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8282A - 승강 장치를 포함하는 케이블-카 지지대 - Google Patents

승강 장치를 포함하는 케이블-카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8282A
KR20210148282A KR1020217035757A KR20217035757A KR20210148282A KR 20210148282 A KR20210148282 A KR 20210148282A KR 1020217035757 A KR1020217035757 A KR 1020217035757A KR 20217035757 A KR20217035757 A KR 20217035757A KR 20210148282 A KR20210148282 A KR 20210148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way
lifting device
unit
access uni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5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올리버 슈미트
조세프 수터
게르노트 일그
마틴 쇠넨베르거
Original Assignee
인노바 파텐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노바 파텐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인노바 파텐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10148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82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002Cabins; Ski-lift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02Suspension of the load; Guiding means, e.g. wheels; Attaching traction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06Safety devices or measures against cable fra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Abstract

케이블웨이(2)의 케이블웨이 지지대(1)의 접근 유닛(4)에 용이하게 접근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르면, 사람이 케이블웨이(2)의 케이블 카(7)로부터 접근 유닛(4)으로 올라가거나 그 반대로 접근 유닛(4)으로부터 케이블 카(7)로 이동하기 위하여, 승강 장치(15)가 케이블웨이 지지대(1) 상에 제공되며, 승강 장치(15)는 접근 유닛(4)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 유닛(21)에 의해 케이블웨이 지지대(1) 상에 배치되고, 승강 장치(15)는 접근 유닛(4)에 대해 승강 장치(15)가 접근 유닛(4) 상에 수용되는 정지 위치(RP)로부터 승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제공되는 대기 위치(BP)로 이동될 수 있다.

Description

승강 장치를 포함하는 케이블-카 지지대
본 발명은 사람들이 접근할 수 있는 접근 유닛을 갖는 케이블웨이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케이블웨이의 컨베이어 케이블을 안내하기 위한 다수의 케이블웨이 지지대 및 컨베이어 케이블 상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카를 갖는 케이블웨이, 뿐만 아니라 케이블 카로부터 접근 유닛으로 올라가거나 또는 그 반대로 접근 유닛으로부터 케이블카로 내려가는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웨이는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공되며, 주로 사람 및/또는 상품을 수송하기 위해, 예를 들어 도시 교통 수단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스키장에서 사람을 수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와이어 케이블에 의해 당겨지도록 하기 위하여, 대부분의 철도 차량이 와이어 케이블에 체결되는 케이블 카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이동은 지상에서 이루어지며 케이블 카는 주로 산길에서 사용된다. 한편, 공중 케이블웨이의 경우, 케이블 카, 가령, 곤돌라, 캐빈(cabin), 의자는, 고정된 가이드(guide) 없이, 하나 이상의 (와이어) 케이블에 의해 운반되고, 공중에 매달린 채로 이동된다. 따라서, 케이블 카는 지면과 접촉하지 않는다. 공중 케이블웨이는, 거친 지형, 일반적으로 산악 지형, 예를 들어, 스키장에서, 계곡에서 산으로 사람들을 수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케이블웨이는 케이블 카가 이동되는 두 개의 스테이션(station)이 있다.
순환 케이블웨이와 공중 케이블웨이를 구분해야 한다. 공중 케이블웨이의 경우, 견인 케이블에 의해 당겨지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케이블 카가 두 스테이션 사이의 경로에서 컨베이어 케이블을 타고 왕복 운행한다. 반면, 순환 케이블 카는, 스테이션 사이를 끊임없이 순환하며 상부에 다수의 케이블 카, 가령, 곤돌라, 캐빈 또는 의자가 매달려 있는 무한 컨베이어 케이블을 포함한다. 케이블 카는 한쪽 스테이션에서 다른 스테이션으로 이동하고 반대쪽에서 다시 이동한다. 따라서, 케이블 카의 이동은 연속 컨베이어와 유사하게 항상 한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연속적이다.
더 먼 거리를 연결하기 위해, (운반/견인) 케이블을 안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케이블웨이 지지대가 일반적으로 두 스테이션 사이에 배치된다. 케이블웨이 지지대는 철골 구조로 설계될 수 있지만, 강철 튜브 또는 쉬트 금속 박스 구조로도 설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위, 롤러 세트 형태의 복수의 롤러가 일반적으로 케이블을 운반하고 안내하기 위해 케이블웨이 지지대 상에 배열된다. 케이블웨이 지지대 상에서, 특히 롤러 상에서, 유지 보수 및 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접근 유닛이 종종 케이블웨이 지지대에 제공된다. 이러한 접근 유닛은 예를 들어 (유지 보수) 플랫폼 및/또는 스텝 형태로 설계될 수 있으며 유지 보수 인원이 접근할 수도 있다. 또한, 유지 보수 인원의 안전을 높이기 위하여, 난간과 같은 안전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목적과 지형에 따라, 케이블웨이 지지대의 높이는 수 미터에서 150 미터 이상 사이일 수도 있다. 지금까지는, 지상으로부터 사다리를 통해서만 케이블웨이 지지대를 위한 접근 유닛으로의 진입이 가능했다. 그러나, 종종 통과할 수 없는 지형과 특히 때때로 케이블웨이 지지대의 높이가 높기 때문에, 이러한 진입이 매우 어렵고 시간이 많이 걸린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 카(cable car)의 케이블웨이 지지대(cableway support)의 접근 유닛(access unit)으로의 보다 쉬운 진입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사람이 케이블웨이의 케이블 카로부터 접근 유닛으로 올라가거나 그 반대로 접근 유닛으로부터 케이블 카로 내려가기 위하여 승강 장치가 케이블웨이 지지대 상에 제공되며, 승강 장치는 접근 유닛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 유닛(fastening unit)에 의해 케이블웨이 지지대 상에 배치되고, 승강 장치는 접근 유닛에 대해 승강 장치가 접근 유닛 상에 수용되는 정지 위치(rest position)로부터 승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제공되는 대기 위치(standby position)로 이동될 수 있는 특징에 의해, 구현된다. 이를 통해 케이블 카에서 직접 접근 유닛으로 진입할 수 있으며, 이러한 진입은 지상으로부터 사다리를 통하는 것보다 유지 보수 인원이 훨씬 덜 힘들고 시간이 덜 소요된다.
승강 장치를 정지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유닛이 바람직하게는 케이블웨이 지지대 상에 제공된다. 이것은, 예를 들어 케이블 카의 작동 동안에, 바람직하지 않은 방식으로 승강 장치가 느슨해지는 위험을 줄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기계, 유압 또는 전기적으로 작동 가능한 고정 유닛은 고정 유닛을 작동하기 위한 유연한 옵션을 가능하게 한다.
유리하게는, 승강 장치가 정지 위치에 고정된 것을 릴리스 하여, 승강 장치를 정지 위치로부터 대기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고정 유닛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유닛이 케이블웨이 지지대 상에 제공되며, 작동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케이블 카로부터 고정 유닛을 작동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1 레버 요소를 갖고, 작동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접근 유닛으로부터 고정 유닛을 작동시키기 위해 제2 레버 요소를 갖는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작동 유닛은 케이블 당김부(cable pull) 또는 가요성 샤프트 형태의 작동 수단을 가질 수 있다. 이것은 고정 유닛의 간단한 작동을 위한 유연한 옵션을 생성한다.
