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1158A - 자동문 개폐 연동 안전 발판 - Google Patents

자동문 개폐 연동 안전 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1158A
KR20130051158A KR1020110116347A KR20110116347A KR20130051158A KR 20130051158 A KR20130051158 A KR 20130051158A KR 1020110116347 A KR1020110116347 A KR 1020110116347A KR 20110116347 A KR20110116347 A KR 20110116347A KR 20130051158 A KR20130051158 A KR 20130051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utomatic door
scaffold
scaffolding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6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철
김은철
Original Assignee
㈜스트롱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트롱플러스 filed Critical ㈜스트롱플러스
Priority to KR1020110116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1158A/ko
Publication of KR20130051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11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3/00Construction of steps for railway vehicles
    • B61D23/02Folding steps for railway vehicles, e.g. hand or mechan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9/00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 B61D19/003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door
    • B61D19/005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door sli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9/00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 B61D19/02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for carri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8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between car or cage and w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개폐 연동 안전 발판은, 제1 공간을 가지며 자동문에 의해 제1 공간이 개방 또는 차단되는 이동체에 장착되어, 자동문의 개방 시 이동 가능한 제2 공간과의 틈새를 덮어주는 안전 발판으로서, 자동문이 위치하는 이동체의 바닥벽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자동문의 개방 시 회동하여 제2 공간과의 틈새를 차단하고, 자동문의 차단 시 원래 위치로 복귀하는 발판 유닛; 및 자동문의 개폐 동작에 따라 발판 유닛을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동차의 자동문 또는 엘리베이터의 자동문 등과 같은 자동문이 열릴 때 이동 공간과 발생 가능한 틈새를 덮어줌으로써 타고 내릴 때 틈새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문 개폐 연동 안전 발판{Safety foothold to interlock with open and shut of automatic door}
자동문 개폐 연동 안전 발판이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동차의 자동문 또는 엘리베이터의 자동문 등과 같은 자동문이 열릴 때 이동 공간과 발생 가능한 틈새를 덮어줌으로써 타고 내릴 때 틈새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자동문 개폐 연동 안전 발판이 개시된다.
도심에서 출퇴근 시 많은 사람을 빠르고 안전하게 수송하기 위해 전동차를 운행하고 있다. 전동차는 승강장에 정차하고 승객은 전동차의 자동문이 열림과 동시에 승차 및 하차가 이루어지는데, 이 때 승강장의 바닥과 전동차의 자동문 사이에 공간이 있어 승객의 승하차 시 안전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전동차의 역이 건설 여건상의 이유로 가령 곡선으로 형성된 경우 전동차의 자동문 위치와 승강장의 바닥 사이의 공간이 가깝게는 10cm 정도에서 멀게는 20cm 정도 이격됨으로써 승객의 승하차 시 안전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출퇴근 시 많은 승객의 승하차가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때 특히 노약자나 어린이의 경우 자칫 열차 내 또는 외로 밀릴 경우 발을 잘못 디뎌 승강장과 전동차의 자동문 사이의 공간에 발이 빠져 다치는 경우가 실제 발생되고 있다. 또한 장애자가 휠체어나 전기 보조차를 이용할 경우 휠 부분이 승강장과 전동차의 자동문 사이 공간에 간섭되어 다른 승객들의 원활한 승하차를 방해할 수도 있고 이로 인해 전동차의 운행이 지연될 수 있다.
