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3403B1 - 케이블 점검이 용이한 철도 비상 대피로 - Google Patents

케이블 점검이 용이한 철도 비상 대피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3403B1
KR101683403B1 KR1020150188989A KR20150188989A KR101683403B1 KR 101683403 B1 KR101683403 B1 KR 101683403B1 KR 1020150188989 A KR1020150188989 A KR 1020150188989A KR 20150188989 A KR20150188989 A KR 20150188989A KR 101683403 B1 KR101683403 B1 KR 101683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channels
channel
foot
wire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8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50188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34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1/00Rescue devices or other safety devices, e.g. safety chambers or escape 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7/00Methods or devices for use in mines or tunnels, not covered elsewhe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가 상,하행선 또는 터널 어느 곳에 비상 정지하더라도 신속하고 안전한 보행 대피가 가능하고, 전선케이블을 철도 비상 대피로에 안전하게 배설함과 동시에 발판의 접힘으로 전선케이블의 점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케이블 점검이 용이한 철도 비상 대피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하행 선로의 중앙 또는 해당 선로의 터널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입설된 대피로 교각과; 동일한 구조를 갖고 상기 교각의 상단에 상기 상,하행 선로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서로 마주보고 지지되어 있는 한 쌍의 발판 채널과; 상기 한 쌍의 발판 채널에 지지되어 설치되고, 동시에 한 쌍의 발판 채널의 사이에 배치되는 전선케이블의 점검을 위해 접힘 가능하게 구성된 발판 조립체와; 상기 한 쌍의 발판 채널 중 모두 또는 어느 한 쪽에 일정 간격을 두고 입설되어 있는 안전난간;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케이블 점검이 용이한 철도 비상 대피로{Cable inspection available rail road emergency exit route}
본 발명은 선로를 운행중인 철도의 비상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한 철도 비상 대피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철도가 상,하행선 또는 터널 어느 곳에 비상 정지하더라도 신속하고 안전한 보행 대피가 가능하고, 전선케이블을 철도 비상 대피로에 안전하게 배설함과 동시에 발판의 접힘으로 전선케이블의 점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케이블 점검이 용이한 철도 비상 대피로에 관한 것이다.
지상에서 운행되는 철도 차량은 비상시 신속하게 승객을 대피시킬 수 있는 안전통로를 마련하고 있다. 그런데 상,하행선을 갖는 선로에서 안전통로를 양측에 각기 두게 되면, 철도의 폭이 넓어져 시설비가 증가된다. 따라서 선로의 중앙 공간을 통행로로 활용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이때 철도 차량이 어느 위치에 비상 정지하던 간에 안전통로로 쉽게 접근이 이루어져야 하고, 보행중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시설물이 설치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622395호로서 '자기부상열차 선로에 설치되는 추락방지용 안전 난간구조물'이 제안되어 있다. 이는 통행로의 양쪽 가장자리를 따라서 일정간격마다 설치되는 축받이; 상기 축받이에 지지되어 선회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축받이에서 선회되면서 상기 자기부상열차의 운행에 지장을 주지않도록 상기 통행로의 바닥으로 접힌 상태를 유지하다가 필요시 수동, 반자동 또는 자동 방식의 조작에 의해 상기 통행로의 바닥과 수직하게 세워진 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물로서, 상기 통행로의 양쪽 가장자리를 따라서 다수개가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안전 난간을 형성하는 펜스형태의 선회틀; 및 상기 선회틀을 파지하여 상기 선회틀이 상기 통행로의 바닥에 수평으로 접혀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구속하고, 필요시 상기 선회틀에 대한 파지를 해제하여 상기 선회틀의 기립을 허용하는 파지구를 포함하여, 자기부상열차의 고가 선로에서 비상시 승객들의 대피 및 작업자의 선로 점검 등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선로의 레일의 바깥쪽으로 통행로 마련을 위한 별도의 슬래브 구조를 시설할 필요 없는 장점을 갖는데 반해, 통행로가 각 선로마다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하행선이 공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통행로로 활용할 수 없고, 상,하행선 모두 시공되어야 하므로 설치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또한 안전난간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접힘 동작시켜야 하는 구조와 별도의 동력이 필요하다.