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6879A - 궤도차량 시스템의 안전대피통로 - Google Patents

궤도차량 시스템의 안전대피통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6879A
KR20090076879A KR1020090055739A KR20090055739A KR20090076879A KR 20090076879 A KR20090076879 A KR 20090076879A KR 1020090055739 A KR1020090055739 A KR 1020090055739A KR 20090055739 A KR20090055739 A KR 20090055739A KR 20090076879 A KR20090076879 A KR 20090076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passage
evacuation
handrail
esc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5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두영
Original Assignee
신영기술개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기술개발(주) filed Critical 신영기술개발(주)
Priority to KR1020090055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6879A/ko
Publication of KR20090076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68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6/00Tracks or track components not covered by any one of the preceding grou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0Steps or ladders specially adapted for scaffol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E04G5/141Railings with an access door or the like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2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rigidly mou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가의 궤도를 따라 형성하는 안전통로와; 안전통로에 설치되는 난간 포스트와; 난간 포스트 사이에 슬라이드 개폐가능하게 가설되는 도어 겸용의 난간도어와; 안전대피통로의 안전발판에 설치된 탈출 해치와; 안전대피통로에 소정간격으로 설치되고 사다리, 계단등의 대피기구가 설치된 안전탈출난간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여, 차량의 운행중 사고발생시 승객이 스스로 차량으로부터 탈출하여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궤도차량 시스템의 안전대피통로에 관한 것이다.
Figure P1020090055739
안전도피,모노레일,고가궤도, 대피시설.경전철

Description

궤도차량 시스템의 안전대피통로{A safety exit pass way for mono rail system}
본 발명은 지상이나 고가에 설치되는 궤도를 이용하여 운행되는 모노레일이나 경전철과 같은 승객운송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의 운행중 사고발생시 승객이 스스로 차량으로부터 탈출하여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궤도차량 시스템의 안전대피통로에 관한 것이다.
현재 폭주하는 교통 운송량의 증가로 인하여 교통망의 확충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제한된 지면이나 지하에 의하여 새로운 교통망을 확충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많은 제약을 받게되어 현재 지면에 고가를 설치하고 이에 궤도를 부설하여 운행하는 모노레일이나 경전철과 같은 중소규모의 승객운송을 위한 교통수단이 제안되어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모노레일 또는 경전철의 경우에 있어서는 리조트와 같은 통상 짧은 구간을 순환 운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고가에 설치된 모노레일 또는 경전철이 운행중 차량이 고장나는 등의 비상상태가 발생하여 차량이 정지되는 경 우, 승객이 궤도에 내려 대피하기에는 주변 여건상 상당히 어려워 여타 차량의 운행을 중단하고 사다리 또는 리프트설비 등을 갖춘 안전구조장비가 고장차량의 하방으로 출동하여 사다리나 리프트 등을 이용하여 승객을 지면으로 탈출시키는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방법은 어디까지나 일정구역, 예컨데 위락설비, 리조트 등 극히 좁은 부지의 장소에서는 탈출작업의 효율성을 기대할 수 있으나, 궤도의 구간 길이가 길고 일정시간 간격으로 계속 운행되는 중장거리 운행의 대중교통수단인 경우에는 그 사용이 부적합하고, 이에 따라 고가의 궤도를 운행중인 일부 차량의 고장발생시에는 당황한 승객이 궤도로 뛰어내려 고가에 군데군데 설치된 대피소로 궤도를 따라 이동하여 대피하고 구조를 기다리거나 탈출하게 되는 시스템으로 되어 있어 대피과정상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항상 내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일정장소의 