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5541B1 - 3단 슬라이딩 레일을 이용한 지하철 피난계단 - Google Patents

3단 슬라이딩 레일을 이용한 지하철 피난계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5541B1
KR100605541B1 KR1020050081212A KR20050081212A KR100605541B1 KR 100605541 B1 KR100605541 B1 KR 100605541B1 KR 1020050081212 A KR1020050081212 A KR 1020050081212A KR 20050081212 A KR20050081212 A KR 20050081212A KR 100605541 B1 KR100605541 B1 KR 100605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safety pin
rails
sliding
evac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1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현
송석준
송수한
Original Assignee
(주)현이앤씨
송석준
송수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현이앤씨, 송석준, 송수한 filed Critical (주)현이앤씨
Priority to KR1020050081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55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5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5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4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 E04F11/06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collapsible, e.g. folding, telescopic
    • E04F11/068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collapsible, e.g. folding, telescopic telescop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심지 지하철에서 정전, 재난 발생 등의 유사시 선로레일(터널내 본선; 궤조)로부터 승강장 또는 사고 승강장에서 선로레일을 따라 인근 정거장의 승강장으로 안전하게 대피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비상 피난계단에 관한 것으로, 선로레일(1) 위를 주행하는 전동차의 양측 출입문 바닥면과 동일한 높이에 승객이 밟고 지하철에 승강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승강장이라함), 그 하부에는 전동차의 측면과의 사이에 대피공간을 갖도록 된 승강장 캔틸레버부(10)의 하면에는 서로 대향하도록 다수의 볼트로 고정 설치된 한 쌍의 기역자형 슬라이딩 레일부재(21, 22)와; 상기 한 쌍의 기역자형 슬라이딩 레일부재(21, 22)의 대향하는 안쪽면에 부착된 제1 디귿자형 레일(23, 24)과, 상기 제1 디귿자형 레일(23, 24) 내에 안착되어 선로레일(1)을 향하여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되어 그 상하면 굴곡홈(26a, 27a)에 다수의 볼(25)을 가진 제2 디귿자형 레일(26, 27)과, 상기 제2 디귿자형 레일(26, 27) 내에 안착되어 선로레일(1)을 향하여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되어 그 상하면 굴곡홈(28a, 29a)에 다수의 볼(25)을 가진 제3 디귿자형 레일(28, 29)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수단(20)과; 상기 슬라이딩 수단(20)의 제3 디귿자형 레일(28, 29)의 측면에 상부측면이 고정 설치되고, 그 하부면은 슬라이딩 인출시 상기 선로레일(1)의 상면에 접촉 지지되는 쐐기형 고정부(31)가 형성됨과 동시에 선로레일(1)의 외측면에 접촉 지지되도록 이탈방지용 스토퍼(32)가 하측으로 돌설된 양측 프레임(30)과; 상기 양측 프레임(30)의 사이에 고정 설치된 다수의 발판(40)과; 상기 제1 디귿자형 레일(23, 24) 중의 하나의 전방측에 삽입되어 상기 양측 프레임(30)이 승강장 캔틸레버부(10)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기역자형 안전핀(50)과; 상기 기역자형 안전핀(50)에 연결되어 안전핀(50)을 잡아당기기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피난계단의 사용법이 야광으로 인쇄된 안전핀 당김용 라벨(6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현재 피난계단을 대체할 수 있는 대안으로 규격화하여 공장에서 미리 제작하므로 경제적일 뿐 아니라 설치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고, 또한, 3단 슬라이딩 레일에 피난계단을 설치함으로써, 평상시 승강장 캔틸레버부 하부에 제1 내지 제3 디귿자형 레일이 접힌 상태로 피난계단을 인입 보관하다가 유사시에만 신속하고 간편하게 제1 내지 제3 디귿자형 레일을 인출하여 선로레일에 설치하기 때문에 승객들의 안전한 대피 통로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으며, 피난계단 하부에는 쐐기형 고정부를 두어 규격화된 피난계단을 선로레일에 완벽하게 설치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설치 위치마다 맞춤 제작하는 시공상의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으며, 일면에 요철을 둠으로써, 선로레일과의 마찰저항으로 인해 사용중 설치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3단 슬라이딩 레일을 이용한 지하철 피난계단{Shelter stairs of subway using three steps sliding rail}