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622395호
본 발명은 철도가 상,하행선 또는 터널 어느 곳에 비상 정지하더라도 신속하고 안전한 보행 대피가 가능하고, 전선케이블을 철도 비상 대피로에 안전하게 배설함과 동시에 발판의 접힘으로 전선케이블의 점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케이블 점검이 용이한 철도 비상 대피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하행 선로의 중앙 또는 해당 선로의 터널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입설된 대피로 교각과;
동일한 구조를 갖고 상기 교각의 상단에 상기 상,하행 선로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서로 마주보고 지지되어 있는 한 쌍의 발판 채널과;
한 쌍의 발판 채널의 사이에 배치되어 보행자의 발판을 제공함과 동시에 전선케이블의 점검을 위해 발판이 접힘 가능하게 구성된 발판 조립체와;
상기 한 쌍의 발판 채널 중 모두 또는 어느 한 쪽에 일정 간격을 두고 입설되어 있는 안전난간;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발판 채널은 채널 하부 바닥부, 채널 하부 바닥부의 일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입설된 채널 외측 벽부, 채널 하부 바닥부의 타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입설된 내측 하부수직걸림턱, 내측 하부 수직걸림턱에서 직각으로 돌출되어 서로 마주하는 상,하부 수평걸림턱, 상,하부 수평걸림턱의 사이에 형성된 전선케이블 지지대 끼움홈, 채널 외측 벽부의 상단에서 일단이 직각 방향으로 연장된 채널 상부 바닥부, 채널 상부 바닥부의 타단에서 하향 절곡된 내측 상부 수직걸림턱, 및 채널 외측 벽부에서 상향으로 일정 높이만큼 연장된 발판 이탈방지턱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발판 채널의 사이에는 전선케이블을 정열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전선케이블 지지대 끼움홈에 양단이 끼움 결합되어 한 쌍의 발판 채널에 일정 간격마다 배치되어 있는 전선케이블 지지대와; 상기 전선케이블 지지대에 이동가능하고 삽입되어 고정되어 전선케이블의 정열 위치를 결정하고 적층 붕괴를 방지하는 복수개 이상의 전선케이블 핑거;가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판 조립체는 한 쌍의 발판 채널에 양단이 지지되어 발판 채널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다수의 횡 발판과; 각기 발판의 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힌지 블럭과; 이웃한 힌지 블럭을 중간에 횡방향 힌지핀을 매개로 상호 연결하여 일정구간내의 이웃한 발판간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접어 기울임 적층되거나 수직 적층되도록 하는 발판 링크를 갖되, 발판 링크의 일단은 어느 한쪽의 횡방향 힌지핀에 장공을 통해 힌지 연결되어, 상기 횡 발판이 비상 대피로의 길이 방향으로 접이 동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판 조립체는 한 쌍의 발판 채널의 사이에 비상 대피로의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다수의 종 발판과; 각기 종 발판의 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힌지 블럭과; 이웃한 힌지 블럭을 중간에 횡방향 힌지핀을 매개로 상호 연결하여 횡 발판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접이되도록 하는 발판 링크를 갖되, 발판 링크의 일단은 어느 한쪽의 횡방향 힌지핀에 장공을 통해 힌지 연결되고; 다수의 종 발판 중 최외측의 어느 하나가 발판 채널측에 발판 링크를 통해 힌지 연결되어, 상기 종 발판이 비상 대피로의 폭 방향으로 접이 동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종 발판은 상기 한 쌍의 발판 채널 중 어느 한 쪽에 설치된 힌지브라켓에 힌지 연결되어 수직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접이할 수 있는 발판지지용 수직회전대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종 발판은 상기 한 쌍의 발판 채널 중 어느 한 쪽에 힌지 연결되어 수평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접이할 수 있는 발판지지용 수평회전대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전난간은 