이에, 전동차의 자동문을 통한 승하차 시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별도의 안전 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전동차의 자동문 또는 엘리베이터의 자동문 등과 같은 자동문이 열릴 때 이동 공간과 발생 가능한 틈새를 덮어줌으로써 타고 내릴 때 틈새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자동문 개폐 연동 안전 발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자동문의 개폐 동작에 따라 발판 유닛의 동작이 정확하게 제어되기 때문에 발판 유닛 제공을 위한 별도의 시간이 소요되지 않음으로써 동작 구현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자동문 개폐 연동 안전 발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개폐 연동 안전 발판은, 제1 공간을 가지며 자동문에 의해 상기 제1 공간이 개방 또는 차단되는 이동체에 장착되어, 상기 자동문의 개방 시 이동 가능한 제2 공간과의 틈새를 덮어주는 안전 발판으로서, 상기 자동문이 위치하는 상기 이동체의 바닥벽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자동문의 개방 시 회동하여 상기 제2 공간과의 틈새를 차단하고, 상기 자동문의 차단 시 원래 위치로 복귀하는 발판 유닛; 및 상기 자동문의 개폐 동작에 따라 상기 발판 유닛을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전동차의 자동문 또는 엘리베이터의 자동문 등과 같은 자동문이 열릴 때 이동 공간과 발생 가능한 틈새를 덮어줌으로써 타고 내릴 때 틈새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상기 발판 유닛은, 상기 이동체의 바닥벽을 따라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자동문이 열릴 시 순차적으로 내려가고 상기 자동문의 차단 시 역 순서로 올라가는 복수 개의 단위 발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문의 차단 상태 시, 상기 자동문이 열리는 시작 지점에 위치한 상기 단위 발판이 인접한 다른 하나의 상기 단위 발판을 구속하도록 상기 단위 발판들의 연결 부분에는 형상 대응되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유닛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자동문의 개폐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여 상기 복수 개의 단위 발판을 순차적으로 내리거나 역 순서로 올리는 와이어 형태의 구동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와이어는 상기 자동문의 차단 상태 시 상기 단위 발판이 내려가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상기 복수 개의 단위 발판의 외면을 지지하며, 상기 자동문의 개방 시 상기 구동부가 상기 구동 와이어를 상기 단위 발판들로부터 직선 방향으로 잡아 당겨 상기 단위 발판을 순차적으로 내리고, 상기 자동문의 차단 시 상기 구동부가 상기 구동 와이어를 상기 단위 발판으로 밀어 넣어 상기 복수 개의 단위 발판을 순차적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상기 자동문을 차단하는 경우 내려간 상기 복수 개의 단위 발판을 상기 자동문이 열리는 시작 지점과 먼 단위 발판부터 차례대로 올려 상방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구동 와이어는 선단부가 후단부에 하부에 위치하도록 곡선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유닛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단위 발판의 회동 부분에 형성된 슬롯을 따라 선형으로 이동하여 상기 복수 개의 단위 발판을 순차적으로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돌기바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슬롯은 상기 돌기바아가 인입되는 방향을 따라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마련되되, 상기 슬롯을 형성하는 상기 단위 바아의 회동 부분의 일측벽은 직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일측벽과 함께 상기 슬롯을 형성하는 타측벽은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슬롯의 타측벽을 따라 상기 돌기바아가 선형으로 인입될 때 상기 단위 발판이 내려가고 상기 슬롯의 타측벽을 따라 상기 돌기바아가 선형으로 나갈 때 상기 단위 발판의 원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상기 단위 발판의 회동 부분은 중심을 축으로 회전하며, 상기 회동 부분의 축에는 상기 단위 발판을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구비하는 토션 스프링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자동문을 개폐하는 개폐 구동부의 구동과 연동되어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자동문 개폐 연동 안전 발판은 전동차의 자동문 개폐 시 적용되거나 엘리베이터의 자동문 개폐 시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동차의 자동문 또는 엘리베이터의 자동문 등과 같은 자동문이 열릴 때 이동 공간과 발생 가능한 틈새를 덮어줌으로써 타고 내릴 때 틈새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자동문의 개폐 동작에 따라 발판 유닛의 동작이 정확하게 제어되기 때문에 발판 유닛 제공을 위한 별도의 시간이 소요되지 않음으로써 동작 구현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개폐 연동 안전 발판이 전동차에 적용된 경우에 대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문 개폐 연동 안전 발판이 전동차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자동문의 개방 시 안전 발판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단위 발판들이 자동문의 개방 시 동작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단위 발판들이 자동문의 차단 시 동작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개폐 