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6415Y1 - 운구용 엘리베이터의 의자구조 - Google Patents

운구용 엘리베이터의 의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6415Y1
KR200276415Y1 KR2020020004318U KR20020004318U KR200276415Y1 KR 200276415 Y1 KR200276415 Y1 KR 200276415Y1 KR 2020020004318 U KR2020020004318 U KR 2020020004318U KR 20020004318 U KR20020004318 U KR 20020004318U KR 200276415 Y1 KR200276415 Y1 KR 2002764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elevator
elevator car
side suppor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43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노학
남무석
Original Assignee
동양에레베이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에레베이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에레베이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043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64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64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6415Y1/ko

Links

Landscapes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운구용 엘리베이터의 내부에 임의로 접었다 펼 수 있는 의자를 설치함으로서 엘리베이터 카에 탑승한 승객이 의자를 접어놓은 상태로 서서 엘리베이터를 이용하거나 필요에 따라 의자를 펼쳐서 앉은 상태로 엘리베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승객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운구용 엘리베이터의 의자구조에 관한 것으로, 이는 엘리베이터 카의 일측에 운구함을 구성하고, 그 운구함의 입구를 패널로 막아 놓은 엘리베이터 카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운구함 패널 상측 양단에 한쌍의 브라켓을 구비하고, 그 브라켓에는 의자의 고정부를 핀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브라켓의 하측 패널에는 힌지를 구성하여 상단에 돌기가 구비된 사이드 받침판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한 후, 상기 사이드 받침판에 형성된 돌기는 의자를 사용하기 위해 펼칠 때 의자 저면의 홈에 삽입되어 사이드 받침판과 의자가 안정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이룰 수 있는 고안이다.

