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0315B1 -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 - Google Patents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0315B1
KR102500315B1 KR1020220159070A KR20220159070A KR102500315B1 KR 102500315 B1 KR102500315 B1 KR 102500315B1 KR 1020220159070 A KR1020220159070 A KR 1020220159070A KR 20220159070 A KR20220159070 A KR 20220159070A KR 102500315 B1 KR102500315 B1 KR 102500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ifting bar
scaffold
scaffold body
sub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9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우
김영은
Original Assignee
김민우
김영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우, 김영은 filed Critical 김민우
Priority to KR1020220159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03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3/00Construction of steps for railway vehicles
    • B61D23/02Folding steps for railway vehicles, e.g. hand or mechan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차의 출입문 내측에 설치되어 출입문의 개방 시 지하철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의 공간을 메우고,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의 단차를 없애주도록 배치되는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평평한 판재 형태의 디딤판, 그리고 상기 디딤판의 후단에 형성되어 전동차의 출입문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출입문의 폐쇄 시 상방으로 회전되어 출입문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세워지고, 출입문의 개방 시 전방으로 회전되어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를 막도록 뉘어지게 되는 발판 본체; 상기 발판 본체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것으로서, 전동차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 그리고 상기 회전축의 전방에 설치되어 출입문의 개방 시 출입문의 측면과 접촉하여 회전되고 출입문의 폐쇄 시 출입문의 후면과 접촉하여 회전되는 롤러를 포함하는 두 회전레버; 및 상기 회전레버에 연결되어 회전레버와 상기 발판 본체를 연동시키게 되는 것으로서, 출입문의 폐쇄 시 회전레버에 가해지는 회전력을 발판 본체에 전달하여 발판 본체를 상방으로 회전시키게 되는 연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Non-powered type safety footboard for subway}
본 발명은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차의 출입문 내측에 설치되어 출입문의 개방 시 지하철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의 공간을 메우고,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의 단차를 없애주도록 배치되는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에 관한 것이다.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14332호(2005.02.07. 공개,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전철의 안전발판 시스템"이 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승객출입구의 도어의 바깥면 소정 높이에서 도어개폐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래크기어(Rack gear)와; 상기 래크기어의 설치높이에 해당되는 차량 외측으로부터 도어수납부 내측으로 끼워져 설치된 상태에서 도어개폐시 래크기어와 맞물려 제자리 회동되는 제1기어와; 상기 차량의 외측에서 제1기어와 맞물려 제자리 회동되게 설치되며, 저면의 중심내부에는 래칫기어(Ratchet gear)가 형성된 제2기어와; 상단부가 상기 제2기어상의 래칫기어에 도어의 닫힘동작시에만 맞물려 회전되도록 결합되며, 외측 둘레면의 소정 위치에 이탈 방지턱이 돌설된 소정 길이의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 상단의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서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핀결합되어 도어 열림시에는 샤프트가 독립적으로 회전되도록 하고, 도어 닫힘시에만 샤프트가 제2기어상의 래칫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도록 하는 걸림편과; 상기 제2기어의 중심선 아랫쪽에서 차량의 외측면에 고정설치되며, 상면 중심에는 상기 샤프트가 끼워지는 소정 크기의 샤프트끼움공이 형성되고, 저면은 개방된 원통형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그 내측단은 샤프트에 고정되고, 외측단은 하우징에 고정되어 도어의 닫힘동작시 내측으로 감기면서 압축되고, 도어의 열림시 바깥쪽으로 복원력에 의하여 풀리도록 구성된 태엽스프링과; 상기 하우징 아랫쪽에서 샤프트의 하단부에 키(Key)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베벨기어와; 승객출입구의 외측 아랫부분에서 힌지축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회동되게 설치되는 소정 너비의 발판과; 상기 발판의 힌지축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베벨기어와 직교되게 맞물린 상태에서 제자리에서 전후방향으로 회동되는 제2베벨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전철차량의 출입구 외측에 설치된 발판이 도어의 열림동작에 의해 플랫폼 쪽으로 펼쳐지고, 도어의 닫힘동작에 의해 도어 쪽으로 접혀질 수 있게 구성된 전철의 안전발판 시스템을 제시한다.
