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7400B1 - 플랫폼 스텝 유니트 - Google Patents

플랫폼 스텝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7400B1
KR101487400B1 KR20130132871A KR20130132871A KR101487400B1 KR 101487400 B1 KR101487400 B1 KR 101487400B1 KR 20130132871 A KR20130132871 A KR 20130132871A KR 20130132871 A KR20130132871 A KR 20130132871A KR 101487400 B1 KR101487400 B1 KR 101487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tread
plate
link body
plat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32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흥
곽희만
최정묵
한민수
김현동
Original Assignee
(주)진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합 filed Critical (주)진합
Priority to KR20130132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74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7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7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E01F1/005Portable or movable traffic-area platforms or islands, e.g. portable loading islands, retractable platforms for traffic-directing offic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랫폼에 위치 고정되어 배치되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에 배치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하여 가동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서 가동되는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 및 상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에 장착되어 상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의 가동에 따라 상기 하우징부 외부로 인출 가능하고 상기 하우징부가 이루는 평면과 평행한 평면 상에서 접철 가능한 폴더블 스텝 플레이트부를 구비하는 스텝부를 포함하는 플랫폼 스텝 유니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플랫폼 스텝 유니트{PLATFORM STEP UNIT WITH FOLDABLE SETP PLATE}
본 발명은 플랫폼 스텝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도 차량 등의 플랫폼에 장착되어 인출 가능한 구조를 취하여 탑승객의 안전한 탑승 상태를 확보하는 보조 발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 차량의 출입문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출입문을 통한 승객의 승하차를 위해 철도 차량이 정차하는 기차역에는 철도 차량의 출입문 높이에 대응되는 플랫폼이 설치되고, 승객들은 플랫폼으로부터 철도 차량의 출입문을 통해 철도 차량으로 탑승하거나 하차하고 있다.
또한, 도시 내 지하철 역사 내로 진입하는 지하철 등의 철도 차량의 경우 지하철 역사 내에 플랫폼을 통하여 탑승객이 탑승하고, 플랫폼의 높이는 지하철 등의 철도 차량의 출입문의 높이와 일치된 높이를 갖도록 하여 탑승객이 원활한 탑승을 유도한다.
또한, 근래에는 지하철에서의 안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하철 플랫폼에 스크린 도어 등의 안전 장치가 개재되는 등 다양한 안전 시설이 장착된다.
하지만, 종래 기술의 경우 단지 탑승객이 플랫폼에서 낙상하여 철도 선로 내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는 있으나, 탑승객이 철도 내부로 진입한 철도 차량의 내부로 탑승하는 경우 철도 차량과 플랫폼의 사이로 발이 낀다든지 물체가 삽입되어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역사 내에서 지체되는 시간이 상당하고, 이로 인하여 전체적인 선로 상에서의 운행 시간 지연으로 인한 운행 손실의 문제가 수반되었으나, 종래 기술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도출되지 못하였다. 다만, 종래 기술에 따르면, 플랫폼과 차량 간의 간극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수동적 요소로서의 고무발판이 시공되는 플랫폼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었으나, 지하철 등의 역사마다 플랫폼과 철도 차량의 진입 상태에서의 간극이 상이하며, 지하철의 가동 상태 내지 동일 역사 내에서도 해당 탑승구에서의 플랫폼 위치에 따라서도 상이한 간극 상태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획일화된 수동적 요소로서는 각각의 환경 조건에 따른 적절하게 플랫폼과 차량 간의 간극을 최소화하는데 무리가 있다.
또한, 종래의 철도 차량의 플랫폼에 장착되는 장치를 유지 보수 수리하는 경우, 대부분 수리자가 플랫폼에서 내려와 선로에서의 작업을 이룸으로써 철도 차량의 선로 내 진입 등으로 작업자가 위험에 노출되는 등 안전 사고 발생 가능성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선로 상에서의 작업 등으로 인하여 작업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0843334 B
이에 본 발명은, 플랫폼과 철도 차량의 간극을 최소화시켜 안전 사고 발생을 방지하여 운행 지연을 방지하는 플랫폼 스텝 장치 및 플랫폼 스텝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플랫폼 상에서의 유지 보수를 가능하게 하여 작업자의 안전 사고 발생을 차단하고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하는 구조의 플랫폼 스텝 장치 및 플랫폼 스텝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플랫폼에 위치 고정되어 배치되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에 배치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하여 가동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서 가동되는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 및 상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에 장착되어 상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의 가동에 따라 상기 하우징부 외부로 인출 가능하고 상기 하우징부가 이루는 평면과 평행한 평면 상에서 접철 가능한 폴더블 스텝 플레이트부를 구비하는 스텝부를 포함하는 플랫폼 스텝 유니트를 제공한다.
상기 플랫폼 스텝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폴더블 스텝 플레이트부는: 상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 측에 가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 개의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와, 각각의 상기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에 일단이 고정 장착되는 트레드 스텝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트레드 스텝 플레이트는 상기 하우징부가 이루는 평면과 평행한 평면 상에서 볼 때 인접한 다른 트레드 스텝 플레이트와 적어도 일부가 교차되도록 중첩 배치되고, 상기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가 상기 하우징부 측으로 회동하는 경우 인접한 다른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에 장착된 다른 트레드 스텝 플레이트와 비접촉되어 상기 하우징부 측으로 인입 수용 가능할 수도 있다.
상기 플랫폼 스텝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 스텝 플레이트는: 상기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에 일단이 연결되는 트레드 스텝 베이스 플레이트와, 일단이 상기 트레드 스텝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단에 연결되는 트레드 스텝 커버 플레이트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플랫폼 스텝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 스텝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의 일면 상에 연결되는 트레드 스텝 베이스 플레이트 메인부와, 상기 트레드 스텝 베이스 플레이트 메인부와 단차를 이루며 형성되고 상기 트레드 스텝 커버 플레이트가 장착되는 트레드 스텝 베이스 플레이트 연장부를 구비하는 트레드 스텝 베이스 플레이트 연장부(3433)를 구비하고, 상기 트레드 스텝 베이스 플레이트 메인부와 상기 트레드 스텝 베이스 플레이트 연장부가 이루는 단차와 상기 트레드 스텝 베이스 커버 플레이트의 타단 사이에는 비접촉 간섭 방지 영역(Af)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플랫폼 스텝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폴더블 스텝 플레이트부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트레드 스텝 플레이트가 접철되지 않고 펼쳐지도록 상기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를 상기 스텝부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사전 설정된 탄성력을 제공하는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 홀딩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플랫폼 스텝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는 외부로 인출 가능한 일단과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 배치되는 타단은 구비하고, 상기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의 회전 중심은 양단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 홀딩부는: 일측이 상기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의 타단에 연결되는 홀딩 탄성 부재와, 상기 홀딩 탄성 부재의 타측을 상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에 위치 고정 시키는 홀딩 탄성 부재 픽스쳐를 구비하고, 상기 홀딩 탄성 부재는 상기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가 상기 폴더블 스텝 플레이트부의 인출 방향을 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플랫폼 스텝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에 외력이 인가되어 상기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의 일단이 상기 하우징부 측으로 회동하는 경우, 상기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가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의 일단이 플랫폼 측으로 반대 방향으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리턴 스톱퍼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플랫폼 스텝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리턴 스톱퍼는: 상기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와 함께 회동하는 리턴 스톱퍼 래칫 기어와, 일단은 상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리턴 스톱퍼 래칫 기어와 접촉 가능한 리턴 스톱퍼 래칫 폴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플랫폼 스텝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는 외력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 상기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의 길이 방향과 플랫폼에 진입하는 차량의 진입 방향이 이루는 선분이 이루는 사이각은 예각일 수도 있다.
상기 플랫폼 스텝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의 일측으로 플랫폼에 진입하는 차량을 향한 일측면에는 링크 바디 패드가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플랫폼 스텝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스텝부는 상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의 가동을 안내하는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 가이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플랫폼 스텝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 가이드는: 상기 하우징부에 상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의 가동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베이스 가이드 레일과, 상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의 하부 측에 위치 고정되어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가이드 레일 상에 가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베이스 가이드 블록을 구비 수도 있다.
