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5056B1 -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 - Google Patents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5056B1
KR102505056B1 KR1020220156290A KR20220156290A KR102505056B1 KR 102505056 B1 KR102505056 B1 KR 102505056B1 KR 1020220156290 A KR1020220156290 A KR 1020220156290A KR 20220156290 A KR20220156290 A KR 20220156290A KR 102505056 B1 KR102505056 B1 KR 102505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caffold
train
subway
foot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6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우
김영은
Original Assignee
김민우
김영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우, 김영은 filed Critical 김민우
Priority to KR1020220156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50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3/00Construction of steps for railway vehicles
    • B61D23/02Folding steps for railway vehicles, e.g. hand or mechan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차의 출입문 내측에 설치되어 출입문의 개방 시 지하철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의 공간을 메우고,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의 단차를 없애주도록 배치되는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후단이 전동차의 출입문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서, 출입문의 개방 시 자중에 의해 전방으로 회전되어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를 막도록 뉘어지게 되는 발판 본체; 및 상기 발판 본체의 양측에 배치되도록 전동차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서, 출입문의 개방 시 자중에 의해 전방으로 회전되는 발판 본체에 의해 밀려나 발판 본체의 외측으로 회전되고, 출입문의 폐쇄 시 출입문에 의해 밀려나 발판 본체의 내측으로 회전되면서 발판 본체를 밀어올림으로써 발판 본체가 상방으로 회전되어 출입문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세워지게 하는 발판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Non-powered type safety footboard for subway}
본 발명은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차의 출입문 내측에 설치되어 출입문의 개방 시 지하철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의 공간을 메우고,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의 단차를 없애주도록 배치되는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에 관한 것이다.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14332호(2005.02.07. 공개,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전철의 안전발판 시스템"이 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승객출입구의 도어의 바깥면 소정 높이에서 도어개폐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래크기어(Rack gear)와; 상기 래크기어의 설치높이에 해당되는 차량 외측으로부터 도어수납부 내측으로 끼워져 설치된 상태에서 도어개폐시 래크기어와 맞물려 제자리 회동되는 제1기어와; 상기 차량의 외측에서 제1기어와 맞물려 제자리 회동되게 설치되며, 저면의 중심내부에는 래칫기어(Ratchet gear)가 형성된 제2기어와; 상단부가 상기 제2기어상의 래칫기어에 도어의 닫힘동작시에만 맞물려 회전되도록 결합되며, 외측 둘레면의 소정 위치에 이탈 방지턱이 돌설된 소정 길이의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 상단의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서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핀결합되어 도어 열림시에는 샤프트가 독립적으로 회전되도록 하고, 도어 닫힘시에만 샤프트가 제2기어상의 래칫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도록 하는 걸림편과; 상기 제2기어의 중심선 아랫쪽에서 차량의 외측면에 고정설치되며, 상면 중심에는 상기 샤프트가 끼워지는 소정 크기의 샤프트끼움공이 형성되고, 저면은 개방된 원통형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그 내측단은 샤프트에 고정되고, 외측단은 하우징에 고정되어 도어의 닫힘동작시 내측으로 감기면서 압축되고, 도어의 열림시 바깥쪽으로 복원력에 의하여 풀리도록 구성된 태엽스프링과; 상기 하우징 아랫쪽에서 샤프트의 하단부에 키(Key)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베벨기어와; 승객출입구의 외측 아랫부분에서 힌지축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회동되게 설치되는 소정 너비의 발판과; 상기 발판의 힌지축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베벨기어와 직교되게 맞물린 상태에서 제자리에서 전후방향으로 회동되는 제2베벨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전철차량의 출입구 외측에 설치된 발판이 도어의 열림동작에 의해 플랫폼 쪽으로 펼쳐지고, 도어의 닫힘동작에 의해 도어 쪽으로 접혀질 수 있게 구성된 전철의 안전발판 시스템을 제시한다.
