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193Y1 - 휠체어리프트용 안전보호대 비상개방장치 - Google Patents
휠체어리프트용 안전보호대 비상개방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2193Y1 KR200472193Y1 KR2020130001858U KR20130001858U KR200472193Y1 KR 200472193 Y1 KR200472193 Y1 KR 200472193Y1 KR 2020130001858 U KR2020130001858 U KR 2020130001858U KR 20130001858 U KR20130001858 U KR 20130001858U KR 200472193 Y1 KR200472193 Y1 KR 20047219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afety guard
- wheelchair
- wheelchair lift
- lift
- safet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6—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inclined, e.g. serving blast furnaces
- B66B9/08—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inclined, e.g. serving blast furnaces associated with stairways, e.g. for transporting disabled persons
- B66B9/0853—Lifting platfo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6—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inclined, e.g. serving blast furnaces
- B66B9/08—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inclined, e.g. serving blast furnaces associated with stairways, e.g. for transporting disabled per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애인이 탑승한 휠체어리프트의 운행 중 정전 또는 전동실린더의 고장에 의해 휠체어리프트가 정지하였을 경우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휠체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안전보호대를 수동으로 회동시켜 휠체어리프트의 플랫폼으로부터 안전하게 휠체어를 하차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휠체어리프트 이용에 따른 불편을 해소하고, 안전사고의 발생 원인을 근본적으로 예방함은 물론 상기 안전보호대를 회동시키는 장치적인 구성 부품의 수를 줄여 제품이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는 동시에 조립 및 설치 시간을 단축하여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휠체어리프트용 안전보호대 비상개방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장애인의 층간 이동을 원활하도록 설치되는 휠체어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휠체어리프트의 운행 중에 정전이나 전동실린더의 고장으로 인한 비상 정지시 장애인을 보호하기 위해 몸체에 설치된 안전보호대를 수동으로 개방하여 휠체어리프트로부터 휠체어를 안전하게 하차시킬 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구성 부품의 수를 줄여 생산 단가를 절감시키며, 단시간에 조립 및 설치가 가능하여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휠체어리프트용 안전보호대 비상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이나 노약자 등이 장소의 이동을 위해 휠체어를 주로 사용하는 바, 상기 휠체어는 평지에서의 이용은 원활하나 구조물의 내부 특히 계단을 통행할 경우 그 통행에 많은 제약을 받고 있어 이러한 휠체어의 계단 통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최근에는 지하철이나 공공기관의 계단 일측에 전용 휠체어리프트를 설치하여 장애인들의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휠체어리프트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휠체어 리프트는, 제어박스(1)에 내설된 구동모터(미도시됨) 구동시 벽쪽에 설치된 가이드레일(2)에 삽입된 와이어(미도시됨)에 의해 가이드레일(2)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주행되는 몸체(3)와, 스위치부(4,5) 조작에 따른 구동수단(미도시됨)에 의해 몸체(3)에 절첩가능하게 설치되고 휠체어와 같은 탑승체(6)가 탑승할 수 있도록 입출구에 경사판(7,7a)이 절첩 가능하게 고정되는 플랫폼(8)과, 상기 몸체(3)에 절첩 가능하게 형성되며 주행시 플랫폼(8)으로부터 탑승자 이탈을 방지하는 안전보호대(9)와, 상기 몸체(3)에 설치되어 구동을 제어하는 조작버튼(10)으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선등록된 실용신안등록 제20-0378545호의 비상시 수동조작이 가능한 전동식 안전보호대를 갖는 휠체어 리프트 구성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용 구동모터(미도시됨) 구동시 계단 일측에 설치된 한쌍의 가이드레일(2)을 따라 리프팅되는 몸체(3)와, 몸체(3)에 절첩가능하게 장착되고 휠체어(미도시됨)와 같은 탑승체가 탑승할 수 있도록 입출구에 경사판(7,7a)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랫폼(8)과, 플랫폼(8)과 경사판(7,7a)의 절첩 및 몸체(3)의 리프팅을 제어하는 제어수단(미도시됨)을 구비하는 휠체어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몸체(3) 좌우측에 회동가능하게 각각 장착되고, 몸체(3) 좌우측에 설치된 제1구동모터(11,12)("geared motor"가 사용됨) 구동시 회동되어 플랫폼(8)으로 부터 사용자 이탈을 방지하는 한 쌍의 안전보호대(9,9a)와, 안전보호대(9,9a)의 장착부 하측에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안전보호대(9,9a) 외측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좌우측 스토퍼(13,14)(stopper)를 각각 로킹시켜 