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1351B1 - 철도차량의 장애자용 승하차장치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의 장애자용 승하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1351B1
KR100211351B1 KR1019970022115A KR19970022115A KR100211351B1 KR 100211351 B1 KR100211351 B1 KR 100211351B1 KR 1019970022115 A KR1019970022115 A KR 1019970022115A KR 19970022115 A KR19970022115 A KR 19970022115A KR 100211351 B1 KR100211351 B1 KR 100211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footrest
body box
gett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2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5925A (ko
Inventor
박동순
박홍식
박만수
Original Assignee
추호석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호석, 대우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추호석
Priority to KR1019970022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1351B1/ko
Publication of KR19980085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5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1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1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7/00Loading or unloading devices combined with vehicles, e.g. loading platforms, doors convertible into loading and unloading r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2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using lifts connected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20/00Adaptations of particular transporting means
    • A61G2220/12Tr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컨대, 철도차량에서 휠체어를 탄 장애인이 간편하고 손쉽게 승하차 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출입구(2)의 측면벽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회전기둥(4)과, 이 고정회전기둥(4)에서 상하연결브라켓트(5a,5b)를 매개로 객차 실내쪽과 실외숲으로 180
Figure kpo00001
회동이 가능함과 더불어 작동스위치(7)를 갖춘 조작반(8)과 유압펌프(9)가 설치된 몸체박스(10), 상기 몸체박스(10) 내에 설치되어 발판박스(1)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장치(11) 및, 수평방향으로 여러단계로 슬라이딩 전개되는 발판들을 갖춘 발판박스(1)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박스(10)와 발판박스(1)는 안내레일(10)에서 자유롭게 미끄럼 상하이동이 이루어지는 슬라이더봉(14)과 와이어(15)의 연결부(16a,16b)를 매개로 연결설치되며, 상기 발판박스(1)는 슬라이더봉(14)의 하단부에서 저부브라켓트(30)에 설치된 힌지축(17)과 스프링(31)을 매개로 상방향으로 90

Description

철도차량의 장애자용 승하차장치
본 발명은, 예컨대 철도차량의 승하차용 출입구에 설치되어 휠체어를 탄 신체장애인의 승하차를 도와주어 승하차를 편리하고 손쉽게 해 주는 철도차량의 장애자용 승하차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근로소득의 증가와 복지사회의 추구를 목적으로 신체장애인에 대한 각종 편의가 제공되어 정상인과 동일한 삶을 유지시키기 위해 다양한 장애인 전용시설이 공공기관 내지 공중시설물에 널리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같은 현상은 바람직한 사회현상으로 장애인도 정상인과 동일한 삶의 질을 누려야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맥락에 의하여 철도차량과 같이 플랫폼과 객실 출입구 사이가 이격되어 단이진 장소에서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이 철도차량에 편리하고 손쉽게 승차 및 하차하기 위한 장애자용 승하강장치가 종래에도 제안되어 있었다.
즉 제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 철도차량의 장애자용 승하강장치는 철도차량의 출입구쪽에 발판(101)이 드롭암(102)에 힌지식으로 결합되어 작동되어지는바, 즉 철도차량 출입문 측벽쪽에 설치되는 상기 지주식 도롭암(102)의 상단에는 접철식 발판(101)이 접혀질 때 이를 고정하는 발판고정장치(103)가 설치되고 이 발판(101)을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개시키는 조정용 손잡이(104)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었다.
이같은 종래장치는 발판(101)이 지주식 드롭암(102)의 하단부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각회전 운동함에 따라 상기 지주식 드롭암(102)으로부터 발판(101)의 길이방향 행정조정이 불가능함에 따라 일정하지 않은 높이로 단이진 국내 실정에서는 유용하게 이용되지 못한 실정인바, 즉 정거장의 플랫폼과 철도차량의 출입구의 높이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일정한 길이로 세팅된 발판(101)의 길이방향 행정간격에 의해 휠체어를 탄 장애인이 상기 발판(101)으로 올라오거나 내려가기 위해서는 단이진 플랫폼과 발판(101)의 경사판(101a) 사이를 주변사람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그리고 상기 발판(101)이 전개가 단지 연결판(101b)과 경사판(101a)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휠체어의 활동공간이 불편하며, 비교적 높이차이가 큰 지점에서는 이용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지주식 드롭암(102)의 조작도 불편하고, 중량도 무거운 단점을 지니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발판의 외형을 경량화 하면서 활동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고 플랫폼과 출입문 사이에 어떠한 단이져 있어도 적절하게 맞추어 이용할 수 있도록 발판을 보유지지하는 안내레일의 승하강이 자유롭게 조절됨에 따라 휠체어를 탄 장애인이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철도차량의 장애자용 승하차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장애자용 승하차장치의 부분단면 정면개략도.
