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6204B1 - 전동차용 안전발판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동차용 안전발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6204B1
KR100836204B1 KR1020070018554A KR20070018554A KR100836204B1 KR 100836204 B1 KR100836204 B1 KR 100836204B1 KR 1020070018554 A KR1020070018554 A KR 1020070018554A KR 20070018554 A KR20070018554 A KR 20070018554A KR 100836204 B1 KR100836204 B1 KR 100836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caffolding
pressure
scaffold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8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춘
Original Assignee
서울메트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메트로 filed Critical 서울메트로
Priority to KR1020070018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62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6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6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E01F1/005Portable or movable traffic-area platforms or islands, e.g. portable loading islands, retractable platforms for traffic-directing offic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차용 안전 발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는 특히, 전동차의 실내 바닥면과 동일한 높이를 형성하는 가이드유니트와 상기 가이드유니트를 따라서 이동하는 발판유니트 및, 상기 발판유니트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발판유니트에 공급되는 압력을 제어하면서 전동차의 도어개방에 사용되는 유체의 압력을 동시에 사용토록 하는 압력전달유니트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직선 및 곡선 구간에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전동차 도어와 연동할 수 있도록 하면서 전동차의 동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발판유니트, 가이드유니트, 압력전달유니트, 가이드홀, 이송블록

Description

전동차용 안전발판 시스템{a safety-step system for the electric railcar}
도1은 종래의 승강장용 자동발판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발판 시스템의 적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발판의 분해상태도 이다.
도4a,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발판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발판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 이다.
도6a,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판의 적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전동차 110...도어
210...발판 230...가변발판
330...가이드부재 335...작동블럭 500...승강장
본 발명은 전동차용 안전 발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 판유니트를 전진 및 상향시키도록 설치되는 가이드유니트와 상기 가이드유니트를 따라서 이동하는 발판유니트 및, 상기 발판유니트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발판유니트에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을 제어하면서 전동차의 도어개방에 사용되는 유체의 압력을 동시에 사용토록 하는 압력전달유니트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직선 및 곡선 구간에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전동차용 안전 발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차는, 생활수준의 향상과 함께 급격한 승용차의 증가로 인하여 도시의 교통혼잡이 가중됨에 따라 이를 해결하고자 건설되었으며, 이러한 전동차은 길이가 10m 이상되는 전동차 7∼10량을 연결하여 운행하기 때문에 전철이 정차하는 승강장의 전체 길이 역시 상당히 길게 되는 바, 승강장이 직선화되지 못하고 곡률을 갖게 되면 승강장과 이에 정지한 전철이 근접하지 못하고 벌어지게 되기 때문에, 승하차시 특히, 노약자의 경우 승강장과 전철 출입문 사이의 공간으로 발이 빠지게 되는 안전 사고가 쉽게 일어날 수가 있다.
따라서, 승강장은 직선화되어야 하나 승강장이 건설되는 곳의 지형 등에 따라 곡선화가 불가피하기도 하며, 직선화된 승강장의 경우라도,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전철과의 매우 근접하게 정밀한 시공을 위해서는 시공비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 결과, 근래에 완공된 전철 승강장의 경우 전철과 승강장 사이의 간격이 비교적 좁은 반면에, 건설된지 오래된 승강장의 경우에는 전철과 승강장 사이의 간격이 넓어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이 높은 곳이 많은 바, 향후 건설될 승강장의 시공 비를 상승시키지 않으며, 전절과 승강장 사이의 간격이 넓게 건설된 기존 승강장에도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안전발판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기술과 관련되어 종래에 전철 승강장용 자동 발판장치가 공개특허공보 제2006-92000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그 구성은 도1에서와 같이, 승강장(T) 선단면(SF) 상단부에 힌지(H)로 결합되면서 저면(SB)에 결합부(11A)가 돌출된 발판(11)과, 상기 승강장(T) 선단면(SF) 하단으로 돌출되면서 보강재(A)를 구비하는 프레임(12A)의 내측에 가이드축(12B)과 스크류축(12C)을 통하여 이동하도록 이동부재(12D)가 구비되는 본체(12)와, 상기 스크류축(12C)에 연결되는 동력전달부재(P)를 통하여 동력을 전달하도록 벨트 또는 기어 등으로 연결되는 결구동수단(14)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12D)는 결합축(X)을 통하여 발판에 연결되며, 상기 결합축은, 발판과 이동부재에 각각 연결되는 제1,3연결암(13A)(13B)과 상기 제1,3연결암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제2연결함(13C)으로 이루어 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발판은, 그 단부가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곡선구간에 사용시 승강장과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어 발의 끼임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장착되는 발판(11)이 승강장(T)을 중심으로 장착되어 차량의 사양에 용이하게 대응시켜 적용할 수 없으며, 전동차의 바닥면과 발판사이의 높이차이로 안전한 승하차가 힘들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직선구간 및 곡선구간에 상관없이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의 틈새를 용이하게 막을 수 있도록 하고, 전동차 도어와 연동할 수 있도록 하면서 전동차의 동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승강장의 상태에 따라 상대적으로 동작하면서 틈새를 용이하게 막을 수 있도록 하고, 전동차의 바닥면과 동일 높이를 유지토록 하여 승하강이 자유롭게 되도록 하는 전동차용 안전발판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동차및 승강장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발판유니트의 노출정도 및 높이를 조절하는 가이드유니트; 및,
상기 발판유니트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발판유니트에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을 제어하면서 전동차의 도어개방에 사용되는 유체의 압력을 동시에 사용토록 하는 압력전달유니트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도어의 개방시 발판이 동시에 노출토록 되는 전동차용 안전발판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 내지 도5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가이드유니트(300)와 상기 가이드유니트에 연결되어 전동차량(100)의 장착홀(130)에서 돌출 및 수납토록 되는 발판유니트(200)및, 상기 가이드유니트에 동력을 전달하는 압력전달유니트(400)로서 이루어 진다.
