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4932B1 - 승강장 안전도피 계단장치 - Google Patents

승강장 안전도피 계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4932B1
KR100794932B1 KR1020050094880A KR20050094880A KR100794932B1 KR 100794932 B1 KR100794932 B1 KR 100794932B1 KR 1020050094880 A KR1020050094880 A KR 1020050094880A KR 20050094880 A KR20050094880 A KR 20050094880A KR 100794932 B1 KR100794932 B1 KR 100794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escape
staircase
stairs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4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3461A (ko
Inventor
권정우
Original Assignee
권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정우 filed Critical 권정우
Priority to KR1020050094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4932B1/ko
Publication of KR20050103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3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4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4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KAUXILIAR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L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K13/00Other auxiliaries or accessories for railways
    • B61K13/04Passenger-warning devices attached to vehicles; Safety devices for preventing accidents to passengers when entering or leaving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Transport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장의 도피구 내측벽에 설치되는 레일과; 레일을 따라 출몰가능하게 가설되는 계단과; 계단을 출몰 가능하게 하는 구동수단을 구비하여 열차 또는 지하철 승강장(flat-form)의 하부 도피구 내부에 외부로 출몰자재하게 계단을 착설하여 철로 상에 승객 등이 추락 사고시 안전하고 신속하게 승강장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역 구내 승강장 주변에서 철로 보선작업 시행중 열차가 진입할 때 작업자가 간편하게 인출 조작하여 안전하게 승강장 등으로 도피할 수 있게 하여 줌으로서 역 구내로의 열차진입에 따른 안전사고에 대처할 수 있게 한 승강장 안전도피 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상계단, 전철, 열차, 승강장, 플랫폼

Description

승강장 안전도피 계단장치{A safty escape steps for flat-form of rail road st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일부 절개 사시도로서,
도 3은 본 발명의 계단이 플랫폼에 수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인출 사용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레일부분을 나타낸 정면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계단 2,3: 체결부 4,5: 재치면부
6,7: 스톱퍼돌기 8,9: 측면지지간 10: 계단발판
11,12: 가이드핸들 20,30: "ㄱ"형 취부브라켓 21,31: 앵커볼트
40,50: 레일 41,51: 레일부 42,52: 제1런너부
43,53: 제2런너부 100: 승강장 플랫폼 101: 도피구
102,103: 볼트 104: 철로레일
본 발명은 열차 또는 지하철 승강장(flat-form)의 하부 도피구 내부에 외부로 출몰자재하게 계단을 착설하여 철로 상에 승객 등이 추락 사고시 안전하고 신속하게 승강장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역 구내 승강장 주변에서 철로 보선작업 시행중 열차가 진입할 때 작업자가 간편하게 인출 조작하여 안전하게 승강장 등으로 도피할 수 있게 하여 줌으로서 역 구내로의 열차진입에 따른 안전사고에 대처할 수 있게 한 승강장 안전도피 계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승강장의 도피구 내측벽에 설치되는 레일과; 레일을 따라 출몰가능하게 가설되는 계단과; 계단을 출몰 가능하게 하는 구동수단을 구비하여서 되는 승강장 안전도피 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열차, 지하철역 구내의 승강장은 열차나 전동차의 길이에 대응하여 통상 100m 이상의 긴 길이의 플랫폼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고, 승강장의 플랫폼은 열차나 전동차의 출입문과 대응하는 높이로 지상과 떨어져 높게 형성되어 있으며, 플랫폼의 하부는 승객의 추락으로 인한 안전사고나 선로 보선작업시 열차나 전동차의 진입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하여 안전도피구가 플랫폼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열차, 지하철역 구내의 승강장은 러시아워와 같이 많은 승객이 일시에 몰려 혼잡한 경우, 또는 승객-특히 노약자나 취객이 자신의 부주의나 다 른 승객과의 충돌로 인하여 철로로 추락하여 부상을 입을 위험요소가 상당히 많은 것도 현실이다.
