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4230A -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분리대 - Google Patents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분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4230A
KR20100104230A KR1020090022510A KR20090022510A KR20100104230A KR 20100104230 A KR20100104230 A KR 20100104230A KR 1020090022510 A KR1020090022510 A KR 1020090022510A KR 20090022510 A KR20090022510 A KR 20090022510A KR 20100104230 A KR20100104230 A KR 20100104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or
escalator
safety
separators
occup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2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수영
Original Assignee
문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수영 filed Critical 문수영
Priority to KR1020090022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04230A/ko
Publication of KR20100104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42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Control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3Methods or algorithm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에스컬레이터의 입구측과 출구측 사이의 측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동가능한 분리대를 구비하고 상기 분리대와 그의 전후에 탑승자 감지센서를 각각 설치하여 분리대의 위치에 승객이 탑승하고 있지 않을 경우 분리대가 작동함으로써 승객의 안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분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스컬레이터는 전기를 이용한 동력장치에 의해 계단을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계단에 탑승한 승객을 승강시키는 장치이며, 종래 기술에 따른 에스컬레이터는 철골구조로 된 2대의 트러스(truss)를 상하층간에 설치하고 전동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원형의 스텝체인(step chain)을 탑재하여 스텝체인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스텝을 가이드 레일을 따라 연속적으로 순환이동하도록 동작된다.
이러한 종래의 에스컬레이터는 그 운송거리가 길어지는 경우에는 타는 지점과 내리는 지점간의 고도차가 커서 탑승한 승객으로 하여금 불안감이나 공포감을 느끼게 하거나 실제로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부상을 입을 위험이 크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입구측과 출구측 사이 측면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분리대;와 상기 분리대가 설치된 위치의 측면부에 구비되어 탑승자를 감지하는 제 1 센서부;와 상기 분리대가 설치된 위치보다 후방의 측면부에 구비되어 탑승자를 감지 하는 제 2 센서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센서부로부터 감지 신호를 받고 상기 분리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분리대를 제공한다.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 분리대, 측면부, 센서