상기 플랫폼 스텝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가이드 블록 사이에는 진동을 완충시키기 위한 베이스 가이드 완충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플랫폼 스텝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스텝부는 상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를 가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 모션 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 모션 가이드는: 상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를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서 가동을 지지하는 모션 가이드 휠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플랫폼 스텝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모션 가이드 휠은: 상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내면과 접촉 회동하여 상기 스텝 플레이트의 가동을 지지하는 리딩 휠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플랫폼 스텝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 모션 가이드는 일단이 상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에 장착되고 타단이 자유단으로 형성되는 모션 가이드 링크를 구비하고, 상기 모션 가이드 휠은 상기 모션 가이드 링크에 장착되는 트레일링 휠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플랫폼 스텝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모션 가이드 링크의 상기 자유단은 각각의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 상부 및 하부를 향하는 두 개의 링크 브랜치를 형성하고, 상기 트레일링 휠은 상기 링크 브랜치에 배치되는 트레일링 어퍼 휠 및 트레일링 로워 휠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플랫폼 스텝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 모션 가이드는: 상기 모션 가이드 휠이 접촉하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면에는 상기 모션 가이드 휠과 접촉하는 모션 가이드 휠 패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플랫폼 스텝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 모터와 연결되어 회동하는 구동 샤프트와, 상기 구동 샤프트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 샤프트가 회동함에 따라 직선 가동되는 구동 무빙 블록와, 상기 구동 무빙 블록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무빙 블록과 함께 직선 가동되는 구동 캐리어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플랫폼 스텝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구동 캐리어는: 상기 구동 무빙 블록이 하면에 장착되는 캐리어 바디와, 상기 캐리어 바디의 양측에 배치되는 캐리어 사이드 윙과, 상기 캐리어 바디와 상기 캐리어 사이드 윙을 연결하는 캐리어 미디엄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플랫폼 스텝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 캐리어와 상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를 연결하는 캐리어 커넥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캐리어 커넥터는 일단이 상기 캐리어 사이드 윙에 해제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에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플랫폼 스텝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 캐리어가 상기 하우징부 내에서 가동되는 경우 상기 구동 캐리어의 가동을 안내하는 구동 캐리어 가이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플랫폼 스텝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구동 캐리어 가이드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면에 상기 구동 캐리어의 가동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캐리어 가이드 레일과, 상기 구동 캐리어 사이드 윙에 연결되고, 상기 캐리어 가이드 레일의 일면 상에 가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캐리어 가이드 블록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플랫폼 스텝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스텝부는 상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의 가동을 안내하는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 가이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 가이드는: 상기 하우징부에 상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의 가동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베이스 가이드 레일과, 상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의 하부 측에 위치 고정되어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가이드 레일 상에 가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베이스 가이드 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캐리어 가이드 레일과 상기 베이스 가이드 레일은 평행 배치되되, 상기 베이스 가이드 레일의 길이는 상기 캐리어 가이드 레일의 길이보다 클 수도 있다.
상기 플랫폼 스텝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가이드 레일을 상기 베이스 가이드 레일 상에 투영시킬 때 상기 캐리어 가이드 레일은 상기 베이스 가이드 레일 상에 중첩될 수도 있다.
상기 플랫폼 스텝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폴더블 스텝 플레이트부의 접철 여부를 감지하여 플랫폼에 진입하는 차량과의 접촉 여부를 확인 가능하게 하는 스텝 범핑 센서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플랫폼 스텝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폴더블 스텝 플레이트부는: 상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 측에 가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 개의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와, 각각의 상기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에 일단이 고정 장착되는 트레드 스텝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트레드 스텝 플레이트는 상기 하우징부가 이루는 평면과 평행한 평면 상에서 볼 때 인접한 다른 트레드 스텝 플레이트와 적어도 일부가 교차되도록 중첩 배치되고, 상기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가 상기 하우징부 측으로 회동하는 경우 인접한 다른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에 장착된 다른 트레드 스텝 플레이트와 비접촉되어 상기 하우징부 측으로 인입 수용 가능하고, 상기 스텝 범핑 센서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장착되는 스텝 범핑 센서와, 상기 스텝 범핑 센서의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에 장착되어, 상기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가 회동하는 경우 상기 스텝 범핑 센서의 신호 변화를 발생시키는 스텝 범핑 센서 대응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플랫폼과 철도 차량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안전 장치로서의 폴더블 스텝 플레이트부를 통하여 탑승객의 안전한 탑승 및 이물 유입의 방지와 더불어, 플랫폼과 철도 차량 상에서의 끼임 문제로 인한 운행 지연을 방지하여 선로의 전체적으로 안정적이고 정확한 운행 운전을 가능하게 하는 플랫폼 스텝 장치 및 플랫폼 스텝 유니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랫폼 스텝 장치 및 플랫폼 스텝 유니트는, 접철 가능한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를 통하여 철도 차량과의 접촉시에도 플랫폼으로의 가동을 가능하게 하여 안전 사고 발생을 방지 내지 최소화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플랫폼 스텝 장치 및 플랫폼 스텝 유니트는, 트레드 스텝 플레이트의 트레드 스텝 커버 플레이트가 전단 후단 배치 구조를 이루고,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 가이드를 통하여 후단 인출 구조를 이룸으로써 플랫폼 상에서의 유지 보수를 가능하게 하여 유지 보수자의 안전 사고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작업성을 보다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스텝 유니트 및 플랫폼 스텝 장치의 설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스텝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스텝 유니트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4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스텝 유니트 및 플랫폼 스텝 장치의 일부 구성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스텝 장치의 플랫폼 스텝 유니트의 개략적인 부분 저면 사시도,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스텝 유니트 및 플랫폼 스텝 장치의 일부 구성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스텝 장치 및 플랫폼 스텝 유니트의 개략적인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8 내지 도 21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스텝 장치의 하우징 커버 리프팅부의 평면도, 측면도 및 작동 상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스텝 장치의 스텝 범핑 센서부의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스텝 유니트 및 플랫폼 스텝 장치는 폴더블 스텝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는 스텝부를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의 플랫폼 스텝 장치(1a)는 플랫폼 베이스(2)와 플랫폼 스텝 유니트(10)를 포함한다. 플랫폼 베이스(2)는 철도 차량의 역사 등에 형성되는 플랫폼(1)에 위치 고정되어 장착 배치된다. 플랫폼(1)에는 플랫폼 베이스 장착부(1b)가 형성되고, 플랫폼 베이스 안착부(1b)에 플랫폼 베이스(2)가 안착 배치된다. 플랫폼 베이스(2)는 플랫폼 베이스 바디(4)와 플랫폼 베이스 사이드(5)와 플랫폼 베이스 지지부(6)를 포함하는데, 플랫폼 베이스 바디(4)의 측부에는 플랫폼 베이스 사이드(5)가 장착된다. 플랫폼 베이스 사이드(5)의 일측으로, 플랫폼(1)의 선단, 즉 차량이 진입하는 영역을 향한 단부는 개방된 상태로 형성된다. 플랫폼 베이스 바디(4)와 플랫폼 베이스 사이드(5)는 플랫폼 스텝 유니트(10)을 수용하는 플랫폼 베이스 안착부(3)를 형성하는데, 플랫폼 베이스 바디(4) 내지 플랫폼 베이스 사이드(5)는 플랫폼 베이스 지지부(6)를 통하여 플랫폼 베이스 장착부(1b)에 안정적인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플랫폼 베이스 지지부(6)에 의하여 충분한 강성을 확보함으로써, 다수의 탑승객이 답입하여 상당한 하중이 인가되는 경우에도 충분한 지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플랫폼 베이스(2)는 플랫폼(1)의 단부와 일치하도록 장착되는데, 플랫폼(1)에 장착되는 플랫폼 베이스(2)의 단부와 철도 차량(TR) 간의 거리(tp)와, 플랫폼 베이스(2)에 장착되는 플랫폼 스텝 유니트(10)에서 인출되는 하기의 스텝부의 단부와 플랫폼(1)에 진입하는 철도 차량(TR) 간의 거리(ts)는 철도 차량(TR)의 종류 진입 속도 및 철도 역사의 환경에 따라 소정의 조정 과정을 거칠 수 있다.
플랫폼 스텝 유니트(10)는 플랫폼(1)에 장착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플랫폼(1)에 장착되는 플랫폼 베이스(2)에 장착 배치된다. 플랫폼 스텝 유니트(10)는 하우징(100)와 구동부(200)와 스텝 플레이트부(300)를 구비하는데, 하우징부(100)에는 구동부(200) 및 스텝 플레이트부(300)가 구동 내지 가동되도록 안정적인 장착 상태를 형성한다.
하우징부(100)는 플랫폼 베이스(1a)가 형성하는 플랫폼 베이스 안착부(3)에 위치 고정되어 장착되는데, 하우징부(100)는 하우징 로워 베이스(110)와 하우징 어퍼 커버(120)와 하우징 사이드(130)를 포함하고, 하우징 로워 베이스(110)와 하우징 어퍼 커버(120)와 하우징 사이드(130)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다른 구성요소들의 안정적인 수용 및 가동 공간을 형성한다.