따라서 선로 상에 사람이 추락한 경우, 플랫폼의 높이가 철로로부터 상당히 높은 위치에 존재하므로 부상 여부에 관계없이 추락한 사람 스스로 자신의 혼자힘으로는 플랫폼으로 올라오기가 상당히 어려워 선로를 통해 긴 거리의 플랫폼을 따라 이동하여 플랫폼 양단측에 가설된 비상계단을 통하여 올라와야 됨으로써 선로를 탈출하기 위하여서는 긴 거리를 이동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으며, 추락한 사람이 부상을 입은 경우에는 부상자 스스로 선로를 탈출하거나 도피구로 회피할 수 없는 위급한 상황이 전개되고 이 경우 안전 요원이나 주변의 다른 승객이 선로로 뛰어 들어 부상자를 구출하거나 도피시켜야 하는데 이때에도 플랫폼의 높이가 상당히 높아 부상자를 플랫폼으로 올려 탈출시키기가 매우 어려운 상황이 전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열차나 전동차가 역 구내 승강장으로 진입하는 경우에는 이에 대응하여 도피할 수 없는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여 부득이 좁은 플랫폼의 도피구 내로 피신하여 열차나 전동차의 통과를 기다리게 되어 인명 구출작업이 지체되는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을 뿐만 아니라, 도피구의 내부 공간이 좁아 도피자의 의복이나 사지 등이 도피구 외부로 돌출되는 상태가 되면 진입하는 열차나 전동차에 의하여 귀중한 인명에 치명적인 상해를 입게 되는 위험이 발생할 소지가 상당히 높고, 다행히 열차나 전동차의 진입이 없다 하더라도 추락하여 부상당한 승객을 운반하거나 도피함에 있어서 선로를 통해 긴 거리의 플랫폼을 따라 이동하여 플랫폼 양단측에 가설된 비상계단을 통하여 올라와야 됨으로써 추락한 인명을 구출하는데에도 시간 이 많이 지체되고 많은 인력이 요구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어 추락에 의한 안전사고 후처리에도 많은 불편과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열차 또는 지하철역 구내의 승강장 부근의 철로에서 보선작업을 하는 경우에도 역 구내로 열차나 전동차가 진입할 경우 작업자는 반대편 선로로 도피하여 열차의 통과를 기다리는 실정이며, 양방향 차선의 철로로 열차나 전동차가 동시에 진입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부득이 플랫폼 하부의 도피구 내부의 좁은 공간으로 몸을 꾸부리고 기어들어가 열차나 전동차의 통과를 기다리게 되어 도피 동작이 매우 불편하고 자칫 도피구 외부로 돌출되는 장애물(의복이나 사지 도는 작업구)에 의하여 열차나 전동차로 끌려 들어갈 위험도 내포하고 있어 안전사고가 유발될 소지가 있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과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열차 또는 지하철역 구내의 승강장의 플랫폼으로부터 승객이 철로 상으로 추락한 경우 추락한 승객 자신의 힘으로 플랫폼의 도피구로부터 계단을 인출시켜 사용하게 함으로서 추락한 승객이 신속하고 안전하게 플랫폼으로 탈출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승강장 안전도피 계단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철로로 추락한 승객이 부상을 입었을 경우에도 주위의 승객이나 안전요원이 철로로 뛰어내려 플랫폼의 도피구로부터 계단을 인출하고 계단을 통해 부상한 승객을 안전하게 도피시켜 부상 승객의 탈출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수행하여 안전 사고 후의 처리와 처치를 신속하게 수행하게 하여 줌으로서 귀중한 인명의 구난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승강장 안전도피 계단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열차나 전동차의 역 구내 철로의 보선작업시 역 구내로 열차나 전동차가 진입할 때 작업자가 보다 안전하고 넓은 플랫폼으로 도피하게 하여 줌으로써 선로보수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작업환경을 현저하게 향상시켜 개선할 수 있게 한 승강장 안전도피 계단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승강장의 플랫폼의 구조를 변경함이 없이 기존의 플랫폼 하부의 도피구상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여 과다한 설치비 등의 공사비 부담없이 경제적인 염가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승강장 안전도피 계단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승강장의 플랫폼 하부 도피구의 측벽 상에 취부되는 2단 인출의 런너를 구비한 레일과; 레일을 따라 도피구로부터 출몰하는 계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일부 절개 사시도로서, 도 3은 본 발명의 계단이 플랫폼에 수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인출 사용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레일부분을 나타낸 정면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피용 계단(1)은 열차나 전동차 역 구내의 승강장 플랫폼(100)의 하부에 형성된 기존의 도피구(101) 내부 공간의 상판(102) 저면에 설치되어 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피구(101) 내부 공간의 플랫폼(100) 저면 양측에는 "ㄱ"형취부브라켓(20),(30)이 앵커볼트(21),(31)에 의하여 평행하게 고정 설치되고, 양측의 "ㄱ"형 취부브라켓(20),(30)에는 각각 레일(40),(50)이 착설되어 있다.