상기 가이드유니트(300)는, 발판(210)의 상면이 전동차(100)의 실내 바닥면 과 동일한 높이를 형성하거나 승강장(500)과 동일높이를 형성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유니트(300)는, 작동실린더(310)와 이에 연결되는 작동블럭(335) 및 상기 작동블럭(335)을 이동을 제어하는 가이드부재(330)로서 이루어 진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330)는 작동블럭(335)에 연결되는 가이드로울러(334)가 수평 및 수직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홈(333)이 구비된다.
더하여, 상기 가이드유니트(300)는, 발판(210)에 복수개 연결되어 그 동작상태에 따라 발판의 돌출정도가 조절토록 설치되고, 상기 발판(210)의 돌출정도의 조절시 상기 작동블럭(335)에 연결되는 고정바(337)가 발판(210)의 저면에 피봇(250)연결되어 회전가능토록 된다.
상기와 같이 2개의 가이드유니트(300)가 연결되는 발판유니트(200)는, 상기 고정바(337)가 피봇(250) 연결되는 발판(210)과 상기 발판(210)의 전방에 스프링(230)으로서 탄성연결되면서 그 단부에 마찰로울러(233)가 구비되는 가변발판(230)이 더 연결된다.
상기 압력전달유니트(400)는, 상기 발판유니트(200)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410)와 상기 작동실린더(310) 및 도어(110)에 유체의 압력을 전달하는 압력발생부(470), 상기 압력센서(410)에 연결되어 작동실린더(310)에 전달되는 유체의 압력을 제어하는 컨트롤러(450)로서 이루어 진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450)는, 발판유니트에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을 제어하면서 전동차의 도어개방에 사용되는 유체의 압력이 동시에 사용되도록 하고, 도어의 개방시 발판이 동시에 노출토록 압력을 제공하는 유체는 공압 및 유압을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실린더(310)는 도어의 개방에 사용되는 전기동력을 사용하는 모터로서 대체할 수 있으며, 모터를 사용할 경우 선형으로 이동하는 리니어모터를 사용 발판유니트를 이동시키거나 랙 피니언등의 기어조합이 연결되는 모터로서 발판유니트를 이동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작동실린더(310)는 작동블럭(335)과 링크(320)로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 내지 도5에서와같이, 압력발생부(470)에서 발생되는 유체 압력에 의해 전동차(100)의 도어(110)가 개방되면 상기 컨트롤러(450)의 동작에 의해 각각의 작동실린더(310)에 동시에 유체 압력이 전달되어 전동차(100)의 장착홀(130)을 통하여 발판(210)이 노출토록 된다.
이때, 상기 발판(210)은, 양쪽으로 슬라이딩되는 도어(110)에 대응되어 양측에 각각 분할 설치되므로서 소정의 각도를 갖는 승강장의 곡면에 용이하게 대응토록 된다.
그리고, 상기 발판(210)은, 하나의 발판에 복수의 가이드유니트(300)가 연결되어 각각 동작토록 됨으로써 소정각도로 회전토록 되어 곡선을 유지하는 승강장(500)에서도 용이하게 적용토록 된다.