상기 선행기술은 저렴한 비용으로 기존 전철의 차량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전철의 안전발판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였으나, 도어에 별도의 래크기어를 설치해야하고, 전철차량에 상기 래크기어와 통하도록 삽입공을 형성해야하는 등 전철차량의 구조변경이 불가피하므로, 실제로 기존 전철차량에 적용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14332호(2005.02.07.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동차의 출입문 내측에 설치되어 출입문의 개방 시 지하철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의 공간을 메워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의 틈으로 승객의 발이 빠지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승강장과 전동차 간의 높이 차로 인해 휠체어가 걸리는 문제를 해결하여 휠체어가 쉽게 지나갈 수 있도록 하되, 발판의 작동이 출입문의 개폐 동작과 연동되게 함으로써 별도의 동력이 필요치않으며, 기존의 전동차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한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은, 후단이 전동차의 출입문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서, 출입문의 개방 시 자중에 의해 전방으로 회전되어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를 막도록 뉘어지게 되는 발판 본체; 및 상기 발판 본체의 양측에 배치되도록 전동차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서, 출입문의 개방 시 자중에 의해 전방으로 회전되는 발판 본체에 의해 밀려나 발판 본체의 외측으로 회전되고, 출입문의 폐쇄 시 출입문에 의해 밀려나 발판 본체의 내측으로 회전되면서 발판 본체를 밀어올림으로써 발판 본체가 상방으로 회전되어 출입문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세워지게 하는 발판 작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발판 본체의 후단에는 발판 본체를 좌우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감싸도록 원통형으로 절곡된 회전축결합부가 형성되고, 본 발명의 안전 발판은 전동차의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의 양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유닛; 및 상기 회전축결합부의 하측에 설치되어 회전축결합부를 받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발판 본체의 후방에 발판 본체와 인접하게 설치된 것으로서, 발판 본체의 상면과 전동차의 바닥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경사판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발판 본체의 양단에는 상측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된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발판 작동부는, 후단이 전동차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단이 출입문을 향해 연장된 회전레버; 상기 회전레버의 전단 일측에 형성된 것으로서, 출입문의 개방 시 출입문의 측면과 접촉하게 되고, 출입문의 폐쇄 시 출입문의 후면과 접촉하게 되는 도어접촉부; 및 상기 회전레버의 전단 타측에 형성된 것으로서, 전부가 좁고 후부가 넓은 쐐기 형태로 되어, 출입문의 개방 시 전단이 상기 경사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출입문의 폐쇄 시 상기 경사부를 파고들어 상기 발판 본체를 밀어올리게 되는 발판접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도어접촉부에는 출입문과 접촉하여 회전되는 롤러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발판접촉부에는 상기 경사부와의 접촉부를 따라 라이너가 장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발판접촉부에는 상기 경사부와의 접촉부를 따라 다수의 볼캐스터가 장착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동차 출입문의 개방 시 발판 본체가 지하철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의 공간을 메워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의 틈으로 승객의 발이 빠지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승강장과 전동차 간의 단차가 없어짐으로써 휠체어가 쉽게 지나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판 본체의 작동이 발판 작동부에 의해 출입문의 개폐 동작과 연동됨으로써 안전 발판의 사용에 별도의 동력이 필요치않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발판 본체 및 발판 작동부를 전동차의 바닥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기존의 전동차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이 제공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출입문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의 후면, 측면 및 상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발판 본체가 전방으로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의 전면, 측면 및 상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발판 본체가 전방으로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의 측단면도.
도 8은 도 7에서 발판 본체가 전방으로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에서 발판 작동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요부에 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고,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 및 명칭은 사전적인 의미가 아닌 구성의 형상이나 작용, 역할 등에 의해 함축적으로 정해질 수 있으며, 방향에 관한 설명은 최초로 제시된 도면으로부터 최초로 제시한 방향을 기준으로 결정되며, 위치에 관한 설명은 각 구성의 중간 또는 원의 중심을 기준으로 내외가 결정된다.