하우징 로워 베이스(110)는 플랫폼 베이스(2)에 안착하여 장착되는데, 하우징 로워 베이스(110)의 측부에는 하우징 사이드(120)가 배치되고, 하우징 로워 베이스(110)의 대향하는 상부에는 하우징 어퍼 커버(130)가 배치된다. 하우징 로워 베이스(110) 및 하우징 사이드(120) 및 하우징 어퍼 커버(130)는 다른 구성요소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하우징 로워 베이스(110)는 로워 베이스 플레이트(111)와 로워 베이스 보강 플레이트(113)와 로워 베이스 지지 부재(115)를 포함할 수 있다. 로워 베이스 플레이트(111)는 소정의 너비를 갖는 평판형 플레이트로 구성되고, 로워 베이스 플레이트(111)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로워 베이스 플레이트(111)의 일면 상에, 본 실시예에서는 양측에 배치되어 강성을 보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하우징 로워 베이스(110)와 하우징 어퍼 커버(130)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탑승객의 답입에 의한 하중을 지지하도록 로워 베이스 플레이트(111)의 일면 상에 로워 베이스 지지 부재(11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로워 베이스 지지 부재(115)는 하기되는 스텝부(300)의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310)가 하우징부(100)의 내부에 인입된 상태에서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310)와의 거리(Dd)가 소정의 값을 지니도록 배치되는데, 이는 하기되는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310) 상에 배치되는 폴더블 스텝 플레이트부(340)의 유지 보수를 위하여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310)를 후방으로 퇴거시키는 경우 유지 보수를 위하여 충분한 위치를 점유하도록 하고 로워 베이스 지지 부재(115)가 하우징부의 소정의 강성을 유지하게 하는 구성을 취함과 동시에 간섭을 배제할 수 있는 길이 값 내지 위치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우징 로워 베이스(110)의 측부에는 하우징 사이드(120)가 배치되는데, 하우징 사이드(120)는 하우징 로워 베이스(110)와 연결되되, 하우징 사이드(120)의 내부에는 측부에서의 강성을 보강하는 하우징 사이드 보강부(121)가 배치된다. 하우징 사이드 보강부(121)는 복수 개의 ㄷ자 프레임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어퍼 커버(130)는 하우징 로워 베이스(110)와 마주하여 하우징 로워 베이스(110)의 상부에 배치되는데, 하우징 어퍼 커버(130)는 분할된다. 하우징 어퍼 커버(130)는 어퍼 리딩 커버(131)와 어퍼 트레일링 커버(135)를 포함하는데, 어퍼 리딩 커버(131)는 플랫폼(1)의 단부 측을 향하여 배치되고, 어퍼 트레일링 커버(135)는 어퍼 리딩 커버(131)의 후단에 배치되어 개폐 가능한 구조를 취한다. 즉, 플랫폼 스텝 유니트(100)는 플랫폼(1)의 선단 위치에 맞추어 배치되고, 플랫폼 스텝 유니트(100)는 탑승객 들에 의하여 답입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를 취하되, 플랫폼 스텝 유니트(100)의 구동부(200) 내지 스텝부(300)가 고장나는 등의 유지 보수가 필요한 경우, 작업자가 플랫폼(1)의 바깥으로 철도 차량(TR)이 이동하는 선로 위로 내려가야 하는 불편함 내지 안전 사고 발생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즉, 플랫폼 스텝 유니트(100)가 장착되는 플랫폼 베이스(2)가 안착되는 플랫폼(1)의 상에서 작업자의 작업을 가능하게 하여 작업자의 안전 상태를 확보하고 유지 보수 작업을 보다 수월하고 신속하게 이룰 수 있게 한다.
어퍼 트레일링 커버(135)의 일면 상으로 양측에는 어퍼 트레일링 커버(135)를 수월하게 분리시키기 위한 어퍼 트레일링 커버 그립(136)이 배치되는데, 어퍼 트레일링 커버 그립(136)은 어퍼 트레일링 커버(135)의 일면 상에 배치되어 작업자가 어퍼 트레일링 커버(135)를 들어 하우징부(100)의 내부 공간을 개방시키고자 하는 경우 보다 수월하게 열도록 할 수 있다.
어퍼 트레일링 커버(135)를 개방하는 경우, 하부에는 트레일링 커버 패드(137)와 트레일링 커버 지지부(138)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서 어퍼 트레일링 커버(135)의 양단과 어퍼 트레일링 커버 그립(136)이 실선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이의 배치 위치를 나타내어 영역을 표시한 것일뿐, 어퍼 트레일링 커버(135)를 제거한 후 실제로 잔존하는 구성은 아니다.
트레일링 커버 지지부(138)는 소정의 강성 부재로 형성되어 상부에서 하중 내지 충격이 지속적으로 인가되는 경우에도 소정의 지지 상태를 유지 가능하게 한다. 또한, 트레일링 커버 패드(137)는 소정의 탄성 재질, 예를 들어 우레탄 등의 재질로 형성되어 외부 하중이 인가되는 경우 소정의 충격을 흡수하여 탑승객의 불편함을 감소시키고 플랫폼 스텝 유니트에 가해지는 소정의 하중에 의한 충격을 완충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하우징부(100), 특히 하우징 어퍼 커버(130)가 선후단의 개별 분리되는 구조를 취하여 플랫폼 상에서의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통하여 작업의 신속 수월함을 이루도록 하고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동부(200)는 하우징부(100)에 배치되고, 구동 모터(210)와 구동 샤프트(220)와 구동 무빙 블록(230)과 구동 캐리어(240)를 포함한다.
구동 모터(210)는 하우징부(100),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 로워 베이스(110)에 배치되고, 외부 제어 장치(미도시)로부터 소정의 제어 신호를 받아 가동되어 소정의 회전력을 통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 모터라는 용어로 기재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구동 감속기 내지 브레이크가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의 모터로 구현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별개의 구성이 연결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소정의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력을 생성 제공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구동 샤프트(220)는 구동 모터(210)와 연결되는데, 구동 샤프트(220)는 구동 모터(210)로부터 소정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소정의 회전 동작을 수행한다. 구동 샤프트(220)는 일단이 구동 모터(210)에 연결되고, 타단은 하우징 로워 베이스(110)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 장착된다. 구동 샤프트(220)와 구동 모터(210)는 직결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으나, 사이에 커플링과 같은 연결 요소가 더 구비될 수 있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구동 무빙 블록(230)은 구동 샤프트(220)에 장착되어 구동 샤프트(220)가 회동함에 따라 직선 가동된다. 즉, 구동 샤프트(220)는 소정의 스크류 타입의 샤프트로 구성될 수 있고, 구동 무빙 블록(230)은 구동 샤프트(220)의 스크류에 가동 가능하게 치합되어 구동 샤프트(220)를 통하여 전달되는 회전 구동력에 의하여 구동 무빙 블록(230)이 직선 가동되어 직선 구동력을 생성한다.
구동 캐리어(240)는 구동 무빙 블록(230)에 연결되어 구동 무빙 블록(230)과 함께 직선 가동되는데, 구동 캐리어(240)의 하부에 구동 무빙 블록(230)이 장착 연결되고 구동 모터, 구동 샤프트를 통하여 생성 전달되는 구동력은 구동 무빙 블록(230)의 직선 구동력으로 전환되고 이는 구동 캐리어(240)에 전달되어 함께 직선 가동된다. 구동 캐리어(240)는 캐리어 바디(241)와 캐리어 사이드 윙(243)와 캐리어 미디엄(242)을 포함하는데, 캐리어 바디(241)는 구동 무빙 블록(230)이 하면에 장착 연결되고, 캐리어 사이드 윙(243)은 캐리어 바디(241)의 양측에 배치되고, 캐리어 미디엄(242)은 캐리어 바디(241)와 캐리어 사이드 윙(243)을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캐리어 바디(241)와 캐리어 사이드 윙(243)은 하우징부(100)에 높이를 달리하여 배치되고,캐리어 미디엄(242)은 높이를 달리하는 캐리어 바디(41)를 연결하여 일체화된 안정적인 일체 가동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구동부(200)는 캐리어 커넥터(260)를 더 구비하는데, 캐리어 커넥터(260)는 구동 캐리어(240)와 하기되는 스텝부(300), 보다 구체적으로 스텝부(300)의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310)와 연결하여, 구동부(200)에서 생성된 구동력에 의하여 스텝부(300)의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310)가 직선 가동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캐리어 커넥터(260)는 일단이 캐리어 사이드 윙(243)에 해제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310)에 연결된다. 즉, 캐리어 커넥터(260)는 구동 캐리어(240)의 직선 구동력을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310)로 전달하여야 하므로 소정의 높이차 내지 위치 변동에 유연하게 대응하되 측면 가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캐리어 커넥터(260)의 양단은 각각에 커넥터 힌지(263,265)에 힌지 연결된다.