이때, 상기 발판(210)의 회전은 상기 발판(210)을 지지하면서 가이드유니트(300)에 연결되는 각각의 고정바(337)가 발판(210)에 피봇(250) 연결되어 하나의 고정바(337)가 정지한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고정바(337)가 이동하면 발판이 자연스럽게 회전토록 되어 승강장(500)의 굴곡에 대응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발판(210)은, 가이드유니트(300)의 작동블록(335)이 가이드부재(330)를 따라 이동할 때 수평방향의 이동에 연결되어 수직방향의 이동이 가능토 록 되어 발판(210)이 완전돌출시 상승토록 되어 정상적인 정차시 전동차(100)의 바닥면과 동일 높이를 유지토록 한다.
계속하여, 상기 발판(210)은 도5b에서와 같이, 발판(210)이 완전돌출될 때 승강장(500)의 상부면에 위치하면 상기 발판(210)의 전방에 위치하면서 스프링을 통하여 탄성 연결되는 가변발판(230)이 회전되면서 승강장(500)에 접촉토록 되어 발판의 들뜸을 방지토록 한다.
이때, 상기 발판을 수납하는 동작시에는 상기 가변발판(230)에 연결되는 마찰로울러(233)의 동작을 통하여 소음이 방지되면서 발판(210)에 승강장에서 자연스럽게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전동차(100)와 승강장(500) 사이의 간격이 좁아 발판(210)이 완전히 노출되지 않을 때 상기 발판(210)에 승강장에 접촉되면서 압력이 발생되고, 상기 압력을 압력센서(410)에 의해 감지하면 작동실린더(310)에 공급되는 유체압력을 제어토록 함으로써 작동실린더(310)의 과부하 발생을 방지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압력센서(410)에 연결되는 컨트롤러(450)는, 도어의 개방시 발판이 동시에 돌출되도록 발판유니트에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을 제어함으로써 전동차의 도어개방시 발판이 자동 돌출되어 승강장에 밀착토록 되므로서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에 발이 끼이거나 빠지는 현상을 방지토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철의 승하차시 예상될 수 있는 노약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하며, 직선구간 및 곡선구간에 상관없이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의 틈새를 용이하게 커버하고, 전동차 도어와 연동할 수 있도록 하면서 전동차의 동력을 사용하며, 승강장의 상태에 따라 상대적으로 동작하면서 틈새를 용이하게 커버하고, 전동차의 바닥면과 동일 높이를 유지시켜 승하강이 자유롭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6)

  1. 전동차의 하부에서 설치되며, 전동차 및 승강장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발판유니트의 노출정도 및 높이를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유니트; 및,
    상기 발판유니트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발판유니트에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을 제어하면서 전동차의 도어개방에 사용되는 유체 압력을 동시에 사용토록 하는 압력전달유니트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양측으로 슬라이딩되는 도어의 개방시 발판유니트가 동시에 각각 노출토록 되어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의 틈새를 커버링하도록 하는 전동차용 안전발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유니트는, 작동실린더와 이에 연결되는 작동블럭 및 상기 작동블럭의 이동을 제어하는 가이드부재로서 이루어 져 발판을 수평및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 승강장과 발판이 동일평면을 유지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용 안전발판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유니트는, 양측으로 슬라이딩되는 도어의 전방에 분할되어 각각 설치되며, 복수의 가이드유니트 작동블럭에 연결되는 고정바가 발판에 피봇연결되어 발판의 회전이 가능토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용 안전발판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유니트는, 상기 발판의 전방에 스프링으로서 탄성연결되면서 그 단부에 마찰로울러가 구비되는 가변발판이 더 연결되어 승강장과 발판의 단차발생시 그 사이를 커버링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용 안전발판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전달유니트는, 상기 발판유니트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작동실린더 및 도어에 유체 압력을 동시에 전달하는 압력발생부, 상기 압력센서에 연결되어 작동실린더에 전달되는 유체압력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로서 이루어 져 발판의 돌출정도를 제어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용 안전발판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실린더와 작동블럭은 링크로서 연결되어 가변상태에서 압력 전달이 가능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용 안전발판 시스템
KR1020070018554A 2007-02-23 2007-02-23 전동차용 안전발판 시스템 KR100836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554A KR100836204B1 (ko) 2007-02-23 2007-02-23 전동차용 안전발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554A KR100836204B1 (ko) 2007-02-23 2007-02-23 전동차용 안전발판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6204B1 true KR100836204B1 (ko) 2008-06-09

Family