상기한 레일(40),(50)은 "ㄱ"형 취부브라켓(20),(30)에 취부되어 고정되는 레일부(41),(51)와 2중으로 슬라이딩 신축가능한 상태로 설치된 제1런너부(42),(52) 및 제2런너부(43),(53)로 구성되어, 제1런너(42),(52)는 외력에 의하여 레일부(41),(51)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며, 제2런너부(43),(53)는 제1런너부(42),(52)를 따라 이동하여 제1런너부(42),(52)를 따라 전진하거나 후진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레일(40),(50)에 계단(1)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도피구(101) 전방으로 출몰가능하게 가설된다.
상기한 계단(1)은 상부에 상기한 레일(40),(50)의 제2런너부(42),(52)에 볼트(102),(103)로 체결되는 체결부(2),(3)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철로레일(104)의 상부면에 재치되어 계단(1)의 하부를 안정되게 지지하는 재치면부(4),(5)와 철로레일(104) 외측면에 접촉하여 계단(1)의 과다 인출을 방지하는 스톱퍼돌기(6),(7)이 형성된 측면지지간(8),(9)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지지간(8),(9) 사이에는 표면을 논슬립돌기 처리한 계단발판(10)이 복수개 가설되어 있으며, 측면지지간(8),(9)의 상, 하부 체결부(2),(3) 및 재치면부(4),(5) 상에는 계단(1)의 인출 및 수납작동을 겸하는 가이드핸들(11),(12)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좁은 공간의 철도나 지하철역의 승강장 플랫폼(100)의 하부 도피구(101) 내에 일정간격으로 임의의 수 복수로 가설하여 러시아워와 같이 혼잡한 경우, 또는 유아, 노약자, 취객 등등의 승객의 사고로 철로 상으로 추락하였을 때, 승객이 부상을 입지 않았을 경우 추락한 승객이 도피구(101) 내에 안착되어 위치하는 계단(1)의 양측 측면지지간(8),(9)의 가이드핸들(11),(12)을 잡고 철로레일(104) 측으로 당기면 계단(1)이 레일(40),(50)를 따라 이동되어 외부로 인출되어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계단(1)의 체결부(2),(3)는 레일(40),(50)의 제2런너부(43),(53)에 착설되어 있고, 제2런너부(43),(53)는 제1런너부(42),(5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2중 동작하게 결합하여 있음으로써, "ㄱ"형 취부브라켓(20),(30)에 착설된 레일(40),(50)의 레일부(41),(42)에는 제1런너부(42),(52)가 슬라이딩 되어 조작자의 힘으로 강제 전후 운동하고, 제1런너부(42),(52)에 다시 슬라이딩 되게 설치된 제2런너부(43),(53)은 제1런너부(42),(52)에 랫치 결합하고, 랫치의 전, 후측에 압압돌기를 형성한 스프링을 설치하여 제2런너부(43),(53)이 제1런너부(42),(52)의 중앙 랫치를 통과하는 순간 전방의 스프링(도시 없음)이 제2런너부(43),(53)을 후방으로 밀어줌과 동시에 이 탄발력으로 제1런너부(42),(52)도 제2런너부(43),(53)를 따라 도피구(101) 내로 진입하여 계단(1)을 도피구(101) 내로 신속하게 이동시키고 이와 반대로 계단(1)을 앞으로 당기면(철로 측에서 견인하면) 상기와 반대작동으로 제2런너부(43),(53)가 먼저, 제1런너부(42),(52)를 타고 이동한 후 랫치를 통과하는 순간 후방의 스프링(도시 없음)이 제2런너부(43),(53)를 전방으로 밀어주어 철로레일(104) 측으로 출현하여 철로레일(104)에 계단(1)이 연착하게 되어 적은 힘으로 계단(1)을 충분한 거리로 신속하게 인출하게 되며, 사용자가 과다한 힘으로 계단(1)을 인출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계단(1)을 전부 인출하면 계단(1)은 양측의 측면지지간(8),(9)의 하방 스톱퍼돌기(11),(12)가 철로레일(104)의 일측면과 접촉하여 과다히 인출되어 계단(1)이 레일(40),(50)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음과 동시에 스톱퍼돌기(6),(7) 상부 전방의 재치면부(4),(5)가 철로레일(104)의 상면에 당접하여 재치되어 지지가 되게 됨으로써, 계단(1)이 지상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다 하더라도 계단(1)은 상당한 하중을 지탱할 수 있게 되어 추락한 승객이 추락위치에서 가장 근접한 위치의 계단(1)을 인출하여 안정된 상태로 사용하여 안전한 승강장의 플랫폼(100)으로 탈출할 수 있게 되며, 추락한 승객이 부상을 입어 거동이 불가능하거나 어린이, 노약자 또는 취객 등 거동에 많은 제약을 받는 승객의 경우에 안전요원 또는 주변의 승객이 철로로 진입하여 상기와 같은 동작으로 계단(1)을 인출한 다음, 추락한 부상자, 노약자, 취객 등을 부축하여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으며, 탈출이 완료되면, 승강장의 플랫폼(100)상에서 인출된 계단(1)의 측면지지간(8),(9)의 가이드핸들(11),(12)를 잡고 도피구(101) 내로 후진시키면 계단(1)은 2중 작동의 레일(40),(50)의 작동에 의하여 적은 힘으로 진입시키게 되며, 일단 