Description

운구용 엘리베이터의 의자구조{Chair construction for coffin conveyance elevator}
본 고안은 운구용 엘리베이터 카에 탑승객을 위해 마련한 절첩식의 의자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구용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에 임의로 접었다 펼 수 있는 의자를 설치하여 엘리베이터 카에 탑승한 승객이 의자를 접어놓은 상태로 서서 엘리베이터를 이용하거나 필요에 따라 의자를 펼쳐서 앉은 상태로 엘리베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운구용 엘리베이터의 의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고층건물에서 사람이나 화물을 신속하게 원하는 층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엘리베이터는 사람을 원하는 층으로 수직 이동시키기 위한 승객 전용 엘리베이터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화물용 엘리베이터와 환자용 엘리베이터 및 운구용 엘리베이터 등이 사용 목적에 맞도록 제작 설치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용도의 엘리베이터들 중에서 시신을 옮기기 위한 운구용 엘리베이터는 옮겨야 할 시신은 엘리베이터 카의 일측에 구비된 운구함에 넣고 그 유가족들이나 시신관리인은 엘리베이터 카 내에 탑승한 상태로 이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운구용 엘리베이터는 시신을 넣을 수 있는 운구함 공간을확보하여 놓은 상태이지만, 그 공간부분의 입구에 패널 등을 대고 볼트 등의 체결부재로 엘리베이터 카에 패널을 고정시켜서 평상시에는 일반 승객이 이용하는 엘리베이터로 사용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운구용 엘리베이터는 평상시에 그 입구부분을 패널로 막아 놓아도 공간 활용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운구용 엘리베이터의 내부에 임의로 접었다 펼 수 있는 의자를 설치함으로서 엘리베이터 카에 탑승한 승객이 의자를 접어놓은 상태로 서서 엘리베이터를 이용하거나 필요에 따라 의자를 펼쳐서 앉은 상태로 엘리베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승객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운구용 엘리베이터의 의자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의자를 펼친 엘리베이터의 일측면도
도 2는 본 고안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 발췌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의자를 펼친 상태의 요부 확대 일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의자를 접은 상태의 요부 확대 일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엘리베이터 카 2 : 운구함
3 : 패널 4, 5 : 브라켓
6 : 의자 6a : 홈
7, 8 :고정부 9, 10 : 핀
11, 14 : 힌지 12, 15 : 사이드 받침판
13, 16 : 돌기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엘리베이터 카(1)의 일측에 운구함(2)을 구성하고, 그 운구함(2)의 입구를 패널(3)로 막아 놓은 엘리베이터 카(1)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1)의 운구함(2) 패널(3) 상측 양단에 한쌍의 브라켓(4)(5)을 구비하고, 그 브라켓(4)(5)에는 의자(6)의 고정부(7)(8)를 핀(9)(10)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브라켓(4)(5)의 하측 패널(3)에는 힌지(11)(14)를 구성하여 상단에 돌기(13)(16)가 구비된 사이드 받침판(12)(15)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이때 상기 사이드 받침판(12)(15)에 형성된 돌기(13)(16)는 의자(6)를 사용하기 위해 펼칠 때 의자(6) 저면의 홈(6a)에 삽입되어 사이드 받침판(12)(15)과 의자(6)가 안정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시신을 모실 수 있는 운구함(2)이 구비된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에 접거나 펼 수 있는 의자(6)를 설치하여 사용할 때는 누구나 펼쳐서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접어놓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운구용 엘리베이터도 시신을 운반하지 않을 때는 일반인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시신을 운반하지 않는 운구용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사람이 엘리베이터 카(1)에 탑승하여 의자(6)를 사용할 때는 먼저 패널(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의자(6)를 들어 올리고, 그 하측에 접혀 있는 사이드 받침판(12)(15)을 펼친 후, 의자(6)를 그 펼쳐진 사이드 받침판(12)(15) 위에 내려놓으면 간편하게 의자(6)를 펼쳐서 앉은 상태로 엘리베이터 카(1)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의자(6)를 사용하기 위하여 의자(6)를 들어올렸다가 사이드 받침판(12)(15) 우에 내려놓을 때는 사이드 받침판(12)(15)의 돌기(13)(16)가 의자(6)의 저면에 형성된 홈(6a)에 삽입되도록 하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의자(6)와 사이드 받침판(12)(15)이 서로 안정된 상태로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와 같이 사용한 의자(6)를 다시 접을 때는 의자(6)를 다시 들어올려서 의자(6) 저면의 홈(6a)에서 사이드 받침판(12)(15)의 돌기(13)(16)가 빠지도록 한 후, 사이드 받침판(12)(15)을 패널(3)쪽으로 접어놓고, 의자(6)를 내려놓으면 간편하게 의자(6)를 접어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접거나 펼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1)에 구비된 본 고안의 의자(6)는 엘리베이터 카(1)의 일측에 구비된 운구함(2)을 사용하지 않을 때 막아 놓는 패널(3)에 구비함으로서 운구함(2)에 시신을 넣고 운반하지 않는 평상시에 운구함(2) 입구에 패널(3)을 설치하면 접거나 펼칠 수 있는 의자(6)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이 접거나 펼칠 수 있는 의자(6)를 운구함(2)을 구성함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 활용공간이 좁아진 운구용 엘리베이터에 설치함으로서 운구용 엘리베이터를 평상시에 사용하는 승객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겁거나 펼칠 수 있는 본 고안의 의자(6)는 운구함(2)의 입구에 설치되는 패널(3)을 엘리베이터 카(1)의 내벽면에서 조금 들어가도록 하여 접혀진 의자(6)가 엘리베이터 카(1)의 내벽면과 일치하도록 하면 의자를 사용하지 않을 때도 서있는 승객에게 불편을 주지 않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운구용 엘리베이터의 내부에 임의로 접었다 펼 수 있는 의자를 설치함으로서 엘리베이터 카에 탑승한 승객이 의자를 접어놓은 상태로 서서 엘리베이터를 이용하거나 필요에 따라 의자를 펼쳐서 앉은 상태로 엘리베이터를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승객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2)