상기 선행기술은 저렴한 비용으로 기존 전철의 차량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전철의 안전발판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였으나, 도어에 별도의 래크기어를 설치해야하고, 전철차량에 상기 래크기어와 통하도록 삽입공을 형성해야하는 등 전철차량의 구조변경이 불가피하므로, 실제로 기존 전철차량에 적용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14332호(2005.02.07.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동차의 출입문 내측에 설치되어 출입문의 개방 시 지하철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의 공간을 메워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의 틈으로 승객의 발이 빠지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승강장과 전동차 간의 높이 차로 인해 휠체어가 걸리는 문제를 해결하여 휠체어가 쉽게 지나갈 수 있도록 하되, 발판의 작동이 출입문의 개폐 동작과 연동되게 함으로써 별도의 동력이 필요치않으며, 기존의 전동차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한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은, 평평한 판재 형태의 디딤판, 그리고 상기 디딤판의 후단에 형성되어 전동차의 출입문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출입문의 폐쇄 시 상방으로 회전되어 출입문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세워지고, 출입문의 개방 시 전방으로 회전되어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를 막도록 뉘어지게 되는 발판 본체; 상기 발판 본체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것으로서, 전동차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 그리고 상기 회전축의 전방에 설치되어 출입문의 개방 시 출입문의 측면과 접촉하여 회전되고 출입문의 폐쇄 시 출입문의 후면과 접촉하여 회전되는 롤러를 포함하는 두 회전레버; 및 상기 회전레버에 연결되어 회전레버와 상기 발판 본체를 연동시키게 되는 것으로서, 출입문의 폐쇄 시 회전레버에 가해지는 회전력을 발판 본체에 전달하여 발판 본체를 상방으로 회전시키게 되는 연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연동부는, 상기 디딤판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두 회전레버의 사이에 설치되고, 중앙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 형태로 접히거나 펼쳐지게 되는 리프팅바; 각각의 일단이 상기 두 회전레버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이 상기 리프팅바를 향해 연장되게 설치된 두 커넥팅바; 상기 두 커넥팅바의 타단과 상기 리프팅바의 양단을 각각 연결하는 것으로서, 일단이 리프팅바의 단부에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커넥팅바의 타단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두 조인트부재; 및 상기 두 회전레버의 사이에 좌우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상기 두 조인트부재가 상기 리프팅바 측으로 전진 동작하거나 리프팅바의 반대 측으로 후퇴 동작하도록 두 조인트부재를 유도하게 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발판 본체는 상기 회전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회전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레버는 그 후단이 상기 회전축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연동부는, 상기 발판 본체의 후방에 진퇴 동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진 동작 시 상기 회전판을 밀어내게 되는 가압부재; 상기 가압부재의 후방에 설치된 후방가이드풀리; 상기 발판 본체의 회전부 전방에 설치된 전방가이드풀리; 및 일단이 상기 회전레버의 후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후방가이드풀리와 전방가이드풀리를 경유하여 상기 가압부재에 연결된 와이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발판 본체는 상기 회전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회전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레버는 그 후단이 상기 회전축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연동부는, 상기 디딤판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두 회전레버의 사이에 설치되고, 중앙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 형태로 접히거나 펼쳐지게 되는 리프팅바; 각각의 일단이 상기 두 회전레버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이 상기 리프팅바를 향해 연장되게 설치된 두 커넥팅바; 상기 두 커넥팅바의 타단과 상기 리프팅바의 양단을 각각 연결하는 것으로서, 일단이 리프팅바의 단부에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커넥팅바의 타단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두 조인트부재; 상기 두 회전레버의 사이에 좌우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상기 두 조인트부재가 상기 리프팅바 측으로 전진 동작하거나 리프팅바의 반대 측으로 후퇴 동작하도록 두 조인트부재를 유도하게 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발판 본체의 후방에 진퇴 동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진 동작 시 상기 회전판을 밀어내게 되는 가압부재; 상기 가압부재의 후방에 설치된 후방가이드풀리; 상기 발판 본체의 회전부 전방에 설치된 전방가이드풀리; 및 일단이 상기 회전레버의 후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후방가이드풀리와 