그리고 선등록된 공지기술 및 통상적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생략 또는 간단한 부호나 명칭으로 대체한다. 또한, 도면을 통해 식별할 수 있는 구성의 구체적인 구조, 형상, 모양, 배치, 크기, 등과, 도면을 통해 유추할 수 있는 구성의 작동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 등도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고, 구성 간의 결합을 위해 적용되는 볼트, 용접부위, 구멍 등은 요지를 흐릴 수 있어 도면에서 생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출입문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2의 [A]는 발판 작동부 주위를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의 후면, 측면 및 상면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발판 본체가 전방으로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의 전면, 측면 및 상면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발판 본체가 전방으로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의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 발판 본체가 전방으로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에서 발판 작동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이하, '안전 발판'이라고 약칭함)은, 후단이 전동차의 출입문(10)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서, 출입문(10)의 개방 시 자중에 의해 전방으로 회전되어 전동차와 승강장(20) 사이를 막도록 뉘어지게 되는 발판 본체(100); 및 상기 발판 본체(100)의 양측에 배치되도록 전동차의 바닥(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서, 출입문(10)의 개방 시 자중에 의해 전방으로 회전되는 발판 본체(100)에 의해 밀려나 발판 본체(100)의 외측으로 회전되고, 출입문(10)의 폐쇄 시 출입문(10)에 의해 밀려나 발판 본체(100)의 내측으로 회전되면서 발판 본체(100)를 밀어올림으로써 발판 본체(100)가 상방으로 회전되어 출입문(10)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세워지게 하는 발판 작동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발판 본체(100)는 승객이 디딜 수 있도록 된 금속판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발판 본체(100)의 양단에는 상측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된 경사부(130)가 형성된다. 이 경사부(130)는 출입문(10)의 폐쇄 시 상기 발판 작동부(200)와 접하여 발판 본체(100)가 상측으로 들려 회전될 수 있게 한다.
상기 발판 본체(100)의 후단에는 발판 본체(100)를 좌우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된 회전축(110)과, 상기 회전축(110)을 감싸도록 원통형으로 절곡된 회전축결합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발판 본체(100)의 후방 양측에는 전동차의 바닥(30)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110)의 양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유닛(300)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결합부(120)의 하측에는 회전축결합부(120)를 받치는 지지대(400)가 설치된다, 상기 지지대(400)는 상면이 회전축결합부(120)의 하면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회전축결합부(120)를 회전 가능하게 받치게 되며, 이에 따라 승객이 발판 본체(100)를 디딜 때에 발판 본체(100)의 후단이 쳐지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판 본체(100)의 후방에는 발판 본체(100)와 인접하게 설치된 것으로서, 발판 본체(100)의 상면과 전동차의 바닥(30)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경사판(5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사판(500)은 발판 본체(100)와 전동차 바닥(30) 사이의 단차를 없애 승객이 걸리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휠체어 등이 용이하게 지날 수 있게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판(500)은 그 전단이 상기 지지대(400)의 후단에 얹히어 지지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발판 작동부(200)는, 후단이 전동차의 바닥(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단이 출입문(10)을 향해 연장된 회전레버(210); 상기 회전레버(210)의 전단 일측에 형성된 것으로서, 출입문(10)의 개방 시 출입문(10)의 측면과 접촉하게 되고, 출입문(10)의 폐쇄 시 출입문(10)의 후면과 접촉하게 되는 도어접촉부(220); 및 상기 회전레버(210)의 전단 타측에 형성된 것으로서, 전부가 좁고 후부가 넓은 쐐기 형태로 되어, 출입문(10)의 개방 시 전단이 상기 경사부(130)의 하측에 배치되고, 출입문(10)의 폐쇄 시 상기 경사부(130)를 파고들어 상기 발판 본체(100)를 밀어올리게 되는 발판접촉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레버(210)는, 출입문(10)의 개방 시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문(10)의 측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된 상기 도어접촉부(220)가 출입문(10)의 폐쇄 시 밀려나는 것에 의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판 본체(100) 측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출입문(10)의 개방 시 상기 회전레버(210)는, 상기 발판 본체(100)가 자중에 의해 전방으로 회전되며 상기 발판접촉부(230)를 밀어내는 것에 의해 도 2의 [A]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귀하게 된다.
상기 도어접촉부(220)에는 출입문(10)과 접촉하여 회전되는 롤러(221)가 설치된다. 즉, 출입문(10)의 개폐 동작시 상기 롤러(221)가 출입문(10)의 측면 및 후면을 타고 회전됨에 따라 발판 작동부(200)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발판접촉부(230)는 전방으로 갈수록 상하 폭이 좁아지고 후방으로 갈수록 상하 폭이 넓어지는 구조의 판재 또는 블록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발판접촉부(230)의 상면에는 전방에서부터 후방을 향해 상방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233)이 형성된다. 결국, 상기 발판접촉부(230)가 출입문(10)의 폐쇄 시 상기 발판 본체(100)의 경사부(130)를 파고들 때에, 상기 경사면(233)이 상기 경사부(130)의 하면과 접하면서 발판 본체(100)를 밀어올리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판접촉부(230)에는 상기 경사부(130)와의 접촉부, 즉 상기 경사면(233)을 따라 라이너(liner, 232) 또는 볼캐스터(ball caster, 233)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라이너(232)는 상기 발판접촉부(230)의 상단에 장착된 테플론(teflon) 재질론 된 패드 내지 블록 형태의 기다란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볼캐스터(233)는 전 방향 회전이 가능한 볼이 장착된 캐스터로서, 다수가 구비되어 상기 발판접촉부(230)의 경사면(233)을 따라 배열된다.