  1. 엘리베이터 카(1)의 일측에 운구함(2)을 구성하고, 그 운구함(2)의 입구를 패널(3)로 막아 놓은 엘리베이터 카(1)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1)의 운구함(2) 패널(3) 상측 양단에 한쌍의 브라켓(4)(5)을 구비하고, 그 브라켓(4)(5)에는 의자(6)의 고정부(7)(8)를 핀(9)(10)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브라켓(4)(5)의 하측 패널(3)에는 힌지(11)(14)를 구성하여 상단에 돌기(13)(16)가 구비된 사이드 받침판(12)(15)을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운구용 엘리베이터의 의자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받침판(12)(15)에 형성된 돌기(13)(16)는 의자(6)를 펼치고, 의자(6) 저면의 홈(6a)에 삽입하여 사이드 받침판(12)(15)과 의자(6)가 안정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운구용 엘리베이터의 의자구조.
KR2020020004318U 2002-02-09 2002-02-09 운구용 엘리베이터의 의자구조 KR2002764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318U KR200276415Y1 (ko) 2002-02-09 2002-02-09 운구용 엘리베이터의 의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318U KR200276415Y1 (ko) 2002-02-09 2002-02-09 운구용 엘리베이터의 의자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6415Y1 true KR200276415Y1 (ko) 2002-05-21

Family

ID=73117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318U KR200276415Y1 (ko) 2002-02-09 2002-02-09 운구용 엘리베이터의 의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641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85977A1 (en) * 2003-03-28 2004-10-07 Keosan Hi-Tech Co., Ltd Lighting lamp with cartridge-type anion generator
KR101222355B1 (ko) * 2011-10-31 2013-01-15 윤일식 엘리베이터용의 팔걸이가 달린 간이의자
KR20190120873A (ko) 2018-04-17 2019-10-25 (주)모든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용 간이의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85977A1 (en) * 2003-03-28 2004-10-07 Keosan Hi-Tech Co., Ltd Lighting lamp with cartridge-type anion generator
KR101222355B1 (ko) * 2011-10-31 2013-01-15 윤일식 엘리베이터용의 팔걸이가 달린 간이의자
KR20190120873A (ko) 2018-04-17 2019-10-25 (주)모든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용 간이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0236528B2 (en) Device for carrying out work in an elevator shaft
JP2000143125A (ja) エレべーター
MX2007008026A (es) Elevador portatil de silla de ruedas.
WO2010003387A1 (en) Foldable ramp allowing an invalid wheelchair passenger enter into a vehicle
US6158797A (en) Truck bed extension
US20210061616A1 (en) Low overhead compensatory measure
KR200276415Y1 (ko) 운구용 엘리베이터의 의자구조
KR101424388B1 (ko) 장애인 차량용 리프트 장치
JP4421265B2 (ja) 避難用エレベータのかご構造
KR20160037509A (ko) 휠체어 리프트를 구비한 장애인용 버스
KR20090121969A (ko) 전동차 탑승용 휠체어 발판
JPH11343672A (ja) 折畳式多目的ルーム及び多連折畳式多目的ルーム
KR100969560B1 (ko)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한 철도차량용 휠체어 승하차장치
KR100466446B1 (ko) 차량의 휠체어 승강장치
JPH0986402A (ja) 電車乗降用渡り板
JP3562811B1 (ja) 移動式仮設トイレ
JP2004300880A (ja) 建物
JPH04114831U (ja) 昇降装置
JP2002060169A (ja) 折り畳み式椅子付エレベーター
JP2633977B2 (ja) 鉄道車両用化粧室
JP2665278B2 (ja) 車両用垂直昇降装置
CN215520289U (zh) 可收纳的车载房
KR20120102267A (ko) 장애인 승,하차를 위한 리프트가 설치된 대형 관광버스
JP2003063456A (ja) 車両のフロア構造
KR102591873B1 (ko) 이동식화장실용 개폐형 계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