안전지대로 승객이 안전하게 대피하였다 하더라도 구조를 기다리는 시간동안 공포심을 느끼는 불안한 심리적 상태에서 구조를 기다리게 되어 사고차량 발생시 탑승한 승객의 대피나 탈출에 많은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될 위험이 내포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고가에 설치된 모노레일이나 경전철과 같은 운송수단의 사고 차량이 발생한 경우 사고 차량에 탑승한 승객은 물론 사고 차량의 발생에 의하여 운행이 저지되는 후속 차량의 승객이 스스로 차량에서 통로로 내려 통로를 따라 안전지대로 안전하게 대피하여 지상이나 역구내로 스스로 탈출할 수 있게 하여 주므로서, 고장차량 발생시 사고 또는 운행 중이던 차량의 승객이 고가 궤도를 따라 공포감과 불안감을 느끼며 탈출하는 위험을 해소하고 승객 스스로가 평상과 같은 상태에서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하여 탈출할 수 있게 한 궤도차량 시스템의 안전대피통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통로의 차량측 모든 난간을 개폐가능한 도어 형태로 구성하여, 평상시에는 통로의 난간을 고정시켜 차량이나 궤도를 점검하는 안전점검 통로와 차량근접시 대피하는 안전점검 통로로 사용하고, 사고 차량이 발생시에는 사고 차량의 승객이 차량의 도어를 개방하고 도어측과 근접한 난간을 승객이 스스로 용이하게 개폐되는 도어의 기능을 발휘하게 하고, 통로와 차량의 고저의 편차를 최소화 하여 사고 차량으로 부터 누구나 안전하게 안전통로로 대피하여 안전지대로 이동할 수 있게 함으로서 궤도 및 차량 점검과 승객 안전대피 기능을 동시에 발휘할 수 있는 궤도차량 시스템의 안전대피통로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가의 궤도를 따라 형성하는 안전통로와; 안전통로에 설치되는 난간 포스트와; 난간 포스트 사이에 슬라이드 개폐가능하게 가설되는 도어 겸용의 난간도어와; 안전대피통로의 안전발판에 설치된 탈출 해치와; 안전대피통로에 소정간격으로 설치되고 사다리, 계단등의 대피기구가 설치된 안전탈출난간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설치상태 측면도이고,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안전대피통로 구성도로서, 도 2는 동 확대 조립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동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동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동 개폐상태를 보인 작동상태도이며, 도 7 (가),(나),(다)는 본 발명의 일 요부인 난간도어의 체결 작동상태를 보인 횡단면도로서, (가)는 평상시 록킹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나)는 록킹 해제상태의 단면도이며, (다)는 재록킹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8의 (가),(나)는 본 발명의 일 요부인 난간도어의 체결 작동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상(G)으로 부터 고가도로형태로 설치되는 고가궤도(100)를 사용하는 경전철, 모노레일, 자기부상열차 등 궤도차량(200)(이하 궤도차량으로 통칭 함)가 주행하는 고가궤도(100)의 양측 또는 일측에 고가궤도(100)를 따라 평행하게 안전대피통로(1)가 설치되어 진다.
본 발명의 궤도(100) 양측 또는 일측에 고가궤도(100)를 따라 평행하게 설치되는 안전대피통로(1)는 배수공(11)이 형성된 논슬립돌기(12)가 전면에 돌설된 안전발판(10)과; 안전발판(10)의 양측에 활주공(21),(31)을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소정 간격으로 반복되어 기립설치되는 난간포스트(20),(30)와; 난간포스트(20)의 활주공(21)내에 삽입 설치되어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개폐되고 상면에 논슬립돌조(43),(44)를 형성한 내,외 2중의 난간바(41),(42)를 구비한 난간도어(40)와; 난간포스트(30)의 상부에 위치하는 활주공(31) 양측에 삽입되는 내,외 2중의 난간바(41),(42)를 체결하기 위한 "┏┓"형 체결 키(50)가 구비되어 진다.
상기한 안전대피통로(1)의 안전발판(10)은 통상 내부식성이 우수하고 경량이면서도 강도가 높은 알루미늄판 또는 스테인레스강판재로 구성하고, 난간포스트(20) 역시 내부식성과 하중을 고려하여 알루미늄 중력주조물로 성형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난간포스트(20)의 활주공(21)은 대체로 "□"형으로 형성하여, 이에 난간도어(40)의 내,외 2중의 난간바(41),(42)가 삽입되어 좌우로 슬라이딩 하면서 활주되게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형의 활주공(21),(31)을 관통하여 활주하는 내,외 2중의 난간바(41),(42)의 상부 표면에는 논슬립돌조(43),(44)를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여, 유사시 사고 궤도차량(200)의 출입문(201)의 위치가 안전대피통로(1)의 위 치보다 높은 상태일 경우에는 내,외 2중의 난간바(41),(42)를 사다리발판으로 이용할 수 있게하여, 설치조건에 따라 사고 궤도차량(200)이 안전대피통로(1)의 높이보다 높게 설치된 경우 궤도차량(200)의 출입문(201)을 개방한 후 내,외 2중의 난간바(41),(42)를 사다리발판으로 이용하여 사고난 궤도차량(200)으로부터 안전하게 안전대피통로(1)로 내려와 대피하게 한다.