한 쌍의 발판 채널에 모두 또는 어느 하나에 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일정 높이만큼 난간 기둥이 입설되어 있고, 일정 위치마다 이웃한 난간 기둥의 사이에 개방된 대피용 출구가 형성되고, 대피용 출구를 제외한 이웃한 난간 기둥에 핸드레일과 안전난간대를 수평적으로 나란하게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난간 기둥은 각파이프 단면을 갖고 상기 발판 채널에 삽입되어 수직방향으로 지지되어 있는 각파이프 소켓에 삽입되어 회전 억제되어 있고, 상기 각파이프 소켓의 상단에는 상기 난간 기둥에 각형으로 삽입되어 있는 소켓 캡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각파이프 소켓 및 난간 기둥은 상기 발판 채널을 삽통하여 너트로 체결되어 있는 난간 기둥 체결볼트에 체결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한 쌍의 발판 채널에 모두 난간 기둥이 입설되어 있는 경우, 양쪽측방의 대피용 출구는 서로 어긋난 위치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대피용 출구측으로 한 쌍의 발판 채널에 지지된 하강용 계단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점검이 용이한 철도 비상 대피로는, 상,하행중의 중앙에 선로를 따라 설치되어 있어 철도가 상,하행선을 운행하거나 또는 터널 어느 곳에 비상 정지하더라도 신속하고 안전한 보행 대피가 가능하다. 또한 상,하행선이 공용으로 철도 비상 대피로를 사용할 수 있어 철도의 전체 폭을 줄일 수 있어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철도 비상 대피로측에 전선케이블 지지대와 전선케이블 핑거를 통해 전선케이블을 안전하게 배설할 수 있고, 발판 조립체를 구성하는 발판의 접힘으로 해당 구간에서 전선케이블의 점검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점검이 용이한 철도 비상 대피로의 사시도.
도 2a는 도 1의 일측단면도.
도 2b는 도 2a의 K-K선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안전난간과 발판 채널간의 조립단면도.
도 3b는 도 3a의 X-X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발판 채널의 단면도.
도 5는 도 1에 설치된 발판 조립체에서 발판의 접이 상태도.
도 6은 도 5의 일부 확대도.
도 7은 도 5에서 발판의 기울임 접이 상태도.
도 8은 도 5에서 발판의 다른 접이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비상 대피로가 터널측에 설치된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점검이 용이한 철도 비상 대피로의 개략적인 설치상태도.
도 11a는 본 발명에 따른 발판 조립체의 변형예로서 종 발판의 설치상태도.
도 11b는 도 11a에서 종 발판의 접이 상태도.
도 11c는 도 11b에서 평면에서 본 발판지지용 수직회전대의 접이 동작상태도.
도 11d는 도 11a에 적용된 수직회전대 및 힌지브라켓의 연결상태도.
도 12a는 도 11a에 적용된 발판지지용 수직회전대에 대체된 발판지지용 수평회전대의 설치상태도.
도 12b는 도 12a의 평면에서 본 발판지지용 수평회전대의 접이 동작상태도.
도 12c는 도 12a에서 종 발판의 접이 상태도.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3에서와 같이 상,하행 선로(11,12)의 일측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대피로 교각(13)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교각(13)들은 상,하행 선로(11,12)의 길이를 따라 나란하게 위치하게 된다. 교각(13)은 일반 교량에 적용되는 교각과 마찬가지로 철근 콘크리트로 시공된다.
교각(13)의 상단에는 한 쌍의 발판 채널(14,14)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발판 채널(14,14)은 강재로 제작되어 있다. 한 쌍의 발판 채널(14,14)은 교각(13)에서 상,하행 선로(11,12)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지지되어 있다. 이때 한 쌍의 발판 채널(14,14)은 서로 나란하게 마주보고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발판 채널(14,14)은 상호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도 4와 같이 발판 채널(14)은 채널 하부 바닥부(141), 채널 하부 바닥부(141)의 일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입설된 채널 외측 벽부(142), 채널 하부 바닥부(141)의 타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입설된 내측 하부 수직걸림턱(143), 내측 하부 수직걸림턱(143)에서 직각으로 돌출되어 서로 마주하는 상,하부 수평걸림턱(144,145), 상,하부 수평걸림턱(144,145)의 사이에 형성된 전선케이블 지지대 끼움홈(146), 채널 외측 벽부(142)의 상단에서 일단이 직각 방향으로 연장된 채널 상부 바닥부(147), 채널 상부 바닥부(147)의 타단에서 하향 절곡된 내측 상부 수직걸림턱(148), 및 채널 외측 벽부(142)에서 상향으로 일정 높이만큼 연장된 발판 이탈방지턱(149)을 형성하고 있다.