도1a는 평상시 승강장 캔틸레버부 하부에 인입된 본 발명의 피난계단을 도시한 단면도,
도1b는 평상시 본 발명의 슬라이딩 수단을 도시한 측면도,
도1c는 유사시 본 발명의 3단 슬라이딩 레일을 이용한 피난계단을 선로레일에 설치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1d는 유사시 본 발명의 슬라이딩 수단을 도시한 측면도,
도2는 본 발명의 피난계단 도시한 정면도,
도3은 본 발명의 피난계단이 선로레일 위에 지지된 것을 도시한 상세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피난(비상)계단이 설치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5는 실제로 비상시 본 발명의 피난(비상)계단을 이용하여 대피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피난계단의 안전핀을 인출시 비상벨이 역무실에 울리도록 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선로레일(궤조) 10 : 승강장 캔틸레버부
20 : 슬라이딩 수단 21, 22 : 기역자형 슬라이딩 레일부재
23, 24 : 제1 디귿자형 레일 25 : 볼
26, 27 : 제2 디귿자형 레일 28, 29 : 제3 디귿자형 레일
30 : 양측 프레임 31 : 쐐기형 고정부
31a : 요철 32 : 이탈방지용 스토퍼
40 : 발판 50 : 기역자형 안전핀
60 : 안전핀 당김용 라벨 70 : 손잡이부재
80 : 피난유도 비상등 90 : 비상벨 울림수단
91 : 스위치 92 : 축고정부재
93 : 힌지레버
본 발명은 지하철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전, 재난 등의 유사시 승객들의 신속하고 안전한 대피 통로를 마련하기 위한 피난계단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피난계단은 지하철 승강장 양단부에 약 20~50cm의 폭으로 계단이 설치되어 있으나, 그마저도 유지관리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휀스로 막혀 있고 계단 하단부쪽에 케이블 및 케이블박스 등 장애물이 있어 유사시 승객들이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피가 불가하여 대형 인명 피해 발생이 예상된다. 특히 승강장에 스크린도어(PSD)를 설치할 경우 현행 계단으로는 대피가 불가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지하철 재난시 가장 효과적이고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는 피난계단을 마련하여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고 대형 참사를 방지하도록 한 3단 슬라이딩 레일을 이용한 지하철 피난계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다른 목적은 대피를 위한 피난계단을 승강장 단부 측면 선로측으로 위치변경하고, 가동식 계단을 설치하여 긴급사태 발생시 승객들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피시킬 수 있도록 한 3단 슬라이딩 레일을 이용한 지하철 피난계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3단 슬라이딩 레일을 이용한 지하철 피난계단은, 선로레일 위를 주행하는 전동차의 양측 출입문 바닥면과 동일한 높이에 승객이 밟고 지하철에 승강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전동차의 측면과 대피공간을 갖도록 된 승강장 캔틸레버부의 하면에는 서로 대향하도록 다수의 볼트로 고정 설치된 한 쌍의 기역자형 슬라이딩 레일과; 상기 한 쌍의 기역자형 슬라이딩 레일의 안쪽면에 상부측이 고정되어 선로레일을 향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부측은 슬라이딩 인출시 상기 선로레일의 상면에 접촉 지지되는 쐐기형 고정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선로레일의 외측면에 접촉 지지되도록 이탈방지용 스토퍼가 하측으로 돌설된 양측 프레임과; 상기 양측 프레임의 사이에 고정 설치된 다수의 발판과; 상기 제1 디귿자형 레일 중의 하나의 전방측에 삽입되어 상 기 양측 프레임이 승강장 캔틸레버부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기역자형 안전핀과; 상기 기역자형 안전핀에 연결되어 안전핀을 잡아당기기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피난계단의 사용법이 야광으로 인쇄된 안전핀 당김용 라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1a는 평상시 승강장 캔틸레버부 하부에 인입된 본 발명의 피난계단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1b는 평상시 본 발명의 슬라이딩 수단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1c는 유사시 본 발명의 3단 슬라이딩 레일을 이용한 피난계단을 선로레일에 