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0648B1 - 휠체어 입수용 리프트 - Google Patents
휠체어 입수용 리프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20648B1 KR102620648B1 KR1020210175124A KR20210175124A KR102620648B1 KR 102620648 B1 KR102620648 B1 KR 102620648B1 KR 1020210175124 A KR1020210175124 A KR 1020210175124A KR 20210175124 A KR20210175124 A KR 20210175124A KR 102620648 B1 KR102620648 B1 KR 1026206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ft
- wheelchair
- upper body
- lift arm
- uni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9182 swimm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44 transfo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41—Single levers, e.g. parallel link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영장 등에서 사용할 수 있는 휠체어 입수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바닥을 지지하는 하부 몸체, 상기 하부 몸체의 양측 단부에 각각 마련되고, 내부에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부를 마련한 상부 몸체, 상기 상부 몸체에 선회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동력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리프트 암 및 상기 리프트 암의 단부에 선회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부에 대상물을 안착할 수 있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바닥을 지지하는 하부 몸체, 상기 하부 몸체의 양측 단부에 각각 마련되고, 내부에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부를 마련한 상부 몸체, 상기 상부 몸체에 선회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동력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리프트 암 및 상기 리프트 암의 단부에 선회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부에 대상물을 안착할 수 있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휠체어 입수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수영장 등에서 사용할 수 있는 휠체어 입수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은 대부분 전동휠체어에 의존하여 생활을 하며,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주변 시설은 승강장으로 휠체어를 탑승하여 이동할 수 있는 전용 승강 시설이 제공되며, 장거리 이동은 장애인 전용 탑승차량 등의 운송수단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특히 건물 내에 진입은 건물 입구에 마련된 전용 경사로를 따라 진입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러한 시설은 휠체어를 탄 장애인들을 위해 늘어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0936020호에는 종래의 저상식 휠체어 리프트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종래의 저상식 휠체어 리프트와 같이 높이가 높은 진입로로 휠체어의 진입을 돕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하지만 실내 또는 실외 수영장은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의 진입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일반적으로 실내 또는 실외 수영장은 지면을 일정 깊이로 파서 내부에 물을 충진시켜 시간과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사용자가 수영을 즐길 수 있도록 한 시설물로서, 수영장으로 들어가거나 나올 때에는 수영장 일측에 설치된 사다리를 이용하게 된다.
사다리의 구성은 발을 딛을 수 있는 발판과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되어 수영장의 측벽에 고정 설치되는데, 이와 같이 수영장 일측에 설치되는 사다리는 일반인은 사용이 용이하나, 장애인의 경우 이를 전혀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이 수영장을 이용할 경우에는 먼저 장애인을 휠체어로부터 수영장의 차가운 바닥에 내려놓은 다음 보호자가 수영장으로 입수한 후 장애인을 안아서 수영장 내부로 옮겨야만 비로소 수영을 할 수 있게 되며, 수영을 한 후에도 보호자가 장애인을 들어올려 다시 휠체어에 탑승시켜야 하는 번거로운 절차가 반복되게 된다.
이와 같이 장애인이 수영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동력과 보호가 필요하기 때문에 보호자의 피로가 급증하게 되며, 더불어 장애인의 수영장 이용률이 현저하게 낮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장애인의 건강이 증진되지 않아 사회적 비용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휠체어를 탄 장애인이 혼자서도 수영장 등의 풀 내에 입수하고 풀의 이용이 끝난 후에는 다시 휠체어를 타고 퇴장하기 쉽도록 한 휠체어 입수용 리프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입수용 리프트는 바닥을 지지하는 하부 몸체, 상기 하부 몸체의 양측 단부에 각각 마련되고, 내부에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부를 마련한 상부 몸체, 상기 상부 몸체에 선회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동력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리프트 암 및 상기 리프트 암의 단부에 선회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부에 대상물을 안착할 수 있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몸체는 내부에, 기립하게 형성된 승강 가이드부와, 상기 승강 가이드부에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승강 가이드부를 따라 승강 이동하는 웨이트부와, 상기 상부 몸체에 일단부를 선회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웨이트부에 타단부를 선회 가능하게 연결한 제1 링크부와, 일단부를 상기 리프트 암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하고, 타단부를 상기 제1 