전방가이드풀리를 경유하여 상기 가압부재에 연결된 와이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레일의 후면에는 상기 발판 본체가 세워지도록 상방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판의 전면과 접하여 발판 본체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게 되는 스토퍼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발판 본체의 후방에 발판 본체와 인접하게 설치된 것으로서, 발판 본체의 상면과 전동차의 바닥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경사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경사판은 상기 회전레버의 후부, 가압부재 및 후방가이드풀리를 덮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동차 출입문의 개방 시 발판 본체가 지하철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의 공간을 메워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의 틈으로 승객의 발이 빠지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승강장과 전동차 간의 단차가 없어짐으로써 휠체어가 쉽게 지나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판 본체의 작동이 회전레버 및 연동부에 의해 출입문의 개폐 동작과 연동됨으로써 안전 발판의 사용에 별도의 동력이 필요치않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발판 본체, 회전레버 및 연동부를 전동차의 바닥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기존의 전동차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이 제공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출입문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의 후면, 측면 및 상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발판 본체가 전방으로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의 전면, 측면 및 상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발판 본체가 전방으로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의 측단면도.
도 8은 도 7에서 발판 본체가 전방으로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의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요부에 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고,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 및 명칭은 사전적인 의미가 아닌 구성의 형상이나 작용, 역할 등에 의해 함축적으로 정해질 수 있으며, 방향에 관한 설명은 최초로 제시된 도면으로부터 최초로 제시한 방향을 기준으로 결정되며, 위치에 관한 설명은 각 구성의 중간 또는 원의 중심을 기준으로 내외가 결정된다.
그리고 선등록된 공지기술 및 통상적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생략 또는 간단한 부호나 명칭으로 대체한다. 또한, 도면을 통해 식별할 수 있는 구성의 구체적인 구조, 형상, 모양, 배치, 크기, 등과, 도면을 통해 유추할 수 있는 구성의 작동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 등도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고, 구성 간의 결합을 위해 적용되는 볼트, 용접부위, 구멍 등은 요지를 흐릴 수 있어 도면에서 생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출입문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의 후면, 측면 및 상면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발판 본체가 전방으로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의 전면, 측면 및 상면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발판 본체가 전방으로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의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 발판 본체가 전방으로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이하, '안전 발판'이라고 약칭함)은, 평평한 판재 형태의 디딤판(110), 그리고 상기 디딤판(110)의 후단에 형성되어 전동차의 출입문(10)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출입문(10)의 폐쇄 시 상방으로 회전되어 출입문(10)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세워지고, 출입문(10)의 개방 시 전방으로 회전되어 전동차와 승강장(20) 사이를 막도록 뉘어지게 되는 발판 본체(100); 상기 발판 본체(10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것으로서, 전동차의 바닥(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210), 그리고 상기 회전축(210)의 전방에 설치되어 출입문(10)의 개방 시 출입문(10)의 측면과 접촉하여 회전되고 출입문(10)의 폐쇄 시 출입문(10)의 후면과 접촉하여 회전되는 롤러(220)를 포함하는 두 회전레버(200); 및 상기 회전레버(200)에 연결되어 회전레버(200)와 상기 발판 본체(100)를 연동시키게 되는 것으로서, 출입문(10)의 폐쇄 시 회전레버(200)에 가해지는 회전력을 발판 본체(100)에 전달하여 발판 본체(100)를 상방으로 회전시키게 되는 연동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발판 본체(100)는 승객이 디딜 수 있도록 된 금속판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발판 본체(100)는 출입문(10)의 폐쇄 시 전단이 출입문(10)을 향하도록 비스듬하게 세워지고, 이에 따라 출입문(100)의 개방 시 자중에 의해 전방으로 회전된다.