안전보호대(9,9a) 회동을 각각 방지하도록 몸체(3) 외측으로 단부가 돌출되는 로커(15,16)(locker) 및 상기 로커(15,16)에 일단이 고정되고 경사판(7,7a)을 회동시키는 제2구동모터(17)에 연결된 볼스크류(18)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이동편(19)에 타단이 고정되며, 안전보호대(9,9a)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제2구동모터(17) 구동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 스토퍼(13,14) 로킹을 해제하는 와이어부재(20,20a)』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비상시 수동조작이 가능한 전동식 안전보호대는 상기 제1구동모터(11, 12)의 고장이 발생하여 회전축이 회전되지 않을 경우 상기 로커(15, 16)의 해제에도 불구하고 상기 안전보호대(9, 9a)를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음은 물론 구성 부품이 많아 제품의 전체적인 단가를 상승시켜 가격 경쟁력을 저하시키고, 조립 및 설치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생산성 및 작업의 효율성이 크게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어 수요가 점차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고안은 장애인이 탑승한 휠체어리프트의 운행 중 정전 또는 전동실린더의 고장에 의해 휠체어리프트가 정지하였을 경우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휠체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안전보호대를 수동으로 회동시켜 휠체어리프트의 플랫폼으로부터 안전하게 휠체어를 하차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휠체어리프트 이용에 따른 불편을 해소하고, 안전사고의 발생 원인을 근본적으로 예방함은 물론 상기 안전보호대를 회동시키는 장치적인 구성 부품의 수를 줄여 제품이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는 동시에 조립 및 설치 시간을 단축하여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휠체어리프트용 안전보호대 비상개방장치를 제공하고자 안출된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주행용 구동모터 구동시 계단 일측에 설치된 한쌍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리프팅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절첩가능하게 장착되고 탑승체(휠체어)가 탑승할 수 있도록 입출구에 경사판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랫폼과, 상기 플랫폼과 경사판의 절첩 및 몸체의 리프팅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휠체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안전보호대로 이루어진 휠체어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일정 길이로 돌출되게 형성된 스톱퍼와; 상기 스톱퍼에 걸려 회전각이 90°로 한정될 수 있도록 외주연에 2개의 걸림돌기가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안전보호대의 일단에 장착되어 일체로 회동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에 상부가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일체로 체결되어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하부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로드를 외부 전원에 의해 신축시키는 전동실린더와; 상기 전동실린더의 하단이 제 1회전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 2회전축에 의해 상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블록과; 상기 회전블록을 몸체에 고정하거나 회동 가능하게 분리시키는 록킹부;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록킹부는 상기 회전블록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몸체에 형성된 고정공에 일단이 삽입되는 레버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휠체어리프트용 안전보호대 비상개방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휠체어리프트 이용에 따른 불편을 해소하고, 안전사고의 발생 원인을 근본적으로 예방함은 물론 상기 안전보호대를 회동시키는 장치적인 구성 부품의 수를 줄여 제품이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는 동시에 조립 및 설치 시간을 단축하여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종래 휠체어리프트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종래 휠체어리프트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다른 휠체어리프트를 도시한 개략적인 정면예시도.
도 4는 도 3의 휠체어리프트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휠체어리프트를 도시한 개략적인 정면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휠체어리프트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보호대 비상개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보호대 비상개방장치를 확대 도시한 측면예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보호대 비상개방장치의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 예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보호대 비상개방장치의 작동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 예시도.
도 2는 종래 휠체어리프트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다른 휠체어리프트를 도시한 개략적인 정면예시도.