한 쌍의 발판 채널(14와 14)의 사이에 전선케이블(1000)을 배열시키기 위해, 전선케이블 지지대(16) 및 전선케이블 핑거(18)가 설치된다. 전선케이블(1000)은 통신케이블 및 전력케이블이 될 수 있다. 전선케이블 지지대(16)는 전선케이블 지지대 끼움홈(146)에 양단이 끼움 결합되어 한 쌍의 발판 채널(14,14)에 일정 간격마다 배치되어 있다. 전선케이블 지지대(16)는 사각파이프 단면으로 구성하였으나 이러한 단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선케이블 핑거(18)는 전선케이블 지지대(16)에 이동가능하고 삽입되어 고정되어 전선케이블(1000)의 정열 위치를 결정하고 적층 붕괴를 방지한다. 도 2b와 같이 전선케이블 핑거(18)는 각파이프 단면을 갖고 전선케이블 지지대(16)에 삽입되는 핑거 보스(181)와, 핑거 보스(181)의 상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입설된 핑거 바(182)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핑거 보스(181)에는 고정볼트(185)가 나사 결합되어 있어 전선케이블 핑거(18)의 이동 위치를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 쌍의 발판 채널(14,14)에는 발판 조립체(20)가 설치되어 있다. 발판 조립체(20)는 한 쌍의 발판 채널(14,14)에 지지되어 전선케이블(1000)의 점검을 위해 접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발판 조립체(20)는 한 쌍의 발판 채널(14,14)에 양단이 지지되어 발판 채널(14)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열되어 있는 다수의 횡 발판(22)과, 각기 횡 발판(22)의 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힌지 블럭(23)과, 이웃한 힌지 블럭(23과 23)을 중간에 횡방향 힌지핀(26,26)을 매개로 상호 연결하여 일정구간내의 이웃한 횡 발판(22와 22)간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접이되도록 하는 발판 링크(25)를 갖는다. 이때 발판 링크(25)의 일단은 어느 한쪽의 횡방향 힌지핀(26)에 장공(25a)을 통해 힌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횡 발판(22)은 횡방향 힌지핀(26)에 의해 비상 대피로의 길이 방향으로 접이 동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횡 발판(22)은 상면에 일정 구간마다 선형의 미끄럼방지용 돌기(221)가 더 형성되고, 복수개의 미끄럼방지패드(27)가 상기 횡 발판(22)의 상면에 일정 간격마다 길이 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다. 미끄럼방지패드(27)는 호형 단면을 가지고 있고 호면에 라인돌기를 가지나 이러한 단면 구조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도 5와 같이 한 구간내의 횡 발판(22)들을 한 쪽으로 기울임 적층시켜 접이하거나 도 8과 같이 한 구간내의 횡 발판(22)들을 수평 적층되도록 접이시킬 수 있다. 이같이 해당 구간내의 횡 발판(22)들이 접이되면 발판 채널(14,14)에는 개구부가 생겨 전선케이블(1000)로의 접근이 가능해져 점검 및 보수 유지가 용이하게 된다.