제2도는 제1도의 측면개략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장치를 나탄낸 정면단면도.
제4(a),(b)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발판박스가 전개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와 측면도.
제5(a),(b)도는 제3도에서 발판박수를 보유지지하는 슬라이드봉의 정면도와 단면도.
제6(a)
Figure kpo00004
(k)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승하차장치를 이용하여 휠체어를 탄 장애인이 객실내부로 승차하는 단계를 나타낸 개략설명사시도들.
제7(a)
Figure kpo00005
(j)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승하차장치를 이용하여 객실내부에서 플랫폼쪽으로 하차하는 단계를 나타낸 개략설명사시도들이고,
제8도는 종래 장애자용 승하강장치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발판박스 2 : 출입구
3 : 계단부 4 : 고정회전기둥
5a,5b : 연결브라켓트 6 : 베어링
7 : 스위치 8 : 조작반
9 : 유압펌프 10 : 몸체박스
11 : 승하강장치 12 : 주발판
13 : 안내레일 14 : 슬라이더봉
15 : 와이어 16a,16b : 연결부
17 : 힌지축 18 : 잠금부
19 : 유압탱크 20a,20b : 유압파이프
21 : 유압실린더 21a : 피스톤
22a,22b : 풀리 23 : 주발판
24 : 손잡이핸들 25a,25b : 내측발판
26 : 외측발판 27 : 고정판
28 : 손잡이 29 : 융기부
30 : 저부브라켓트 31 : 스프링
32 : 체결구 33 :슬라이드홈
100 : 승하차장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객차와 같은 철도차량의 승하차용 출입구 측면벽체에 설치되는 고정회전기둥과, 이 고정회전기둥에서 상하연결 브라켓트를 매개로 좌우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함과 더불어 조작반과 펌프를 갖춘 몸체박스, 상기 몸체박스 내에 설치되어 후술하는 발판박스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장치 및, 수평으로 여러단계로 전개되는 발판을 갖춘 발판박스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박스와 발판박스는 안내레일에서 자유롭게 승하강 작용하는 슬라이더봉과 와이어의 연결부를 매개로 연결 설치되며, 상기 발판박수는 슬라이더봉의 힌지축을 지점으로 상방향으로 90
Figure kpo00006
로 회전운동 되어 진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와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자용 승하강장치에서 발판박스(1)가 90
Figure kpo00007
로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부분단면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은 객차와 같은 철도차량의 출입구(2)의 계단부(3)에 설치되어 신체가 부자유스러운 장애자의 휠체어를 안전하게 승차 및 하차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출입구(2)의 측면 벽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회전기둥(4)과, 이 고정회전기둥(4)에서 상하연결브라켓트(5a,5b)의 베어링(6)을 매개로 객차 실내쪽과 실외쪽으로 180
Figure kpo00008
회동이 가능함과 더불어 ON/OFF 스위치(7)를 갖춘 조작반(8)과 유압펌프(9)가 설치된 몸체박스(10), 상기 몸체박스(10)내에 설치되어 후술하는 발판박스(1)를 승하강 시키는 승하강장치(11) 및, 수평방향으로 여러단계로 전개되는 주발판(12)과 보조발판을 갖춘 발판박스(1)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박스(10)와 발판박스(1)는 안내레일(13)에서 자유롭게 미끄럼 상하이동이 이루어지는 슬라이더봉(14)과 와이어(15)의 연결부(16a,16b)들을 매개로 연결 설치되며, 상기 발판박스(1)는 슬라이더봉(14)의 하단부에서 힌지축(17)을 지점으로 상방향으로 90
Figure kpo00009
회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후술하는 제6(a)도에서와 같이 상기 몸체박스(10)에 발판박스(1)가 접혀진 상태에서 이들을 결합시키는 잠금수단인 잠금부(18)가 이 몸체박스(10)의 측면부와 이에 대응된 발판박스(1)의 측면부에 설치되어 있는데, 이 잠금부(18)는 수동으로 해제 및 결합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으면 어떠한 구조도 상관이 없다.