또한, 상기의 난간포스트(20)는 내,외 2중의 난간바(41),(42)가 삽입 지지되면서 좌우로 활주하기 위한 난간포스트(20)이며, 내,외 2중의 난간바(41),(42) 전방에는 이탈방지로드(45),(46)가 형성되어 내,외 2중의 난간바(41),(42) 좌우 개폐시 손잡이로 사용하게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고, 최상측 내,외 2중의 난간바(41),(42)의 이탈방지로드(45),(46) 전방에는 상기한 "┏┓"형 체결키(50)이 삽치되어 내,외 2중의 난간바(41),(42)를 난간포스트(30)의 "□"형의 활주공(31)에 안치된 내,외 2중의 난간바(41),(42)를 고정시킬 수 있게 체결공(47),(48)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유사시 사고가 나 궤도차량(200)의 운행이 정지되면 차량 내부에서 출입문(201)을 개방한 후, 근접한 위치에 존재하는 난간포스트(30)의 "┏┓"형 체결키(50)를 인발하여 난간도어(40)의 최상층 내,외 2중의 난간바(41),(42)의 록킹상태를 해제한 후, 난간포스트(30) 좌우로 내,외 2중의 난간바(41),(42)의 이탈방지로드(45),(46)를 손잡이로 하여 좌우로 슬라이딩 개폐하여 준 다음, 안전하게 안전대피통로(1)로 탈출한 후 , 안전지대로 대피하여 구조를 기다리게 된다.
이와 같은 안전대피통로(1) 및 난간포스트(20),(30) 및 난간도어(40)의 구성 은 바람직하게 고가궤도(100)의 중앙 또는 양측에 고가궤도(100)를 따라 평행하게 궤도열차(200)의 승강구간을 제외한 전구간에 걸쳐 설치하여 어느 구간에서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신속하게 사고 궤도차량(200)으로 부터 안전하게 탈출하여 지상으로 스스로 대피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 원리의 본 발명을 각 설치상태를 도면에 의거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설치된 고가궤도(100)의 일례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가궤도(100)의 안전대피통로(1)의 일측에는 대피계단(300)이 설치된 상태를 보이고 있으며, 대피계단(300)의 하층부(301)와 상층부(302)에는 평상시 대피계단(300)으로 외부에서 쉽게 침입하지 못하게 시정장치(lock장치)가 설치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도 1의 설치상태에서 궤도차량(200)의 사고 발생시 상기 설명에서와 같이 차량 내부에서 출입문(201)을 개방한 후, 근접한 위치에 존재하는 난간포스트(30)의 "┏┓"형 체결키(50)를 인발하여 난간도어(40)의 최상층 내,외 2중의 난간바(41),(42)의 록킹 상태를 해제한 후, 난간포스트(30) 좌우로 내,외 2중의 난간바(41),(42)의 이탈방지로드(45),(46)를 손잡이로 하여 좌우로 슬라이딩 개폐하여 준 다음, 안전대피통로(1)로 탈출한 후 대피계단(300)을 통하여 지상으로 승객 스스로가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안전대피통로(1)의 설치 방법 및 대피사다리(301)와 설치상태를 보인 일례도이다.
도 9는 상,하행선 왕복 주행의 궤도차량(200)사이에 궤도차량(200)의 출입문(201)의 높이가 안전발판(10)의 위치와 서로 수평상태로 안전대피통로(1)를 설치하여 상,하행선 왕복 주행의 궤도차량(200)이 1개의 통로를 이용하여 난간도어(40)을 개폐하여 탈출,대피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에 안전대피통로(1)의 소정 위치에 하강사다리(14)를 설치하여 안전지대(도시없음)로 대피하게 할 수도 있다.