연동 안전 발판이 전동차에 적용된 경우에 대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발판 유닛의 단위 발판에 구동 유닛의 돌기바아가 인입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발판 유닛의 단위 발판에 구동 유닛의 돌기바아가 인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적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태양(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발판이 지하철과 같은 전동차에 적용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할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타고 내리는 공간과 소정 간격이 발생되는 엘리베이터 등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개폐 연동 안전 발판이 전동차에 적용된 경우에 대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문 개폐 연동 안전 발판이 전동차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자동문의 개방 시 안전 발판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단위 발판들이 자동문의 개방 시 동작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단위 발판들이 자동문의 차단 시 동작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개폐 연동 안전 발판은, 자동문(101)이 위치하는 이동체, 즉 본 실시예의 전동차의 바닥벽(105)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자동문(101)의 개방 시 승강장(107)과의 틈새(D)를 덮는 발판 유닛(110)과, 자동문(101)의 개폐 동작에 따라 발판 유닛(110)의 동작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유닛(1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자동문(101)의 개방 시 구동 유닛(150)의 구동에 의해 발판 유닛(110)이 내려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승강장(107) 간의 틈새(D)를 덮을 수 있으며 반대로 자동문(101)의 차단 시 구동 유닛(150)의 구동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발판 유닛(110)이 올라가(복원하여) 전동차의 운행 시 발판 유닛(110)과 외부 구조물 간의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즉, 구동 유닛(150)의 단순한 구동에 의해, 자동문(101)이 닫히면 발판 유닛(110)은 도 2의 상태로 올라가고, 또 자동문(101)이 개방되면 발판 유닛(110)은 도 3의 상태로 내려갈 수 있는 것이다.
각각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발판 유닛(110)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자동문(101)이 장착되는 전동차의 바닥벽(105)을 따라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자동문(101)이 열릴 시 순차적으로 내려가고 자동문(101)의 차단 시 (역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올라가는 복수 개의 단위 발판(11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단위 발판(111)은 전동차의 바닥벽(105)과 힌지(120)에 의해 결합되어 바닥벽(105)에 대해 제한된 각도만큼 회동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단위 발판(111)으로 구성되는 발판 유닛(110)은 바닥벽(105)에 대해 상방으로 회동된 상태(즉, 도 1의 A 상태) 및 하방으로 회동된 상태(즉, 도 1의 B 상태)를 가질 수 있으며, 상방으로 회동된 상태는 전동차의 운행 시 발판 유닛(110)의 상태이고 하방으로 회동된 상태는 자동문(101)이 열려 승객이 승하차할 때 발판 유닛(110)의 상태이다.
이 때, 하방으로 회동된 상태 시 발판 유닛(110)의 내측벽이 전동차의 바닥벽(105)의 측벽에 대해 지지되어 발판 유닛(110)은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승객의 승하차가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승객은 발판 유닛(110)을 디뎌 승강장(107) 또는 전동차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휠이 장착된 전기 보조차의 이동 역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발판 유닛(110)은 복수 개의 단위 발판(111)을 구비하는데, 이들의 순차적인 동작에 의해 승객의 이동 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자동문(101)이 열릴 때 복수 개의 단위 발판(111)이 순차적으로 내려가고 반대로 자동문(101)이 닫힐 때 복수 개의 단위 발판(111)이 순차적으로 올라감으로써 단위 발판(111)이 승객이 승하차를 방해하지 않는 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예의 단위 발판(111)들은 상호 구속 관계 또는 구속 해제 관계를 가짐으로써 단위 발판(111)의 순차적인 움직임이 발생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자동문(101)의 차단 상태 시, 자동문(101)이 열리는 시작 지점에 위치한 단위 발판(111), 즉 제1 단위 발판(111a)이 인접한 다른 하나의 단위 발판(111), 즉 제2 단위 발판(111b)을 구속하도록 단위 발판(111a, 111b)들의 연결 부분에는 형상 대응되는 걸림턱(112a, 112b)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단위 발판(111a)은 외측이 내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2 단위 발판(111b) 방향으로 연장되어 걸림턱(112a)을 형성하고 제2 단위 발판(111b)은 내측이 외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1 단위 발판(111a) 방향으로 연장되어 걸림턱(112b)을 형성함으로써 자동문(101) 차단 상태 시 제2 단위 발판(111b)은 제1 단위 발판(111a)에 대해 구속된 상태를 갖는다.
