 휠체어에서 차량으로 옮겨 타고 목적지까지 이동한다.
하지만, 일반 차량은 휠체어를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충분하지 않고, 휠체어를 탄 상태로 차량의 탑승은 불가능하므로, 휠체어를 탄 상태에서 차량에 탑승 할 수 있는 차량이 개발되었다.
상기한 장애우용 차량은 차량의 후방에 리프트 또는 슬로프를 장착하여 장애인이나 환자가 휠체어를 탄 상태로 차량에 탑승이 가능하도록 한 차량으로, 휠체어에 탄 장애우를 차에 탑승시키기 위하여 우선 리어 도어를 개방하고, 리프트가 차량의 범퍼 및 리어 도어 사이를 통과하여 지면까지 유출되어 지면과 수평으로 맞닿은 후 장애우가 탄 휠체어가 리프트의 플레이트로 수용된 후 상기 플레이트가 차량의 후방으로 수용되어 휠체어를 탄 장애우가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장애우용 차량은 차량의 후방에 좌석을 없애고 상기한 리프트 등의 장치가 별도로 마련되어야 하므로 장애우가 차에 탑승하지 않을 경우 차량의 후방은 불필요한 공간이 되어 일반인들이 차량을 이용하는데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차량의 측면에 장애우가 탑승할 수 있는 리프트를 구비하고, 탑승하는 휠체어에 의해 기존의 좌석을 가변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장애우용 차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승객이 탑승하기 위한 일정공간이 구비되고 각각의 좌석이 분리 가능한 차체, 상기 차제의 측면 후방도어의 배면에 힌지에 의해 결합되며, 서로 힌지로 결합되어 회동되는 제1 및 제2 플레이트,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가 접히도록 하는 구동수단,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차체의 외부에서 조절이 가능하도록 통신부가 구비되는 제어부 및 상기 차제의 전륜 또는 후륜의 일측에 구비되어 차체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휠체어가 원활히 승, 하차 하도록 하기위하여 공압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도록 통신부가 구비되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차체의 일측과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는 체인, 상기 체인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좌석은, 그 하부에 구비되는 고리, 상기 고리와 결합되어 상기 좌석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차체의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고리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튜브, 상기 튜브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 또는 흡입을 하는 공기주입장치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장애우용 차량에 의하면,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우들이 쉽게 차량에 탑승할 수 있고, 기존의 별도의 리프트 등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비용절감의 효과가 있고, 차량의 공간을 보다 넓게 이용할 수 있어 장애우들이 탑승하지 않을 경우에도 일반인들이 차량을 이용할 수 있는 큰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차량의 플로워(Floor) 높이를 저상화하여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들이 손쉽게 차량의 내부로 진입하여 운전할 수 있는 큰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애우용 차량의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플레이트가 상승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플레이트가 접혀지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장애우용 차량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장애우용 차량의 플레이트가 구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장애우용 차량의 좌석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지지고리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장애우용 차량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애우용 차량의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플레이트가 상승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장애우용 차량은 승객이 탑승하기 위한 일정공간이 구비되고 각각의 좌석(15)이 분리 가능한 차체(10)와, 상기 차제(10)의 측면 후방도어(20)의 배면에 힌지(13)에 의해 결합되며, 서로 힌지(34)로 결합되어 회동되는 제1 및 제2 플레이트(31, 32)와,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31, 32)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31, 32)가 접히도록 하는 구동수단(40)과, 상기 구동수단(40)을 제어하기 상기 차체(10)의 외부에서 조절이 가능하도록 통신부(51)가 구비되는 제어부(50) 및 상기 차제(10)의 전륜(11) 또는 후륜(12)의 일측에 구비되어 차체(1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휠체어(60)가 원활히 승, 하차 하도록 하기위하여 공압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도록 통신부(14)가 구비되는 높이조절수단(13)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각각의 통신부(14, 51)는 장애우들이 직접 차량을 조작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차체(10)의 외부에서 별도의 리모콘(미도시)으로 차량을 조작하여 차체(10)를 하강하거나 도어(20)를 개폐 하는 등의 작업을 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은 무선통신으로 차량의 도어의 개폐 등을 접목시킨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구동수단(40)은, 