도피구(101)의 공간 내부로 진입한 후에는 레일(40),(50)의 제1런너부(42),(52)와 제2런너부(43),(53)의 상호 중첩되어 계단(1)이 진입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면서 안정된 상태로 진입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갚은 본 발명에 있어, 안전장치는 여하한 조건이나 환경 속에서도 작동하여야 하고, 장기간 고장이 없는 상태를 요구하게 되므로, 상기와 같이 추락한 승객 스스로 또는 안전요원, 승무원, 주변의 승객 등 인위적인 조작에 의한 기구적인 작동을 요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레일(40),(50)에 설치된 계단(1)을 유, 공압실린더수단, 모우터에의 구동 등등 전기적 또는 유체공학상태로 전후진 시켜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이러한 구동수단의 변경은 동일한 기술범주에 속함은 너무나 자명하다.
또한,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철도나 지하철역의 승강장 플랫폼에 설치하여 철로로 추락한 승객을 구출하여 철로로부터 추락한 근거리에서 신속하게 안전한 플랫폼으로 탈출시키는 경우를 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됨이 없이 플랫폼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의 공간을 갖는 아파트 1층의 베란다와 같이 곳에서 간단히 설치하여 1층 베란다의 근접 화단으로의 출입도 가능하게 할 수 있어 아파트 건축용으로도 광범위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열차 또는 지하철역 구내의 승강장의 플랫폼으로부터 승객이 철로 상으로 추락한 경우 추락한 승객 자신의 힘 또는 주위의 승객이나 안전요원이 도움으로 추락한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의 계단을 인출하고 계단을 통해 부상한 승객을 안전하게 도피시켜 줄 수 있게 하여 추락승객이나 추락하여 부상당한 승객의 탈출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수행하여 안전 사고 후의 처리와 처치를 신속하게 수행하게 하여 줌으로서 귀중한 인명의 구난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열차나 전동차의 역 구내 철로의 보선작업시 역 구내로 열차나 전동차가 진입할 때 작업자가 보다 안전하고 넓은 플랫폼으로 도피하게 하여 줌으로써 선로보수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작업환경과 능률을 현저하게 향상시켜 개선할 수 있으며, 기존의 승강장의 플랫폼의 구조를 변경함이 없이 기존의 플랫폼 하부의 도피구상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여 과다한 설치비 등의 공사비 부담 없이 경제적인 염가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의 여러 가지 특징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Claims (3)

  1. 플랫폼(100)의 도피구(101) 내부 공간의 플랫폼(100) 저면 양측에 레일(40),(50)을 는 취부하기 위한 "ㄱ"형취부브라켓(20),(30)과;
    "ㄱ"형 취부브라켓(20),(30)에 취부되어 고정되는 레일부(41),(51)와 2중으로 슬라이딩 신축가능한 상태로 설치된 제1런너부(42),(52) 및 제2런너부(43),(53)로 구성되고, 제1런너(42),(52)는 외력에 의하여 레일부(41),(51)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며, 제 2 런너부(43),(53)는 제1런너부(42),(52) 내에서 제1런너부(42),(52)를 따라 전진하거나 후진하게 한 레일(40),(50)과;
    상부에 상기한 레일(40),(50)의 제2런너부(42),(52)에 체결되는 체결부(2),(3)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철로레일(104)의 상부면에 재치되어 계단(1)의 하부를 안정되게 지지하는 재치면부(4),(5)와 철로레일(104) 외측면에 접촉하여 계단(1)의 과다 인출을 방지하는 스톱퍼돌기(6),(7)이 형성된 측면지지간(8),(9)과 측면지지간(8),(9)의 상, 하부 체결부(2),(3) 및 재치면부(4),(5)상에는 계단(1)의 인출 및 수납작동을 겸하는 가이드핸들(11),(12)이 구비된 계단(1)을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안전도피 계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계단(1)의 출몰 구동작동을 가이드핸들(11),(12)에 의하여 인위적으로 수행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안전도피 계단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레일(40),(50)에 설치된 계단(1)을 유압 실린더, 공압 실린더 또는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전, 후진 시켜주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안전도피 계단장치.