또한, 캐리어 커넥터(260)의 양단, 내지는 적어도 일단은 분리 해제 가능한 방식으로 힌지 연결됨으로써 플랫폼 스텝 유니트의 유지 보수시 플랫폼 상에서의 안정적이면서도 자유로운 작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캐리어 커넥터(260)의 단부가 분리 해제 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위하여, 플랫폼 상에 스크린 도어 등이 배치되는 경우 작업이 곤란한 플랫폼 스텝 유니트의 전단측에 배치되는 스텝부를 후방으로 인입시켜 유지 보수 작업을 보다 수월하게 이루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구동부(200)는 구동 캐리어 가이드(25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구동 캐리어 가이드(250)는 구동 캐리어(240)가 하우징부(100) 내에서 가동되는 경우 구동 캐리어(240)의 가동을 안내하는데, 구동 캐리어 가이드(250)는 구동 캐리어(240)가 직선 가동되는 경우 직선 가동 방향 이외의 위치 변동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직성 가동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 캐리어 가이드(250)는 캐리어 가이드 레일(251)과 캐리어 가이드 블록(253)을 포함하는데, 캐리어 가이드 레일(251)은 하우징부(100),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 로워 베이스(110)의 일면 상에 구동 캐리어의 가동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캐리어 가이드 블록(253)은 캐리어 가이드 레일(251) 상에서 가동되도록 캐리어 가이드 레일(251) 상에 장착된다. 캐리어 가이드 블록(253)의 일면 상에는 구동 캐리어(240)가 배치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 캐리어(240)의 캐리어 사이드 윙(243)의 하면에 캐리어 가이드 블록(253)이 연결 장착된다.
스텝부(300)는 구동부(200)에 의하여 생성 전달되는 구동력을 통하여 플랫폼(1)가 철도 차량(TR)의 사이에 스텝을 전개시킬 수 있는데, 스텝부(300)는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310)와 폴더블 스텝 플레이트부(340)를 포함한다.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310)는 구동부(200)와 연결되어, 보다 구체적으로 구동부(200)의 캐리어 커넥터(260)와 연결되어 직선 구동력을 전달받아 하우징부(100)의 내부에서 직선 가동되고, 폴더블 스텝 플레이트부(340)는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310)에 장착되어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310)가 가동되는 경우 함께 가동되어 하우징부(100)의 외부로 적어도 일부가 인출 가능하고 하우징부(100)가 이루는 평면과 평행한 평면 상에서 접철 가능하다.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310)는 구동 캐리어(240)가 가동되는 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장방형 플레이트 타입으로 구현되는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310)의 후단에는 커넥터 힌지(265)가 배치되고, 커넥터 힌지(265)를 통하여 캐리어 커넥터 링크(261)와 연결되어 구동 캐리어와의 연결 구조를 형성한다.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310)의 후단 측에는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 풀백 핸들(311)이 구비되는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 풀백 핸들(311)은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의 후방 인입을 용이하게 하여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310)를 어퍼 트레일링 커버가 배치되는 후방 영역으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작업자가 플랫폼(1)의 상에서 보다 안정적이고 수월한 유지 보수 작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스텝부(300)는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 가이드(320)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 가이드(320)는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310)의 하우징부(100) 내에서의 직선 가동을 안내하여 안정적인 가동을 이루도록 한다.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 가이드(320)는 베이스 가이드 레일(321)과 베이스 가이드 블록(323)을 포함하는데, 베이스 가이드 레일(321)은 하우징 로워 베이스의 로워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베이스 가이드 블록(323)은 베이스 가이드 레일(321) 상에 가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베이스 가이드 블록(323)의 일면 상에는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310)가 장착되는데, 베이스 가이드 블록(323)은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310)의 하부 측에 위치 고정되어 배치됨으로써 베이스 가이드 블록(323)이 베이스 가이드 레일(321) 상에서 직선 가동되는 경우 안정적인 가동을 가능하게 한다.
베이스 가이드 레일(321)은 하우징 로워 베이스(110)의 일면 상에 스텝부(300)의 길이 방향으로 전체에 대하여 베이스 가이드 레일(321)의 길이(ls)를 갖는다. 캐리어 가이드 레일(251)은 하우징 로워 베이스(110)의 후단 측에 배치되고 도면 부호 lc로 표현되는 길이(lc)를 갖는다. 베이스 가이드 레일(321)의 길이(ls)는 전단부 길이(ls1)와 후단부 길이(ls2)의 합(ls=ls1+lsa2)를 갖는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310)의 가동 방향을 이루는 평행선 상에서 볼 때, 후단부 길이(ls2)는 캐리어 가이드 레일(251) 길이(lc)와 중첩되어 동일하다고 할 경우, 는데, 베이스 가이드 레일(321)의 길이(ls)는 캐리어 가이드 레일(251)의 길이(lc)보다 큰 값을 가지고, 전단부 길이(ls1)는 폴더블 스텝 플레이트부(340)의 인출과 인입을 위한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310)의 가동 영역을 이루고, 후단부 길이(ls2)는 유지 보수를 위하여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310)가 후단 영역으로 후퇴 가동되는 영역을 이룬다.
베이스 가이드 블록(323)과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310)는 직결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 가이드 블록(323)과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310)가 베이스 가이드 완충부(325)에 의하여 연결되는 구조를 취한다. 즉,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310)에는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 관통구(312)가 구비되는데, 베이스 가이드 완충부(325)의 일단은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 관통구(312)를 관통하여 하부에 배치되는 베이스 가이드 블록(323)과 연결되고 베이스 가이드 완충부(313)의 다른 부분은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310)의 일면 상에서 고정 장착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310)와 베이스 가이드 블록(323)의 연결 완충 기능이 실행 가능하게 되고, 연결 완충 구조를 통하여 구성요소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플랫폼 스텝 유니트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플랫폼 스텝 유니트는 캐리어 커넥터를 통하여 구동 캐리어로부터 전달되는 직선 구동력에 의하여 이동 가능한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310)의 안정적인 수평 직선 가동 구조를 이루도록 하는 구성요소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플랫폼 스텝 유니트(10)의 스텝부(300)는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 모션 가이드(330)를 포함하는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 모션 가이드(330)는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310)가 하우징부(100)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경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310)의 안정적인 가동을 안내하기 위한 구성을 취하고 있다.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 모션 가이드(330)는 모션 가이드 휠(333)을 포함하는데, 모션 가이드 휠(333)은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310)를 굴림 가능하게 지지하여 안정적인 직선 가동을 가능하게 하고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310)가 하우징부(100)의 내부에서 면접촉으로 인한 마찰로 인한 가동 저해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모션 가이드 휠(333)은 리딩 휠(3331)을 포함하는데, 리딩 휠(3331)은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310)에 장착되어 하우징부(100)의 내면과 접촉 회동하여 스텝 플레이트(310)의 가동을 지지한다.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310)의 일면 상에는 베이스 리딩 휠 장착 관통구(312)가 형성되는데, 리딩 휠(3331)은 리딩 휠 샤프트가 장착되어 베이스 리딩 휠 장착 관통구(312)에 가동 가능하게 삽입 장착됨으로써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310)가 직선 가동되는 경우 하우징부(100)의 내부,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 로워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접촉하여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310)를 가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모션 가이드 휠(333)은 트레일링 휠(3333)을 더 구비할 수 있는데 트레일링 휠(3333)은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310)의 후단에 배치된다.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 모션 가이드(330)는 모션 가이드 링크(331)을 구비하는데, 모션 가이드 링크(331)의 일단은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310)에 장착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형성된다. 모션 가이드 링크(331)는 자유단으로 형성되는 타단은 두 개의 링크 브랜치(3311,3312)를 포함하는데, 링크 브랜치(3311,3312)는 각각이 하우징부(100)의 하우징 어퍼 커버(130) 및 하우징 로워 베이스(110)를 향하여 형성된다. 링크 브랜치(3311,3312)에는 각각의 트레일링 휠(3333)이 장착되어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310)가 하우징부(100)의 내부에서 가동되는 경우, 하우징부(100)의 내면, 즉 하우징 어퍼 커버(130)의 저면 측과, 하우징 로워 베이스(110)의 상면 측과 접촉되어 하우징부(100) 내부에서의 수직 가동을 방지 내지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 모션 가이드(330)는 모션 가이드 휠 패드(33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모션 가이드 휠 패드(334)는 하우징부(100)의 내면에 장착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모션 가이드 휠 패드(334)는 하우징 로워 베이스(110)의 일면 상에 형성된다. 모션 가이드 휠 패드(334)는 모션 가이드 휠, 즉 리딩 휠과 접촉하여 리딩 휠의 보다 원활한 가동을 가능하게 한다.
