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7539Y1 - 지하철 비상대피용 통로 - Google Patents

지하철 비상대피용 통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7539Y1
KR200357539Y1 KR20-2004-0011980U KR20040011980U KR200357539Y1 KR 200357539 Y1 KR200357539 Y1 KR 200357539Y1 KR 20040011980 U KR20040011980 U KR 20040011980U KR 200357539 Y1 KR200357539 Y1 KR 2003575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emergency
vehicle
subway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19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룡
김동규
Original Assignee
(주)탑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탑스코 filed Critical (주)탑스코
Priority to KR20-2004-00119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75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75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75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1/00Rescue devices or other safety devices, e.g. safety chambers or escape way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2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rigidly mou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하철의 비상사태 때 용이하게 차량에서 선로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한 통로에 관한 것으로서, 지하철의 차량이 운행하는 역과 역사이의 선로 양측에 차량의 출입문과 동일한 높이의 이동 통로를 형성하여 비상 시 출입문을 수동으로 열었을 때 비상통로가 출입문과 동일높이에 있음으로 선로로 뛰어 내리지 않고도 신속하게 차량에서 탈출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어린이나 여성 및 노약자도 손쉽게 탈출함으로 인명사고의 발생을 최소화하며 탈출 후 이동시에도 통로를 따라 이동하게 함으로 신속하게 이동하여 인명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지하철 비상대피용 통로를 제공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지하철 비상대피용 통로{a emergency passageway}
본 고안은 지하철의 비상사태 때 용이하게 차량에서 선로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한 통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하철 차량의 비상정지 시에 차량 내부의 탑승객이 문을 수동으로 열고 선로로 대피할 때 차량의 출입문 높이로 대피 통로를 형성함으로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대피하여 인명사고를 최소화하도록 하는 지하철 비상대피용 통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은 역과 역의 사이에는 사람이 통행하지 못하게 하고 상기역과 역 사이에 차량이 비상 정지하여 승객을 내리게 할 때에는 자동 출입문을 수동으로 전환한 후 선로에 뛰어내리게 하여 대피시켜 왔으며, 이러한 승객을 다시 선로에서 안전하게 대피시키는 방재시설로서는 일정거리에 비상탈출구를 형성하여 상기 비상탈출구로 대피 승객을 대피시켜 왔었다.
그러나, 차량이 비상정지를 한 후 승객을 대피시킬 때 차량이 역에 정차하였을 경우에는 차량의 출입문과 역의 승강장이 동일한 높이기 때문에 대피하는데 별반 어려움이 발생하지 않으나, 역과 역 사이에 정지하였을 경우에는 선로 바닥과 출입문의 높이가 1M 이상의 차이가 있게 됨으로 좁은 곳에서 뛰어내려야 함으로 다치는 경우가 발생하고 여성이나 어린이 및 노약자의 경우에는 옆에서 보조하는 사람이 없는 경우에는 신속하게 뛰어내릴 수 없어 많은 사상자가 발생하고, 또한 선로가 어둡기 때문에 차량에서 탈출하였다 할 지라도 신속히 이동할 수 없고 선로에는 레일을 받쳐주는 침목이 형성되어 있어 신속한 이동에 방해를 주어 많은 인명피해가 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지하철의 역과 역 사이의 공간에서 차량이 멈춰 섰을 때 승객을 신속하게 대피시키고자 고안한 것으로서, 지하철의 차량이 운행하는 역과 역사이의 선로 양측에 차량의 출입문과 동일한 높이의 이동 통로를 형성하여 비상 시 출입문을 수동으로 열었을 때 비상통로가 출입문과 동일높이에 있음으로 신속하게 차량에서 탈출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어린이나 여성 및 노약자도 손쉽게 탈출함으로 인명사고의 발생을 최소화하며 탈출 후 이동시에도 통로를 따라 이동하게 함으로 신속하게 이동하여 인명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지하철 비상대피용 통로를 제공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통로 (2)측벽 (3) 선로
(4) 차량 (5) 출입문 (10) 틀
(11) 보강대 (12) 바닥 (13) 지지대
(14)사다리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형의 터널의 바닥에 선로(3)가 형성된 지하철 운행구간의 측벽(2)에 지하철 차량(4)의 출입문(5)과 동일한 높이로 통로(1)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통로(1)는 측벽(2)에 고정하는 지지대(13)에 의하여 지지하며, 사각의 틀(10)에 보강대(11)를 내부에 형성하여 사람이 걷거나 뛰어도 견딜 수 있게 하고, 상기 보강대(11)의 상부에 격자무늬의 익스펜드 메탈로 바닥(12)을 형성하여 미끄럼을 방지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통로(1)에 일정한 간격으로 사다리(14)를 형성하여 통로에서 선로(3)로 손쉽게 내려갈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하철 차량(4)이 운행하는 선로(3)의 측벽(2)에 차량(4)의 출입문(5)의 바닥과 동일한 높이로 지지대(13)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지지대(13)의 상부에는 보강대(11)가 중앙에 형성되고 보강대(11)의 상부에는 미끄럼을 방지하는 익스펜드 메탈로 바닥(12)을 구비한 틀(10)을 고정시켜 통로(1)를 형성하고 통로(1)의 일정한 간격으로 사다리(14)를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통로(1)가 설치된 상태에서 지하철 차량(4)이 비상사태에 의해서 선로(3)에 멈추어서 승객을 하차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차량의 출입문(5)을 수동으로 열고 하차시키면 되는 바, 이때에 통로(1)가 출입문(5)의 바닥과 동일한 높이로 설치되어 있어 승객이 하차할 때 용이하게 하차할 수 있는 것이며, 특히 여성이나 어린이 및 노약자의 경우에도 신속히 하차하여 이동할 수 있음으로 차량(4)의 비상사태에 의해서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통로(1)의 바닥(12)은 격자무늬의 익스펜드 메탈로 형성되어 있음으로 탈출한 승객이 신속하게 움직일 수 있어 차량으로부터 멀리 떨어질 수 있는 것이며, 승객이 안전하게 대피하여 승강장으로 이동 할 때에는 사다리(14)를 통해서 선로(3)에 내려간 다음 승강장으로 올라가서 대피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운행구간의 측벽(2)에 지지대(13)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대(13) 상부에 바닥(12)을 놓아두는 것만으로 통로(1)를 설치할 수 있어 설치가 간편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지하철 차량이 운행중인 구간의 측벽에 차량의 출입문과 동일한 높이로 통로를 설치함으로써 화재와 같은 차량의 비상사태 시 승객이 선로에 뛰어내리지 않아도 됨으로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피시킬 수 있어 인명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고 시공이 간편하여 단시일 내에 통로를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Claims (3)