차체(10)의 일측과 상기 제2 플레이트(32)를 서로 연결하는 체인(41)과, 상기 체인(41)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 플레이트(32)에 구비되는 지지부재(4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차체(10)의 후방도어(20)의 내부면에 구비되어 차량의 이동시 불편함을 최소화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높이조절수단(13)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튜브(18)와, 상기 튜브(18)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 또는 흡입을 하는 공기주입장치(1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는 휠체어를 탑승한 장애우들이 차체(10)에 더욱 쉽게 탑승하도록 하기 위하여 차체(10)를 지면쪽으로 하강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장애우용 차량의 좌석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지지고리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좌석(15)은, 그 하부에 구비되는 고리(16)와, 상기 고리(16)와 결합되어 상기 좌석(15)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차체(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고리(1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차체(10)의 내측에 구비되는 좌석(15)을 결합 또는 해체가 용이하도록 하여 운전이 가능한 장애우들의 경우는 직접 운전석의 좌석을 다른 곳으로 이동하여 직접 운전이 가능한 것이고, 운전이 가능하지 않은 장애우들은 조수석 내지는 뒷좌석에 탑승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장애우용 차량의 사용상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의 플레이트가 상승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플레이트가 접혀지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장애우용 차량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장애우용 차량의 플레이트가 구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장애우용 차량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차체(10)의 외측에서 휠체어(60)에 탑승한 장애인이 외부에서 리모콘(미도시)을 이용하여 차체(10)의 높이조절수단(13)에 의해 차체(10)를 지면으로 하강시킨 후 후방도어(20)를 개방하고, 플레이트(31, 32)를 회동시켜 펴게 된다.
이후 장애우는 휠체어(60)를 조작하여 차량의 내부로 들어서게 되고, 본인이 탑승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좌석(15)을 장애우 본인이 위치한 자리 이외의 곳으로 옮겨서 상기 고리(16)를 이용하여 지지고리(17)에 결합시키고 차량을 조작하거나 차량에 탑승하여 이동할 수 있으며, 차량의 후방에 있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장애우용 차량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장애우용 차량은, 거동이 불편하여 휠체어로 이동을 해야 되는 장애우들을 위한 분야에서 널리 이용 가능한 것이다.
10 : 차체 11 : 전륜
12 : 후륜 13 : 높이조절수단
14 : 통신부 15 : 좌석
16 : 고리 17 : 지지고리
18 : 튜브 19 : 공기주입장치
20 : 후방도어 31 : 제1 플레이트
32 : 제2 플레이트 40 : 구동수단
41 : 체인 42 : 지지부재
50 : 제어부 60 : 휠체어

Claims (4)

  1. 승객이 탑승하기 위한 일정공간이 구비되고 각각의 좌석(15)이 분리 가능한 차체(10);
    상기 차제(10)의 측면 후방도어(20)의 배면에 힌지(13)에 의해 결합되며, 서로 힌지(34)로 결합되어 회동되는 제1 및 제2 플레이트(31, 32);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31, 32)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31, 32)가 접히도록 하는 구동수단(40);
    상기 구동수단(40)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차체(10)의 외부에서 조절이 가능하도록 통신부(51)가 구비되는 제어부(50) 및
    상기 차제(10)의 전륜(11) 또는 후륜(12)의 일측에 구비되어 차체(1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휠체어(60)가 원활히 승, 하차 하도록 하기위하여 공압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도록 통신부(14)가 구비되는 높이조절수단(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우용 차량.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40)은,
    차체(10)의 일측과 상기 제2 플레이트(32)를 서로 연결하는 체인(41);
    상기 체인(41)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 플레이트(32)에 구비되는 지지부재(4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우용 차량.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15)은,
    그 하부에 구비되는 고리(16);
    상기 고리(16)와 결합되어 상기 좌석(15)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차체(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고리(1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우용 차량.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13)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튜브(18);
    상기 튜브(18)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 또는 흡입을 하는 공기주입장치(1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우용 차량.