스텝부(300)의 폴더블 스텝 플레이트부(340)는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310)에 장착되어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310)의 가동에 따라 하우징부(100)의 외부로 인출 가능하고 하우징부(100)가 이루는 평면과 평행한 평면 상에서 접철 가능한 구조를 취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구동부(200)에 의하여 하우징부(100)로부터 인출된 폴더블 스텝 플레이트부(340)를 통하여 플랫폼(1) 상의 탑승객은 철도 차량(TR)에 탑승하는 과정에서 플랫폼(1)과 철도 차량(TR) 간의 사이 간극을 최소화하여 탑승객의 안전한 탑승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폴더블 스텝 플레이트부(340)가 인출되어 철도 차량(TR)으로 향하여 배치된 경우 인입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철도 차량(TR)의 이동에 의하여 접촉시 플랫폼 측으로의 접철을 가능하게 하여 충돌로 인한 발생 가능한 안전 사고를 방지 내지 최소화할 수 있다.
폴더블 스텝 플레이트부(340)는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345)와, 트레드 스텝 플레이트(341,343)를 포함한다.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345)와, 트레드 스텝 플레이트(341,343)는 복수 개가 구비된다.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345)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310) 측에 가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트레드 스텝 플레이트(341,343)는 하우징부(100)가 이루는 평면과 평행한 평면 상에서 볼 때 인접한 다른 트레드 스텝 플레이트(341,343)와 적어도 일부가 교차되도록 중첩 배치되고,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345)가 하우징부(100) 측으로 회동하는 경우 인접한 다른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345)에 장착된 다른 트레드 스텝 플레이트(341,343)와 비접촉되어 하우징부(100) 측으로 인입 수용 가능하다.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345)와, 트레드 스텝 플레이트(341,343)는 복수 개가 구비되는데,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345)에 각각의 트레드 스텝 플레이트(341,343)가 장착된다.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345)는 장방형 링크로 형성되는데, 복수 개의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345)는 일단이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310)의 전단 측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345)의 측면으로 철도 차량이 플랫폼으로 진입하는 측을 향한 측면에는 트레드 스텝 링크 패드(346)가 배치된다. 트레드 스텝 링크 패드(346)는 철도 차량과의 접촉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우레탄 등의 완충 부재 내지는 내마모성의 테프론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345)는 구동부(200)에 의하여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310)가 하우징부(100)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경우 자유단이 플랫폼(1)의 외부를 향하도록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310)로부터 펼쳐진 상태를 형성하다. 즉,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345)는 외력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345)의 길이 방향과 플랫폼(1)에 진입하는 철도 차량과 같은 차량의 진입 방향이 이루는 선분이 이루는 사이각은 예각을 이룬다. 이와 같은 예각 배치 구조를 통하여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345)가 인출된 상태에서 철도 차량과 접촉하게 되는 경우, 철도 차량에 의하여 가해지는 외력에 의하여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341)는 하우징부(100) 측으로 회동하여 궁극적으로 트레드 스텝 플레이트가 하우징부의 내부로 가동되어 안전 사고 발생을 방지하는 구조를 취한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트레드 스텝 베이스 플레이트 중 최외측에 배치되는 트레드 스텝 베이스 플레이트 이외의 다른 트레드 스텝 베이스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의 트레드 스텝 베이스 플레이트(341,343)는 접철시 구성요소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구비한다. 복수 개의 트레드 스텝 베이스 플레이트 중 최외측에 배치되는 트레드 스텝 베이스 플레이트 이외의 다른 트레드 스텝 베이스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의 트레드 스텝 베이스 플레이트(341,343)는 트레드 스텝 커버 플레이트(341)와 트레드 스텝 베이스 플레이트(343)을 포함하는데, 트레드 스텝 베이스 플레이트(343)는 트래드 스텝 링크 바디(345)에 일단이 연결된다. 트레드 스텝 베이스 플레이트(343)는 트레드 스텝 베이스 플레이트 메인부(3431)와 트레드 스텝 베이스 플레이트 연장부(3433)를 포함하는데, 트레드 스텝 베이스 플레이트 메부(3431)는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345)의 일면 상에 고정 장착되고 일면에 트레드 스텝 커버 플레이트(341)가 장착되고, 트레드 스텝 베이스 플레이트 연장부(3433)는 트레드 스텝 베이스 플레이트 메인부(3431)와 연결되되 트레드 스텝 베이스 플레이트 메인부(3431)와 단차를 이루며 형성된다. 즉, 트레드 스텝 베이스 플레이트(343)는 부채꼴 형상을 구비하고, 트레드 스텝 베이스 플레이트(343)의 트레드 스텝 베이스 플레이트 메인부(3431)는 일단이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345)에 고정 장착되고, 트레드 스텝 베이스 플레이트 메인부(3431)의 연장되는 트레드 스텝 베이스 플레이트 연장부(3433)는 하우징부(100) 측을 향하여 배치된다. 트레드 스텝 베이스 플레이트 연장부(3433)에는 트레드 스텝 커버 플레이트(341)가 고정 장착된다. 이때 트레드 스텝 베이스 플레이트 메인부(3431)와 트레드 스텝 베이스 플레이트 연장부(3433)가 이루는 단차와 트레드 스텝 베이스 커버 플레이트(341)의 타단 사이에는 비접촉 간섭 방지 영역(Af)이 구비된다. 즉,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트레드 스텝 베이스 플레이트 중 최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제외한 중 트레드 스텝드 베이스 플레이트(341,343)의 트레드 스텝 베이스 플레이트 연장부(3433)와 트레드 스텝 베이스 메인부(3431)의 사이 단차가 형성하는 단차 라인(3432)과, 트레드 스텝 베이스 커버 플레이트(341)의 단부로 트레드 스텝 베이스 플레이트 연장부(3433)와 트레드 스텝 베이스 연장부(3431)가 이루는 단차가 배치되는 단부 측의 반대편 단부인 타단이 형성하는 단부 라인(3411) 사이에는 비접촉 간섭 방지 영역(Af)이 구비되는데, 비접촉 간섭 방지 영역(Af)은 각각의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345)가 회동하는 경우 함께 회동하는 트레드 스텝 베이스 플레이트(343)이 이루는 단차 라인(3432)과, 인접한 다른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345)의 타단이 이루는 단부 라인(3411)의 위치 변동으로 형상 및 면적이 변화될 수 있다. 다만, 단부 라인(3411)과 단차 라인(3432)는 트레드 회동 링크 바디(345)가 회동하는 경우에도 교차 간섭되지 않는 프로파일을 구비함으로써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345)가 회동하는 경우라도 트레드 스텝 베이스 플레이트(343)가 인접한 다른 트레드 스텝 커버 플레이트(341)와 적어도 일부분이 교차되나 서로 간섭 접촉되지 않고 원활한 회동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폴더블 스텝 플레이트부(340)는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 홀딩부(347)를 포함하는데,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 홀딩부(347)는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345)에 사전 설정된 탄성력을 제공하여,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트레드 스텝 플레이트(341,343)가 접철되지 않고, 즉 접혀지지 않고 펼쳐지도록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345)를 스텝부(340)가 인출되지 않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태를 유지한다.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345)는 외부로 인출 가능한 일단과 하우징부(100) 내부에 배치되는 타단을 구비하고,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345)의 회전 중심은 양단 사이에 배치되는데,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 홀딩부(347)는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345)의 타단과 연결되어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여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345)의 펼쳐진 상태를 유지한다.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 홀딩부(347)는 홀딩 탄성 부재(3471)과 홀딩 탄성 부재 픽스쳐(3473)을 구비하는데, 홀딩 탄성 부재(3471)는 일측이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345)의 타단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홀딩 탄성 부재(3471)은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나,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홀딩 탄성 부재 픽스쳐(3473)는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310)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데, 홀딩 탄성 부재 픽스쳐(3473)는 홀딩 탄성 부재(3471)의 타측을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310)의 일면 상에 위치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소정의 초기 압축 상태로 인한 압축 인장력이 인가된 상태에서의 홀딩 탄성 부재(3471)가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345)의 타단에 연결되어 소정의 인장 상태를 유지하여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345)가 접혀지는 상태를 방지한다. 경우에 따라 홀딩 탄성 부재(3471)로 인한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345)의 과도한 회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스톱퍼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 홀딩부(347)의 홀딩 탄성 부재(3471)는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345)가 폴더블 스텝 플레이트부(340)의 인출 방향을 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또한, 폴더블 스텝 플레이트부(340)는 리턴 스톱퍼(348)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리턴 스톱퍼(348)는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345)에 외력이 인가되어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345)의 일단이 하우징부(100) 측으로 회동하는 경우,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345)가 반대 바향으로 회동하여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345)의 일단이 플랫폼 측으로 반대 방향으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리턴 스톱퍼(348)는 리턴 스톱퍼 래칫 기어(3481)와 리턴 스톱퍼 래칫 폴(3483)을 포함한다. 리턴 스톱퍼 래칫 기어(3481)는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345)에 고정되어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345)와 함께 회동하고, 리턴 스톱퍼 래칫 폴(3483)은 일단이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3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이 리턴 스톱퍼 래칫 기어(3481)와 접촉 가능하다.