승강 장치는 중력에 의해 승강 장치가 정지 위치로부터 대기 위치로 움직이는 것을 제동하기 위한 제동 장치를 가지며, 제동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기계식, 유압식 또는 공압식이다. 이는 안전성을 높이고 사람이 사고를 당할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케이블웨이 지지대는, 바람직하게는, 승강 장치의 위치를 탐지하기 위해 제공되는, 특히 승강 장치가 정지 위치에 있는지를 탐지하기 위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요소를 가지며, 센서 요소는 케이블웨이의 시스템 제어 유닛에 전송될 수 있는 센서 값을 생성한다. 센서 요소는 고정 유닛의 고정 상태, 특히 승강 장치가 고정 유닛에 의해 정지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지를 탐지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승강 장치의 위치 및/또는 고정 상태를 확실하게 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성을 더욱 높인다.
승강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사람이 밟거나 및/또는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텝 요소(step element) 및/또는 고정 요소를 갖는다. 이는 사람들이 건너기 쉽게 하고 안전성을 높인다.
승강 장치의 길이가, 승강 장치의 길이를 접근 유닛과 케이블 카(7) 사이의 가변 거리에 꼭 맞도록(adapt) 하기 위해 변경될 수 있으며, 승강 장치는 사다리(ladder), 바람직하게는 텔레스코픽 사다리(telescopic ladder)로 설계되고, 적어도 하나의 스텝 요소 및/또는 고정 요소는 사다리의 가로대(rung)이다.
난간(railing)이 바람직하게는 접근 유닛 상에 제공되며, 승강 장치는 정지 위치에서 난간의 일부를 형성하며, 안전성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승강 장치가 케이블웨이의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웨이 지지대 상에 배열되고, 승강 장치가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케이블웨이 지지대 각각에 배열된다는 점에서 추가로 구현된다.
케이블웨이는 케이블웨이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제어 유닛을 갖고, 시스템 제어 유닛은, 케이블웨이를 스위치 오프(switch off) 하기 위하여 또는 센서 요소가 정지 위치로부터 벗어나는 승강 장치의 위치를 탐지할 때 및/또는 센서 요소가 고정 유닛에서 승강 장치의 고정해제 상태(unlocked state)를 탐지할 때 신호 장치를 통해 경고 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하기 위하여, 센서 요소의 센서 값을 처리하도록 제공된다. 승강 장치의 센서와 시스템 제어 장치의 통신(communication)에 의해, 승강 장치의 위치 및/또는 고정 상태에 따라, 케이블웨이를 스위치 오프 하거나 또는 적어도 경고 신호를 내보내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목적은, 승강 방법에 의해서도 구현되는데, 케이블 카는 승강 위치로 이동되며, 케이블 카로부터 또는 접근 유닛으로부터, 케이블웨이 지지대의 승강 장치는 정지 위치로부터 대기 위치로 이동되고, 사람이 승강 장치에 의해 케이블 카로부터 접근 유닛으로 올라가거나 혹은 그 반대로 접근 유닛으로부터 케이블 카로 이동하며, 접근 유닛으로부터 또는 케이블 카로부터, 승강 장치는 승강 후에는 바람직하게는 대기 위치로부터 다시 정지 위치로 이동된다.
본 발명은 예시로서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를 개략적이고 비-제한적인 방식으로 도시하는 도 1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가 있는 케이블웨이 지지대,
도 2a 및 도 2b는 각각 정지 위치에 있는 승강 장치의 상세도,
도 3은 대기 위치에 있는 승강 장치의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가 있는 케이블웨이 지지대,
도 5a 및 도 5b는 각각 승강 장치를 위한 고정 장치.
도 1은 접근 유닛(4) 및 롤러 세트(3)를 갖는 케이블웨이(2)의 케이블웨이 지지대(1)를 도시한다. 케이블웨이(2)의 구조는 원칙적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것이 바로 본 발명에 필수적인 구성요소들 만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유이다. 롤러 세트(3)는 서로 앞뒤로 배열된 다수의 롤러(5)를 가지며, 상기 롤러 상에서 케이블웨이(2)의 컨베이어 케이블(6)이 안내된다. 롤러 세트(3)는, 케이블웨이 지지대(1)에 의해 지상에서, 컨베이어 케이블(6) 상의 하중, 특히 컨베이어 케이블 상에 배치된 케이블 카(7)를 지지하기 위해 케이블웨이 지지대(1)에 부착된다. 다수의 케이블 카(7)가 일반적으로 컨베이어 케이블(6)에서 서로 특정 거리에 매달려 있다. 케이블 카(7)가 컨베이어 케이블(6)에 체결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션에서 컨베이어 케이블(6)로부터 케이블 카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릴리스 가능한 클램핑 메커니즘(8)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분리는, 예를 들어, 스테이션을 통과하는 동안 속도를 줄여 사람들이 쉽게 출입할 수 있도록,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분리는, 케이블웨이가 닫힌 후에도, 예를 들어, 케이블 카를, 운영 시간 외에 적절한 차고에 주차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물론, 케이블 카(7)를 컨베이어 케이블(6)에 분리가 불가능하게 연결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시된 예에서, 케이블 카(7)는 유지 보수 곤돌라(maintenance gondola)로서 설계된다. 유지 보수 곤돌라는, 예를 들어, 특정 유지 보수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사람이 유지 보수 곤돌라로부터 유지 보수 곤돌라의 상단에 있는 플랫폼(10)으로 올라갈 수 있는 사다리(9)를 갖는다.
케이블웨이 지지대(1)의 접근 유닛(4)은 종방향 빔(11)과 복수의 스텝(12)을 갖는 계단으로 설계된다. 접근 유닛(4)은 롤러 세트(3) 및/또는 케이블웨이 지지대(1) 자체에 체결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접근 유닛(4)을 사용할 때, 사람들의 안전을 증가시키기 위해, 난간(13)이 스텝(12)에 추가로 제공된다. 물론, 이는 단지 한 예로서, 접근 유닛(4)은 임의의 또 다른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난간(13)이 있거나 난간(13)이 없는 오직 하나의 플랫폼만 가질 수도 있다. 케이블웨이 지지대(1)가 프레임워크 구조로 설계된 경우, 접근 유닛(4)은 예를 들어 케이블웨이 지지대(1)의 직접적인 일부일 수도 있다.
유지 보수 사다리(14)가 케이블웨이 지지대(1)에 개략적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사람, 특히 유지 보수 인원은 이 사다리에 의해 지상으로부터 접근 유닛(4)으로 올라갈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유지 보수 사다리(14)는 사람들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예를 들어 일종의 케이지와 같은 추가 안전 요소를 가질 수도 있다. 지금까지, 접근 유닛(4)으로의 진입은 실질적으로 이러한 유지보수 사다리(14)에 의해서만 이루어져 왔다. 유지 보수 사다리(14)에 의한 진입은, 특히, 매우 높은 케이블웨이 지지대(1)의 경우 매우 힘들고 시간 소모적이어서, 당연히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케이블웨이 지지대(1)가 종종 통과할 수 없는, 예를 들어, 가파르고 암석이 많은 지형에 배치되어, 심지어 지상에서 케이블웨이 지지대(1)에 도달하는 것조차 매우 어려운 추가적인 어려움도 있다. 또한, 유지 보수 사다리(14)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공구와 같은 수하물에 대해 사람이 제한된다.