ID=39770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8554A KR100836204B1 (ko) 2007-02-23 2007-02-23 전동차용 안전발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620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982Y1 (ko) 2009-05-13 2011-08-09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용 슬라이딩 발판 커버장치
KR101135632B1 (ko) * 2010-03-02 2012-04-17 나노씰(주) 철도 차량용 안전발판 장치
KR101172737B1 (ko) 2010-05-17 2012-08-14 흥일기업주식회사 철도차량용 안전발판의 파손 방지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8482388A (zh) * 2018-05-28 2018-09-04 中建空列(北京)科技有限公司 用于空中轨道列车与站台之间的踏板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958117B1 (ko) * 2017-12-19 2019-03-13 주식회사 대산기계 승강장에 설치되는 안전발판 및 그 안전발판의 설치방법
CN111516709A (zh) * 2020-05-09 2020-08-11 吴婷婷 一种用于轨道站台的支撑踏板及其使用方法
EP4177128A1 (de) * 2021-11-09 2023-05-10 Stadler Rail AG Zustiegsanordnung für den zustieg zu einem fahrzeug, fahrzeug umfassend eine zustiegsanordnung und verfahren zur überbrückung eines horizontalen und/oder vertikalen abstandes zwischen einem fahrzeug und einem gehweg oder einem bahnstei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093Y1 (ko) * 2002-07-30 2002-10-18 김철 전동차용 장애자 승하차 발판 및 안전발판대
KR200366698Y1 (ko) * 2004-08-04 2004-11-09 김신판 전동차에 장착되는 안전발판의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093Y1 (ko) * 2002-07-30 2002-10-18 김철 전동차용 장애자 승하차 발판 및 안전발판대
KR200366698Y1 (ko) * 2004-08-04 2004-11-09 김신판 전동차에 장착되는 안전발판의 구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982Y1 (ko) 2009-05-13 2011-08-09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용 슬라이딩 발판 커버장치
KR101135632B1 (ko) * 2010-03-02 2012-04-17 나노씰(주) 철도 차량용 안전발판 장치
KR101172737B1 (ko) 2010-05-17 2012-08-14 흥일기업주식회사 철도차량용 안전발판의 파손 방지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58117B1 (ko) * 2017-12-19 2019-03-13 주식회사 대산기계 승강장에 설치되는 안전발판 및 그 안전발판의 설치방법
CN108482388A (zh) * 2018-05-28 2018-09-04 中建空列(北京)科技有限公司 用于空中轨道列车与站台之间的踏板系统及其控制方法
CN108482388B (zh) * 2018-05-28 2024-03-08 中建空列(北京)科技有限公司 用于空中轨道列车与站台之间的踏板系统及其控制方法
CN111516709A (zh) * 2020-05-09 2020-08-11 吴婷婷 一种用于轨道站台的支撑踏板及其使用方法
CN111516709B (zh) * 2020-05-09 2021-02-09 吴婷婷 一种用于轨道站台的支撑踏板及其使用方法
EP4177128A1 (de) * 2021-11-09 2023-05-10 Stadler Rail AG Zustiegsanordnung für den zustieg zu einem fahrzeug, fahrzeug umfassend eine zustiegsanordnung und verfahren zur überbrückung eines horizontalen und/oder vertikalen abstandes zwischen einem fahrzeug und einem gehweg oder einem bahnstei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6204B1 (ko) 전동차용 안전발판 시스템
JP5827347B2 (ja) 電動車プラットフォーム安全装置
US7802521B2 (en) Safety entrance norm (SEN)
EP2335991B1 (en) Safety foothold for subway platform
US20070056810A1 (en) Method for Carrying Out Maintenance and Inspection Operations at an Elevator Installation
US20070056809A1 (en) Elevator Car with Maintenance Platform and Method for Maintenance of the Elevator Installation
CN107337063A (zh) 自推进电梯和电梯制动系统
US20090301821A1 (en) Elevator entrance apparatus
KR101940649B1 (ko) 구조가 간단한 승강장 안전발판장치
KR100954275B1 (ko) 차량의 안전발판 장치
KR20200050555A (ko)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사다리
JP4576283B2 (ja) プラットホーム隙間調整装置
US5947232A (en) Swing arm to prevent sway of elevator ropes
CA3147486A1 (en) Positioning unit and contacting method
KR101092223B1 (ko)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장애물 검지장치
KR20100086158A (ko) 도시철도차량의 안전발판
KR100622395B1 (ko) 자기부상열차 선로에 설치되는 추락방지용 안전 난간구조물
KR102313613B1 (ko) 스크린도어의 승강장안전문 비상 개폐장치
KR102349019B1 (ko) 스크린 도어 연동형 안전 발판 장치
RU2689913C2 (ru) Железнодорожный вагон с пассажирским отсеком, доступным через подвижную и неподвижную площадки между двумя уровнями
JP4365794B2 (ja) プラットホーム隙間調整装置
KR100499422B1 (ko) 가동 플랫폼 난간장치
KR101843325B1 (ko) 엘리베이터 도어 안전개폐장치
US20190389695A1 (en) Elevator system
KR960003761Y1 (ko) 차량 출입구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