리턴 스톱퍼 래칫 기어(3481)는 호상으로 형성되고, 호를 이루는 외주면에는 치차가 형성된다. 리턴 스톱퍼 래칫 기어(3481)는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345)에 고정 장착되어,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345)가 회동하는 경우 함께 회동한다. 리턴 스톱퍼 래칫 폴(3483)은 일단이 리턴 스톱퍼 래칫 기어(3481)의 치차와 맞물림 가능한 걸림부를 구비하고, 리턴 스톱퍼 래칫 폴(3483)의 타단은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310)의 일면 상에 리턴 스톱퍼 래칫 픽스쳐(3485)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철도 차량(TR)과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345)의 단부가 접촉하여 소정의 외력이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345)에 가해지는 경우,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345)는 하우징부(100) 측으로 회동한다. 이때, 순간적으로 외력 인가가 차단되는 경우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 홀딩부(347)에 의하여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345)는 외력이 인가되지 않는 원위치, 즉 외부로 다시 펼쳐지는 상태로 변화될 수 있는데, 리턴 스톱퍼(348)는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345)가 홀딩 탄성 부재(3471)로 인한 원위치 복귀를 차단하여 이로 인한 철도 차량과의 다시 접촉되어 충돌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 플랫폼 스텝 장치의 플랫폼 스텝 유니트의 하우징부는 하우징 로워 베이스, 하우징 어퍼 커버 및 하우징 사이드를 구비하고, 하우징 어퍼 커버의 적어도 일부는 트레일 커버 노브를 통하여 상부로 들어올려 분리하는 방식을 취하였으나, 본 발명의 플랫폼 스텝 유니트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하우징 어퍼 커버를 원활하게 분리할 수 있는 구조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도 18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 스텝 유니트(10a)는 하우징 커버 리프팅부(40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도 18 내지 도 21에는 하우징 커버 리프팅부(400)에 대한 도면이 도시되는데, 앞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 및 명칭을 부여하며, 하우징 커버 리프팅부(400)의 구성을 명확하게 설명하도록 일부 구성의 도시는 생략된다.
하우징 커버 리프팅부(400)는 하우징 로워 베이스(110, 도 5 및 도 6 참조) 및 하우징 어퍼 커버(130) 사이에 배치되되,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 커버 리프팅부(400)는 하우징 로워 베이스(110)의 양단 측에 배치된다.
일단은 하우징 로워 베이스(110)에 장착되고, 타단은 하우징 어퍼 커버(130)에 장착되어 가동 여부에 따라 하우징 로워 베이스(110) 및 하우징 어퍼 커버(130) 간의 상대 거리를 조절 가능하게 개폐시킨다. 즉, 하우징 커버 리프팅부(400)는 각 단부가 하우징 로워 베이스(110) 및 하우징 어퍼 커버(130) 사이에 연결되어 가동됨으로써 양자 간의 상대 거리를 가동시켜, 하우징 어퍼 커버(130)를 상부로 들어 올리게 됨으로써 유지 보수를 위하여 작업자가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하우징 커버 리프팅부(400)가 하우징 어퍼 커버(130)를 상방향으로 가동시킨 후 하우징 어퍼 커버(130)를 분리시키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여기서, 하우징 어퍼 커버(130)는 하니컴 구조의 플레이트로 구현되어 상부 측에서 상당한 하중이 인가되더라도 충분한 하중 지지력을 제공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하우징 커버 리프팅부(400)는 리프팅 샤프트(410)와 리프팅 무빙 블록(420)과 리프팅 링크(430)와 리프팅 커넥터(440)를 포함하는데, 리프팅 샤프트(410)는 하우징부(100),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 로워 베이스(110)의 일면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리프팅 샤프트(410)는 양단측에서 샤프트 지지부(412)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데, 샤프트 지지부(412)에는 경우에 따라 저널 베어링이 배치되어 리프팅 샤프트(410)의 원활한 회동 지지를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 로워 베이스(130)의 양단측에 리프팅 베이스(401)가 장착되고, 샤프트 지지부(412)가 리프팅 베이스(401)의 일면 상에 고정 장착되는 방식을 취하나, 경우에 따라 샤프트 지지부가 직접 하우징부에 장착되는 방식을 취할 수도 있다.
리프팅 샤프트(410)는 본 실시예에서 리드 스크류로 구현될 수 있는데, 리드 스크류로 구현되는 리프팅 샤프트(410)의 외주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분할된 스레드가 형성된다. 즉, 리프팅 샤프트(4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예를 들어 반으로 분할되어 리프팅 샤프트(410) 상에 배치되는 하기되는 리프팅 무빙 블록(420)이 한 쪽에서는 오른나사 방향으로, 다른 쪽에서는 왼나사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리프팅 무빙 블록(420)은 한 쌍이 구비되는데, 각각의 리프팅 무빙 블록(420)은 리프팅 샤프트(410) 상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나, 앞서 언급된 분할된 스레드에 의하여 각각의 리프팅 무빙 블록(420)은 리프팅 샤프트(410) 상의 각각의 스레드(411,413) 상에 배치되고 리프팅 샤프트(410)가 회동하는 경우 리프팅 샤프트(410)의 길이 방향을 따르되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 내지 가동되는 구조를 취한다.
리프팅 링크(430)도 한 쌍이 구비되는데, 각각의 리프팅 링크(430)는 리프팅 무빙 블록(420)에 회동 가능하게 각각 연결된다. 리프팅 링크(430)의 일단은 각각의 리프팅 무빙 블록(420) 상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리프팅 링크(430)의 타단은 리프팅 커넥터(440)에 함께 연결된다.
리프팅 커넥터(440)는 하우징 어퍼 커버(130), 보다 구체적으로 어퍼 트레일링 커버(135)의 하단에 고정 장착되는데, 리프팅 커넥터(440)와 어퍼 트레일링 커버(135) 간의 결합은 소정의 작업을 통하여 분리 해제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조의 하우징 커버 리프팅부(400)는 하우징 어퍼 커버(130)를 상부로 이동시켜 하우징부(100)의 적어도 일부를 개방시켜 유지 수리 보수 작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리프팅 샤프트(410)가 소정의 회동력을 전달받아 회동하는 경우, 리프팅 샤프트(410)가 회전하게 되고, 리프팅 샤프트(410)가 회동하는 경우 리프팅 샤프트(410) 상에 배치되는 리프팅 무빙 블록(420)은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가동되고, 리프팅 무빙 블록(420)이 이동하는 경우 리프팅 무빙 블록(420)에 연결되는 리프팅 링크(430)도 소정의 기구학적 링크 거동을 이루고, 커넥터 힌지부(441)를 통하여 리프팅 링크(430)의 타단이 연결되는 리프팅 커넥터(440)도 소정의 이동 동작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하우징 커버 리프팅부(400)의 리프팅 샤프트부(410)를 회동시키는 소정의 회동력을 전기 모터 등을 통하여 전력 구동되는 방식을 취할 수도 있으나, 유지 보수를 위하여 보다 용이한 기계적 요소에 의하여 작업자의 조작으로 실행되는 방식을 취할 수도 있다.
즉, 하우징 커버 리프팅부(400)는 리프팅 전달부(450)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리프팅 전달부(450)는 리프팅 샤프트(410)에 소정의 회동력을 전달한다. 본 실시예에서 리프팅 전달부(450)는 워엄 휠 기어(451)와 워엄 기어(453)를 포함한다. 워엄 휠 기어(451)는 하우징부(100)의 내부,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 로워 베이스(110)의 일면 상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데, 워엄 휠 기어(451)는 구동력을 입력받아 리프팅 샤프트(410) 측으로 전달되는 회동력으로 전환시킨다. 워엄 휠 기어 휠(453)은 워엄 휠 기어(451)에 치합되고 리프팅 샤프트(410)의 일단에 연결되어 회동하는 경우 리프팅 샤프트(410)와 일체로 회동하게 된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워엄 휠 기어를 회동시키는 구동력은 전기 모터 등을 통하여 실행하는 방식을 취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작업자가 수동을 구동시키는 방식을 취한다.