링크부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한 제2 링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입수용 리프트에서 상기 상부 몸체는 내부에, 기립하게 형성된 승강 가이드부와, 상기 승강 가이드부에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승강 가이드부를 따라 승강 이동하는 웨이트부와, 일단부를 상기 리프트 암에 연결하고, 타단부를 웨이트부에 연결한 케이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프트 암은 서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 개의 관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는 상기 리프트 암의 단부에서 선회하면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입수용 리프트는 휠체어를 탄 장애인이 혼자서도 수용장의 풀 안에 입수하고 풀에서 퇴장하는 것을 자유롭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입수용 리프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입수용 리프트를 좌측면에서 상부 몸체를 투시하여 내부를 도시한 일부 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하고 안전바를 결합한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상부 몸체의 외부를 제거하여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입수용 리프트를 좌측면에서 상부 몸체를 투시하여 상부 몸체의 내부를 도시한 일부 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입수용 리프트를 사용하여 휠체어를 수용장의 풀 내로 입수시키는 것을 순서대로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입수용 리프트를 좌측면에서 상부 몸체를 투시하여 내부를 도시한 일부 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하고 안전바를 결합한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상부 몸체의 외부를 제거하여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입수용 리프트를 좌측면에서 상부 몸체를 투시하여 상부 몸체의 내부를 도시한 일부 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입수용 리프트를 사용하여 휠체어를 수용장의 풀 내로 입수시키는 것을 순서대로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입수용 리프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입수용 리프트를 좌측면에서 상부 몸체를 투시하여 내부를 도시한 일부 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하고 안전바를 결합한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4는 도 1에서 상부 몸체의 외부를 제거하여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입수용 리프트를 좌측면에서 상부 몸체를 투시하여 상부 몸체의 내부를 도시한 일부 투시도이고,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입수용 리프트를 사용하여 휠체어를 수용장의 풀 내로 입수시키는 것을 순서대로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입수용 리프트(1)는 하부 몸체(100), 상부 몸체(200), 리프트 암(300) 및 안착부(400)를 포함한다.
하부 몸체(100)는 바닥을 지지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하부 몸체(100)는 저면부와 상면부를 평평하게 형성하고, 상면부가 휠체어(W) 등이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하부 몸체(100)는 휠체어(W) 등이 진입하는 진입로인 일측 단부에 상면부의 표면으로부터 지면 바닥까지 경사지는 진입 경사로(101)를 연장 형성할 수 있다.
진입 경사로(101)는 하부 몸체(100)와 지면 바닥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단턱을 제거하여 휠체어(W) 등이 하부 몸체(100)의 상면부로 진입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하부 몸체(100)는 양측부 또는 양측 단부에 복수 개의 바퀴(미도시)를 설치할 수 있다.
바퀴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입수용 리프트를 바닥으로부터 이동하기 위한 것 일 수 있다.
바퀴는 전기 모터 등과 같은 동력 장치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주행할 수 있다.
바퀴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입수용 리프트의 이동 시에만 바닥을 지지하고 이때 하부 몸체(100)는 바닥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입수용 리프트가 탑승자를 수용장의 풀(pool) 등과 같은 물 안에 입수시킬 시에는 바퀴를 상측으로 이동하여 하부 몸체(100)가 바닥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퀴가 상측으로 이동하고 하부 몸체(100)가 바닥을 지지함에 따라 바닥을 지지하는 면적이 넓어져서 하부 몸체(100)의 흔들림 등과 같은 현상을 극소화하여 안정되게 지지되게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상부 몸체(200)는 하부 몸체(100)의 상측에 형성되고, 하부 몸체(100)가 바닥에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내부에 웨이트부(270)를 설치하여 무게 하중을 충분히 확보하고, 내부에 리프트 암(300)의 작동을 위한 동력부(210), 제어부(230), 전원부(250)를 설치할 수 있다.
상부 몸체(200)는 하부 몸체(100)의 양측 단부에 서로 대칭되게 각각 기립하게 형성됨에 따라 하부 몸체(100)에 제공하는 하중을 양측에 동일하게 부여하여 하부 몸체(100)가 바닥에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몸체(200)는 안착부(400)의 양측 단부에 각각 리프트 암(300)을 연결하여 안착부(400)가 안정되게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고하여, 하부 몸체(100)의 양측 단부에 각각 기립된 상부 몸체(200)의 사이로 휠체어(W)가 진입하여 하부 몸체(100)의 상부로 이동하고, 휠체어(W)가 하부 몸체(100)의 위로 완전히 이동한 후에는 한 쌍의 상부 몸체(200)의 진입로측 단부 상측을 연결하도록 안전바(280)를 끼움 결합하여 휠체어(W)가 진입로의 반대방향으로 임의로 이동하여 발생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여, 상부 몸체(200)는 내부에 설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부 몸제(200)의 내부에 설치된 동력부(210)는 전기 모터, 엑츄에이터(actuator), 유압 실린더, 리니어 모터(linear motor) 등과 같은 동력 발생 장치일 수 있다.