한 쌍의 발판 채널(14,14) 중 모두 또는 어느 한 쪽에 일정 간격을 두고 안전난간(30)이 입설되어 있다. 즉, 도 10과 같이 교각(13)의 양측으로 상,하행 선로(11,12)가 있는 경우에는 안전난간(30)은 한 쌍의 발판 채널(14,14)에 모두 설치되고, 도 9와 같이 상,하행 선로(11,12)가 터널에 설치된 경우에는 안전난간(30)은 터널 벽(15)측에서 먼쪽에 위치한 한 쪽의 발판 채널(14)에 안전난간(30)이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2와 같이 안전난간(30)은 한 쌍의 발판 채널(14,14)에 모두 또는 어느 하나에 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일정 높이만큼 난간 기둥(32)이 입설되어 있고, 일정 위치마다 이웃한 난간 기둥(32와 32)의 사이에 개방된 대피용 출구(33)가 형성되고, 대피용 출구(33)를 제외한 이웃한 난간 기둥(32와 32)에 핸드레일(34)과 안전난간대(35)가 수평적으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 3과 같이 난간 기둥(32)은 각파이프 단면을 갖고 발판 채널(14)에 삽입되어 수직방향으로 지지되어 있는 파이프 소켓(36)에 삽입되어 회전 억제되어 있다. 상기 파이프 소켓(36)의 상단에는 난간 기둥(32)에 삽입되어 있는 소켓 캡(37)이 결합되어 있다. 파이프 소켓(36) 및 난간 기둥(32)은 발판 채널(14)을 삽통하여 너트(39)로 체결되어 있는 난간 기둥 체결볼트(38)에 체결되어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도 1과 같이 한 쌍의 발판 채널(14,14)에 모두 난간 기둥(32)이 입설되어 있는 경우, 대피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 양쪽측방의 대피용 출구(33와 33)는 서로 어긋난 위치에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대피용 출구(33)측으로 한 쌍의 발판 채널(14,14)에 지지 설치된 하강용 계단(40)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선로를 운행중인 철도가 비상시 어는 곳에서 멈추더라도 승객을 포함한 대피자들은 대피용 출구(33)에 진입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대피용 출구(33)를 통해 발판 조립체(20)에 올라서게 되고, 횡 발판(22)이 보행 통로가 되어 계단(40)을 통해 대피를 신속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핸드레일(34)은 피난자의 보행 손잡이로 활용되고, 안전난간(30)은 대피자의 추락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전선케이블(1000)의 점검이 필요한 경우, 작업자는 도 5와 같이 해당 구간의 횡 발판(22)을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접음으로써 발판 채널(14,14)의 사이에 개방구간이 형성되어져 전선케이블(1000)에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전선케이블(1000)이 노출되고 작업자는 간단하게 전선케이블(100)의 점검 및 보수가 가능하게 된다.
물론, 전선케이블(100)의 점검 후에는 접힘된 횡 발판(22)을 펼쳐놓는 작업만으로 원위치되어 평탄화되므로 작업이 간단하게 완료되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전선케이블(100)은 하방의 전선케이블 지지대(16)에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측방의 전선케이블 핑거(18)에 의해 정열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전선케이블 핑거(18)의 이동 및 고정이 가능하여 전선케이블의 증설이 용이해진다.
한편, 본 발명에서 발판 조립체(20)는 도 11 및 도 12와 같이 종 발판(22')이 비상 대피로의 폭 방향으로 접이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와 같이 발판 조립체(20)는, 한 쌍의 발판 채널(14,14)의 사이에 비상 대피로의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다수의 종 발판(22')과, 각기 종 발판(22')의 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힌지 블럭(23')과, 이웃한 힌지 블럭(23'과 23')을 중간에 횡방향 힌지핀(26',26')을 매개로 상호 연결하여 횡 발판(22)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접이되도록 하는 발판 링크(25')를 갖되, 발판 링크(25')의 일단은 어느 한쪽의 횡방향 힌지핀(26)에 장공(25a')을 통해 힌지 연결되고, 다수의 종 발판(22') 중 최외측의 어느 하나가 발판 채널(14)측에 발판 링크(25')를 통해 힌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도 11b 및 도 12c와 같이 종 발판(22')들은 발판 링크(25')를 매개로 폭 방향으로 접어져 전선케이블(100)의 점검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도 11과 같이 종 발판(22')은 한 쌍의 발판 채널(14,14) 중 어느 한 쪽에 설치된 힌지브라켓(50)에 일단이 힌지(50a)로 연결되어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켜 세워지는 발판지지용 수직회전대(51)에 지지될 수 있다. 