즉, 하우징부(100),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 어퍼 커버(130)의 어퍼 리딩 커버(131)의 일면 상에는 관통 형성되는 커버 툴 관통구(134)가 형성되고, 워엄 휠 기어(451)는 커버 툴 관통구(134)의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데, 작업자가 리프팅 툴(T)을 커버 툴 관통구(134)에 삽입 관통하고 워엄 휠 기어(451)에 맞물린 후 리프팅 툴(T)을 회동시켜 소정의 구동력을 워엄 휠 기어(451)로 전달하면, 구동력을 워엄 휠 기어(451)와 치합되는 워엄 기어(453)로 전달되고, 워엄 기어(453)가 회동하는 경우 워엄 기어(453)와 연결되는 리프팅 샤프트(410)도 함께 회동한다.
하우징 어퍼 커버(130)가 상부로 이동한 후, 상기한 바와 같이 분리되어 충분한 작업 공간을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고, 하우징 어퍼 커버, 보다 구체적으로 어퍼 트레일링 커버와 리프팅 커넥터 간의 소정의 기구적 연결 구조를 더 구비하여 슬라이딩 상대 가동되는 등의 방식을 취하여 더 넓은 작업 공간을 확보하도록 하우징 어퍼 커버를 이동시키는 구조를 더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소정의 동작을 통하여 플랫폼 스텝 유니트 및 플랫폼 스텝 장치의 유지 보수를 보다 용이하고 수월하며 안전하게 실행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의 플랫폼 스텝 유니트 및 플랫폼 스텝 장치는 폴더블 스텝 플레이트부의 접철 여부, 즉 플랫폼에 진입하는 차량과의 접촉 여부를 감지 확인 가능하게 하는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도 22는 도 18의 도면 부호 A로 지시되는 부분의 부분 확대도이다. 즉, 도 18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 스텝 유니트(10a)는 스텝 범핑 센서부(50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스텝 범핑 센서부(500)는 스텝 범핑 센서(510)와 스텝 범핑 센서 대응부(520)를 포함하는데, 스텝 범핑 센서(510)는 하우징부(100),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 로워 베이스(130)의 일면 상에 장착되고, 스텝 범핑 센서 대응부(520)는 스텝 범핑 센서(510)의 대응되는 위치로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345)에 장착되어,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345)가 회동하는 경우 스텝 범핑 센서(510)의 신호 변화를 발생시킨다. 즉, 스텝 범핑 센서부(500)는 근접 센서 구조를 취하는데, 폴더블 스텝 플레이트부(340)가 인출된 상태에서 플랫폼으로 차량이 진입하는 등의 경우 차량과 폴더블 스텝 플레이트부(340)가 서로 접촉 내지 충돌하는 경우,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345)가 회동하게 되는데, 이때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345)에 장착 내지 일체로 형성되는 스텝 범핑 센서 대응부(520)도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345)와 함께 회동한다.
스텝 범핑 센서 대응부(520)가 회동하는 경우 스텝 범핑 센서 대응부(520)의 위치 변동으로 인하여 스텝 범핑 센서(510)는 소정의 감지 상태 변화로 변화된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다. 스텝 범핑 센서(510)는 광센서로 구현될 수도 있고, 자기 센서로 구현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플랫폼 1a: 플랫폼 스텝 장치
2: 플랫폼 베이스 4: 플랫폼 베이스 바디
10: 플랫폼 스텝 유니트 100: 하우징부
110: 하우징 로워 베이스 120: 하우징 사이드
130: 하우징 어퍼 커버 200: 구동부
210: 구동 모터 220: 구동 샤프트
230: 구동 무빙 블록 240: 구동 캐리어
241: 캐리어 바디 243: 캐리어 미디엄
245: 캐리어 사이드 윙 250: 구동 캐리어 가이드
251: 캐리어 가이드 레일 253: 캐리어 가이드 블록
260: 캐리어 커넥터 300: 스텝부
310: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 320: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 가이드
330: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 모션 가이드
340: 폴더블 스텝 플레이트부 341,343: 트레드 스텝 플레이트
345: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 347: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 홀딩부
348: 리턴 스톱퍼 400: 하우징 커버 리프팅부
500: 스텝 범핑 센서부

Claims (27)

  1. 플랫폼에 위치 고정되어 배치되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에 배치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하여 가동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서 가동되는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 및 상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에 장착되어 상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의 가동에 따라 상기 하우징부 외부로 인출 가능하고 상기 하우징부가 이루는 평면과 평행한 평면 상에서 접철 가능한 폴더블 스텝 플레이트부를 구비하는 스텝부를 포함하고,
    상기 폴더블 스텝 플레이트부는:
    상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 측에 가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 개의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와,
    각각의 상기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에 일단이 고정 장착되는 트레드 스텝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트레드 스텝 플레이트는 상기 하우징부가 이루는 평면과 평행한 평면 상에서 볼 때 인접한 다른 트레드 스텝 플레이트와 적어도 일부가 교차되도록 중첩 배치되고,
    상기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가 상기 하우징부 측으로 회동하는 경우 인접한 다른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에 장착된 다른 트레드 스텝 플레이트와 비접촉되어 상기 하우징부 측으로 인입 수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스텝 유니트.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 스텝 플레이트는:
    상기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에 일단이 연결되는 트레드 스텝 베이스 플레이트와,
    일단이 상기 트레드 스텝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단에 연결되는 트레드 스텝 커버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스텝 유니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 스텝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의 일면 상에 연결되는 트레드 스텝 베이스 플레이트 메인부와,
    상기 트레드 스텝 베이스 플레이트 메인부와 단차를 이루며 형성되고 상기 트레드 스텝 커버 플레이트가 장착되는 트레드 스텝 베이스 플레이트 연장부를 구비하는 트레드 스텝 베이스 플레이트 연장부(3433)를 구비하고,
    상기 트레드 스텝 베이스 플레이트 메인부와 상기 트레드 스텝 베이스 플레이트 연장부가 이루는 단차와 상기 트레드 스텝 베이스 커버 플레이트의 타단 사이에는 비접촉 간섭 방지 영역(Af)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스텝 유니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블 스텝 플레이트부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트레드 스텝 플레이트가 접철되지 않고 펼쳐지도록 상기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를 상기 스텝부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사전 설정된 탄성력을 제공하는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 홀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스텝 유니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는 외부로 인출 가능한 일단과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 배치되는 타단은 구비하고, 상기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의 회전 중심은 양단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 홀딩부는:
    일측이 상기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의 타단에 연결되는 홀딩 탄성 부재와,
    상기 홀딩 탄성 부재의 타측을 상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에 위치 고정 시키는 홀딩 탄성 부재 픽스쳐를 구비하고,
    상기 홀딩 탄성 부재는 상기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가 상기 폴더블 스텝 플레이트부의 인출 방향을 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스텝 유니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에 외력이 인가되어 상기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의 일단이 상기 하우징부 측으로 회동하는 경우, 상기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가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의 일단이 플랫폼 측으로 반대 방향으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리턴 스톱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스텝 유니트.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스톱퍼는:
    상기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와 함께 회동하는 리턴 스톱퍼 래칫 기어와,
    일단은 상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리턴 스톱퍼 래칫 기어와 접촉 가능한 리턴 스톱퍼 래칫 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스텝 유니트.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는 외력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 상기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의 길이 방향과 플랫폼에 진입하는 차량의 진입 방향이 이루는 선분이 이루는 사이각은 예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스텝 유니트.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의 일측으로 플랫폼에 진입하는 차량을 향한 일측면에는 링크 바디 패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스텝 유니트.
  11. 플랫폼에 위치 고정되어 배치되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에 배치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하여 가동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서 가동되는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 및 상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에 장착되어 상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의 가동에 따라 상기 하우징부 외부로 인출 가능하고 상기 하우징부가 이루는 평면과 평행한 평면 상에서 접철 가능한 폴더블 스텝 플레이트부를 구비하는 스텝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텝부는 상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의 가동을 안내하는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 가이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 가이드는: 상기 하우징부에 상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의 가동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베이스 가이드 레일과, 상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의 하부 측에 위치 고정되어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가이드 레일 상에 가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베이스 가이드 블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스텝 유니트.