사람들이 접근 유닛(4)으로 더 쉽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람이 케이블웨이(2)의 케이블 카(7)로부터 접근 유닛(4) 위로 올라갈 수 있도록 케이블웨이 지지대(1) 상에 배열되는 승강 장치(15)를 제공한다. 승강 장치(15)는 체결 유닛(21)에 의해 접근 유닛(4) 상에서 피벗회전 가능하게 배열되고, 접근 유닛(4)에 대해, 승강 장치(15)가 접근 유닛(4) 상에 수용되는 정지 위치(RP)로부터 승강을 수행하기 위해 제공되는 대기 위치(BP)로 이동 가능하다. 도 1에서, 승강 장치(15)는 제1 실시예에 도시되고, 그 구조 및 작동 모드는 도 2a, 2b 및 도 3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에서, 승강 장치(15)는 대기 위치(BP)에 위치되며, 이 대기 위치에서 케이블 카(7), 예를 들어, 유지 보수 곤돌라의 플랫폼(10)으로부터 접근 유닛(4)으로의 승강이 가능하다. 여기서, 승강 장치(15)는 접근 유닛(4)의 가장 낮은 스텝(12)에 피벗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케이블 카(7)로부터, 상기 승강 장치는 정지 위치(RP)(미도시)로부터 사람이 사용하기 위한 도시된 대기 위치(BP)로 이동될 수 있는데, 특히 피벗회전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케이블 카(7)는 접근 유닛(4)에 충분히 가까운 승강 위치로 이동되고 정지된다. 그런 다음, 사람은 케이블 카(7)의 사다리(9)에 의해 플랫폼(10) 위로 올라갈 수 있으며, 플랫폼(10)으로부터, 승강 장치(15)는, 이 경우 계단에서, 접근 유닛(4)에 도달하기 위해 정지 위치(RP)로부터 대기 위치(BP)로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승강은, 접근 유닛(4)으로부터, 사람(접근 유닛(4)에 위치한)이 접근 유닛(4)으로부터 케이블 카(7)에 도달하기 위해 승강 장치(15)를 정지 위치(RP)로부터 대기 위치(BP)로 이동시킨다는 점에서, 반대 방향으로도 발생할 수 있다.
승강 장치(15)는 바람직하게는 승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람에 의해 밟거나 또는 고정되기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스텝 요소 및/또는 고정 요소(16)를 갖는다. 유리한 방식으로, 승강 장치(15)는,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로서 설계될 수 있으며, 사다리는 스텝 요소 및/또는 유지 요소(16)로서 복수의 가로대(rung)를 갖는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승강 장치(15)의 길이가 승강 장치(15)를 접근 유닛(4)과 케이블 카(7) 사이의 가변 거리에 꼭 맞도록 변경할 수 있다. 상이한 크기의 사람이 보다 쉽게 올라갈 수 있으며 승강 위치에서 케이블 카(7)의 위치배열이 덜 정확할 수 있다. 승강 장치(15)가 사다리로서 설계된 경우, 가변 길이는, 예를 들어, 구조 및 기능이 이미 알려져 있는 텔레스코픽 사다리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승강 장치(15)를 정지 위치(RP)에서 다른 관점에서 상세히 도시한다.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접근 유닛(4)의 오직 일부, 예를 들어 가장 낮은 스텝(12) 및 난간(13)의 일부 만이 도시된다. 승강 장치(15)는 관절 방식으로 체결 유닛(21)에 연결되고, 체결 유닛(2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접근 유닛(4)에 예를 들어 나사로 조여져서 영구적으로 연결된다. 도시된 예에서, 체결 유닛(21)은 좌우 플레이트(17)를 가지며, 이들 사이에 승강 장치(15)가 피벗회전 가능하게 체결된다.
고정 유닛(18)이, 바람직하게는, 정지 위치(RP)에서 승강 장치(15)를 릴리스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케이블웨이 지지대(1), 특히 접근 유닛(4) 또는 체결 유닛(21) 상에 제공된다. 고정 유닛(18)은 바람직하게는 기계적으로, 유압적으로 또는 전기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것은, 승강 장치(15)가, 원하지 않는 방식으로는, 정지 위치(RP)로부터 부분적으로 대기 위치(BP) 방향으로 또는 완전히 대기 위치로 이동되지 않도록 보장되기 때문에, 안전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케이블웨이 지지대(1)는 바람직하게는 접근 유닛(4) 또는 체결 유닛(21) 상에 승강 장치(15)의 고정을 릴리스 하기 위해, 그리고, 도 2a 및 도 2b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승강 장치(15)를 정지 위치(RP)로부터 대기 위치(BP)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고정 유닛(18)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유닛(19)을 갖는다.
도시된 예에서, 고정 유닛(18) 및 작동 유닛(19)은 플레이트(20) 상에 배열되지만, 이들은 물론 접근 유닛(4) 상에, 예를 들어 난간(13) 상에 배열될 수도 있다. 플레이트(20)는 여기서 실질적으로 일체형의 체결 유닛(21)인 횡단방향 스트럿(도 2a)에 의해 플레이트(17)에 연결되며, 이와 동시에 승강 장치(15)를 접근 유닛(4)에 피벗회전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고정 유닛(18)과 작동 장치(19)를 포함한다. 체결 유닛(21)의 일체형 디자인은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접근 유닛(4) 상에 승강 장치(15)의 조립이 더 용이해 지는데, 그 이유는 체결 유닛(21), 고정 유닛(18) 및 그 위에 제공된 작동 유닛(19)을 포함하는 전체 승강 장치(15)가 모듈로 설계되기 때문이다. 또한, 플레이트(20)는, 구조적 강성을 더 향상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접근 유닛(4), 이 경우 난간(13)에도 체결될 수 있다. 이는, 승강 동안의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특히 유리하며, 그 결과 사람에 대한 안전감이 증가된다.
도 3에서, 케이블 카(7)(도 1 참조)로부터의 상승이 일어날 수 있는 대기 위치(BP)에 있는 승강 장치(15)가 도시된다. 승강 장치(15)는 여기서 측면 브래킷(22)에 의해 체결 장치(21)의 플레이트(17)에 관절 방식으로 연결되는 사다리로 설계된다. 그 결과, 예를 들어, 통상적이고 상업적으로 구매가능한 사다리가 승강 장치(15)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사다리는 바람직하게는 충분한 강도를 가진 가볍고 내-기후성 재료, 예를 들어 알루미늄으로 제조된다. 물론, 승강 장치(15)는 관절 방식으로 체결 유닛(21)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는데, 즉 브래킷(22) 없이도 가능하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사다리와 브래킷(22)을 사용하면, 사다리를, 예를 들어, 손상이 발생한 경우 쉽게 교체할 수 있거나 및/또는 다른 길이의 사다리를 사용할 수 있다.