상기 발판 본체(100)의 회전부(120)는 발판 본체(100)의 회전 중심이 되는 축으로서의 기능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부(120)는 이의 중앙에 삽입된 별도의 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120)는 이의 양단에 설치된 별도의 베어링유닛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발판 본체(100)는 상기 회전부(120)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회전판(130)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판(130)은 후술될 가압부재(350)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나게 됨으로써 발판 본체(100)가 상측으로 회전되게 한다.
상기 회전레버(200)는 전후로 연장된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져 전동차의 바닥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210)의 회전레버(200)의 중앙에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회전레버(200)는 그 후단이 상기 회전축(210)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회전레버(200)는, 출입문(10)의 개방 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러(220)가 출입문(10)의 측면과 접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레버(200)는, 출입문(10)의 폐쇄 시 상기 롤러(220)가 출입문(10)에 밀려나는 것에 의해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출입문(10)의 폐쇄 시 출입문(10)에 밀려 회전된 회전레버(200)는 출입문(10)의 개방 시 상기 연동부(300)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롤러(220)가 출입문(10)의 측면과 다시 접하도록 복귀하게 된다.
한편, 출입문(10)의 개방 시 상기 회전레버(200)가 원활하게 복귀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레버(200)에는 출입문(10)의 폐쇄 시 회전되는 회전레버(200)에 의해 탄성 변형되었다가 출입문(10)의 개방 시 회전레버(200)를 복귀시키는 스프링(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스프링은 상기 회전축(210)에 끼워지도록 설치된 토션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동부(300)는 상기 회전레버(200)의 전단에 연결된 전방연동부와 상기 회전레버(200)의 후단에 연결된 후방연동부로 구성된다.
상기 전방연동부는 도 5,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딤판(110)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두 회전레버(200)의 사이에 설치되고, 중앙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 형태로 접히거나 펼쳐지게 되는 리프팅바(310); 각각의 일단이 상기 두 회전레버(200)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이 상기 리프팅바(310)를 향해 연장되게 설치된 두 커넥팅바(320); 상기 두 커넥팅바(320)의 타단과 상기 리프팅바(310)의 양단을 각각 연결하는 것으로서, 일단이 리프팅바(310)의 단부에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커넥팅바(320)의 타단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두 조인트부재(330); 및 상기 두 회전레버(200)의 사이에 좌우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상기 두 조인트부재(330)가 상기 리프팅바(310) 측으로 전진 동작하거나 리프팅바(310)의 반대 측으로 후퇴 동작하도록 두 조인트부재(330)를 유도하게 되는 가이드레일(3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리프팅바(310)는 그 중앙이 상기 발판 본체(100)의 디딤판(110)을 받치도록 설치된다. 이때, 리프팅바(310)의 중앙에는 상기 디딤판(110)의 하면과 접하여 회전되는 롤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340)의 상면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요입된 홈이 형성된다. 상기 홈에 상기 조인트부재(330)가 삽입되어 진퇴 동작하게 된다.