도 4는 도 3의 휠체어리프트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휠체어리프트를 도시한 개략적인 정면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휠체어리프트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보호대 비상개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보호대 비상개방장치를 확대 도시한 측면예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보호대 비상개방장치의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 예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보호대 비상개방장치의 작동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용 구동모터(미도시됨) 구동시 계단 일측에 설치된 한쌍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리프팅되는 몸체(3)와, 몸체(3)에 절첩가능하게 장착되고 휠체어(미도시됨)와 같은 탑승체가 탑승할 수 있도록 입출구에 경사판(7)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랫폼(8)과, 플랫폼(8)과 경사판(7)의 절첩 및 몸체(3)의 리프팅을 제어하는 제어수단(미도시됨) 및 상기 몸체(3)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휠체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안전보호대(9)로 이루어진 통상적인 휠체어리프트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인 안전보호대 비상개방장치의 모든 구성이 상기 몸체(3)의 양측에 각각 대응되게 설치됨에 따라 동일한 구성은 1개의 부호로 기재되어 설명되고, 종래와 동일한 구성의 경우 동일한 부호로 기재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휠체어리프트용 안전보호대 비상개방장치는 상기 몸체(3)에 일정 길이 돌출되게 형성되는 스톱퍼(100)와 회전체(200), 브라켓(300), 전동실린더(400), 회전블록(500) 및 록킹부(60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스톱퍼(100)는 상기 안전보호대(9)의 회동을 차단하는 것으로서, 상기 몸체(3)에 일정 길이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몸체(3)에는 고정공(110)을 통공시켜 후술되는 록킹부(600)의 레버(620)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체(200)는 상기 전동실린더(400)의 회전력을 안전보호대(9)에 전달하여 동시에 회동하는 것으로서, 상기 안전보호대(9)의 일단에 장착될 수 있도록 금속링 형태로 구비되되, 외주연에는 2개의 걸림돌기(210)를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회동시 상기 스톱퍼(100)에 걸려 회전각이 90°로 한정될 수 있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브라켓(300)은 상기 전동실린더(400)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체(200)와 안전보호대(9)에 전달하는 동시에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체(200)와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상부를 일체로 체결시키면 되는 것이다.
상기 전동실린더(400)는 외부 전원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안전보호대(9)를 회동시키는 것으로서, 구동에 의해 신축되는 로드(410)에 상기 브라켓(300)의 하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블록(500)은 비상시 상기 전동실린더(400)와 연결된 안전보호대(9)가 수동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일정 두께를 갖는 직육면체 형태로 구비하되, 상기 회전블록(500)의 하부는 돌출되게 형성하여 돌출된 하부에 상기 전동실린더(400)의 하단을 제 1회전축(S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회전블록(500)의 상부는 상기 제 2회전축(S2)에 의해 상기 몸체(3)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록킹부(600)는 상기 회전블록(500)을 몸체(3)와 분리하거나 고정시키는 수단으로 이용하기 위해서 상기 회전블록(500)의 돌출된 하부에 일체로 장착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록킹부(600)는 상기 회전블록(5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610)과, 상기 스프링(610)의 탄성에 의해 상기 몸체(3)에 형성된 고정공(110)에 일단이 삽입되는 레버(620)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다수의 구성이 상기 몸체(3)의 양측에 일체로 조립, 설치되어 완성되는 본 고안의 안전보호대 비상개방장치가 적용된 휠체어리프트의 일반적인 작용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동실린더(400)가 회전블록(500)에 고정된 상태로 구동하여 로드(410)의 길이를 신장시키면, 상기 로드에 설치된 브라켓(300)이 회동하게 되고, 상기 브라켓(300)과 연결된 회전체(200) 및 안전보호대(9)가 동시에 회동하여 수직으로 세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체(200)의 외주연에 형성된 