반면에 이러한 제1 단위 발판(111a) 및 제2 단위 발판(111b)의 걸림 구조로 인해 제1 단위 발판(111a)이 하방으로 회전하는 경우(도 4 참조) 제2 단위 발판(111b)은 구속 관계가 해제되어 제2 단위 발판(111b) 역시 하방으로 회전되어 발판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제1 단위 발판(111a)이 내려가면, 인접한 제2 단위 발판(111b)이 내려가고 이어서 다음 단위 발판(111)이 내려가고 마지막 단위 발판(111)까지 순차적으로 내려갈 수 있는 것이다.
반대로, 도 3을 참조하면, 자동문(101)의 차단 시 후술할 구동 유닛(150)의 구동에 의해 마지막 단위 발판(111)부터 시작하여 그 다음 단위 발판(111), 최종적으로 제1 단위 발판(111a)까지 올라갈 수 있으며, 이 때 단위 발판(111)들의 걸림 구조에 의해 단위 발판(111)은 올라간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이, 자동문(101)의 개폐 시 발판 유닛(110)을 동작시키기 위해 구동력이 제공되어야 하는데, 이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유닛(150)의 구동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구동 유닛(150)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자동문(101)을 개폐하는 개폐 구동부(미도시)와 연동하여 작동될 수 있다.
즉, 개폐 구동부가 자동문(101)을 개방시킬 때 개폐 구동부의 구동과 연동되어 구동 유닛(150)이 구동될 수 있으며 이 때 발생되는 구동력에 의해 발판 유닛(110)을 하방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반대로 개폐 구동부가 자동문(101)을 차단시킬 때 역시 개폐 구동부의 구동과 연동되어 구동 유닛(150)이 구동될 수 있으며 이 때 발생되는 구동력에 의해 발판 유닛(110)을 상방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개폐 구동부는 기어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구동 유닛(150)의 일부 역시 개폐 구동부와 맞물리는 기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구동 유닛(15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구동부(151)와, 구동부(151)에 의해 선형으로 구동되어 복수 개의 단위 발판(111)을 동작시키는 구동 와이어(155)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구동부(151)는, 전술한 것처럼 구동 와이어(155)를 자동문(101)의 개폐 방향으로 선형 이동시킴으로써 자동문(101)의 개폐 동작에 따라 발판 유닛(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151)는 전동차 내에 개별적으로 장착되어 구동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술한 것처럼 자동문(101)을 개폐하는 개폐 구동부와 연동되어 작동될 수도 잇다.
본 실시예의 구동 와이어(155)는, 자동문(101)의 동작에 따라 복수 개의 단위 발판(111)을 순차적으로 내리거나 또는 반대로 순차적으로 올릴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자동문(101)의 열리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구동부(151)는 구동 와이어(155)를 자동문(101)의 열리는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복수 개의 단위 발판(111) 중 자동문(101)의 열리는 시작 지점에 있는 단위 발판(111a)부터 내려가서 마지막에 있는 단위 발판(111b)까지 순차적으로 내려갈 수 있다. 즉, 단위 발판(111)들의 외면을 지지하고 있는 구동 와이어(155)의 지지력이 순차적으로 없어지면서 자동문(101)의 개방 동작과 함께 단위 발판(111)들이 내려갈 수 있는 것이다.
반대로 자동문(101)의 닫히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구동부(151)는 구동 와이어(155)를 자동문(101)의 닫히는 방향으로 미는데 이 때 단위 발판(111)이 순차적으로 들어올려질 수 있다. 다만, 하방으로 내려간 상태의 단위 발판(111)을 구동 와이어(155)의 선형 이동에 의해 올리기 위해 구동 와이어(155)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단위 발판(111)을 올리는 선단 부분(155a)이 다른 부분(155b)에 비해 하부에 위치하도록 곡선으로 절곡된 형상을 갖는다.