도 10은 상,하행선 왕복 주행의 궤도차량(200)측에 궤도차량(200)의 출입문(201)의 높이가 안전발판(10)의 위치와 서로 수평상태로 개별적으로 안전대피통로(1)를 각각 설치하여 상,하행선 왕복 주행의 궤도차량(200)이 해당 통로를 이용하여 난간도어(40)을 개폐하여 탈출, 대피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에도 안전대피통로(1)의 소정 위치에 하강사다리(14)를 설치하여 안전지대(도시없음)로 대피하게 할 수도 있다.
도 11은 궤도차량(200)의 출입문(201)이 안전대피통로(1)의 안전발판(10)의 높이가 출입문(201)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된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 이때에는 난간도어(40)를 개폐하지 않고, 난간도어(40)의 내,외 2중의 난간바(41),(42)를 발판으로 하여 사다리 형태로 탈출하게 되며, 이때 내,외 2중의 난간바(41),(42)의 상면에는 논슬립돌조(43),(44)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서 유약한 사용자도 추락 염려없이 궤도차량(200)의 출입문(201) 아래 안전대피통로(1)의 안전발판(10)으로 안전하게 내려와 대피할 수 있음을 보인 것이다.
도 12는 안전대피통로(1)의 안전발판(10)의 일정 지점에 햇치(13)를 설치하 여 햇치(13)을 개방하여 대피사다리(301)을 타고 내려와 통상 고가에 설치되어 지상으로 연결된 대피사다리(301)를 통하여 지상으로 스스로 대피할 수 있는 것을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고가의 궤도를 따라 형성하는 안전대피통로와; 안전대피통로에 설치되는 난간 포스트와; 난간 포스트 사이에 슬라이드 개폐가능하게 가설되는 도어 겸용의 난간도어와; 안전대피통로의 안전발판에 설치된 탈출 해치와; 안전대피통로에 소정간격으로 설치되고 사다리, 계단등의 대피기구가 설치된 안전탈출난간으로 구성하여, 고가에 설치된 모노레일이나 경전철과 같은 운송수단의 사고 차량이 발생한 경우 사고 차량에 탑승한 승객은 물론 사고 차량의 발생에 의하여 운행이 저지되는 후속 차량의 승객이 스스로 차량에서 통로로 내려 통로를 따라 안전지대로 안전하게 대피하여 지상이나 역구내로 스스로 탈출할 수 있게 하여 주므로서, 고장차량 발생시 사고 또는 운행 중이던 차량의 승객이 고가 궤도를 따라 공포감과 불안감을 느끼며 탈출하는 위험을 해소하고 승객 스스로가 평상과 같은 상태에서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하여 탈출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은 통로의 차량측 모든 난간을 개폐가능한 도어 형태로 구성하여, 평상시에는 통로의 난간을 고정시켜 차량이나 궤도를 점검하는 안전점검 통로와 차량근접시 대피하는 안전점검 통로로 사용하고, 사고 차량이 발생시에는 사고 차량의 승객이 차량의 도어를 개방하고 도어측과 근접한 난간을 승객이 스스로 용이하게 개폐되는 도어의 기능을 발휘하게 하고, 통로와 차량의 고저의 편차를 최소화 하여 사고 차량으로 부터 누구나 안전하게 안전통로로 대피하여 안전지대로 이동할 수 있게 함으로서 궤도 및 차량 점검과 승객 안전대피 기능을 동시에 발휘할 수 있는 궤도차량 시스템의 안전대피통로를 제공할 수 있어 고가차량의 사고 발생시 신속하고 안전하게 승객이 대피할 수 있는 특징을 지닌 것이다.