이어 본 발명에 따른 발판박스(1)의 승하강작용을 제3도 참조로 설명하면, 객차 출입구(2)의 계단부(3)에 설치된 유압탱크(19)는 유앞파이프(20a,20b)를 통해 유압펌프(9)와 연결되고 이 유압펌프(9)의 유압파이프(20a,20b)는 몸체박스(10) 내부에 고정설치된 유압실린더(21)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유압실린더(21)의 피스톤(21a)에는 하부이동용 풀리(22a)가 설치되고 이 하부이동용 풀리(22a)와 연관작용하는 상부고정용 풀리(22b)가 몸체박스(10)의 내부상단에 설치됨에 따라, 이 몸체박스(10)의 내부 상단에 고정된 와이어(15)는 상기 하부이동용 풀리(22a)와 상부고정용 풀리(22b)를 거쳐 발판박스(1)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작반(8)의 스위치(7)를 ON 시키게 되면 유압실린더(21)의 피스톤(21a)이 후퇴하여 제1도에 도시된 하부이동용 풀리(22a)를 실선의 위치에서 점선의 위치로 끌어당겨 발판박스(1)를 하강시킨다. 이때 상기 발판박스(1)는 자중에 의해서 안내레일(13)을 따라 하강되는 슬라이더봉(14)에 의해 하강 안내된다.
이와 반면에 상기 하강된 발판박스(1)를 상승시키고자 할 때에는 유압실린더(21)의 반대작용으로 인해 이 하부이동용 풀리(22a)는 점선의 위치에서 실선의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와이어(15)가 상기 발판박스(1)를 끌어당겨 제1도와 제2도에 도시된 상태로 유지시킨다.
한편, 상기 발판박스(1)는 제4도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세워지거나 눕혀지는 구조로 측면에 장착된 손잡이핸들(24)을 갖춘 주발판(23)과, 이 주발판(23)을 중심으로 객차 실내쪽으로 슬라이드식으로 연장되는 내측1,2차발판(25a,25b), 플랫폼 쪽으로 슬라이드식으로 연장되는 외측발판(26) 및, 이 외측발판(26)의 자유단에서 힌지식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고정판(27)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내측2차발판(25b)의 자유단에는 수동으로 이들 내측1,2차발판(25a,25b)을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는 손잡이(28)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외측발판(26)의 표면에는 미끄럼방지용 융기부(29)들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5도의 (a),(b)는 몸체박스(10)의 내부의 안내레일(13)에서 미끄럼 이동되는 발판박스지지용 슬라이더봉(14)을 도시한 것으로, 이 슬라이더봉(14)의 하단부에는 저부브라켓트(30)에 힌지축(17)과 스프링(31)을 매개로 상기 발판박스(1)가 연결되어진 상태를 나타낸다.
이어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장애자용 승하차장치를 이용하여 휠체어에 탄 신체장애자가 객실과 플랫폼으로 각각 승하차하는 작용을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제6도와 제7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장치는 이해를 돕기 위해 개략적인 사시도로 도시한다.
먼저 휠체어에 탄 장애자를 플랫폼에서 객실내부로 승차시키기 위해 제6(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차체에 부착된 공지의 체결구(32)를 풀어 출입구(2) 측면쪽에 보관된 승하차장치(100)를 실선의 위치에서 점선의 위치로 180
Figure kpo00010
회전시킨다. 그런다음, 제6(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잠금부(18)을 해제시켜 상기 몸체박스(10)에서 발판박스(1)를 90
Figure kpo00011
회전시킨 후, 조작반(8)의 스위치(7)를 ON 시키게되면, 승하강장치(11)의 작용으로 상기 발판박스(1)는 몸체박스(10)에서 하강된다(제6(c)도 참조).