설치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1d는 유사시 본 발명의 슬라이딩 수단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2는 본 발명의 피난계단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피난계단이 선로레일 위에 지지된 것을 도시한 상세 단면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피난(비상)계단이 설치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5는 실제로 비상시 본 발명의 피난(비상)계단을 이용하여 대피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3단 슬라이딩 레일을 이용한 지하철 피난계단은, 선로레일(1) 위를 주행하는 전동차의 양측 출입문 바닥면과 동일한 높이에 승객이 밟고 지하철에 승강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전동차의 측면과의 사이에 대피공간을 갖도록 된 승강장 캔틸레버부(10)의 하면에는 서로 대향하도록 다수의 볼트로 고정 설치된 한 쌍의 기역자형 슬라이딩 레일부재(21, 22)와; 상기 한 쌍의 기역자형 슬라이딩 레일부재(21, 22)의 대향하는 안쪽 면에 부착된 제1 디귿자형 레일(23, 24)과, 상기 제1 디귿자형 레일(23, 24) 내에 안착되어 선로레일(1)을 향하여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되어 그 상하면 굴곡홈(26a, 27a)에 다수의 볼(25)을 가진 제2 디귿자형 레일(26, 27)과, 상기 제2 디귿자형 레일(26, 27) 내에 안착되어 선로레일(1)을 향하여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되어 그 상하면 굴곡홈(28a, 29a)에 다수의 볼(25)을 가진 제3 디귿자형 레일(28, 29)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수단(20)과; 상기 슬라이딩 수단(20)의 제3 디귿자형 레일(28, 29)의 측면에 상부측면이 고정 설치되고, 그 하부면은 슬라이딩 인출시 상기 선로레일(1)의 상면에 접촉 지지되는 쐐기형 고정부(31)가 형성됨과 동시에 선로레일(1)의 외측면에 접촉 지지되도록 이탈방지용 스토퍼(32)가 하측으로 돌설된 양측 프레임(30)과; 상기 양측 프레임(30)의 사이에 고정 설치된 다수의 발판(40)과; 상기 한 쌍의 기역자형 슬라이딩 레일(22, 23) 중의 하나에 삽입되어 상기 양측 프레임(30)이 승강장 캔틸레버부(10)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기역자형 안전핀(50)과; 상기 기역자형 안전핀(50)에 연결되어 안전핀(50)을 잡아당기기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피난계단의 사용법이 야광으로 인쇄된 안전핀 당김용 라벨(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양측 프레임(30)의 전면에는 발판(40)을 오를 때 잡고 오를 수 있도록 각각 설치된 손잡이부재(7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선로레일(1) 상에 안착되는 상기 양측 프레임(30)의 하부에 형성된 쐐기형 고정부(31)는 수평선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3° 내지 10°의 경사를 가지며, 상기 선로레일(1)과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요철(31a)이 형성된다.
또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역자형 안전핀(50)이 설치된 기역자형 슬라이딩 레일(22)이 측면에는 삽입되어 있는 상기 안전핀(50)을 인출하면 이 안전핀(50)의 인출 상태를 감지하도록 비상벨 울림수단(90)이 설치된다. 상기 비상벨 울림수단(90)은 상기 기역자형 슬라이딩 레일(22)의 측벽에 고정 설치되어 누르면 역무실(99)에서 비상벨이 울리도록 된 스위치(91)와, 상기 스위치(91)의 하부에 중앙부가 축고정부재(92)로 축결합되고, 상기 축고정부(92)의 하단은 상기 안전핀(50)을 인출시 안전핀(50)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돌기(50a)에 걸려 상기 축고정부(92)를 중심으로 시이소 운동하도록 하여 상단이 상기 스위치(91)를 누르도록 작동하는 힌지레버(93)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피난계단의 제작 설치 및 사용법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지하철의 승강장 캔틸레버부(10)의 하면에 한 쌍의 기역자형 슬라이딩 레일(22, 23)을 다수의 볼트로 고정 설치한다. 상기 한 쌍의 기역자형 슬라이딩 레일(22, 23)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는 제1 디귿자형 레일(23, 24)이 부착되고, 이 제1 디귿자형 레일(23, 24) 내에는 선로레일(1)을 향하여 슬라이딩되도록 그 상하면에 형성된 굴곡홈(26a, 27a)에 다수의 볼(25)을 가진 제2 디귿자형 레일(26, 27)이 안착되며, 상기 제2 디귿자형 레일(26, 27) 내에 선로레일(1)을 향하여 슬라이딩되도록 그 상하면에 형성된 굴곡홈(28a, 29a)에 다수의 볼(25)이 위치한 제3 디귿자형 레일(28, 29)이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제3 디귿자형 레일(28, 29)의 측면에는 양측 프레임(30)의 상부측면이 체결 부재로 고정 설치하여 피난 계단의 설치를 완료한다.