도 1 내지 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설치상태 측면도이고,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안전대피통로 구성도로서,
도 2는 동 확대 조립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동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동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동 개폐상태를 보인 작동상태도이며,
도 7 (가),(나),(다)는 본 발명의 일 요부인 난간도어의 체결 작동상태를 보인 횡단면도로서,
(가)는 평상시 록킹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나)는 록킹 해제상태의 단면도이며,
(다)는 재록킹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8의 (가),(나)는 본 발명의 일 요부인 난간도어의 체결 작동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안전도피통로
10:안전발판 11:배수공 12:논슬립돌기 13:햇치
14:하강사다리
20,30:난간포스트 21,31:활주공
40:난간도어
41,42:내,외 2중의 난간바 43,44:논슬립돌조
45,46:이탈방지로드 47,48:체결공
50:"┏┓"형 체결키
100:고가궤도
200:궤도차량 201:출입문
300:대피계단 301:대피사다리

Claims (6)

  1. 궤도차량 시스템의 대피시스템을 구성한에 있어서,
    통로안전대피통로와; 안전대피통로에 설치되는 난간 포스트와; 난간 포스트 사이에 슬라이드 개폐가능하게 가설되는 도어 겸용의 난간도어와; 안전대피통로의 안전발판에 설치된 탈출 해치와; 안전대피통로에 소정간격으로 설치되고 사다리, 계단등의 대피기구가 설치된 안전탈출난간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차량 시스템의 안전대피통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안전대피통로(1)는 배수공(11)이 형성된 논슬립돌기(12)가 전면에 돌설된 안전발판(10)과 하강사다리(14)와 햇치(13)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차량 시스템의 안전대피통로.
  3. 제 1 항에 있어서,
    난간포스트(20),(30)은 안전발판(10)의 양측에 활주공(21),(31)을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소정 간격으로 반복되어 기립설치되고 활주공(21)내에 삽입 설치되어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개폐되고 상면에 논슬립돌조(43),(44)를 형성한 내,외 2중의 난간바(41),(42)를 구비한 난간도어(4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차량 시스템의 안전대피통로.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안전대피통로(1)는 상하행 궤도차량(200)의 외측에 개별적으로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차량 시스템의 안전대피통로.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안전대피통로(1)가 상하행 궤도차량(200) 사이에 공동으로 사용하게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차량 시스템의 안전대피통로.
  6. 제 1 항 또는 제 4 항 내지 제 5항에 있어서,
    안전대피통로(1)는 궤도차량(200) 승강장을 제외한 고가궤도(100) 전구간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차량 시스템의 안전대피통로.
KR1020090055739A 2009-06-23 2009-06-23 궤도차량 시스템의 안전대피통로 KR200900768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739A KR20090076879A (ko) 2009-06-23 2009-06-23 궤도차량 시스템의 안전대피통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739A KR20090076879A (ko) 2009-06-23 2009-06-23 궤도차량 시스템의 안전대피통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879A true KR20090076879A (ko) 2009-07-13

Family

ID=41333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5739A KR20090076879A (ko) 2009-06-23 2009-06-23 궤도차량 시스템의 안전대피통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6879A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54914A (zh) * 2010-10-13 2011-01-26 上海磁浮交通发展有限公司 一种用于磁浮轨道交通的快速安全疏散系统及其实施方法
KR101683403B1 (ko) * 2015-12-29 2016-12-06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케이블 점검이 용이한 철도 비상 대피로
JP2017137014A (ja) * 2016-02-05 2017-08-10 三菱電機株式会社 可動ホーム柵
CN107351844A (zh) * 2017-06-21 2017-11-17 中建空列(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悬挂空铁车侧逃生疏散平台系统
CN107956507A (zh) * 2017-12-25 2018-04-24 洛阳明创矿山冶金设备有限公司 一种地铁临时疏散人群装置
CN109056501A (zh) * 2018-06-11 2018-12-21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跨坐式单轨交通系统双层疏散平台装置
CN109356510A (zh) * 2018-12-04 2019-02-19 福建工程学院 一种可逃生窗户防盗网结构及其工作方法
CN109398371A (zh) * 2018-11-19 2019-03-01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带有电缆支架的阶梯式疏散平台
KR20190067130A (ko) * 2019-02-01 2019-06-14 궤도공영 주식회사 경전철의 안전 대피 시스템