이때 하강 행정거리는 유압실린더(21)의 피스톤(21a) 행정을 조정하여 플랫폼과 객차의 출입구 계단부 상단의 높이에 맞추어 적절히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제6(d)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발판박스(1)에서 외측발판(26)을 슬라이딩 이동시킨다음, 고정판(27)을 회전시키어 플랫폼에 접지시키고 주발판(23)의 측면에 장착된 손잡이핸들(24)을 세워 휠체어탑승 준비를 완료하게 되면, 휠체어를 탄 장애인이 상기 발판박스(1)의 외측발판(26)과 주발판(23)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면 제6(f)도와 같이 고정판(27)을 상방향 회동시키어 외측발판(26)에서 세운다. 이는 제4(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고정판(27)의 양측면에 슬라이드홈(33)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 고정판(27)을 외측발판(26)에서 수직방향으로 세워 고정시킬 수 있다. 이어 제6(g)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휠체어가 탑재된 상태에서 앞서 설명한 승하강장치(11)를 이용하여 발판박스(1)를 승강시키어 출입구(2) 계단부 상단까지 끌어 올린후에 상기 발판박스(1)의 내측 1,2차발판(25a,25b)들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끄집어 낸다. 그러면 상기 휠체어는 객실의 출입구(2)를 통해 객차 실내로 이동한다(제6(i)도 참조). 휄체어를 탄 쟁야자의 탑승이 완료되면, 앞서 설명한 방식의 역순으로 발판들을 발판박스(1)로 집어 넣은다음(제6(j)도 참조), 제6(k)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 발판박스(1)를 몸체박스(10)에 이웃하게 접어놓고 잠금부(18)로 체결한 다음, 이 몸체박스(10)를 지주식 고정회전기둥(4)을 지점으로 해서 화살표 (a)방향으로 180
Figure kpo00012
회전시키어 차실내쪽에 보관한다.
한편 객실에 탑승한 휠체어를 탄 장애인을 플랫폼 숲으로 하차시키고자 할 때에는 제7(a)
Figure kpo00013
(j)도에 도시된 바와같다. 이를 간략하게 설명하며 보관중인 몸체박스(10)를 고정회전기둥(4)에서 180
Figure kpo00014
회전시킨다음 발판박스()를 몸체박스(10)에서 펼쳐지게하여 제7(c)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주발판(23)에서 내측1,2차발판(25a,25b)과 외측발판(26) 및 고정판(27)을 끄집어 낸 다음 상기 고정판(27)을 외측발판(26)의 자유단에서 세워 놓는다. 그런다음 휠체어가 발판박스(1)에 탑재되면, 상기 내측1,2차발판(25a,25b)을 집어넣고, 조작반(8)의 스위치(7)를 조작하여 상기 발판박스(1)를 플랫폼까지 하강시킨 다음 외측발판(26)의 고정판(27)을 펼쳐서 휠체어를 하차시킨후(제7(g)도 참조), 이 외측발판(26)과 고정판(27)을 발판박스(1)내에 접어넣고, 이 발판박스(1)를 상승시킨 후 몸체박스(10)에 제7(j)도와 같이 접어서 끝으로 고정회전기둥(4)을 중심으로 차실내쪽으로 상기 몸체박스(10)를 회동 보관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장애자용 승하차장치는 구조가 경량되면서 탑재한 휠체어의 활동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랫폼과 철도차량의 출입구의 다양한 단편차에 정확하게 맞출수 있는 행정간격을 갖는 잇점등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실시예로 철도차량에서 객실 출입구를 승하차할 때 적용시켰으나, 이러한 장애자용 승하차장치는 다양한 차량, 건물구조물, 또는 공공기관등에서 휠체어를 탄 장애자의 편리한 이동을 위해 폭넓게 적용 실시할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7)

  1. 플랫폼에서 객실내부 혹은 객실내부에서 플랫폼과 같이 상하로 단이진 장소에 휠체어를 탑승한 장애인을 이동시키는 장애자용 승하차장치에 있어서, 출입구(2)의 측면벽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회전기둥(4)과, 이 고정회전기둥(4)에서 상하연결브라켓트(5a,5b)를 매개로 객차 실내쪽과 실외쪽으로 180
    Figure kpo00015
    회동이 가능함과 더불어 작동스위치(7)를 갖춘 조작반(8)과 유압펌프(9)가 설치된 몸체박스(10), 상기 몸체박스(10)내에 설치되어 발판박스(1)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장치(11) 및, 수평방향으로 여러단계로 슬라이딩 전개되는 발판들을 갖춘 발판박스(1)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박스(10)와 발판박스(1)는 안내레일(10)에서 자유롭게 미끄럼 상하이동이 이루어지는 슬라이더봉(14)과 와이어(15)의 연결부(16a,16b)를 매개로 연결 설치되며, 상기 발판박스(1)는 슬라이더봉(14)의 하단부에서 저부브라켓트(30)에 설치된 힌지축(17)과 스프링(31)을 매개로 상방향으로 90
    Figure kpo00016