상기 라이너(232) 및 볼캐스터(233)에 의하면 상기 발판접촉부(230)와 상기 발판 본체(100)의 경사부(130) 간의 마찰이 감쇠하게 됨으로써, 발판접촉부(230)가 경사부(130)를 더욱 원활하게 파고들 수 있으며, 아울러 발판접촉부(230)와 경사부(130)의 마찰에 따른 소음 및 마모를 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안전 발판에 의하면, 전동차 출입문(10)의 개방 시 발판 본체(100)가 지하철 승강장(20)과 전동차 사이의 공간을 메워 승강장(20)과 전동차 사이의 틈(G, 도 7 및 도 8 참조)으로 승객의 발이 빠지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승강장과 전동차 간의 단차가 없어짐으로써 휠체어가 쉽게 지나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판 본체(100)의 작동이 발판 작동부(200)에 의해 출입문(10)의 개폐 동작과 연동됨으로써 안전 발판의 사용에 별도의 동력이 필요치않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안전 발판에 의하면, 상기 발판 본체(100) 및 발판 작동부(200)를 전동차의 바닥(30)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기존의 전동차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안전 발판이 제공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는 점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재 및 그 균등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발판 본체 110 : 회전축
120 : 회전축결합부 130 : 경사부
200 : 발판 작동부 210 : 회전레버
220 : 도어접촉부 221 : 롤러
230 : 발판접촉부 231 : 경사면
232 : 라이너 233 : 볼캐스터
300 : 베어링유닛 400 : 지지대
500 : 경사판

Claims (7)

  1. 후단이 전동차의 출입문(10)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서, 출입문(10)의 개방 시 자중에 의해 전방으로 회전되어 전동차와 승강장(20) 사이를 막도록 뉘어지게 되는 발판 본체(100); 및
    상기 발판 본체(100)의 양측에 배치되도록 전동차의 바닥(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서, 출입문(10)의 개방 시 자중에 의해 전방으로 회전되는 발판 본체(100)에 의해 밀려나 발판 본체(100)의 외측으로 회전되고, 출입문(10)의 폐쇄 시 출입문(10)에 의해 밀려나 발판 본체(100)의 내측으로 회전되면서 발판 본체(100)를 밀어올림으로써 발판 본체(100)가 상방으로 회전되어 출입문(10)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세워지게 하는 발판 작동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본체(100)의 후단에는 발판 본체(100)를 좌우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된 회전축(110)과, 상기 회전축(110)을 감싸도록 원통형으로 절곡된 회전축결합부(120)가 형성되고,
    전동차의 바닥(30)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110)의 양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유닛(300); 및
    상기 회전축결합부(120)의 하측에 설치되어 회전축결합부(120)를 받치는 지지대(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본체(100)의 후방에 발판 본체(100)와 인접하게 설치된 것으로서, 발판 본체(100)의 상면과 전동차의 바닥(30)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경사판(5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본체(100)의 양단에는 상측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된 경사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발판 작동부(200)는,
    후단이 전동차의 바닥(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단이 출입문(10)을 향해 연장된 회전레버(210);
    상기 회전레버(210)의 전단 일측에 형성된 것으로서, 출입문(10)의 개방 시 출입문(10)의 측면과 접촉하게 되고, 출입문(10)의 폐쇄 시 출입문(10)의 후면과 접촉하게 되는 도어접촉부(220); 및
    상기 회전레버(210)의 전단 타측에 형성된 것으로서, 전부가 좁고 후부가 넓은 쐐기 형태로 되어, 출입문(10)의 개방 시 전단이 상기 경사부(130)의 하측에 배치되고, 출입문(10)의 폐쇄 시 상기 경사부(130)를 파고들어 상기 발판 본체(100)를 밀어올리게 되는 발판접촉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접촉부(220)에는 출입문(10)과 접촉하여 회전되는 롤러(22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접촉부(230)에는 상기 경사부(130)와의 접촉부를 따라 라이너(232)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접촉부(230)에는 상기 경사부(130)와의 접촉부를 따라 다수의 볼캐스터(233)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