즉, 절곡 형성된 구동 와이어(155)의 선단 부분(155a)이 하방으로 내려간 상태의 단위 발판(111)의 하면에 접촉되도록 인입된 후 구동 와이어(155)가 자동문(101)이 닫히는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면 구동 와이어(155)의 절곡 부분(155c)을 따라 단위 발판(111)이 들어올려지고 단위 발판(111_이 들어올려진 후 구동 와이어(155)의 후단 부분(155b)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자동문(101)의 열리거나 닫히는 방향으로 구동 와이어(155)가 선형 이동함으로써 복수 개의 단위 발판(111)의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동작에 의해 자동문(101)의 개방 상태 시 승객에게 승강장(107)과의 틈새(D)를 덮어주는 안전 발판을 제공함으로써 승객의 이동을 원활하게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안전사고 발생을 저지할 수 있다. 아울러 전동차의 운행 시 발판 유닛(110)이 상방으로 올라간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운행이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자동문(101)의 개폐 동작과 함께 발판 유닛(110)의 동작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진행됨으로써 발판 유닛(110) 제공을 위한 별도의 시간이 소요되지 않음으로써 전동차의 운행 시 승하차 시간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개폐 연동 안전 발판에 대해 설명하되 전술한 일 실시예의 자동문 개폐 연동 안전 발판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개폐 연동 안전 발판이 전동차에 적용된 경우에 대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발판 유닛의 단위 발판에 구동 유닛의 돌기바아가 인입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발판 유닛의 단위 발판에 구동 유닛의 돌기바아가 인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개폐 연동 안전 발판은, 복수 개의 단위 발판(211)을 구비하는 발판 유닛(210) 및 자동문(201)의 개폐 동작에 따라 발판 유닛(210)의 동작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되, 구동 유닛의 구성 및 발판 유닛(210)의 형상에 있어서 전술한 일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발판 유닛(210)을 구성하는 단위 발판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 부분(215)이 원형으로 마련되고 회전축(216)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다. 이러한 단위 발판(211)의 회동 부분(215)에는 자동문(201)이 개폐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슬롯(217)이 형성된다. 이러한 슬롯(217)으로 구동 유닛이 부분적으로 인입되어 단위 발판(211)의 동작이 구현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슬롯(217)은 일측이 곡선형으로 형성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동 유닛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구동 유닛은, 구동부(미도시) 및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자동문(201)의 개폐 방향과 나란한 선형 방향으로 이동하는 돌기바아(255)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구동부의 돌기바아(255)가 단위 발판(211)의 슬롯(217)을 따라 인입될 때 단위 발판(211)은 순차적으로 내려갈 수 있고 반대로 단위 발판(211)의 슬롯(217)으로부터 돌기바아(255)가 빠져 나가면 단위 발판(211)은 다시 상방으로 올라갈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각각의 단위 발판(211)의 회전축(216)에는 단위 발판(211)을 상방으로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구비하는 토션 스프링(미도시)이 장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슬롯(217)에 돌기바아(255)가 인입되어 내려간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단위 발판(211)으로부터 돌기바아(255)를 빼내는 경우 탄성력에 의해 상방으로 올려질 수 있다.
한편, 슬롯(217)의 곡선 형상에 의해 돌기바아(255)의 출입에 따라 단위 발판(211)이 내려가거나 다시 올라갈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단위 발판(211)의 회동 부분(215)에는 슬롯(217)이 형성되는데, 돌기바아(255)가 들어가는 입구 부분은 수직을 갖도록 절개 형성되고 출구 부분은 돌기바아(255)의 폭과 대응되도록 절개 형성된다. 이를 위해 슬롯(217)을 형성하는 회동 부분(216)의 일측벽(217b)은 직선형으로 형성되고 일측벽(217b)과 함께 슬롯(217)을 형성하는 타측벽(217a)은 곡선 형상을 이룬다.