  1. 원형의 터널의 바닥에 선로가 형성된 지하철 운행구간의 측벽에 지하철 차량의 출입문 바닥과 동일한 높이로 통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비상대피용 통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측벽에 고정하는 지지대에 의하여 지지하며, 사각의 틀에 보강대를 내부에 형성하여 사람이 걷거나 뛰어도 견딜 수 있게 하고, 상기 보강대의 상부에 격자무늬의 익스펜드 메탈로 바닥을 형성하여 미끄럼을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비상대피용 통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에 일정한 간격으로 사다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비상대피용 통로.
KR20-2004-0011980U 2004-04-29 2004-04-29 지하철 비상대피용 통로 KR2003575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980U KR200357539Y1 (ko) 2004-04-29 2004-04-29 지하철 비상대피용 통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980U KR200357539Y1 (ko) 2004-04-29 2004-04-29 지하철 비상대피용 통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7539Y1 true KR200357539Y1 (ko) 2004-07-27

Family

ID=49434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1980U KR200357539Y1 (ko) 2004-04-29 2004-04-29 지하철 비상대피용 통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753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954B1 (ko) 2009-06-04 2009-11-17 주식회사 성신창업 발판 고정을 위한 락수단 및 이를 구비하는 대피통로
KR101840408B1 (ko) 2017-12-18 2018-03-26 정병율 올인원 수직이동 시스템을 포함하는 대심도 정거장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954B1 (ko) 2009-06-04 2009-11-17 주식회사 성신창업 발판 고정을 위한 락수단 및 이를 구비하는 대피통로
KR101840408B1 (ko) 2017-12-18 2018-03-26 정병율 올인원 수직이동 시스템을 포함하는 대심도 정거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2535B1 (ko) 이동 플랫폼 및 발판을 구비한 철도차량
KR20090076879A (ko) 궤도차량 시스템의 안전대피통로
JP2008120555A (ja) エレベータの脱出装置
KR200357539Y1 (ko) 지하철 비상대피용 통로
KR20110074646A (ko) 레일차량에 구비되는 피난장치 및 그 피난장치의 레일차량에 대한 고정방법
US9327943B2 (en) Stairwell lift
KR101040601B1 (ko) 철도차량의 비상창문용 탈출장치
TW200305535A (en) Elevator device
KR102497920B1 (ko) 비상도어 기능을 갖는 광고판 설치 승강장 스크린 도어
KR20150145702A (ko) 엘리베이터의 구출 장치 및 엘리베이터
RU2391284C2 (ru) Подъем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обслуживания высотных сооружений
KR100794932B1 (ko) 승강장 안전도피 계단장치
KR100605541B1 (ko) 3단 슬라이딩 레일을 이용한 지하철 피난계단
KR102373913B1 (ko) 리프트 카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장치
JP2006027808A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6145092A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605311B1 (ko) 승하강식 안전난간
JPH0812229A (ja) エレベーター
JP2005132320A (ja) 電車と駅のホーム間転落防止装置
JP5793097B2 (ja) 避難装置を備える軌条車両および避難装置の固定方法
CN112607559B (zh) 电梯轿厢和操作电梯轿厢的方法
JPH01281276A (ja) エレベータの乗客避難装置
KR101764740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문 조립체의 상부 이탈방지구조
KR101877956B1 (ko) 평형 안정성과 내풍압성을 향상시키고 빗물 침투 및 결빙을 방지할 수 있는 헬리포트용 엘리베이터
JP5280017B2 (ja) エスカレータ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