걸림돌기(210)가 상기 몸체(3)에 돌출된 스톱퍼(100)에 걸리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안전보호대(9)의 회동이 정지되어 수직상태가 유지되어 휠체어의 탑승 대기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체어가 플랫폼(8)에 탑승하게 되면 상기 전동실린더(400)가 구동하여 로드(410)의 길이가 신축되고, 상기 로드(410)에 설치된 브라켓(300)이 역으로 회동하게 되며, 상기 브라켓(300)과 연결된 회전체(200) 및 안전보호대(9)가 동시에 회동하여 수평으로 눕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체(200)의 외주연에 형성된 걸림돌기(210)가 상기 몸체(3)에 돌출된 스톱퍼(100)에 걸리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안전보호대(9)의 회동이 정지되어 수평상태가 유지되어 휠체어리프트의 운행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블록(500)은 록킹부(600)의 스프링(610) 탄성에 의해 레버(620)가 상기 고정공(110)에 삽입되어 몸체(3)에 회동하지 않는 상태로 고정되게 되며, 상기 회전블록(500)과 제 1회전축(S1)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전동실린더(400)의 설치된 높이도 고정된 상태에서 로드(410)를 신장 또는 신축시키는 작동만으로 상기 안전보호대(9)를 회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휠체어리프트가 운행하는 도중에 정전이나 전동실린더(400)의 고장으로 인한 비상시 본 고안에 따른 안전보호대 비상개방장치의 작용은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록킹부(600)의 레버(620)를 수동으로 잡아당겨 상기 레버(620)의 일단을 상기 몸체(3)의 고정공(110)으로부터 빼낸 다음 상기 안전보호대(9)를 잡고 상부로 들어올려 회동시키면, 상기 안전보호대(9)에 장착된 회전체(200)와 브라켓(300)이 회동함과 동시에 상기 브라켓(300)의 하부가 상승하게 되고, 상기 브라켓(300)이 고정된 로드(410) 및 전동실린더(400)가 제 1회전축(S1)을 중심으로 회동함과 동시에 상승하게 되며, 상기 전동실린더(400)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회전블록(500)이 제 2회전축(S2)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안전보호대(9)를 간단하게 개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안전보호대 비상개방장치는 상기 안전보호대(9)를 간단하게 수동으로 개방할 수 있으므로 플랫폼(8)으로부터 휠체어를 안전하게 하차시켜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추가된 안전장치에 의해 휠체어리프트에 대한 신뢰성 및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3 : 몸체 8 : 플랫폼
9 : 안전보호대 100 : 스톱퍼
110 : 고정공 200 : 회전체
210 : 걸림돌기 300 : 브라켓
400 : 전동실린더 410 : 로드
500 : 회전블록 600 : 록킹부
610 : 스프링 620 : 레버
9 : 안전보호대 100 : 스톱퍼
110 : 고정공 200 : 회전체
210 : 걸림돌기 300 : 브라켓
400 : 전동실린더 410 : 로드
500 : 회전블록 600 : 록킹부
610 : 스프링 620 : 레버
Claims (2)
- 주행용 구동모터 구동시 계단 일측에 설치된 한쌍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리프팅되는 몸체(3)와, 상기 몸체(3)에 절첩가능하게 장착되고 탑승체(휠체어)가 탑승할 수 있도록 입출구에 경사판(7)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랫폼(8)과, 상기 플랫폼(8)과 경사판(7)의 절첩 및 몸체(3)의 리프팅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몸체(3)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휠체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안전보호대(9)로 이루어진 휠체어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몸체(3)에는 일정 길이로 돌출되게 형성된 스톱퍼(100)와;
상기 스톱퍼(100)에 걸려 회전각이 90°로 한정될 수 있도록 외주연에 2개의 걸림돌기(210)가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안전보호대(9)의 일단에 장착되어 일체로 회동하는 회전체(200)와;
상기 회전체(200)에 상부가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일체로 체결되어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브라켓(300)과;
상기 브라켓(300)의 하부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로드(410)를 외부 전원에 의해 신축시키는 전동실린더(400)와;
상기 전동실린더(400)의 하단이 제 1회전축(S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 2회전축(S2)에 의해 상기 몸체(3)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블록(500)과;