작동 유닛(19)은 유리하게는 케이블 카(7)로부터 고정 유닛(18)을 작동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1 레버 요소(24a)를 갖는다. 그러나, 특히 바람직하게는, 작동 유닛(19)은 또한 접근 유닛(4)(도 2b)으로부터 고정 유닛(18)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2 레버 요소(24b)도 갖는다. 도시된 예에서, 레버 요소(24a, 24b)는 작동 유닛(19)과 일체형으로 설계되며, 제1 레버 요소(24a)는 대기 위치(BP)의 방향으로(이 경우 실질적으로 수직 하향으로) 연장되고 제2 레버 요소(24b)는 정지 위치(RP)의 방향으로(이 경우 실질적으로 수직 상향으로) 연장된다. 작동 유닛(19)은 여기서 플레이트(20)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고정 위치와 릴리스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예압 요소(26), 가령, 적절한 스프링이 바람직하게는 승강 장치(15)가 접근 유닛(4) 상에 고정된 고정 위치로 작동 유닛(19)을 예압하기 위해 제공된다. 고정을 릴리스 하기 위하여, 작동 유닛(19)은 예압 요소(26)의 예압에 대해 릴리스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릴리스 위치에서 승강 장치(15)는 정지 위치로부터 대기 위치로 피벗회전 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고정 유닛(18)은, 승강 장치(15)를 접근 유닛(4) 상에서 정지 장치(RP)에 고정하기 위해, 승강 장치(15)의 핀(27)(도 2b)과 협력하는 작동 유닛(19) 내의 개구(25)로서 설계된다. 도시된 예에서, 핀(27)은 사다리의 좌측 브래킷(22) 외부에 배치되고 개구부(25)와 결합되는 정지 위치(RP)에 배치된다. 승강 장치(15)가 일체형으로 제조되면(브래킷(22) 없이), 핀(27)은 바람직하게는 승강 장치(15)의 측면에 직접 제공된다. 작동 유닛(19)이 두 레버 요소(24a, 24b) 중 하나에 의해 작동되면 즉 고정 위치로부터 예압 요소(26)의 예압력(preloading force)에 대한 릴리스 위치로 피벗회전 되면, 개구(25)는 핀(27)을 릴리스하고 승강 장치(15)는 특히 정지 위치(RP)로부터 대기 위치(BP)로 이동, 특히 피벗회전 될 수 있다.
물론, 작동 유닛(19)은 정지 위치(RP)에 승강 장치(15)를 고정하고 유지하고, 작동 시에는 승강 장치(15)를 릴리스하기 위해, 임의의 또 다른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승강 장치(15)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을 때, 예를 들어, 롤러 세트(3)에 대한 유지 보수 작업이 완료된 후, 승강 장치(15)는 바람직하게는 케이블웨이(2)의 작동을 위험에 빠뜨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정지 위치(RP)로 다시 이동된다. 이러한 작업은, 승강 장치(15)를 대기 위치(BP)로부터 정지 위치(RP)로 수동으로 접음으로써 케이블 카(7)로부터 발생될 수 있다. 접근 유닛(4)으로부터, 승강 장치(15)는 또한 예를 들어 사람이 접근 유닛(4)에 남아 있는 경우, 예를 들어, 케이블웨이(2)의 작동 동안에, 롤러 세트(3)의 특정 기능을 체크하거나 모니터링 하기 위하여 정지 위치(RP)로 다시 이동될 수 있다. 접근 유닛(4)으로부터 승강 장치(15)를 용이하게 접기 위해, 그립 요소(23)가 승강 장치(15)에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그립 요소(23)는 우측 브래킷(22)의 일부로서 설계되지만, 물론 그 밖의 다른 변형예, 예를 들어 별도의 그립 요소(23)도 고려할 수 있다.
난간(13)이 접근 유닛(4) 상에 제공된다면, 승강 장치(15)는 유리하게는 정지 위치(RP)에서 접근 유닛(4)의 난간(13)의 일부를 형성한다.
승강 장치(15)는 바람직하게는 작동 요소(19)에 의해 고정 유닛(18)의 고정이 릴리스 되자마자 정지 위치(RP)로부터 대기 위치(BP)로 중력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하지만, 중력에 의해 정지 위치(RP)로부터 대기 위치(BP)로의 승강 장치(15)의 이동을 제동하기 위하여, 승강 장치(15)가 제동 장치(미도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승강 장치(15)가 제어되지 않은 방식으로 하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고 잠재적으로는 사람이 다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동 장치는 또한 승강 장치(15)의 손상을 피하기 위해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절 방식으로 연결된 연결부(여기서는, 브래킷(22) 및 플레이트(17) 사이)에 허용할 수 없을 정도로 높은 하중이 제공되거나 및/또는 상승 장치(15), 예를 들어, 도시된 사다리(알루미늄 재질의)가 손상되거나 또는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동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기계적으로, 유압적으로 또는 공압적으로, 예를 들어 가스 압력 스프링으로서 설계된다. 그러나, 제동 장치는 예를 들어 조인트(joint)의 마찰을 표적하여 증가시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정지 위치(RP)를 넘어서는 승강 장치(15)의 이동을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한 요소(28)가 제공되는 것이 유리하다. 도시된 예에서, 제한 요소(28)는 좌측과 우측에 배열되고 실질적으로 승강 장치(15)의 엔드 스톱(end stop) 역할을 한다. 제한 요소(28)는 여기에서 일체형의 체결 장치(21)의 플레이트(20)(좌측) 및 플레이트(17)(우측)에 체결된다. 물론, 예를 들어, 접근 유닛(4) 상에서, 예를 들어 난간(13) 상에서, 다른 배열도 고려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한 요소(28)가 탄성 댐핑 요소, 가령, 고무 요소를 갖는 경우, 정지 위치(RP)에서 제한 요소(28)에 대한 승강 장치(15)의 타격이 감쇠될 수 있다. 그 결과, 작동 유닛(19) 상의 개구(25) 내의 핀(27)의 갑작스러운 타격이 방지될 수 있어서,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댐핑 요소는 개구(25)의 제한에 대해 정지 위치(RP)에서 핀(27)을 예압하기 위해 예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승강 장치(15)가 핀(27)과 개구(25) 사이의 기존 간극 내에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잠재적으로는 예를 들어 바람에 의해 야기되는 진동 및 덜걱거리는 소음이 유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접근 유닛(15)이 승강 장치(15)의 위치를 탐지하기 위해, 특히 승강 장치(15)가 정지 위치(RP)에 위치되는지를 탐지하기 위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요소(29)를 갖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센서 요소(29)는 케이블웨이(2)의 시스템 제어 유닛(미도시)으로 전송될 수 있는 센서 값을 생성한다. 센서 요소(29)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정지 위치(RP)에 있는 승강 장치(15)가 접근 유닛(4) 상에서 고정 유닛(18)에 의해 고정되는지를 탐지하도록 제공된다. 도시된 예에서, 센서 요소(29)는, 소위, 리미트 스위치로 설계되며, 이는 승강 장치(15)가 정지 위치(RP)에 있을 때 승강 장치(15)에 의해 작동되어 상응하는 센서 값을 생성한다. 케이블웨이(2)의 시스템 제어 유닛은 센서 값을 처리할 수 있고, 센서(29)가 승강 장치(15)가 정지 위치(RP)로부터 벗어나는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감지할 때 케이블웨이를 스위치 오프(switch off) 하거나 경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고정 유닛(18)의 고정 상태를 탐지하기 위해 적절한 센서(29)가 제공되면, 시스템 제어 유닛은 센서가 고정 유닛(18)에서 승강 장치(15)의 고정해제 상태(unlocked state)를 탐지할 때 케이블웨이를 스위치 오프 할 수 있다.