동력부(210)는 일측부에 신축하며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로드(211)를 연장되게 형성하고, 타측부에 연장되어 상부 몸체(200)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 로드(213)를 형성할 수 있다.
동력부(210)는 동력 전달 로드(211)를 리프트 암(300)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하여 리프트 암(30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동력부(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동력부(210)에 작동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탑승자 또는 보조자가 조작하는 원격 리모컨(미도시) 등의 작동 명령을 수신하여 동력부(210) 등에 작동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전원부(250)는 상부 몸체(200)의 내부에 설치된 베터리 또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케이블 등일 수 있고, 동력부(210)와 제어부(23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고하여, 일 실시예로 상부 몸체(200)는 내부에 승강 가이드부(271)와 웨이트부(270)와 제1 링크부(273)와 제2 링크부(275)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 가이드부(271)는 웨이트부(270)의 승강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승강 가이드부(271)는 상부 몸체(200)의 내부에 기립하는 바(bar) 또는 봉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승강 가이드부(271)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고, 서로 이격된 상태로 하나의 웨이트부(270)의 승강 이동을 가이드 함에 따라 웨이트부(270)가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승강하도록 할 수 있다.
웨이트부(270)는 리프트 암(300)과 안착부(400) 및 안착부(400)에 안착되는 휠체어(W)와 휠체어(W)에 탑승한 탑승자의 무게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입수용 리프트(1)가 안착부(400) 측으로 쏠려서 넘어지지 않도록 상부 몸체(200)에 하중을 부여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제1 링크부(273)는 상부 몸체(200)와 웨이트부(270)를 서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제1 링크부(273)는 일단부를 상부 몸체(200)에 선회 가능하게 힌지 결합하고, 타단부를 웨이트부(270)에 선회 가능하게 힌지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제1 링크부(273)의 일단부는 동력부(210)의 연결 로드(213)와 동일한 축에 의해 상부 몸체(200)와 힌지 결합할 수 있다.
제1 링크부(273)는 일단부를 상부 몸체(200)의 하부에 힌지 결합하고, 타단부를 웨이트부(270)에 오목하게 형성된 가이드 홈(272)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할 수 있다.
즉 제1 링크부(273)는 웨이트부(270)가 승강 이동함에 따라 제1 링크부(273)의 타단부가 가이드 홈(272)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연결될 수 있다.
제2 링크부(275)는 일단부를 리프트 암(300)의 단부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링크부(275)의 타단부는 제1 링크부(273)의 일단부와 타단부의 사이 중앙부에 선회 가능하게 링크 연결될 수 있다.
제2 링크부(275)의 일단부와 동력부(210)의 동력 전달 로드(211)는 크랭크 축(310)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어 동력부(210)의 동력이 제2 링크부(275)로 전달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크랭크축(310)은 리프트 암(300)에 연결되어 크랭크축(310)이 동력부(210)의 동력에 의해 선회함에 따라 리프트 암(300)이 크랭크축(310)을 따라 선회하며 작동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입수용 리프트는 상부 몸체(200)가 내부에 승강 가이드부(271)와 웨이트부(270)와 케이블부(270a)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 가이드부(271)와 웨이트부(270)는 상술한 일 실시예와 동일함으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케이블부(270a)는 일단부를 리프트 암(300)의 단부에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케이블부(270a)의 타단부는 웨이트부(270)에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부(270a)의 타단부를 웨이트부(270)에 오목하게 형성된 가이드 홈(272)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케이블부(270a)의 일단부와 동력부(210)의 동력 전달 로드(211)는 크랭크 축(310)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어 동력부(210)의 동력이 케이블부(270a)로 전달되게 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고하여, 리프트 암(300)은 상부 몸체(200)의 동력부(210)에 연결되고, 동력부(21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선회 이동할 수 있다.
리프트 암(300)은 서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 개의 관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리프트 암(300)은 제1 관절부(300a)와 제2 관절부(300b)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관절부(300a)는 일단부를 크랭크축(310)과 연결할 수 있고, 제1 관절부(300a)와 크랭크 축(31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관절부(300a)는 크랭크 축(310)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 동력부(210)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1 관절부(300a)는 타단부에 제2 관절부(300b)의 일단부를 선회 가능하게 링크 연결할 수 있다.
제2 관절부(300b)는 타단부에 안착부(400)를 선회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안착부(400)는 상부에 휠체어(W) 등에 탑승된 탑승자를 안착시킬 수 있다.
안착부(400)는 장방형, 아치형 등의 판체일 수 있다.
안착부(400)는 상부 테두리에 기립된 걸림턱(410)을 형성할 수 있다.