KR1020220156290A 2022-11-21 2022-11-21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 KR102505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6290A KR102505056B1 (ko) 2022-11-21 2022-11-21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6290A KR102505056B1 (ko) 2022-11-21 2022-11-21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5056B1 true KR102505056B1 (ko) 2023-02-28

Family

ID=85326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6290A KR102505056B1 (ko) 2022-11-21 2022-11-21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505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890Y1 (ko) * 2001-05-21 2002-02-06 박수진 전동차량 안전발판
JP2002347607A (ja) * 2001-05-28 2002-12-04 Kinki Nippon Railway Co Ltd 鉄道車両乗降用スロープ
KR20050014332A (ko) 2003-07-30 2005-02-07 조성국 전철의 안전발판 시스템
KR20130051158A (ko) * 2011-11-09 2013-05-20 ㈜스트롱플러스 자동문 개폐 연동 안전 발판
WO2019101463A1 (de) * 2017-11-22 2019-05-31 Siemens Mobility GmbH SCHIENENFAHRZEUG MIT BEWEGLICHEM FUßBODENTEIL AN TÜRÖFFNUNG
KR102000692B1 (ko) * 2019-02-25 2019-07-17 주식회사 씨디에이 비상시 안전발판의 강제 접힘을 가능하게 하는 승강장의 전동차 안전발판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890Y1 (ko) * 2001-05-21 2002-02-06 박수진 전동차량 안전발판
JP2002347607A (ja) * 2001-05-28 2002-12-04 Kinki Nippon Railway Co Ltd 鉄道車両乗降用スロープ
KR20050014332A (ko) 2003-07-30 2005-02-07 조성국 전철의 안전발판 시스템
KR20130051158A (ko) * 2011-11-09 2013-05-20 ㈜스트롱플러스 자동문 개폐 연동 안전 발판
WO2019101463A1 (de) * 2017-11-22 2019-05-31 Siemens Mobility GmbH SCHIENENFAHRZEUG MIT BEWEGLICHEM FUßBODENTEIL AN TÜRÖFFNUNG
KR102000692B1 (ko) * 2019-02-25 2019-07-17 주식회사 씨디에이 비상시 안전발판의 강제 접힘을 가능하게 하는 승강장의 전동차 안전발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8674B1 (ko) 지하철 승강장의 안전발판
AU716015B2 (en) A compact moveable ramp assembly
US6123310A (en) Motorcycle turnabout
KR102366950B1 (ko) 차량 및 보행자 사용이 가능한 터널용 차단문
JP2010254251A (ja) 可動ホーム柵
KR102505056B1 (ko)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
JP3673038B2 (ja) ロック式駐車装置
JP2001328529A (ja) プラットホーム用ステップ装置
KR20050014332A (ko) 전철의 안전발판 시스템
KR102500315B1 (ko) 지하철용 무동력식 안전 발판
JP4166880B2 (ja) プラットホーム先端隙間調整装置および軌道用車両乗降場
JP2930941B1 (ja) 可動ホーム柵のロック装置
JP2951650B1 (ja) 可動ホーム柵装置
JPH11268635A (ja) プラットホーム用可動柵
KR101088851B1 (ko) 이방절첩 힌지를 구비한 철도차량용 경사발판
EP0903275B1 (fr) Dispositif motorisé de verrouillage de vantail de porte, porte pourvue de ce dispositif et vehicule ferroviaire ainsi équipé
JP2515144Y2 (ja) 遮断ゲート装置
JP3461188B2 (ja) 列車乗降補助装置
JP3386095B2 (ja) 駐車装置
JP3860334B2 (ja) 防火シャッター連動式ゲート床自動開放装置
KR100605541B1 (ko) 3단 슬라이딩 레일을 이용한 지하철 피난계단
KR100716302B1 (ko) 전철 승강장용 자동 발판장치
KR102226660B1 (ko) 스크류에 의한 폴딩 구동 방식 및 탄성에 의한 자동복귀형 지하철, 광역철도용 승강장 안전발판
JP4148431B2 (ja) キャブのチルトストッパ装置
JP4508344B2 (ja) エレベータの籠戸ロック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