    회동이 가능하게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장애자용 승하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장치(11)는 유압탱크(19)와 유압펌프(9)에 의해 작용하는 유압실린더(21)와 이 유압실린더(21)의 피스톤(21a)에 부착된 하부이동용 풀리(22a), 상기 몸체박스(10) 내부 상단에 부착된 상부고정용 풀리(22b), 이 몸체박스(10) 내부 상단에 고정되어 하부이동용 풀리(22a)와 상부고정용 풀리(22b)를 거쳐 연결구(16a,16b)를 매개로 발판박스(1)에 연결된 와이어(1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장애자용 승하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박스(1)는 주발판(23)과, 객실 내부쪽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외측발판(26) 및, 이 외측발판(26)에서 힌지식으로 접철되는 고정판(27)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장애자용 승하차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27)의 양측면에는 외측발판(26)에서 수직방향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슬라이드홈(33)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장애자용 승하차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발판(23)의 한쪽 측면에는 손잡이핸들(24)이 힌지식으로 접철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장애자용 승하차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회전기둥(4)과 몸체박스(10)를 연결하는 연결브라켓트(5a,5b)의 힌지축 설치부위에는 베어링(6)이 장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장애자용 승하차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박스(10)와 발판박스(1)의 고정 및 분리는 수동식 잠금부(18)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장애자용 승하차장치.
KR1019970022115A 1997-05-30 1997-05-30 철도차량의 장애자용 승하차장치 KR100211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2115A KR100211351B1 (ko) 1997-05-30 1997-05-30 철도차량의 장애자용 승하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2115A KR100211351B1 (ko) 1997-05-30 1997-05-30 철도차량의 장애자용 승하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5925A KR19980085925A (ko) 1998-12-05
KR100211351B1 true KR100211351B1 (ko) 1999-08-02

Family

ID=19507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2115A KR100211351B1 (ko) 1997-05-30 1997-05-30 철도차량의 장애자용 승하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13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32682A (zh) * 2014-06-13 2014-09-10 中铁重工有限公司 一种用于液压换装架的开链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32682A (zh) * 2014-06-13 2014-09-10 中铁重工有限公司 一种用于液压换装架的开链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5925A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54006B1 (en) A combined stairs and person hoist
US4081091A (en) Wheelchair lift
CA1095465A (en) Wheelchair lift device
CA1092555A (en) Wheelchair lift device
US11311433B2 (en) Lift for telescopic passenger stairs for boarding passengers in wheelchairs on a plane
US20040146386A1 (en) Wheelchair access system with stacking platform
WO2001070572A1 (fr) Installation d'embarquement presentant des structures de passage et une ossature portante
US4039091A (en) Elevator type bus boarder
CA1084005A (en) Wheelchair lift device
KR100936020B1 (ko) 저상식 휠체어 리프트
US4347030A (en) Wheelchair loading device for trains
CA1100102A (en) Locking arrangement for wheelchair lift device
KR101924901B1 (ko) 휠체어 리프트장치
US4381899A (en) Wheelchair lift device
KR100211351B1 (ko) 철도차량의 장애자용 승하차장치
JP2005349993A (ja) タラップ車
CN111823989B (zh) 针对行动不便者上下车辆的辅助设备
KR101495326B1 (ko) 교통약자용 탑승 시설이 구비된 페리 보트
JP2007030677A (ja) 乗降用車両
KR101924898B1 (ko) 장애인 이동차량용 출입도어를 이용한 휠체어 리프트장치
JP4406291B2 (ja) 鉄道車両の非常用脱出装置
RU99704U1 (ru) Подъ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садки и высадки пассажира в кресле-коляске, установленное в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м вагоне
KR101863339B1 (ko)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지지구조
CN213501983U (zh) 针对行动不便者上下车辆的辅助支撑平台机构
KR102620648B1 (ko) 휠체어 입수용 리프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1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