상기 조인트부재(330)가 상기 가이드레일(340)을 따라 원활하게 진퇴 동작할 수 있도록, 조인트부재(330)의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레일(340)에 형성된 홈의 바닥과 접하여 회전되는 바퀴(331, 도 5 참조)가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방연동부는 상기 리프팅바(310)의 중앙이 상기 발판 본체(100)의 디딤판(110)을 받치도록 설치됨에 따라, 출입문(10)의 폐쇄 시 리프팅바(310)가 '∧' 형태로 접히면서 디딤판(110)을 들어올림으로써 발판 본체(100)를 상측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후방연동부는 도 3, 도 4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판 본체(100)의 후방에 진퇴 동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진 동작 시 상기 회전판(130)을 밀어내게 되는 가압부재(350); 상기 가압부재(350)의 후방에 설치된 후방가이드풀리(360); 상기 발판 본체(100)의 회전부(120) 전방에 설치된 전방가이드풀리(370); 및 일단이 상기 회전레버(200)의 후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후방가이드풀리(360)와 전방가이드풀리(370)를 경유하여 상기 가압부재(350)에 연결된 와이어(3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와이어(380)가 상기 후방가이드풀리(360)에서 전방가이드풀리(370)를 지날때 상기 가압부재(350)를 통과할 수 있도록, 가압부재(350)에는 전후로 관통된 구멍(351, 도 7 참조)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레일(340)의 후면에는 상기 발판 본체(100)가 세워지도록 상방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판(130)의 전면과 접하여 발판 본체(10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게 되는 스토퍼(341, 도 7 참조)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후방연동부에 의하면, 출입문(10)의 폐쇄 시 상기 회전레버(200)의 후단이 바깥쪽으로 회전되는 것에 의해 상기 와이어(380)가 당겨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가압부재(350)가 전진 동작하여 상기 발판 본체(100)의 회전판(130)을 전방으로 밀어내게 됨으로써 발판 본체(100)가 상기 회전부(120)를 중심으로 상방 회전되면서 세워지게 된다.
그리고 출입문(10)의 개방 시 자중에 의해 전방으로 회전되는 상기 발판 본체(100)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350)가 후방으로 밀려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380)가 가압부재(350)에 의해 당겨지게 됨으로써 상기 회전레버(200)가 복귀하게 된다.
상기 전방연동부 및 후방연동부는 필요에 따라 어느 하나의 것이 선택적으로 구비되거나, 둘 모두가 겸비될 수 있다.
상기 발판 본체(100)의 후방에는 발판 본체(100)와 인접하게 설치된 것으로서, 발판 본체(100)의 상면과 전동차의 바닥(30)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경사판(4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사판(400)은 발판 본체(100)와 전동차 바닥(30) 사이의 단차를 없애 승객이 걸리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휠체어 등이 용이하게 지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경사판(400)은 상기 회전레버(200)의 후부, 가압부재(350) 및 후방가이드풀리(360)를 덮도록 설치됨으로써, 회전레버(200), 가압부재(350) 및 후방가이드풀리(360)를 보호하고, 승객이 이들에 걸리어 넘어지는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안전 발판에 의하면, 전동차 출입문(10)의 개방 시 발판 본체(100)가 지하철 승강장(20)과 전동차 사이의 공간을 메워 승강장(20)과 전동차 사이의 틈(G, 도 7 및 도 8 참조)으로 승객의 발이 빠지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승강장(20)과 전동차 간의 단차가 없어짐으로써 휠체어가 쉽게 지나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판 본체(100)의 작동이 회전레버(200) 및 연동부(300)에 의해 출입문(10)의 개폐 동작과 연동됨으로써 안전 발판의 사용에 별도의 동력이 필요치않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안전 발판에 의하면, 상기 발판 본체(100), 회전레버(200) 및 연동부(300)를 전동차의 바닥(30)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기존의 전동차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안전 발판이 제공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는 점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재 및 그 균등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발판 본체 110 : 디딤판
120 : 회전부 130 : 회전판
200 : 회전레버 210 : 회전축
220 : 롤러 300 : 연동부
310 : 리프팅바 320 : 커넥팅바
330 : 조인트부재 331 : 바퀴
340 : 가이드레일 341 : 스토퍼
350 : 가압부재 351 : 구멍
360 : 후방가이드풀리 370 : 전방가이드풀리
380 : 와이어 400 : 경사판

Claims (6)