걸림턱(410)은 안착부(400)에 안착된 휠체어(W) 등이 미끄러져 수영장의 풀 등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걸림턱(410)은 안착부(400)의 양측부 및 일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410)의 양측부에 제2 관절부(300b)를 회전축으로 연결하여 선회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걸림턱(410)의 일측부는 수영장의 풀 등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안착부(400)는 타측부에 걸림턱(410)을 형성하지 않고, 브릿지부(430)를 연장 형성할 수 있다.
브릿지부(430)는 휠체어(W) 등이 안착부(400)의 상측에 안착하기 위한 진입로를 형성할 수 있다.
브릿지부(430)는 안착부(400)의 타측부 테두리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안착부(400)가 선회 이동하면서 하부 몸체(100)의 풀장측 단부와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하도록 이동하면 안착부(400)와 하부 몸체(100)의 사이에 이격된 틈이 발생하는데, 이격된 틈을 브릿지부(430)가 연결하여 휠체어(W) 등이 하부 몸체(100)를 통과하여 안착부(400)의 위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안착부(400)는 제2 관절부(300b)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리프트 암(300)의 선회 이동시 안착부(400)의 상면부가 항상 천장(하늘)측을 수직으로 바라보도록 안착부(400)는 수평 상태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안착부(400)가 리프트 암(300)에 의해 선회 이동할 때 안착부(400)에 안착된 휠체어(W)에 탑승한 탑승자가 흔들리지 않고 위치를 유지하면서 안정되게 수영장 등의 풀 안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안착부(400)에 탑승자가 안착한 상태로 안착부(400)는 수영장 등의 풀 안으로 입수하여 탑승자가 풀 안에 채워진 물로 안착부(400)와 함께 입수하게 함에 따라 탑승자가 자연스럽게 풀장 안에서 수영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탑승자가 수영을 완료한 후에는 다시 풀장 안에 입수된 안착부(400)에 안착된 휠체어(W)로 스스로 탑승한 후 리프트 암(300)을 선회 이동하여 안착부(400)를 하부 몸체(100)의 풀장측 단부와 동일 수평선상으로 이동시킨 후 탑승자가 휠체어(W)를 주행하여 수영장의 보행로를 따라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휠체어 입수용 리프트
100: 하부 몸체
101: 진입 경사로
200: 상부 몸체
210: 동력부
211: 동력 전달 로드
213: 연결 로드
230: 제어부
250: 전원부
270: 웨이트부
271: 승강 가이드부
272: 가이드 홈
273: 제1 링크부
275: 제2 링크부
280: 안전바
300: 리프트 암
300a: 제1 관절부
300b: 제2 관절부
310: 크랭크축
400: 안착부
410: 걸림턱
430: 인입 유도부
100: 하부 몸체
101: 진입 경사로
200: 상부 몸체
210: 동력부
211: 동력 전달 로드
213: 연결 로드
230: 제어부
250: 전원부
270: 웨이트부
271: 승강 가이드부
272: 가이드 홈
273: 제1 링크부
275: 제2 링크부
280: 안전바
300: 리프트 암
300a: 제1 관절부
300b: 제2 관절부
310: 크랭크축
400: 안착부
410: 걸림턱
430: 인입 유도부
Claims (5)
- 바닥을 지지하는 하부 몸체;
상기 하부 몸체의 양측 단부에 각각 마련되고, 내부에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부를 마련한 상부 몸체;
상기 상부 몸체에 선회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동력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리프트 암; 및
상기 리프트 암의 단부에 선회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부에 대상물을 안착할 수 있는 안착부; 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몸체는 기립하게 형성된 승강 가이드부와, 상기 승강 가이드부에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승강 가이드부를 따라 승강 이동하는 웨이트부와, 상기 상부 몸체에 일단부를 선회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웨이트부에 타단부를 선회 가능하게 연결한 제1 링크부와, 일단부를 상기 리프트 암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하고, 타단부를 상기 제1 링크부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한 제2 링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입수용 리프트. - 삭제
- 바닥을 지지하는 하부 몸체;
상기 하부 몸체의 양측 단부에 각각 마련되고, 내부에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부를 마련한 상부 몸체;
상기 상부 몸체에 선회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동력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리프트 암; 및
상기 리프트 암의 단부에 선회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부에 대상물을 안착할 수 있는 안착부; 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몸체는,
기립하게 형성된 승강 가이드부와,
상기 승강 가이드부에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승강 가이드부를 따라 승강 이동하는 웨이트부와,