이때 발판지지용 수직회전대(51)의 타단은 비고정상태로 한 쪽 발판 채널(14)측에 지지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도 12와 같이 종 발판(22')은 한 쌍의 발판 채널(14,14) 중 어느 한 쪽에 힌지 연결되어 수평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접이할 수 있는 발판지지용 수평회전대(52)에 지지될 수 있다. 이때 발판지지용 수평회전대(52)는 양단이 한 쌍의 발판 채널(14,14)측 지지턱(148a)에 힌지 볼트(53,53)를 매개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한 쪽의 힌지 볼트(53)를 해체하게 되면, 다른 한 쪽의 힌지 볼트(53)를 매개로 발판지지용 수평회전대(52)는 수평 회전하여 접이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도 12b와 같이 발판지지용 수평회전대(52)들의 각 힌지는 순차적으로 발판 채널(14,14)을 교대로 선택하여 가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종 발판(22')을 접은 후 해당하는 발판지지용 수직회전대(51) 또는 발판지지용 수평회전대(52)를 회전시켜 접게 되면 도 11b 및 도 12c와 같이 전선케이블(100)의 설치와 후에 작업자가 전선케이블(100)로 접근하는데 지장을 주지 않는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3: 교각
14: 발판 채널
16: 전선케이블 지지대
18: 전선케이블 핑거
20: 발판 조립체
22: 횡 발판
22': 종 발판
25: 발판 링크
27: 미끄럼방지패드
30: 안전난간

Claims (11)

  1. 상,하행 선로(11,12)의 중앙 또는 해당 선로(11 또는 12)의 터널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입설된 대피로 교각(13)과;
    동일한 구조를 갖고 상기 교각(13)의 상단에 상기 상,하행 선로(11,12)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서로 마주보고 지지되어 있는 한 쌍의 발판 채널(14,14)과;
    한 쌍의 발판 채널(14,14)의 사이에 배치되어 보행자의 발판을 제공함과 동시에 전선케이블(100)의 점검을 위해 발판이 접힘 가능하게 구성된 발판 조립체(20)와;
    상기 한 쌍의 발판 채널(14,14) 중 모두 또는 어느 한 쪽에 일정 간격을 두고 입설되어 있는 안전난간(30);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발판 채널(14,14)은,
    채널 하부 바닥부(141), 채널 하부 바닥부(141)의 일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입설된 채널 외측 벽부(142), 채널 하부 바닥부(141)의 타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입설된 내측 하부수직걸림턱(143), 내측 하부 수직걸림턱(143)에서 직각으로 돌출되어 서로 마주하는 상,하부 수평걸림턱(144,145), 상,하부 수평걸림턱(144,145)의 사이에 형성된 전선케이블 지지대 끼움홈(146), 채널 외측 벽부(142)의 상단에서 일단이 직각 방향으로 연장된 채널 상부 바닥부(147), 채널 상부 바닥부(147)의 타단에서 하향 절곡된 내측 상부 수직걸림턱(148), 및 채널 외측 벽부(142)에서 상향으로 일정 높이만큼 연장된 발판 이탈방지턱(149)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점검이 용이한 철도 비상 대피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발판 채널(14,14)의 사이에는 전선케이블(1000)을 정열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전선케이블 지지대 끼움홈(146)에 양단이 끼움 결합되어 한 쌍의 발판 채널(14,14)에 일정 간격마다 배치되어 있는 전선케이블 지지대(16)와;
    상기 전선케이블 지지대(16)에 이동가능하고 삽입되어 고정되어 전선케이블의 정열 위치를 결정하고 적층 붕괴를 방지하는 복수개 이상의 전선케이블 핑거(18);가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점검이 용이한 철도 비상 대피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조립체(20)는,
    한 쌍의 발판 채널(14,14)에 양단이 지지되어 발판 채널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다수의 횡 발판(22)과;
    각기 횡 발판(22)의 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힌지 블럭(23)과;
    이웃한 힌지 블럭(23과 23)을 중간에 횡방향 힌지핀(26,26)을 매개로 상호 연결하여 일정구간내의 이웃한 횡 발판(22와 22)간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접어 기울임 적층되거나 수직 적층되도록 하는 발판 링크(25)를 갖되, 발판 링크(25)의 일단은 어느 한쪽의 횡방향 힌지핀(26)에 장공(25a)을 통해 힌지 연결되어,
    상기 횡 발판(22)이 비상 대피로의 길이 방향으로 접이 동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점검이 용이한 철도 비상 대피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조립체(20)는,
    한 쌍의 발판 채널(14,14)의 사이에 비상 대피로의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다수의 종 발판(22')과;