이러한 피난계단은 도1a와 같이 평상시에는 상기 승강장 캔틸레버부(10)의 하면에 인입되어 있고, 도1b와 같이 전동차의 화재 등과 같은 비상 사태시 선로에 있는 승객이 승강장으로 오를 때, 먼저, 승객은 제1 디귿자형 레일(23, 24)의 전방 측면에 삽입되어 있는 안전핀(50)을 잡아 당겨 빼고, 양측 프레임(30)에 부착된 손잡이부재(70)를 승객의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먼저, 제3 디귿자형 레일(28, 29)이 인출되는 데, 그 상하면에 위치한 다수의 볼(25)이 굴곡홈(28a, 29a)을 따라 구름 운동하여 인출된다. 그 다음은 제2 디귿자형 레일(26, 27)이 인출되는 데, 그 상하면에 위치한 다수의 볼(25)이 굴곡홈(26a, 27a)을 따라 구름 운동하여 인출된다. 이와 같이 인출됨과 동시에 양측 프레임(30)의 하부면에 돌설된 이탈방지용 스토퍼(32)가 선로레일(1)의 외측면에 접촉지지되고, 양측 프레임(30)의 하부면의 쐐기형 고정부(31)는 선로레일(1)의 상측에 접촉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선로레일(1) 상에 안착되는 상기 양측 프레임(30)의 하부에 형성된 쐐기형 고정부(31)는 수평선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3° 내지 10°의 경사를 가짐과 동시에 요철(31a)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선로레일(1)과의 미끄럼이 방지된다. 즉, 쐐기형 고정부(31)는 현장에서 설치시 피난계단 접지부와 선로레일과의 유격에 대한 보정장치 역할과 피난계단이 받는 승객 하중의 반을 선로레일에 전달하고 접지면의 톱니바퀴와 같은 요철(31a)은 마찰력을 증대시켜 사용 중 피난계단을 고정해 주는 역할을 한다 . 상기 기술을 좀더 상세히 서술하면 실제로 승강장 캔틸레버부(10)와 선로레일(1) 사이에는 커브 구간의 캔트에 의한 높이차 또는 시공오차가 있을 수 있으며, 또한 선로레일(1)에 연결 설치된 피난계단의 처짐이 발 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높이에 대한 오차 조정이 가능한 쐐기형 고정부(31)를 이용하여 규격화된 피난계단을 선로레일(1)에 완벽하게 설치하게 된다. 쐐기형 고정부(31)는 승객들의 이동 하중에도 훼손되지 않을 정도의 강성을 가진 철이나 알미늄 재질로 제작되어야 하며, 오차 조정폭 및 경사 오차 조정폭은 각각 약 1~2cm의 보정이 가능하도록 제작한다. 즉, 다시 말해 유격에 대한 오차의 크기에 따라 소정의 오차 조정폭을 가진 고정장치로 1차 보정하고, 그 잔여 오차는 경사 오차 조정폭에 의해 보정한다. 경사 오차조정폭의 각도는 약 3~10?? 정도로 하고 일면에 요철(31a)을 두어 선로레일(1)에 설치시 마찰저항으로 작용하도록 하여 사용중 피난계단이 선로레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평상시 지하철 운행에 따른 부압에도 피난계단이 인출되지 않도록 안전핀(50)을 삽입 설치하고, 이에 대한 사용법을 형광성분이 있는 펜이나 스티커로 작성된 라벨(60)을 부착한다. 또한, 유사시 지하철내 단전 상태에서도 비상전원에 의해 피난계단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피난유도 비상등(80)을 설치한다.