상기 회전블록(500)을 몸체(3)에 고정하거나 회동 가능하게 분리시키는 록킹부(600);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리프트용 안전보호대 비상개방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600)는 상기 회전블록(5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610)과, 상기 스프링(610)의 탄성에 의해 몸체(3)에 형성된 고정공(110)에 일단이 삽입되는 레버(620)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리프트용 안전보호대 비상개방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1858U KR200472193Y1 (ko) | 2013-03-13 | 2013-03-13 | 휠체어리프트용 안전보호대 비상개방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1858U KR200472193Y1 (ko) | 2013-03-13 | 2013-03-13 | 휠체어리프트용 안전보호대 비상개방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2193Y1 true KR200472193Y1 (ko) | 2014-04-17 |
Family
ID=51489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01858U KR200472193Y1 (ko) | 2013-03-13 | 2013-03-13 | 휠체어리프트용 안전보호대 비상개방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2193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16731A (ko) | 2021-02-15 | 2022-08-23 |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 실내외 혼용이 가능한 멀티보행기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217364A (ja) * | 1995-02-14 | 1996-08-27 | Aichi Kogata Elevator Seizo Kk | 車椅子等の階段昇降装置 |
KR200296764Y1 (ko) | 2002-09-02 | 2002-12-02 | (주)신우 프론티어 | 휠체어 리프트용 안전보호장치 |
KR200378545Y1 (ko) | 2004-12-20 | 2005-03-16 | (주)신우 프론티어 | 비상시 수동조작이 가능한 전동식 안전보호대를 갖는휠체어 리프트 |
JP2005119768A (ja) | 2003-10-14 | 2005-05-12 | Iura Co Ltd | 車椅子用昇降機 |
-
2013
- 2013-03-13 KR KR2020130001858U patent/KR200472193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217364A (ja) * | 1995-02-14 | 1996-08-27 | Aichi Kogata Elevator Seizo Kk | 車椅子等の階段昇降装置 |
KR200296764Y1 (ko) | 2002-09-02 | 2002-12-02 | (주)신우 프론티어 | 휠체어 리프트용 안전보호장치 |
JP2005119768A (ja) | 2003-10-14 | 2005-05-12 | Iura Co Ltd | 車椅子用昇降機 |
KR200378545Y1 (ko) | 2004-12-20 | 2005-03-16 | (주)신우 프론티어 | 비상시 수동조작이 가능한 전동식 안전보호대를 갖는휠체어 리프트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16731A (ko) | 2021-02-15 | 2022-08-23 |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 실내외 혼용이 가능한 멀티보행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8037803U (zh) | 一种具有救援门机的曳引装置 | |
KR100918674B1 (ko) | 지하철 승강장의 안전발판 | |
US20110204688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 wheelchair in a vehicle | |
JP4792953B2 (ja) | エレベータの救出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救出方法 | |
CN106672752B (zh) | 楼道座椅电梯 | |
US3749202A (en) | Stairway seat car elevator | |
KR20120138912A (ko) |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장치 | |
KR200472193Y1 (ko) | 휠체어리프트용 안전보호대 비상개방장치 | |
KR20100089675A (ko) | 버스용 휠체어 리프트 | |
CN207957460U (zh) | 可升降式电梯轿厢 | |
JPH09290996A (ja) | 車椅子等用リフト装置 | |
KR101243665B1 (ko) | 철도차량의 장애인용 휠체어 램프 | |
KR20130051158A (ko) | 자동문 개폐 연동 안전 발판 | |
RU89848U1 (ru) | Вертикальный подъемник для инвалидов | |
KR102086246B1 (ko) | 엘리베이터 클러치 장치 | |
JP2000043718A (ja) | 鉄道車両 | |
CN203898577U (zh) | 一种沿楼梯扶手轨道上下楼的电动轮椅 | |
KR200485722Y1 (ko) | 차량용 보조 발판장치 | |
KR200296764Y1 (ko) | 휠체어 리프트용 안전보호장치 | |
CN106976786B (zh) | 一种楼道电梯 | |
KR101715330B1 (ko) | 엘리베이터의 피트 전용 수동 운전리모컨 | |
KR20150139048A (ko) | 3.5 스텝구조의 장애인 탑승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 | |
KR200378545Y1 (ko) | 비상시 수동조작이 가능한 전동식 안전보호대를 갖는휠체어 리프트 | |
JPH06199488A (ja) | 歩行補助装置 | |
KR100512255B1 (ko) | 지하철 안전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