KR20190066855A (ko) * 2017-12-06 2019-06-14 궤도공영 주식회사 선로 횡단 대피로 및 경전철의 안전 대피 시스템
EP3514285A4 (en) * 2016-09-21 2019-08-28 BYD Company Limited RAIL FOR AN OVERLAPPING RAIL TRANSPORT SYSTEM
CN110714375A (zh) * 2018-07-11 2020-01-21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空中轨道系统和空中轨道交通系统
CN112721997A (zh) * 2021-02-08 2021-04-30 凌腾(广州)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悬挂式单轨电车故障紧急逃生系统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54914A (zh) * 2010-10-13 2011-01-26 上海磁浮交通发展有限公司 一种用于磁浮轨道交通的快速安全疏散系统及其实施方法
KR101683403B1 (ko) * 2015-12-29 2016-12-06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케이블 점검이 용이한 철도 비상 대피로
JP2017137014A (ja) * 2016-02-05 2017-08-10 三菱電機株式会社 可動ホーム柵
US11155968B2 (en) 2016-09-21 2021-10-26 Byd Company Limited Rail for straddle-type rail transit system
EP3514285A4 (en) * 2016-09-21 2019-08-28 BYD Company Limited RAIL FOR AN OVERLAPPING RAIL TRANSPORT SYSTEM
CN107351844A (zh) * 2017-06-21 2017-11-17 中建空列(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悬挂空铁车侧逃生疏散平台系统
KR20190066855A (ko) * 2017-12-06 2019-06-14 궤도공영 주식회사 선로 횡단 대피로 및 경전철의 안전 대피 시스템
CN107956507B (zh) * 2017-12-25 2024-04-09 南京溧宝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地铁临时疏散人群装置
CN107956507A (zh) * 2017-12-25 2018-04-24 洛阳明创矿山冶金设备有限公司 一种地铁临时疏散人群装置
CN109056501A (zh) * 2018-06-11 2018-12-21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跨坐式单轨交通系统双层疏散平台装置
CN110714375A (zh) * 2018-07-11 2020-01-21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空中轨道系统和空中轨道交通系统
CN109398371A (zh) * 2018-11-19 2019-03-01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带有电缆支架的阶梯式疏散平台
CN109398371B (zh) * 2018-11-19 2024-05-17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带有电缆支架的阶梯式疏散平台
CN109356510A (zh) * 2018-12-04 2019-02-19 福建工程学院 一种可逃生窗户防盗网结构及其工作方法
KR20190067130A (ko) * 2019-02-01 2019-06-14 궤도공영 주식회사 경전철의 안전 대피 시스템
CN112721997A (zh) * 2021-02-08 2021-04-30 凌腾(广州)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悬挂式单轨电车故障紧急逃生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76879A (ko) 궤도차량 시스템의 안전대피통로
US20130240297A1 (en) Motorized height access device for tower cranes
US20080099283A1 (en) Lift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Same
EP3587332B1 (en) A lift for telescopic passenger stairs for boarding passengers in wheelchairs on a plane
EP3257803B1 (en) Elevator car and elevator system
EP1780162A1 (en) Lift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same
CN210828495U (zh) 公共区无柱地铁车站布置结构
EA021287B1 (ru) Станционный комплекс метрополитена глубокого заложения двухуровневый
CN111295352B (zh) 能够与升降机连接的自动扶梯
RU104569U1 (ru) Станционный комплекс метрополитена глубокого заложения двухуровневый
KR100794932B1 (ko) 승강장 안전도피 계단장치
CN108883895B (zh) 用于从电梯轿厢中疏散人员的装置
DE19649552A1 (de) Evakuierungssystem für Aufzüge
WO1991018820A1 (en) Lifting system installed in building which makes emergency stair unnecessary
CN212077587U (zh) 铁路箱型梁桥的紧急疏散系统及具有紧急疏散功能的箱梁
Dragan et al. 640. DESIGN OF ESCALATORS AND FOLLOWING SAFETY MEASURES
CN109987465A (zh) 一种机械运动的升降梯
KR101683403B1 (ko) 케이블 점검이 용이한 철도 비상 대피로
KR200357539Y1 (ko) 지하철 비상대피용 통로
JP7438841B2 (ja) プラットホーム柵
KR200404817Y1 (ko) 승강장 안전도피 계단장치
CN213011406U (zh) 一种用于加装电梯的安全通道
KR102417022B1 (ko) 교량 점검대
RU210356U1 (ru) Площадка передвижная с лестницей для входа в кабину машиниста и обслуживания подвижного состава
CN210393312U (zh) 一种伸缩型轿顶防护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