도 4는 롤러 세트(3)와 그 위에 케이블 카(7)가 매달려 있는 컨베이어 케이블(6)을 갖는 케이블웨이 지지대(1)의 추가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과 유사하게, 케이블웨이 지지대(1)는 접근 유닛(4)을 갖는다. 도 4에서, 접근 유닛(4)을 보다 명확하게 도시하기 위하여, 케이블웨이 지지대(1)의 좌측에 대한 롤러 세트(3)의 섹션을 도시한다. 접근 유닛(4)은 종방향 빔(11)과 복수의 스텝(12)을 갖는다. 이 스텝들은 각각 횡단방향 빔(30), 여기서는 튜브 형태의 횡단방향 빔(30) 상에 배열되며, 횡단방향 빔(30)은 종방향 빔(11)에 영구적으로 연결된다. 승강 장치(15)는 또한 여기서 사다리로 설계되고 체결 유닛(21)에 의해 접근 유닛(4) 상에 피벗회전 가능하게 배열된다.
여기서, 체결 유닛(21)은 2개의 구멍을 가지며, 이 구멍들은 가장 낮은 스텝(12)의 횡단방향 빔(30)에 배열되어, 횡단방향 빔(30) 또는 튜브는 구멍을 통해 연장된다. 그 결과, 횡단방향 빔(30)은 실질적으로 승강 장치(15)를 피벗회전 시키기 위한 회전축으로서 사용된다. 물론, 원칙적으로 체결 유닛(21)이 단지 하나의 구멍을 갖는 것으로도 충분할 것이지만, 둘 또는 그 이상의 구멍은 승강 장치(15)의 연결의 더 큰 안정성을 생성하기 위해 유리하다. 특히, 상승 동안에 승강 장치(15)의 측면 기울어짐(lateral tilting) 또는 흔들림(wobbling)이 감소되어, 안전감이 증가한다. 적어도 하나의 구멍은 강성을 지니도록 설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적절한 금속 재료 또는 적절한 강도의 가요성 재료, 가령, 플라스틱 재료 또는 텍스타일 패브릭(textile fabric)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정지 위치(RP)에서, 승강 장치(15)는 접근 유닛(4) 아래에 위치되고,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방향 빔(11)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고정 유닛(18)은 여기서 접근 유닛(4) 상에 배열되며, 접근 유닛(4) 상에, 예를 들어 종방향 부재(11)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고정 요소(18a)를 갖는다. 고정 요소(18a)에서 축은 스텝(12)이 배열되는 튜브 또는 횡단방향 빔(30)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정지 위치(RP)에서, 고정 요소(18a)는 승강 장치(15)를 고정하기 위해 승강 장치(15)와 결합된다. 도시된 예에서, 고정 요소(18a)는, 정지 위치(RP)에서, 사다리를 정지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사다리의 가로대와 결합된 개구를 갖는다.
고정 유닛(18)의 작동을 위한 작동 유닛(19)은 케이블 카(7)가 적절한 승강 위치(미도시)에 있을 때 케이블 카(7)로부터 고정 유닛(18)을 작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1 레버 요소(24a)를 갖는다. 제1 레버 요소(24a)는, 고정을 릴리스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도시된 예에서는, 고정 요소(18a)를 피벗회전 시키기 위해서, 케이블 당김부(cable pull) 또는 그에 상응하는 길이의 가요성 샤프트에 의해 고정 유닛(18)에 연결될 수 있다. 고정이 릴리스된 후에, 승강 장치(15)는 정지 위치(RP)로부터 대기 위치(BP)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특히 가장 낮은 횡단방향 빔(30)의 회전 축 주위로 피벗회전 될 수 있다.
고정 유닛(18)이 전기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경우, 작동 유닛(19)은 예를 들어 전기 라인에 의해 고정 유닛(18)에 연결된 전기 스위치일 수도 있다(물론 이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된다). 예를 들어, 전기적으로 작동 가능한 고정 유닛(18)의 무선 작동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작동 유닛(19)은, 예를 들어, 케이블웨이 지지대(1) 상의, 가령, 접근 유닛(4) 상의 적절한 지점에서 고정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는 라디오 스위치일 수 있다. 그러나, 상이한 위치로부터 고정 유닛(18)을 작동시키기 위해 여러 라디오 스위치가 제공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물론, 예를 들어 케이블 카(7)로부터 승강 장치(15)의 작동 또는 고정해제(unlocking)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휴대용 라디오 스위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대기 위치(BP)에서, 승강 장치(15) 또는 사다리는, 도 3에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접근 유닛(4)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 하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이동은 바람직하게는 단순히 중력에 의해 발생하며, 상기 실시예에서 승강 장치(15)가 정지 위치(RP)로부터 대기 위치(BP)로 이동하는 것을 제동하기 위해 제동 장치(미도시)가 제공되는 것이 특히 유리할 수 있다. 제1 실시예를 참조하여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제동 장치는 예를 들어 가스 압력 스프링으로 설계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자유 낙하에 상응하는 승강 장치(15)의 움직임에 반작용하는(counteract) 기계적 스프링을 제공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틀림 스프링이, 승강 장치(15)에 대한 피벗회전 축으로서 작용하는 가장 낮은 횡단방향 빔(30)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물론, 이것은 단지 예로서 이해되어야 하며 당업자는 또한 다른 적절한 제동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접근 유닛(4)으로부터 고정 유닛(18)을 작동시키기 위해 제2 레버 요소(24b)가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레버 요소(24b)는 고정 요소(18a) 상에 직접 배열될 수 있고 2개의 스텝(12) 사이에서 상부방향 또는 측방향으로(laterally)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승강 장치(15)가 대기 위치(BP)를 초과하여 이동되는(이 경우 수직으로부터 좌측으로 움직이는) 것을 제한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스톱 요소(미도시)가 승강 장치(15) 또는 접근 유닛(4) 상에 제공될 수 있다. 그 결과, 대기 위치(BP)에서 승강 장치(15)가 요동하는(swinging) 것을 감소할 수 있으며, 승강이 용이하게 되고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무 버퍼(rubber buffer) 형태의 하나 이상의 스톱 요소가 승강 장치(15) 또는 이 경우 사다리(대기 위치(BP)의 상단에서)에 제공될 수 있으며, 대기 위치(BP)에서, 이들 요소는 종방향 빔(11)의 하측 단부 또는 가장 낮은 횡단방향 빔(30)과 접촉한다. 물론, 대안으로 또는 그 외에도, 스톱 요소는, 또한, 사다리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하여, 종방향 빔(11) 또는 가장 낮은 횡단방향 빔(30)에 제공될 수 있다.