  1. 평평한 판재 형태의 디딤판(110), 그리고 상기 디딤판(110)의 후단에 형성되어 전동차의 출입문(10)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출입문(10)의 폐쇄 시 상방으로 회전되어 출입문(10)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세워지고, 출입문(10)의 개방 시 전방으로 회전되어 전동차와 승강장(20) 사이를 막도록 뉘어지게 되는 발판 본체(100);
    상기 발판 본체(10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것으로서, 전동차의 바닥(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210), 그리고 상기 회전축(210)의 전방에 설치되어 출입문(10)의 개방 시 출입문(10)의 측면과 접촉하여 회전되고 출입문(10)의 폐쇄 시 출입문(10)의 후면과 접촉하여 회전되는 롤러(220)를 포함하는 두 회전레버(200); 및
    상기 회전레버(200)에 연결되어 회전레버(200)와 상기 발판 본체(100)를 연동시키게 되는 것으로서, 출입문(10)의 폐쇄 시 회전레버(200)에 가해지는 회전력을 발판 본체(100)에 전달하여 발판 본체(100)를 상방으로 회전시키게 되는 연동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300)는,
    상기 디딤판(110)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두 회전레버(200)의 사이에 설치되고, 중앙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 형태로 접히거나 펼쳐지게 되는 리프팅바(310);
    각각의 일단이 상기 두 회전레버(200)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이 상기 리프팅바(310)를 향해 연장되게 설치된 두 커넥팅바(320);
    상기 두 커넥팅바(320)의 타단과 상기 리프팅바(310)의 양단을 각각 연결하는 것으로서, 일단이 리프팅바(310)의 단부에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커넥팅바(320)의 타단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두 조인트부재(330); 및
    상기 두 회전레버(200)의 사이에 좌우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상기 두 조인트부재(330)가 상기 리프팅바(310) 측으로 전진 동작하거나 리프팅바(310)의 반대 측으로 후퇴 동작하도록 두 조인트부재(330)를 유도하게 되는 가이드레일(3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본체(100)는 상기 회전부(120)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회전판(13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레버(200)는 그 후단이 상기 회전축(210)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연동부(300)는,
    상기 발판 본체(100)의 후방에 진퇴 동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진 동작 시 상기 회전판(130)을 밀어내게 되는 가압부재(350);
    상기 가압부재(350)의 후방에 설치된 후방가이드풀리(360);
    상기 발판 본체(100)의 회전부(120) 전방에 설치된 전방가이드풀리(370); 및
    일단이 상기 회전레버(200)의 후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후방가이드풀리(360)와 전방가이드풀리(370)를 경유하여 상기 가압부재(350)에 연결된 와이어(3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본체(100)는 상기 회전부(120)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회전판(13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레버(200)는 그 후단이 상기 회전축(210)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연동부(300)는,
    상기 디딤판(110)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두 회전레버(200)의 사이에 설치되고, 중앙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 형태로 접히거나 펼쳐지게 되는 리프팅바(310);
    각각의 일단이 상기 두 회전레버(200)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이 상기 리프팅바(310)를 향해 연장되게 설치된 두 커넥팅바(320);
    상기 두 커넥팅바(320)의 타단과 상기 리프팅바(310)의 양단을 각각 연결하는 것으로서, 일단이 리프팅바(310)의 단부에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커넥팅바(320)의 타단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두 조인트부재(330);
    상기 두 회전레버(200)의 사이에 좌우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상기 두 조인트부재(330)가 상기 리프팅바(310) 측으로 전진 동작하거나 리프팅바(310)의 반대 측으로 후퇴 동작하도록 두 조인트부재(330)를 유도하게 되는 가이드레일(340);
    상기 발판 본체(100)의 후방에 진퇴 동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진 동작 시 상기 회전판(130)을 밀어내게 되는 가압부재(350);
    상기 가압부재(350)의 후방에 설치된 후방가이드풀리(360);
    상기 발판 본체(100)의 회전부(120) 전방에 설치된 전방가이드풀리(370); 및