KR1020050094880A 2005-10-10 2005-10-10 승강장 안전도피 계단장치 KR100794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4880A KR100794932B1 (ko) 2005-10-10 2005-10-10 승강장 안전도피 계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4880A KR100794932B1 (ko) 2005-10-10 2005-10-10 승강장 안전도피 계단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8839U Division KR200404817Y1 (ko) 2005-10-10 2005-10-10 승강장 안전도피 계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3461A KR20050103461A (ko) 2005-10-31
KR100794932B1 true KR100794932B1 (ko) 2008-01-21

Family

ID=37281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4880A KR100794932B1 (ko) 2005-10-10 2005-10-10 승강장 안전도피 계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49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4889A (ko) * 2012-12-27 2014-07-07 서울메트로 승강장 설치용 회전식 선로 출입계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93044B (zh) * 2013-12-05 2020-09-01 金华职业技术学院 一种用于地铁站台的逃生洞
KR101590182B1 (ko) * 2014-02-26 2016-02-12 (주)화담알앤알 지하철 구난 차량용 안착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700126A (ko) * 1983-11-17 1985-10-25 레그랑 삐에르 대중 수송차량의 운반장치
KR960704750A (ko) * 1994-07-26 1996-10-09 미첼 존 뉴스테드 문 턱
KR20020033331A (ko) * 2000-10-30 2002-05-06 정희종 전동차 승강장의 발 빠짐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700126A (ko) * 1983-11-17 1985-10-25 레그랑 삐에르 대중 수송차량의 운반장치
KR960704750A (ko) * 1994-07-26 1996-10-09 미첼 존 뉴스테드 문 턱
KR20020033331A (ko) * 2000-10-30 2002-05-06 정희종 전동차 승강장의 발 빠짐 방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4889A (ko) * 2012-12-27 2014-07-07 서울메트로 승강장 설치용 회전식 선로 출입계단
KR101600336B1 (ko) * 2012-12-27 2016-03-07 서울메트로 승강장 설치용 회전식 선로 출입계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3461A (ko) 2005-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54426C2 (ru) Подъемно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US11311433B2 (en) Lift for telescopic passenger stairs for boarding passengers in wheelchairs on a plane
KR20090076879A (ko) 궤도차량 시스템의 안전대피통로
KR101673941B1 (ko) 개별구동이 가능한 철도차량 검수용 이동식 상부 작업대
KR100794932B1 (ko) 승강장 안전도피 계단장치
KR101262991B1 (ko) 사다리차용 승강기
KR200404817Y1 (ko) 승강장 안전도피 계단장치
CN210316460U (zh) 附着式升降支撑装置
KR100622395B1 (ko) 자기부상열차 선로에 설치되는 추락방지용 안전 난간구조물
RU89848U1 (ru) Вертикальный подъемник для инвалидов
JP6101411B1 (ja) 昇降装置付き乗物
CN211809604U (zh) 轨道车辆
EP1721647A1 (en) Amusement device
CN210710254U (zh) 一种伸缩护脚板
RU53237U1 (ru) Аварийно-техническая машина для обслуживания электрических контактных сетей
CN113081506A (zh) 一种消防救援变形担架
CN114684755B (zh) 一种火车卧铺床位上下电梯
RU210356U1 (ru) Площадка передвижная с лестницей для входа в кабину машиниста и обслуживания подвижного состава
KR100512255B1 (ko) 지하철 안전장치
CN217148500U (zh) 防作业车检修平台升降动作人员误登伤害保护装置
KR102553292B1 (ko) 전차선로 보수용 절연 사다리차
KR200249530Y1 (ko) 압축 공기식 지하철 가변식 안전 승강판
CN211998372U (zh) 一种用于电梯轿厢安全门救援的踏板装置
CN216997190U (zh) 一种多功能电梯轿厢
CN210795451U (zh) 一种带防护扶手的垂直升降电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