대기 위치(BP)에서 승강 장치(15)의 요동을 추가로 제한하기 위해, 승강 장치(15)를 대기 위치(BP)에 고정하는 개별 고정 장치(미도시)가 제공될 수도 있다. 그 결과, 승강 장치(15)의 이동이 최소화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 4의 수직으로부터 좌우측으로 최소화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승강 시에 안전성이 더욱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장치는 고정 유닛(18)과 유사하게 설계될 수 있다. 제1 실시예(도 1-3b)에 비해 승강 장치(15)의 제2 실시예(도 4)의 이점은, 예를 들어, 정지 위치(RP)에서 종방향 빔(11)을 따라 승강 장치(15)의 배열로 인해, 더 긴 승강 장치(15)가 사용될 수 있으며 케이블 카(7)로부터의 승강 및 케이블 카(7)로의 승강이 용이해 질 수 있다.
도 5a에서, 도 3의 승강 장치(15) 및 고정 유닛(18)이 상세하게 도시된다. 승강 장치(15)는 사다리의 형태로 설계되며 접근 유닛(4)에 피벗회전 가능하게 체결하기 위해 한쪽 단부에 체결 유닛(21)이 있다. 여기서 체결 유닛(21)은 사다리에 영구적으로 연결되는, 예를 들어, 나사, 용접, 리벳 등으로 고정되는 플레이트(21a)를 갖는다. 사다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는 플레이트(21a)의 상부 표면에는 2개의 구멍(21b)이 배열되며, 도 4를 참조하여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이 구멍들은 가장 낮은 스텝(12)의, 튜브로서 형성된 횡단방향 빔(30)에 피벗회전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제공된다. 구멍(21b)들은 체결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구멍(21b)의 단부들이 플레이트(21a)에서 적절한 개구를 통과하고, 예를 들어, 사다리를 향하는 플레이트(21a)의 하부 표면에 나사로 고정된다. 이것은, 먼저 횡단방향 빔(30)에 구멍(21b)을 배열한 다음, 플레이트(21a)의 개구를 통해 구멍의 단부를 안내하고 나사로 조임으로써, 승강 장치(15)를 조립하는 간단한 방법을 제공한다. 물론, 체결 유닛(21)의 이러한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로서 이해되어야 하며, 다른 체결 옵션, 예를 들어 제1 실시예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플레이트 형태의 체결 유닛(21)도 고려할 수 있다. 체결 유닛(21)은 또한 예를 들어 승강 장치(15)의 측면에 오직 2개의 볼트 또는 나사를 가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승강 장치(15)가 접근 유닛(4)에 관절 방식으로 연결된다.
플레이트(21a)의 하부 표면(구멍(21b)의 맞은편)에는, 작동 유닛(19)의 일부로서 제1 레버 요소(24a)가 제공된다. 제1 레버 요소(24a)는, 승강 장치(15)의 고정을 릴리스하기 위해서, 작동 수단(31), 가령, 케이블 당김부 또는 가요성 샤프트에 의해 고정 유닛(18)과 상호작동될 수 있다. 고정 요소(18a)는 접근 유닛(4) 상에 배열되며(도 3 참조), 승강 장치(15)의 고정을 릴리스 하기 위하여 접근 유닛(4)에 대해 피벗회전 될 수 있는 고정 요소(18a)를 갖는다. 고정 요소(18)는 접근 유닛(4) 또는 그 일부(예를 들어, 횡단방향 빔(30))에 직접 관절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혹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접근 유닛(4)에 견고하게 연결된 적절한 지지 요소(32) 상에 연결될 수 있다. 고정 요소(18a)는, 승강 장치(15)를 접근 유닛(4) 상에 고정하기 위하여, 정지 위치(RP)에서, 승강 장치(15)와 결합하는 개구(33)를 갖는다. 사다리의 경우, 예를 들어, 사다리의 가로대(16)가 개구(33)와 결합될 수 있다.
고정을 릴리스하기 위해, 고정 유닛(18)은 제1 레버 요소(24a)에 의해 케이블 카(7)로부터 작동될 수 있다. 그 결과, 고정 요소(18a)는 작동 수단(31)에 의해 고정 위치(VP)로부터 릴리스 위치(LP)로 피벗회전 되고, 승강 장치(15)는 릴리스되며 정지 위치(RP)로부터 대기 위치(BP)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요소(18a)의 회전 축은 횡단방향으로 배열되며, 실질적으로 횡단방향 빔(30)에 대해 평행하다. 이동은 바람직하게는 중력에 의해 자동으로 발생하며, 이동은 선택적인 제동 장치에 의해 제동될 수 있다.
고정 유닛(18)은 바람직하게는 고정 요소(18a)를 고정 위치(VP)로 예압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적절한 예압 요소(26)(미도시)를 갖는다. 적절한 기계적 스프링이 바람직하게는 예압 요소(26)로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비틀림 스프링이 고정 요소(18a)의 회전 축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 작동 수단(31)을 포함하는 제1 레버 요소(24a)가 시작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1 레버 요소(24a)가 적절한 예압 요소(26)를 갖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예압력(preloading force)이 충분히 크다면, 작동 수단(31) 및 제1 레버 요소(24a)의 재설정은 예를 들어 예압 요소(26), 특히 고정 요소(18a) 상의 스프링에 의해서만 발생할 수 있다. 레버 요소(24a) 대신에, 전기적으로 작동 가능한 고정 유닛(18)의 경우, 예를 들어, 스위치가 제공될 수 있거나 스위치는 레버 요소(24a)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그 다음, 스위치는 예를 들어 전기 라인을 통해 고정 유닛(18)에 연결될 수 있다.
대기 위치(BP)(도 4)로부터 정지 위치(RP)로의 승강 장치(15)의 이동은 바람직하게는 수동으로 수행되며, 적절한 수단, 가령, 케이블 당김부, 하나 이상의 스트랩, 핸들 등이 필요 시에 사용될 수 있다. 승강 장치(15)가 용이하게 뒤로 이동되어 정지 위치(RP)에서 잠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시된 예에서, 고정 요소(18a)는 경사진 표면(34)을 형성하는 웨지 형태의 섹션을 갖는다. 승강 장치(15)가 대기 위치(BP)로부터 정지 위치(RP)로 다시 이동하면, 승강 장치(15), 이 경우, 사다리의 마지막 가로대(16)는 고정 요소(18a)의 경사진 표면(34)(고정 위치(VP)에 위치된)과 접촉하게 된다. 알려진 웨지 효과(wedge effect)로 인해, 고정 요소(18a)는, 가로대(16)가 개구(33)와 결합하게 될 때까지, 가로대(16)에 의해 릴리스 위치(LP)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피벗회전 된다. 고정 요소(18a)는 예압 요소(26)(가령, 고정 요소(18a)의 회전 축의 비틀림 스프링)에 의해 다시 고정 위치(VP)로 이동되며, 승강 장치(15)는 고정된다.