    일단이 상기 회전레버(200)의 후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후방가이드풀리(360)와 전방가이드풀리(370)를 경유하여 상기 가압부재(350)에 연결된 와이어(3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340)의 후면에는 상기 발판 본체(100)가 세워지도록 상방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판(130)의 전면과 접하여 발판 본체(10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게 되는 스토퍼(34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본체(100)의 후방에 발판 본체(100)와 인접하게 설치된 것으로서, 발판 본체(100)의 상면과 전동차의 바닥(30)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경사판(400)을 더 포함하되,
    상기 경사판(400)은 상기 회전레버(200)의 후부, 가압부재(350) 및 후방가이드풀리(360)를 덮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
KR1020220159070A 2022-11-24 2022-11-24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 KR102500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9070A KR102500315B1 (ko) 2022-11-24 2022-11-24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9070A KR102500315B1 (ko) 2022-11-24 2022-11-24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0315B1 true KR102500315B1 (ko) 2023-02-14

Family

ID=85221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9070A KR102500315B1 (ko) 2022-11-24 2022-11-24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031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872A (ja) * 1989-06-14 1991-01-24 Hitachi Ltd 車両用補助ステップ装置
KR200255890Y1 (ko) * 2001-05-21 2002-02-06 박수진 전동차량 안전발판
JP2002347607A (ja) * 2001-05-28 2002-12-04 Kinki Nippon Railway Co Ltd 鉄道車両乗降用スロープ
KR20050014332A (ko) 2003-07-30 2005-02-07 조성국 전철의 안전발판 시스템
KR20130051158A (ko) * 2011-11-09 2013-05-20 ㈜스트롱플러스 자동문 개폐 연동 안전 발판
WO2019101463A1 (de) * 2017-11-22 2019-05-31 Siemens Mobility GmbH SCHIENENFAHRZEUG MIT BEWEGLICHEM FUßBODENTEIL AN TÜRÖFFNUNG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872A (ja) * 1989-06-14 1991-01-24 Hitachi Ltd 車両用補助ステップ装置
KR200255890Y1 (ko) * 2001-05-21 2002-02-06 박수진 전동차량 안전발판
JP2002347607A (ja) * 2001-05-28 2002-12-04 Kinki Nippon Railway Co Ltd 鉄道車両乗降用スロープ
KR20050014332A (ko) 2003-07-30 2005-02-07 조성국 전철의 안전발판 시스템
KR20130051158A (ko) * 2011-11-09 2013-05-20 ㈜스트롱플러스 자동문 개폐 연동 안전 발판
WO2019101463A1 (de) * 2017-11-22 2019-05-31 Siemens Mobility GmbH SCHIENENFAHRZEUG MIT BEWEGLICHEM FUßBODENTEIL AN TÜRÖFFNU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06069B2 (en) Retractable step having a lifting and ramp function
KR100918674B1 (ko) 지하철 승강장의 안전발판
WO2005058666A1 (en) Escape device for a rail vehicle
JP2011025852A5 (ko)
KR102000692B1 (ko) 비상시 안전발판의 강제 접힘을 가능하게 하는 승강장의 전동차 안전발판장치
KR102500315B1 (ko)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
KR100836204B1 (ko) 전동차용 안전발판 시스템
KR20050014332A (ko) 전철의 안전발판 시스템
JP4166880B2 (ja) プラットホーム先端隙間調整装置および軌道用車両乗降場
KR102301112B1 (ko) 열차 승강장 발빠짐 방지 장치
KR102505056B1 (ko)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
JP2930941B1 (ja) 可動ホーム柵のロック装置
JP2951650B1 (ja) 可動ホーム柵装置
CA2038732C (en) Device and procedure for opening the doors of an elevator
JP2000016280A (ja)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KR102349019B1 (ko) 스크린 도어 연동형 안전 발판 장치
KR101144942B1 (ko) 철도차량의 비상도어용 핸드레일
KR101874470B1 (ko) 가동도어용 캠타입 개폐장치
EP4197510A1 (en) Lifting apparatus for assisting wheelchair users to get on/off a public transportation vehicle, and related public transportation vehicle
KR100716302B1 (ko) 전철 승강장용 자동 발판장치
JP3796725B2 (ja) 車両用乗降ランプ装置
KR102226660B1 (ko) 스크류에 의한 폴딩 구동 방식 및 탄성에 의한 자동복귀형 지하철, 광역철도용 승강장 안전발판
JP3128122B1 (ja) 乗降補助装置
JP4285922B2 (ja) 可動ホーム柵装置
RU193628U1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с механизмом подножк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