그리고, 또한 상기에서 안전핀(50)을 잡아 당겨 빼면, 안전핀(50)의 걸림돌기(50a)는 그 상부에 있는 축고정부재(92)로 힌지 결합된 힌지레버(93)의 하단을 걸리도록 하여 힌지레버(93)의 상단이 스위치(91)를 누르게 되고, 이 스위치(91)의 신호는 역무실(99)로 전달되고, 역무실(99)의 비상벨을 울리게 된다.
이와 같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대피 통로를 마련할 수 있는 3단 슬라이딩 레일이 달린 피난계단은 유사시 승객들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가장 효과 적인 개선안으로 인명과 재산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3단 슬라이딩 레일을 이용한 피난계단에 의하면, 현재 피난계단을 대체할 수 있는 대안으로 규격화하여 공장에서 미리 제작하므로 경제적일 뿐 아니라 설치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고, 또한, 3단 슬라이딩 레일에 피난계단을 설치함으로써, 평상시 승강장 캔틸레버부 하부에 제1 내지 제3 디귿자형 레일이 접힌 상태로 피난계단을 인입 보관하다가 유사시에만 신속하고 간편하게 제1 내지 제3 디귿자형 레일을 인출하여 선로레일에 설치하기 때문에 승객들의 안전한 대피 통로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으며, 피난계단 하부에는 쐐기형 고정부를 두어 규격화된 피난계단을 선로레일에 완벽하게 설치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설치 위치마다 맞춤 제작하는 시공상의 번거러움을 해결할 수 있으며, 일면에 요철을 둠으로써, 선로레일과의 마찰저항으로 인해 사용중 설치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선로레일(1) 위를 주행하는 전동차의 양측 출입문 바닥면과 동일한 높이에 승객이 밟고 지하철에 승강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전동차의 측면과의 사이에 대피공간을 갖도록 된 지하철 승강장 캔틸레버부(10)의 하면에는 서로 대향하도록 다수의 볼트로 고정된 한 쌍의 기역자형 슬라이딩 레일부재(21, 22)와; 상기 한 쌍의 기역자형 슬라이딩 레일부재(21, 22)의 대향하는 안쪽면에 부착되어 상기 캔틸레버부(10)의 하면 대피공간에 수납되는 슬라이딩 수단(20)과; 상기 슬라이딩 수단(20)의 측면에 상부측면이 고정 설치되고, 그 하부면은 슬라이딩 인출시 상기 선로레일(1)의 상면에 접촉 지지되는 양측 프레임(30)과; 상기 양측 프레임(30)의 사이에 고정 설치된 다수의 발판(40)으로 이루어진 지하철 피난계단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수단(20)은 상기 한 쌍의 기역자형 슬라이딩 레일부재(21, 22)의 대향하는 안쪽면에 부착된 제1 디귿자형 레일(23, 24)과, 상기 제1 디귿자형 레일(23, 24) 내에 안착되어 선로레일(1)을 향하여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되어 그 상하면 굴곡홈(26a, 27a)에 다수의 볼(25)을 가진 제2 디귿자형 레일(26, 27)과, 상기 제2 디귿자형 레일(26, 27) 내에 안착되어 선로레일(1)을 향하여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되어 그 상하면 굴곡홈(28a, 29a)에 다수의 볼(25)을 가진 제3 디귿자형 레일(28, 29)로 이루어지고;
    상기 양측 프레임(30)은 상기 슬라이딩 수단(20)의 제3 디귿자형 레일(28, 29)의 측면에 상부측면이 고정 설치되고, 그 하부면은 슬라이딩 인출시 상기 선로레일(1)의 상면에 접촉 지지되는 쐐기형 고정부(31)가 형성됨과 동시에 선로레일(1)의 외측면에 접촉 지지되도록 이탈방지용 스토퍼(32)가 하측으로 돌설되며;
    상기 쐐기형 고정부(31)는 수평선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3° 내지 10°의 경사를 가지며, 상기 선로레일(1)과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요철(31a)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디귿자형 레일(23, 24) 중의 하나의 전방측에 삽입되어 상기 양측 프레임(30)이 승강장 캔틸레버부(10)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기역자형 안전핀(50)과;
    상기 기역자형 안전핀(50)에 연결되어 안전핀(50)을 잡아당기기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피난계단의 사용법이 야광으로 인쇄된 안전핀 당김용 라벨(6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단 슬라이딩 레일을 이용한 지하철 피난계단.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역자형 안전핀(50)이 설치된 기역자형 슬라이딩 레일(22)의 측면에는 삽입되어 있는 상기 안전핀(50)을 인출하면 이 안전핀(50)의 인출 상태를 감지하도록 비상벨 울림수단(90)을 더 포함하여 설치하되,
    상기 비상벨 울림수단(90)은 상기 기역자형 슬라이딩 레일(22)의 측벽에 고정 설치되어 누르면 역무실(99)에서 비상벨이 울리도록 된 스위치(91)와, 상기 스위치(91)의 하부에 중앙부가 축고정부재(92)로 축결합되고, 상기 축고정부(92)의 하단은 상기 안전핀(50)을 인출시 안전핀(50)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돌기(50a)에 걸려 상기 축고정부(92)를 중심으로 시이소 운동하도록 하여 상단이 상기 스위치(91)를 누르도록 작동하는 힌지레버(9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단 슬라이딩 레일을 이용한 지하철 피난계단.