KR1020100006339A 2010-01-25 2010-01-25 장애우용 차량 KR100960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339A KR100960941B1 (ko) 2010-01-25 2010-01-25 장애우용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339A KR100960941B1 (ko) 2010-01-25 2010-01-25 장애우용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0941B1 true KR100960941B1 (ko) 2010-06-03

Family

ID=42369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6339A KR100960941B1 (ko) 2010-01-25 2010-01-25 장애우용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09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519B1 (ko) * 2010-08-19 2011-03-21 김종기 장애인용 차량
KR101023520B1 (ko) * 2010-08-19 2011-03-21 김종기 장애인용 차량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07851A1 (en) 2000-09-01 2003-01-09 Heigl Keith D. Electronic controller for vehicular wheelchair access
US20030108412A1 (en) 2001-12-07 2003-06-12 Zimmer Paul H. Wheelchair vehicle access system
KR100855613B1 (ko) 2007-08-30 2008-09-01 주식회사 오텍 에어 서스펜션을 구비한 구급차
US7419205B2 (en) 2005-12-08 2008-09-02 Yazaki Corporation Connector connecting structure for detachable sea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07851A1 (en) 2000-09-01 2003-01-09 Heigl Keith D. Electronic controller for vehicular wheelchair access
US20030108412A1 (en) 2001-12-07 2003-06-12 Zimmer Paul H. Wheelchair vehicle access system
US7419205B2 (en) 2005-12-08 2008-09-02 Yazaki Corporation Connector connecting structure for detachable seat
KR100855613B1 (ko) 2007-08-30 2008-09-01 주식회사 오텍 에어 서스펜션을 구비한 구급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519B1 (ko) * 2010-08-19 2011-03-21 김종기 장애인용 차량
KR101023520B1 (ko) * 2010-08-19 2011-03-21 김종기 장애인용 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62326A1 (en) Vehicular boarding assistance device, control unit for vehicular boarding assistance device, and vehicle boarding assistance method
US20100040452A1 (en) Power lift and transfer system and method
US9463121B1 (en) Wheelchair assembly and system for ingress/egress to a vehicle using a door of a vehicle as support
KR101020722B1 (ko) 장애인 휠체어 승강 리프트
KR101023520B1 (ko) 장애인용 차량
US6729829B2 (en) Wheelchair vehicle access system
US20120013102A1 (en) Sliding Seat for Wheelchair Occupant to Enter and Exit Motor Vehicles
KR102235701B1 (ko) 탑승기능을 가지는 휠체어
DE60133242D1 (de) Zusammenklappbare Rampe für Körperbehinderte im Rollstuhl und Kinderwagen für Niederflurfahrzeuge
KR100960941B1 (ko) 장애우용 차량
KR102235699B1 (ko) 휠체어 이용자용 탑승장치
RU2761365C2 (ru) Инвалидная коляска со встроенным пересадоч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KR101423323B1 (ko) 차량용 휠체어 이동 장치
KR20160037509A (ko) 휠체어 리프트를 구비한 장애인용 버스
KR100814684B1 (ko) 수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
KR100992943B1 (ko) 휠체어 통로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
AU2008202212B2 (en) Vehicle mounted, wheelchair boarding apparatus
KR100970208B1 (ko) 이동식 화장실
CN110682836B (zh) 一种轿车副驾驶福祉座椅
KR20180075069A (ko) 교통약자용 차량 승하차 리프트 시스템
CN206107120U (zh) 一种具有升降台阶的公交车
KR20120102267A (ko) 장애인 승,하차를 위한 리프트가 설치된 대형 관광버스
KR101023519B1 (ko) 장애인용 차량
KR200472158Y1 (ko) 차량용 회전 의자
JPH10129335A (ja) 車両の車椅子収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