일단부를 상기 리프트 암에 연결하고, 타단부를 웨이트부에 연결한 케이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입수용 리프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암은 서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 개의 관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입수용 리프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리프트 암의 단부에서 선회하면서 수평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입수용 리프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75124A KR102620648B1 (ko) | 2021-12-08 | 2021-12-08 | 휠체어 입수용 리프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75124A KR102620648B1 (ko) | 2021-12-08 | 2021-12-08 | 휠체어 입수용 리프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86471A KR20230086471A (ko) | 2023-06-15 |
KR102620648B1 true KR102620648B1 (ko) | 2024-01-03 |
Family
ID=86763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75124A KR102620648B1 (ko) | 2021-12-08 | 2021-12-08 | 휠체어 입수용 리프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20648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80891A (ja) | 1999-12-24 | 2001-07-03 | Aruna Koki Kk | 車椅子昇降装置 |
US20090129906A1 (en) | 2006-02-03 | 2009-05-21 | Ricon Corp. | Method of Stowing Wheelchair Lift |
CN203246363U (zh) | 2013-05-07 | 2013-10-23 | 东莞市长安信兴五金机械厂 | 内置式液压升降尾板 |
KR101383561B1 (ko) * | 2013-03-02 | 2014-04-09 | (주)신우 프론티어 | 사다리 겸용 수영장 휠체어리프트 장치 |
CN108117005A (zh) | 2018-02-05 | 2018-06-05 | 娄逸凡 | 一种用于建筑材料运输的轻便式升降机 |
JP2018192994A (ja) * | 2017-05-19 | 2018-12-06 | トヨタ車体株式会社 | 車両のリフト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141089A (en) * | 1977-05-31 | 1979-02-27 | Keith Krumbeck | Swimming pool apparatus for the handicapped |
US6173737B1 (en) * | 1999-07-01 | 2001-01-16 | Ricon Corporation | Bidirectional flow control valve |
-
2021
- 2021-12-08 KR KR1020210175124A patent/KR10262064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80891A (ja) | 1999-12-24 | 2001-07-03 | Aruna Koki Kk | 車椅子昇降装置 |
US20090129906A1 (en) | 2006-02-03 | 2009-05-21 | Ricon Corp. | Method of Stowing Wheelchair Lift |
KR101383561B1 (ko) * | 2013-03-02 | 2014-04-09 | (주)신우 프론티어 | 사다리 겸용 수영장 휠체어리프트 장치 |
CN203246363U (zh) | 2013-05-07 | 2013-10-23 | 东莞市长安信兴五金机械厂 | 内置式液压升降尾板 |
JP2018192994A (ja) * | 2017-05-19 | 2018-12-06 | トヨタ車体株式会社 | 車両のリフト装置 |
CN108117005A (zh) | 2018-02-05 | 2018-06-05 | 娄逸凡 | 一种用于建筑材料运输的轻便式升降机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86471A (ko) | 2023-06-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538408C1 (ru) |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грузов и людей по лестницам и плоской поверхности | |
US4081091A (en) | Wheelchair lift | |
JP5264185B2 (ja) | 乗降用車両 | |
US3605941A (en) | Aerial lift with rotatable and enclosable basket | |
EA029525B1 (ru) | Система для обслуживания людей с ограниченными возможностями в движении | |
US4642953A (en) | Moveable stair apparatus | |
KR101372262B1 (ko) | 휠체어용 승강장치 | |
US20080066241A1 (en) | Overhead self-levelling lift system for transporting payloads in dynamic settings and use thereof | |
KR100936020B1 (ko) | 저상식 휠체어 리프트 | |
US7350254B2 (en) | Bridging apparatus | |
KR102620648B1 (ko) | 휠체어 입수용 리프트 | |
KR20200142267A (ko) | 폴딩타입 휠체어용 리프트 | |
WO1997019887A1 (en) | Lift device | |
KR200290893Y1 (ko) | U자형 셔틀식 엘리베이터 | |
JP2005349993A (ja) | タラップ車 | |
RU2680363C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пасения людей | |
JPH10306673A (ja) | 梯子車 | |
US7484595B2 (en) | Step-shaped staircase lift for personal use and transport of goods | |
NZ243635A (en) | Emergency escape structure with stabilised conveyor ladder for use beside tall buildings | |
KR100727536B1 (ko) | 차량용 휠체어 리프트 | |
JP2007030677A (ja) | 乗降用車両 | |
KR100454007B1 (ko) | 휠체어 리프트장치 | |
KR100654914B1 (ko) | 수평 유지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휠체어 리프트 | |
RU2596121C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ъема и спуска инвалидов в коляске по лестничным маршам | |
JP4064371B2 (ja) | 階段昇降屈折式リフ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