KR1020050081212A 2005-09-01 2005-09-01 3단 슬라이딩 레일을 이용한 지하철 피난계단 KR100605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1212A KR100605541B1 (ko) 2005-09-01 2005-09-01 3단 슬라이딩 레일을 이용한 지하철 피난계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1212A KR100605541B1 (ko) 2005-09-01 2005-09-01 3단 슬라이딩 레일을 이용한 지하철 피난계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5541B1 true KR100605541B1 (ko) 2006-08-01

Family

ID=37184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1212A KR100605541B1 (ko) 2005-09-01 2005-09-01 3단 슬라이딩 레일을 이용한 지하철 피난계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55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72680A (zh) * 2017-11-28 2018-05-01 中国安全生产科学研究院 一种用于地铁疏散平台至轨行区的快速疏散装置和方法
KR102075261B1 (ko) 2018-08-09 2020-02-07 이금철 피난계단 게이트 개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72680A (zh) * 2017-11-28 2018-05-01 中国安全生产科学研究院 一种用于地铁疏散平台至轨行区的快速疏散装置和方法
KR102075261B1 (ko) 2018-08-09 2020-02-07 이금철 피난계단 게이트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91352B2 (en) Elevator car frame
CN110092264A (zh) 一种建筑施工阶段电梯井内的物料提升系统
WO2013005886A1 (ko) 고가 사다리차
CN101001594A (zh) 组合床装载和紧固系统
KR101507429B1 (ko) 철도차량용 비상탈출램프
JP2020023306A (ja) 車椅子の乗客を飛行機に搭乗させるための入れ子式乗客階段用のリフト
KR101940649B1 (ko) 구조가 간단한 승강장 안전발판장치
KR100605541B1 (ko) 3단 슬라이딩 레일을 이용한 지하철 피난계단
KR101177419B1 (ko) 레일차량에 구비되는 피난장치 및 그 피난장치의 레일차량에 대한 고정방법
KR101511170B1 (ko) 헬리포트용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1603164B1 (ko) 열차승강장 발빠짐 방지용 접철식 자동길이 조절 안전발판
JP5150438B2 (ja) 鉄道車両用避難梯子装置
JP3148482U (ja) 多目的階段昇降機
KR100622395B1 (ko) 자기부상열차 선로에 설치되는 추락방지용 안전 난간구조물
JP4249557B2 (ja) 列車用車椅子渡り板
CN114542168A (zh) 一种地铁区间疏散平台可升降连接装置及控制方法
KR101701391B1 (ko) 승강장용 안전발판
KR100785593B1 (ko) 자기부상열차용 비상탈출 사다리
KR20130051575A (ko) 휠체어 이동장치를 갖는 탑승교
KR20210148282A (ko) 승강 장치를 포함하는 케이블-카 지지대
JP6095410B2 (ja) バリアフリー乗下船設備
KR102425329B1 (ko) 승강장 안전발판 시스템
KR200357539Y1 (ko) 지하철 비상대피용 통로
JP2005154025A (ja) エレベーターの乗客救出装置及び乗客救出方法
KR101617209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도어용 이탈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