Description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분리대{Safety devide of escalator}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에스컬레이터의 입구측과 출구측 사이의 측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동가능한 분리대를 구비하고 상기 분리대와 그의 전후에 탑승자 감지센서를 각각 설치하여 분리대의 위치에 승객이 탑승하고 있지 않을 경우 분리대가 작동함으로써 승객의 안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분리대에 관한 것이다.
공공시설, 대형건물 또는 지하철역 등과 같은 각종 건축물에는 각층 사이에 승객을 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conveyer) 장치로서 자동계단, 즉 에스컬레이터(escalator)가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에스컬레이터는 전기를 이용한 동력장치에 의해 계단을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계단에 탑승한 승객을 승강시키는 장치이며, 일반적으로 철골구조로 된 2대의 트러스(truss)를 상하층간에 설치하고 전동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원형의 스텝체인(step chain)을 탑재하여 스텝체인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스텝을 가이드 레일을 따라 연속적으로 순환이동시켜 승객을 운송하는 설비이다.
이와같은 종래의 에스컬레이터(100)는 기본적으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탑승자가 타고 내리는 입구측(101)과 출구측(102), 그리고 양 측면에 형성된 측면부(104)와, 상기 측면부의 외각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 레일(103)로 구성되며, 그 운송거리가 길어지는 경우에는 타는 지점과 내리는 지점간의 고도차가 커서 탑승한 승객으로 하여금 불안감이나 공포감을 느끼게 하거나 실제로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부상을 입을 위험이 크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입구측과 출구측 사이의 측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동가능한 분리대를 구비하고 상기 분리대와 그의 전후에 탑승자 감지센서를 각각 설치하여 분리대의 위치에 승객이 탑승하고 있지 않을 경우 분리대가 작동함으로써 승객의 안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분리대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200)의 입구측(201)과 출구측(202) 사이 측면부(203)에 회동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분리대(208);와 상기 분리대가 설치된 위치의 측면부에 구비되어 탑승자를 감지하는 제 1 센서부(205);와 상기 분리대가 설치된 위치보다 후방의 측면부에 구비되어 탑승자를 감지하는 제 2 센서부(206);와 상기 제 1 및 제 2 센서부로부터 감지 신호를 받고 상기 분리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분리대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에스컬레이터의 입구측과 출구측 사이의 측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동가능한 분리대를 구비하고 상기 분리대와 그의 전후에 탑승자 감지센서를 각각 설치하여 분리대의 위치에 승객이 탑승하고 있지 않을 경우 분리대가 작동함으로써 탑승자의 안전에 기여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분리대가 설치된 에스컬레이터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200)의 입구측(201)과 출구측(202) 사이 측면부(203) 양측에 회동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리대(208)가 구비되고, 상기 분리대가 설치된 위치의 측면부에는 탑승자를 감지하는 제 1 센서부(205)가 구비되며, 상기 분리대가 설치된 위치보다 후방의 측면부에 탑승자를 감지하는 제 2 센서부(206)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분리대가 설치된 위치보다 전방의 측면부에 탑승자를 감지하는 제 3 센서부(207)가 더 구비될 수도 있으며, 제어부는 이와같은 상기 제 1 내지 제 3 센서부로부터 감지 신호를 받고 상기 분리대의 구동을 제어한다.
도 3과 도 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분리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과 흐름도로서, 도 3에서 측면부(203)의 양측에는 각각 분리대(208)가 구비되고, 이 분리대는 회동가능하되 에스컬레이터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한다. 이때, 상기 분리대를 동작시키는 제어신호는 제 1 및 제 2 센서로부터 획득한 탑승자 감지신호에 따라 정해진다. 즉, 도 4에 따르면 상기 분리대가 설치된 위치의 측면부에 구비되어 탑승자를 감지하는 제 1 센서부(205)로부터 탑승자 감지를 확인하고(단계 S210), 상기 분리대가 설치된 위치보다 후방의 측면부에 구비되어 탑승자를 감지하는 제 2 센서부(206)로부터 탑승자 감지를 확인하며(단계 S220), 제어부(207)는 이와같은 상기 제 1 및 제 2 센서부로부터 탑승자가 없다는 것이 확인되면 상기 분리대가 회동하여 동작(S240)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분리대가 설치된 위치보다 전방의 측면부에 탑승자를 감지하는 제 3 센서부(207)가 더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단계 S220 이후에 제 3 센서부(207)로부터 탑승자 감지를 확인하는(단계 S230)가 실행된 다음, 제어부(207)는 이와같은 상기 제 1 내지 제 3 센서부로부터 탑승자가 없다는 것이 확인되면 상기 분리대가 회동하여 동작(S240)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분리대의 제 1 및 제 2 실시예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5의 (a)는 판형 분리대를 나타내고 도 5의 (b)는 회전형 분리대를 나타낸다. 도 5의 (a)를 참고하면, 상술한 도 4에서와 같이 단계 S210 내지 S230에 의해 분리대의 전후 특정한 구간 내에 탑승자가 없는 것이 확인되면, 단계 S240에서 제어부(207)로부터 분리대가 동작하도록 하는 제어신호가 발생되고 그에 따라 측면부로부터 판형 분리대(208)가 좌우로 펼쳐지게 된다.
이때, 상기 분리대는 도 5의 (a)에서 위쪽 방향 즉, 상향식 에스컬레이터인 경우 올라가는 방향(하향식인 경우에는 내려가는 방향)으로는 접혀지지만 그 반대의 방향으로는 접혀지지 않게 된다. 이는 에스컬레이터에 탑승한 상태에서 탑승자가 계단을 올라가거나 내려갈 때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 5의 (b)를 참고하면, 상술한 도 4에서와 같이 단계 S210 내지 S230에 의해 분리대의 전후 특정한 구간 내에 탑승자가 없는 것이 확인되면, 단계 S240에서 제어부(207)로부터 분리대가 동작하도록 하는 제어신호가 발생되고 그에 따라 측면부로부터 회전형 분리대(208)가 회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분리대는 도 5의 (b)에서 위쪽 방향 즉, 상향식 에스컬레이터인 경우 올라가는 방향(하향식인 경우에는 내려가는 방향)으로는 회동되지만 그 반대의 방향으로는 회동되지 않게 된다. 이는 에스컬레이터에 탑승한 상태에서 탑승자가 계단을 올라가거나 내려갈 때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행해질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에스컬레이터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분리대가 설치된 에스컬레이터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분리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분리대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분리대의 제 1 및 제 2 실시예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 에스컬레이터 101, 201 : 입구측
102, 202 : 출구측 103, 203 : 가이드 레일
104, 204 : 측면부 205∼207 : 제 1 내지 제 3 센서
208 : 분리대