제1 실시예를 참조하여, 이미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제한 요소(28)(미도시)는 승강 장치(15)가 정지 위치(RP)를 초과하여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하여 승강 장치(15) 및/또는 접근 유닛(4)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개구(33) 내에서 승강 장치(15)의 이동으로 인한 임의의 덜거덕거리는 소음을 줄이기 위해, 개구(33) 및 가로대(16) 사이의 주어진 유극(play)이 최소화될 수 있다. 물론, 센서 요소(29)가 승강 장치(15)의 위치를 탐지하기 위해 제2 실시예에서도 제공될 수 있다. 이 기능은 제1 실시예의 기능과 유사하고, 이러한 이유로 여기에서는 더 자세히 논의되지 않을 것이다.
도 5b는 고정 유닛(18)의 대안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고정 유닛은 접근 유닛(4)(미도시)에 체결되는 지지 요소(32)를 갖는다. 2개의 고정 유닛(18a)이 도 5a와 실질적으로 유사하게 설계된 지지 요소(32)에 제공된다. 도 5a에 따른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도 5a에서와 같이 횡단방향으로 연장되지 않고 접근 유닛(4)의 종방향 빔(11)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도 5b의 2개의 고정 요소(18a)는 각각 회전축 주위로 피벗회전 할 수 있다. 각각의 고정 요소(18a)는 접근 유닛(4) 상의 정지 위치(RP)에 승강 장치(15)를 고정하기 위해 승강 장치(15)와 결합될 수 있는 개구(33)를 갖는다. 그러나, 개구(33)는 사다리로서 설계되는 승강 장치(15)의 종방향 부재(15a)와 상호작동 되지만(interact), 앞에서와 같이, 사다리의 가로대(16)와는 상호작동 되지 않는다. 그러나, 작동 요소(19)(미도시)에 의한 작동에 관한 기능은, 도 5a에 따른 변형예와 상이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여기서는 더 상세하게 논의되지 않는다. 2중 고정(double locking)의 결과, 정지 위치(RP)에서 승강 장치(15)의 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미도시)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사다리 형태의 승강 장치(15)는 정지 위치(RP)에서 난간(13)의 외부에 측방향으로 배열되는데 즉 스텝(1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는 난간(13)의 측면에 배열된다. 체결 유닛(21)은, 예를 들어, 접근 유닛(4)에 피벗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플레이트이며, 피벗회전 축은 예를 들어 횡단방향 빔(30)에 대해 평행한 횡단방향으로 연장된다. 승강 장치(15)는 예를 들어 체결 유닛(21)의 적절한 리세스 내에서 체결 유닛(21)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승강 장치(15)의 두 축방향 단부가 체결 유닛(21)에 대해 지탱되는 두 위치 사이에서, 승강 장치(15)는 체결 유닛(21)의 리세스 내에서 앞뒤로 이동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승강 장치(15)를 정지 위치에서 난간(13)에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해 가이드 유닛(guide unit)이 난간(1)에 추가로 제공된다.
대기 위치(BP)로 이동하기 위해, 정지 위치(RP)로부터 시작하여, 승강 장치(15)는 먼저 난간(13)에 대해 이동될 수 있으며, 특히, 난간(13)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변위될 수 있다(displaced). 이 경우, 승강 장치(15)는 또한 예를 들어 리세스 내에서 체결 유닛(21)에 대해 변위된다. 이러한 변위(displacement)는, 정지 위치(RP)에서 체결 유닛(2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는 승강 장치(15)의 제1 축방향 단부가 체결 유닛(21)에 도달하고 바람직하게는 체결 유닛과 접촉할 때까지, 수행된다. 그 다음, 체결 유닛(21)이 피벗회전 되고, 그 결과 대기 위치(BP)에 도달한다.
마지막으로, 설명된 실시예는 단지 예로서 이해되어야 하며 제한적이지 않다는 것을 다시 주목해야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더하여, 당업자의 재량에 따라 추가 변형예도 물론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본 발명을 케이블웨이의 특정 조건, 예를 들어 다양한 형태의 접근 유닛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6)

  1. 사람이 올라가기 위한 접근 유닛(4)을 갖는 케이블웨이(2)의 케이블웨이 지지대(1)에 있어서, 사람이 케이블웨이(2)의 케이블 카(7)로부터 접근 유닛(4)으로 올라가거나 그 반대로 접근 유닛(4)으로부터 케이블 카(7)로 이동하기 위하여 승강 장치(15)가 케이블웨이 지지대(1) 상에 제공되며, 승강 장치(15)는 접근 유닛(4)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 유닛(21)에 의해 케이블웨이 지지대(1) 상에 배치되고, 승강 장치(15)는 접근 유닛(4)에 대해 승강 장치(15)가 접근 유닛(4) 상에 수용되는 정지 위치(RP)로부터 승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제공되는 대기 위치(BP)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웨이 지지대(1).
  2. 제1항에 있어서, 승강 장치(15)를 정지 위치(RP)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유닛(18)이 케이블웨이 지지대(1)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웨이 지지대(1).
  3. 제2항에 있어서, 고정 유닛(18)은 기계적으로, 유압적으로 또는 전기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웨이 지지대(1).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승강 장치(15)가 정지 위치(RP)에 고정된 것을 릴리스 하여, 승강 장치(15)를 정지 위치(RP)로부터 대기 위치(BP)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고정 유닛(18)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유닛(19)이 케이블웨이 지지대(1) 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웨이 지지대(1).
  5. 제4항에 있어서, 작동 유닛(19)은 케이블 카(7)로부터 고정 유닛(18)을 작동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1 레버 요소(24a)를 갖고, 작동 유닛(19)은 바람직하게는 접근 유닛(4)으로부터 고정 유닛(18)을 작동시키기 위해 제2 레버 요소(24b)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웨이 지지대(1).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작동 유닛(19)은 케이블 당김부 또는 가요성 샤프트 형태의 작동 수단(3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웨이 지지대(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승강 장치(15)는 중력에 의해 승강 장치(15)가 정지 위치(RP)로부터 대기 위치(BP)로 움직이는 것을 제동하기 위한 제동 장치를 가지며, 제동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기계식, 유압식 또는 공압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웨이 지지대(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블웨이 지지대(1)는, 승강 장치(15)의 위치를 탐지하기 위해 제공되는, 특히 승강 장치(15)가 정지 위치(RP)에 있는지를 탐지하기 위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요소(29)를 가지며, 센서 요소(29)는 케이블웨이(2)의 시스템 제어 유닛에 전송될 수 있는 센서 값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웨이 지지대(1).
  9. 제8항에 있어서, 센서 요소(29)는 고정 유닛(18)의 고정 상태, 특히 승강 장치(15)가 고정 유닛(18)에 의해 정지 위치(RP)에 고정되어 있는지를 탐지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웨이 지지대(1).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승강 장치(15)는 사람이 밟거나 및/또는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텝 요소 및/또는 고정 요소(16)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웨이 지지대(1).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승강 장치(15)의 길이가, 승강 장치(15)의 길이를 접근 유닛(4)와 케이블 카(7) 사이의 가변 거리에 꼭 맞도록(adapt) 하기 위해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웨이 지지대(1).