이러한 형상에 따라 돌기바아(255)가 슬롯(217) 중 곡선형을 이루는 벽(217a)을 따라 선형으로 이동하는 경우,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발판(211)이 내려갈 수 있고, 반대로 돌기바아(255)가 슬롯(217)으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곡선형을 이루는 벽(217a)을 반대 방향으로 지지하며 이동하기 때문에 단위 발판(211)은 다시 상방으로 올려질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단위 발판(211)에 형성된 슬롯(217)을 따라 돌기바아(255)가 선형 이동하는 구동 구조를 가짐으로써 복수 개의 단위 발판(211)으로 구성되는 발판 유닛(210)의 동작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따라서 자동문(201)의 개방 상태 시 승객에게 승강장과의 틈새를 덮어주는 안전 발판을 제공함으로써 승객의 이동을 원활하게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안전사고 발생을 저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1 : 자동문 105 : 바닥벽
107 : 승강장 110 : 발판 유닛
111 : 단위 발판 120 : 힌지
150 : 구동 유닛 151 : 구동부
155 : 구동 와이어

Claims (11)

  1. 제1 공간을 가지며 자동문에 의해 상기 제1 공간이 개방 또는 차단되는 이동체에 장착되어, 상기 자동문의 개방 시 이동 가능한 제2 공간과의 틈새를 덮어주는 안전 발판에 있어서,
    상기 자동문이 위치하는 상기 이동체의 바닥벽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자동문의 개방 시 회동하여 상기 제2 공간과의 틈새를 차단하고, 상기 자동문의 차단 시 원래 위치로 복귀하는 발판 유닛; 및
    상기 자동문의 개폐 동작에 따라 상기 발판 유닛을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자동문 개폐 연동 안전 발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유닛은,
    상기 이동체의 바닥벽을 따라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자동문이 열릴 시 순차적으로 내려가고 상기 자동문의 차단 시 역 순서로 올라가는 복수 개의 단위 발판을 포함하는 자동문 개폐 연동 안전 발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문의 차단 상태 시, 상기 자동문이 열리는 시작 지점에 위치한 상기 단위 발판이 인접한 다른 하나의 상기 단위 발판을 구속하도록 상기 단위 발판들의 연결 부분에는 형상 대응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자동문 개폐 연동 안전 발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자동문의 개폐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여 상기 복수 개의 단위 발판을 순차적으로 내리거나 역 순서로 올리는 와이어 형태의 구동 와이어를 포함하는 자동문 개폐 연동 안전 발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와이어는 상기 자동문의 차단 상태 시 상기 단위 발판이 내려가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상기 복수 개의 단위 발판의 외면을 지지하며,
    상기 자동문의 개방 시 상기 구동부가 상기 구동 와이어를 상기 단위 발판들로부터 직선 방향으로 잡아 당겨 상기 단위 발판을 순차적으로 내리고, 상기 자동문의 차단 시 상기 구동부가 상기 구동 와이어를 상기 단위 발판으로 밀어 넣어 상기 복수 개의 단위 발판을 순차적으로 들어올리는 자동문 개폐 연동 안전 발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문을 차단하는 경우 내려간 상기 복수 개의 단위 발판을 상기 자동문이 열리는 시작 지점과 먼 단위 발판부터 차례대로 올려 상방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구동 와이어는 선단부가 후단부에 하부에 위치하도록 곡선으로 절곡 형성되는 자동문 개폐 연동 안전 발판.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단위 발판의 회동 부분에 형성된 슬롯을 따라 선형으로 이동하여 상기 복수 개의 단위 발판을 순차적으로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돌기바아를 포함하는 자동문 개폐 연동 안전 발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상기 돌기바아가 인입되는 방향을 따라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마련되되, 상기 슬롯을 형성하는 상기 단위 바아의 회동 부분의 일측벽은 직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일측벽과 함께 상기 슬롯을 형성하는 타측벽은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슬롯의 타측벽을 따라 상기 돌기바아가 선형으로 인입될 때 상기 단위 발판이 내려가고 상기 슬롯의 타측벽을 따라 상기 돌기바아가 선형으로 나갈 때 상기 단위 발판의 원래 위치로 복귀하는 자동문 개폐 연동 안전 발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발판의 회동 부분은 중심을 축으로 회전하며, 상기 회동 부분의 축에는 상기 단위 발판을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구비하는 토션 스프링이 장착되는 자동문 개폐 연동 안전 발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자동문을 개폐하는 개폐 구동부의 구동과 연동되어 작동되는 자동문 개폐 연동 안전 발판.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문 개폐 연동 안전 발판은 전동차의 자동문 개폐 시 적용되거나 엘리베이터의 자동문 개폐 시 적용 가능한 자동문 개폐 연동 안전 발판.