Claims (1)

  1. 에스컬레이터에 있어서,
    그 입구측과 출구측 사이의 측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동가능한 분리대를 구비하고, 상기 분리대와 그의 전후에는 탑승자 감지센서를 각각 설치하여,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분리대의 위치에 승객의 탑승 여부를 감지하고 분리대가 작동하도록 하는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분리대.
KR1020090022510A 2009-03-17 2009-03-17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분리대 KR201001042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510A KR20100104230A (ko) 2009-03-17 2009-03-17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분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510A KR20100104230A (ko) 2009-03-17 2009-03-17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분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230A true KR20100104230A (ko) 2010-09-29

Family

ID=43008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2510A KR20100104230A (ko) 2009-03-17 2009-03-17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분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0423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03392A (zh) * 2012-11-09 2014-05-21 东芝电梯株式会社 乘客输送机
CN104444751A (zh) * 2014-12-12 2015-03-25 安徽中科智能高技术有限责任公司 自动扶梯梯级安全距离检测仪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03392A (zh) * 2012-11-09 2014-05-21 东芝电梯株式会社 乘客输送机
CN104444751A (zh) * 2014-12-12 2015-03-25 安徽中科智能高技术有限责任公司 自动扶梯梯级安全距离检测仪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206283A (ja) 傾斜型乗客コンベア
JP2009051615A (ja) エレベータ装置
JP6066774B2 (ja) 乗客コンベア
CN109775545B (zh) 乘客输送机
TWI281456B (en) Passenger conveyor
CN204281016U (zh) 乘客输送机
KR102088061B1 (ko) 케이블 리프트, 특히, 체어 리프트 또는 캐빈 리프트의 터미널에서 몇몇 비히클들의 이동을 모니터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CN109476464B (zh) 乘客输送机的运行异常检测装置和乘客输送机的运行异常检测方法
JP2009190863A (ja) 乗客コンベア
JP2008174365A (ja) 逆進入警報装置
KR20100104230A (ko)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분리대
JP4771703B2 (ja) 乗客コンベア
JP5575839B2 (ja) 乗客コンベア
JP2005132544A (ja) エスカレータの乗客検出装置
CN109867193B (zh) 乘客输送机
JP2007076786A (ja) 乗客コンベア制御装置及び乗客コンベア
JP6321126B1 (ja) 乗客コンベア
JP2013056735A (ja) 乗客コンベアの利用人数計測装置、乗客コンベアの利用人数計測方法及び乗客コンベアの運転方法
JP2010058898A (ja) エスカレータの運転制御装置
JP2003118965A (ja) 踏段検出器付エスカレータ
JP2012236660A (ja) 乗客コンベアの安全装置
JP2009190864A (ja) 乗客コンベア
JP2013193849A (ja) 乗客コンベアの安全装置
JP5676792B1 (ja) 乗客コンベア
JP2004026356A (ja) 乗客コンベ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