  12. 삭제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가이드 블록 사이에는 진동을 완충시키기 위한 베이스 가이드 완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플랫폼 스텝 유니트.
  14. 플랫폼에 위치 고정되어 배치되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에 배치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하여 가동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서 가동되는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 및 상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에 장착되어 상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의 가동에 따라 상기 하우징부 외부로 인출 가능하고 상기 하우징부가 이루는 평면과 평행한 평면 상에서 접철 가능한 폴더블 스텝 플레이트부를 구비하는 스텝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텝부는 상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를 가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 모션 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 모션 가이드는: 상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를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서 가동을 지지하는 모션 가이드 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스텝 유니트.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가이드 휠은:
    상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내면과 접촉 회동하여 상기 스텝 플레이트의 가동을 지지하는 리딩 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스텝 유니트.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 모션 가이드는 일단이 상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에 장착되고 타단이 자유단으로 형성되는 모션 가이드 링크를 구비하고,
    상기 모션 가이드 휠은 상기 모션 가이드 링크에 장착되는 트레일링 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스텝 유니트.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가이드 링크의 상기 자유단은 각각의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 상부 및 하부를 향하는 두 개의 링크 브랜치를 형성하고,
    상기 트레일링 휠은 상기 링크 브랜치에 배치되는 트레일링 어퍼 휠 및 트레일링 로워 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스텝 유니트.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 모션 가이드는:
    상기 모션 가이드 휠이 접촉하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면에는 상기 모션 가이드 휠과 접촉하는 모션 가이드 휠 패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스텝 유니트.
  19. 플랫폼에 위치 고정되어 배치되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에 배치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하여 가동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서 가동되는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 및 상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에 장착되어 상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의 가동에 따라 상기 하우징부 외부로 인출 가능하고 상기 하우징부가 이루는 평면과 평행한 평면 상에서 접철 가능한 폴더블 스텝 플레이트부를 구비하는 스텝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 모터와 연결되어 회동하는 구동 샤프트와, 상기 구동 샤프트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 샤프트가 회동함에 따라 직선 가동되는 구동 무빙 블록와, 상기 구동 무빙 블록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무빙 블록과 함께 직선 가동되는 구동 캐리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스텝 유니트.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캐리어는:
    상기 구동 무빙 블록이 하면에 장착되는 캐리어 바디와,
    상기 캐리어 바디의 양측에 배치되는 캐리어 사이드 윙과,
    상기 캐리어 바디와 상기 캐리어 사이드 윙을 연결하는 캐리어 미디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스텝 유니트.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 캐리어와 상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를 연결하는 캐리어 커넥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캐리어 커넥터는 일단이 상기 캐리어 사이드 윙에 해제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스텝 유니트.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 캐리어가 상기 하우징부 내에서 가동되는 경우 상기 구동 캐리어의 가동을 안내하는 구동 캐리어 가이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스텝 유니트.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캐리어 가이드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면에 상기 구동 캐리어의 가동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캐리어 가이드 레일과,
    상기 구동 캐리어 사이드 윙에 연결되고, 상기 캐리어 가이드 레일의 일면 상에 가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캐리어 가이드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스텝 유니트.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부는 상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의 가동을 안내하는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 가이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 가이드는:
    상기 하우징부에 상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의 가동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베이스 가이드 레일과,
    상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의 하부 측에 위치 고정되어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가이드 레일 상에 가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베이스 가이드 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캐리어 가이드 레일과 상기 베이스 가이드 레일은 평행 배치되되, 상기 베이스 가이드 레일의 길이는 상기 캐리어 가이드 레일의 길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스텝 유니트.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가이드 레일을 상기 베이스 가이드 레일 상에 투영시킬 때 상기 캐리어 가이드 레일은 상기 베이스 가이드 레일 상에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스텝 유니트.
  26. 플랫폼에 위치 고정되어 배치되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에 배치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하여 가동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서 가동되는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 및 상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에 장착되어 상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의 가동에 따라 상기 하우징부 외부로 인출 가능하고 상기 하우징부가 이루는 평면과 평행한 평면 상에서 접철 가능한 폴더블 스텝 플레이트부를 구비하는 스텝부를 포함하고,
    상기 폴더블 스텝 플레이트부의 접철 여부를 감지하여 플랫폼에 진입하는 차량과의 접촉 여부를 확인 가능하게 하는 스텝 범핑 센서부를 구비하고,
    상기 폴더블 스텝 플레이트부는:
    상기 스텝 플레이트 베이스 측에 가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 개의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와,
    각각의 상기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에 일단이 고정 장착되는 트레드 스텝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트레드 스텝 플레이트는 상기 하우징부가 이루는 평면과 평행한 평면 상에서 볼 때 인접한 다른 트레드 스텝 플레이트와 적어도 일부가 교차되도록 중첩 배치되고,
    상기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가 상기 하우징부 측으로 회동하는 경우 인접한 다른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에 장착된 다른 트레드 스텝 플레이트와 비접촉되어 상기 하우징부 측으로 인입 수용 가능하고,
    상기 스텝 범핑 센서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장착되는 스텝 범핑 센서와,
    상기 스텝 범핑 센서의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에 장착되어, 상기 트레드 스텝 링크 바디가 회동하는 경우 상기 스텝 범핑 센서의 신호 변화를 발생시키는 스텝 범핑 센서 대응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스텝 유니트.
  27. 삭제
KR20130132871A 2013-11-04 2013-11-04 플랫폼 스텝 유니트 KR101487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2871A KR101487400B1 (ko) 2013-11-04 2013-11-04 플랫폼 스텝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2871A KR101487400B1 (ko) 2013-11-04 2013-11-04 플랫폼 스텝 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7400B1 true KR101487400B1 (ko) 2015-01-29

Family

ID=52592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32871A KR101487400B1 (ko) 2013-11-04 2013-11-04 플랫폼 스텝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74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8117B1 (ko) * 2017-12-19 2019-03-13 주식회사 대산기계 승강장에 설치되는 안전발판 및 그 안전발판의 설치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3035A (ja) 2000-05-31 2002-02-19 Kyosan Electric Mfg Co Ltd プラットホームの転落防止装置および、その設置方法
KR100370327B1 (ko) 2001-03-06 2003-02-05 금호엔지니어링 (주) 전철 승강장용 실족 안전장치
KR20070113531A (ko) * 2006-05-25 2007-11-29 이성열 전동차 승강장의 안전발판 장치
KR20110099552A (ko) * 2010-03-02 2011-09-08 나노씰(주) 철도 차량용 안전발판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3035A (ja) 2000-05-31 2002-02-19 Kyosan Electric Mfg Co Ltd プラットホームの転落防止装置および、その設置方法
KR100370327B1 (ko) 2001-03-06 2003-02-05 금호엔지니어링 (주) 전철 승강장용 실족 안전장치
KR20070113531A (ko) * 2006-05-25 2007-11-29 이성열 전동차 승강장의 안전발판 장치
KR20110099552A (ko) * 2010-03-02 2011-09-08 나노씰(주) 철도 차량용 안전발판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8117B1 (ko) * 2017-12-19 2019-03-13 주식회사 대산기계 승강장에 설치되는 안전발판 및 그 안전발판의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4224230A1 (en) Retractable step
EP1694547A1 (en) Escape device for a rail vehicle
RU2385250C2 (ru) Трейлер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инспектирования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и система контроля для нее
WO2015101580A1 (en) Door drive device for a door of a wagon
JP4176220B2 (ja)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KR101487400B1 (ko) 플랫폼 스텝 유니트
US5383304A (en) Sliding doors
JP4576283B2 (ja) プラットホーム隙間調整装置
KR101487399B1 (ko) 플랫폼 스텝 장치
KR101854811B1 (ko)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및 이를 갖는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
CN211281019U (zh) 拨盖装置
CN109435857A (zh) 车用无障碍导行装置
CN210174867U (zh) 拨盖机构及拨盖装置
CN107642302A (zh) 一种站台半高屏蔽门
CN115716202A (zh) 枕簧挡板与斜楔组装辅助脱困一体装置
CN212195445U (zh) 一种用于列车车厢的可收起式脚踏架
CN210554834U (zh) 拨盖装置
JP4365794B2 (ja) プラットホーム隙間調整装置
CN211417262U (zh) 拨盖装置
CN209683565U (zh) 车用无障碍导行装置
KR20210157096A (ko) 스크린 도어 연동형 안전 발판 장치
JP2005145269A (ja) 鉄道車両用床下カバー装置
JP3204839B2 (ja) 架線走行装置
CN114735039B (zh) 一种覆盖装置、敞口车厢及货运列车
CN109552183B (zh) 一种客车辅助逃生踏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