KR1020110116347A 2011-11-09 2011-11-09 자동문 개폐 연동 안전 발판 KR201300511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6347A KR20130051158A (ko) 2011-11-09 2011-11-09 자동문 개폐 연동 안전 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6347A KR20130051158A (ko) 2011-11-09 2011-11-09 자동문 개폐 연동 안전 발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1158A true KR20130051158A (ko) 2013-05-20

Family

ID=48661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6347A KR20130051158A (ko) 2011-11-09 2011-11-09 자동문 개폐 연동 안전 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115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03224A (zh) * 2019-06-17 2019-09-06 际华三五一七橡胶制品有限公司 一种用于高铁物流的货运车厢
KR102500315B1 (ko) * 2022-11-24 2023-02-14 김민우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
KR102505056B1 (ko) * 2022-11-21 2023-02-28 김민우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
KR20230038025A (ko) * 2021-09-10 2023-03-17 송석재 지하철 스크린 도어용 안전 발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크린 도어 시스템
EP4245634A1 (de) * 2022-03-15 2023-09-20 Bode - Die Tür GmbH Einstiegssystem für ein fahrzeug, insbesondere schienenfahrzeug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03224A (zh) * 2019-06-17 2019-09-06 际华三五一七橡胶制品有限公司 一种用于高铁物流的货运车厢
KR20230038025A (ko) * 2021-09-10 2023-03-17 송석재 지하철 스크린 도어용 안전 발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크린 도어 시스템
EP4245634A1 (de) * 2022-03-15 2023-09-20 Bode - Die Tür GmbH Einstiegssystem für ein fahrzeug, insbesondere schienenfahrzeug
KR102505056B1 (ko) * 2022-11-21 2023-02-28 김민우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
KR102500315B1 (ko) * 2022-11-24 2023-02-14 김민우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51158A (ko) 자동문 개폐 연동 안전 발판
EP2335991A2 (en) Safety foothold for subway platform
JP4792953B2 (ja) エレベータの救出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救出方法
KR101615728B1 (ko)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JP2011148635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KR101372262B1 (ko) 휠체어용 승강장치
KR100622395B1 (ko) 자기부상열차 선로에 설치되는 추락방지용 안전 난간구조물
KR100969560B1 (ko)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한 철도차량용 휠체어 승하차장치
WO2020226142A1 (ja) 避難装置
JP2010030725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09234674A (ja) 自動車用エレベータ
KR20070052986A (ko) 차량용 휠체어 리프트
KR100454007B1 (ko) 휠체어 리프트장치
JP2008068945A (ja) エレベータ
KR200389633Y1 (ko)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용 승강카
JP3942339B2 (ja) プラットホームの乗降補助装置および、その設置方法
KR200472193Y1 (ko) 휠체어리프트용 안전보호대 비상개방장치
CN112960522B (zh) 一种电梯层门系统
JP2007119138A (ja) エレベータのかご上手摺装置
JPH04140298A (ja) 乗客用コンベアの乗降口カバー装置
JP2011037617A (ja) エレベータのかご室
JP2527254B2 (ja) エスカレ―タ装置
JP2004217410A (ja) エレベーターのピット点検用タラップ
JP2010001119A (ja) ローダー用レール装置
KR101074856B1 (ko) 카도어 잠금장치를 포함한 도어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