  12. 제10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승강 장치(15)는 사다리, 바람직하게는 텔레스코픽 사다리로 설계되고, 적어도 하나의 스텝 요소 및/또는 고정 요소(16)는 사다리의 가로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웨이 지지대(1).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난간(13)이 접근 유닛(4)에 제공되고 승강 장치(15)는 정지 위치(RP)에서 난간(1)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웨이 지지대(1).
  14. 케이블웨이(2)의 컨베이어 케이블을 안내하기 위한 다수의 케이블웨이 지지대(1) 및 컨베이어 케이블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카(7)를 갖는 케이블웨이(2)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승강 장치(15)가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웨이 지지대(1) 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웨이(2).
  15. 제14항에 있어서, 케이블웨이(2)는 케이블웨이(2)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제어 유닛을 갖고, 시스템 제어 유닛은, 케이블웨이(2)를 스위치 오프 하기 위하여 또는 센서 요소(29)가 정지 위치(RP)로부터 벗어나는 승강 장치(15)의 위치를 탐지할 때 및/또는 센서 요소(29)가 고정 유닛(18)에서 승강 장치(15)의 고정해제 상태를 탐지할 때 신호 장치를 통해 경고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센서 요소(2)의 센서 값을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웨이(2).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따른 케이블웨이(2)의 케이블 카(7)로부터 케이블웨이(2)의 케이블웨이 지지대(1)의 접근 유닛(4)으로 올라가거나 또는 그 반대로, 접근 유닛(4)으로부터 케이블 카(7)로 이동되는 것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케이블 카(7)는 승강 위치로 이동되며, 케이블 카(7)로부터 또는 접근 유닛(4)으로부터, 케이블웨이 지지대(1)의 승강 장치(15)는 정지 위치(RP)로부터 대기 위치(BP)로 이동되고, 사람이 승강 장치(15)에 의해 케이블 카(7)로부터 접근 유닛(4)으로 올라가거나 혹은 그 반대로 접근 유닛(4)으로부터 케이블 카(7)로 이동하며, 접근 유닛(4)으로부터 또는 케이블 카(7)로부터, 승강 장치(15)는 승강 후에는 바람직하게는 대기 위치(BP)로부터 다시 정지 위치(RP)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217035757A 2019-04-02 2020-03-31 승강 장치를 포함하는 케이블-카 지지대 KR202101482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50283/2019A AT522165B1 (de) 2019-04-02 2019-04-02 Seilbahnstütze mit einer Überstiegsvorrichtung
ATA50283/2019 2019-04-02
PCT/EP2020/059051 WO2020201254A1 (de) 2019-04-02 2020-03-31 Seilbahnstütze mit einer überstiegsvorricht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8282A true KR20210148282A (ko) 2021-12-07

Family

ID=70224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5757A KR20210148282A (ko) 2019-04-02 2020-03-31 승강 장치를 포함하는 케이블-카 지지대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230057771A1 (ko)
EP (1) EP3947096B1 (ko)
JP (1) JP7250164B2 (ko)
KR (1) KR20210148282A (ko)
CN (1) CN113727903B (ko)
AT (1) AT522165B1 (ko)
AU (1) AU2020254951A1 (ko)
CA (1) CA3135820A1 (ko)
ES (1) ES2930296T3 (ko)
MA (1) MA55509A (ko)
PL (1) PL3947096T3 (ko)
WO (1) WO20202012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35033A (zh) * 2022-04-29 2022-07-12 北京起重运输机械设计研究院有限公司 走台装置及索道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0472Y2 (ko) * 1981-01-22 1987-10-16
JP4404281B2 (ja) * 1999-11-11 2010-01-27 日本ケーブル株式会社 ロープウェイの搬器
EP1149749A1 (de) * 2000-04-28 2001-10-31 High Technology Investments B.V. Bergewagen und Bergeseilbahn
FR2914261B1 (fr) * 2007-03-27 2009-05-22 Pomagalski Sa Dispositif mecanique de guidage d'un cable aerien d'une installation de remontee mecanique et procede d'utilisation
FR2920123B1 (fr) * 2007-08-20 2009-10-09 Pomagalski Sa Vehicule d'intervention le long d'un cable aerien d'une installation de remontee mecanique
CN102316947A (zh) * 2009-02-12 2012-01-11 W·J·基钦 悬索式游乐设施
FR2972986B1 (fr) * 2011-03-23 2013-04-26 Pomagalski Sa Installation de transport par cable aerien munie d'un vehicule de maintenance
JP2013086935A (ja) 2011-10-19 2013-05-13 Hitachi Ltd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
FR3006653B1 (fr) * 2013-06-05 2016-07-29 Pomagalski Sa Dispositif de maintenance d'une installation de transport par cable aerien, notamment un telesiege ou telecabine
AT514516B1 (de) * 2013-07-11 2015-05-15 Innova Patent Gmbh Vorrichtung zum Auswechseln von Rollenbatterien
CN108583586B (zh) * 2018-05-28 2024-01-19 中建空列(北京)科技有限公司 用于空铁系统的逃生装置及空铁系统
CN208498482U (zh) * 2018-07-19 2019-02-15 北京起重运输机械设计研究院有限公司 索道检修缆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27811A (ja) 2022-06-06
JP7250164B2 (ja) 2023-03-31
CN113727903B (zh) 2023-11-24
CN113727903A (zh) 2021-11-30
AT522165B1 (de) 2020-09-15
AT522165A4 (de) 2020-09-15
EP3947096A1 (de) 2022-02-09
EP3947096B1 (de) 2022-09-07
WO2020201254A1 (de) 2020-10-08
US20230057771A1 (en) 2023-02-23
AU2020254951A1 (en) 2021-11-11
PL3947096T3 (pl) 2023-03-13
CA3135820A1 (en) 2020-10-08
MA55509A (fr) 2022-02-09
ES2930296T3 (es) 2022-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2634B2 (en) Amusement ride employing a suspended tensioned static cable
JP2789052B2 (ja) 架空索道設備
EP3686075B1 (en) Cable transportation system
US20050247517A1 (en) Mobile mount for attachment of a fall arrest system
CA2930301C (en) Rescue elevator system
US20090050012A1 (en) Maintenance vehicle for operations along an aerial ropeway of a mechanical lift installation
CN112777455B (zh) 电梯轿厢
KR20220157977A (ko) 케이블 카 안정장치를 구비한 삭도
KR20210148282A (ko) 승강 장치를 포함하는 케이블-카 지지대
US20040262086A1 (en) High-rise, fire-fighting, rescue and construction equipment
KR100622395B1 (ko) 자기부상열차 선로에 설치되는 추락방지용 안전 난간구조물
RU2772495C1 (ru) Опора канатной дороги, имеющая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хода
US20230242162A1 (en) Cableway Vehicle Having Crossing Apparatus
KR102553292B1 (ko) 전차선로 보수용 절연 사다리차
RU210356U1 (ru) Площадка передвижная с лестницей для входа в кабину машиниста и обслуживания подвижного состава
WO2014021213A1 (ja) 軌条車両に備えられる避難装置
CA2466718C (en) Mobile mount for attachment of a fall arrest system
IT202100018992A1 (it) Un dispositivo rulliera per supportare una fune traente di un impianto di trasporto aereo a fune e un impianto di trasporto aereo a fune comprendente almeno un tale dispositivo rullie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