    각기 종 발판(22')의 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힌지 블럭(23')과;
    이웃한 힌지 블럭(23'과 23')을 중간에 횡방향 힌지핀(26',26')을 매개로 상호 연결하여 횡 발판(22')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접이되도록 하는 발판 링크(25')를 갖되, 발판 링크(25')의 일단은 어느 한쪽의 횡방향 힌지핀(26)에 장공(25a')을 통해 힌지 연결되고;
    다수의 종 발판(22') 중 최외측의 어느 하나가 발판 채널(14)측에 발판 링크(25')를 통해 힌지 연결되어, 상기 종 발판(22')이 비상 대피로의 폭 방향으로 접이 동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점검이 용이한 철도 비상 대피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종 발판(22')은 상기 한 쌍의 발판 채널(14,14) 중 어느 한 쪽에 설치된 힌지브라켓(50)에 힌지 연결되어 수직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접이할 수 있는 발판지지용 수직회전대(51)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케이블 점검이 용이한 철도 비상 대피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종 발판(22')은 상기 한 쌍의 발판 채널(14,14) 중 어느 한 쪽에 힌지 연결되어 수평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접이할 수 있는 발판지지용 수평회전대(52)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점검이 용이한 철도 비상 대피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난간(30)은,
    한 쌍의 발판 채널(14,14)에 모두 또는 어느 하나에 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일정 높이만큼 난간 기둥(32)이 입설되어 있고, 일정 위치마다 이웃한 난간 기둥(32와 32)의 사이에 개방된 대피용 출구(33)가 형성되고, 대피용 출구(33)를 제외한 이웃한 난간 기둥(32와 32)에 핸드레일(34)과 안전난간대(35)를 수평적으로 나란하게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점검이 용이한 철도 비상 대피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 기둥(32)은 각파이프 단면을 갖고 상기 발판 채널(14)에 삽입되어 수직방향으로 지지되어 있는 파이프 소켓(36)에 삽입되어 회전 억제되어 있고, 상기 파이프 소켓(36)의 상단에는 상기 난간 기둥(32)에 각형으로 삽입되어 있는 소켓 캡(37)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각파이프 소켓(37) 및 난간 기둥(32)은 상기 발판 채널(14)을 삽통하여 너트로 체결되어 있는 난간 기둥 체결볼트(38)에 체결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점검이 용이한 철도 비상 대피로.
  10. 제 8항에 있어서,
    한 쌍의 발판 채널(14,14)에 모두 난간 기둥(32)이 입설되어 있는 경우, 양쪽측방의 대피용 출구(33와 33)는 서로 어긋난 위치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점검이 용이한 철도 비상 대피로.
  11. 제 8항에 있어서,
    대피용 출구(33)측으로 한 쌍의 발판 채널(14,14)에 지지된 하강용 계단(40)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점검이 용이한 철도 비상 대피로.
KR1020150188989A 2015-12-29 2015-12-29 케이블 점검이 용이한 철도 비상 대피로 KR101683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989A KR101683403B1 (ko) 2015-12-29 2015-12-29 케이블 점검이 용이한 철도 비상 대피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989A KR101683403B1 (ko) 2015-12-29 2015-12-29 케이블 점검이 용이한 철도 비상 대피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3403B1 true KR101683403B1 (ko) 2016-12-06

Family

ID=57576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8989A KR101683403B1 (ko) 2015-12-29 2015-12-29 케이블 점검이 용이한 철도 비상 대피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34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17097A (zh) * 2021-09-29 2022-02-08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高速磁浮铁路盾构隧道的高疏散平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34352B1 (en) * 1983-09-01 1987-01-14 KAISER ALUMINUM & CHEMICAL CORPORATION Rapidly deployed assault vehicle surfacing or trackway system
KR960002473Y1 (ko) * 1993-07-16 1996-03-25 이원형 건축공사용 족답기구
KR100622395B1 (ko) 2005-11-25 2006-09-14 (주)효명이씨에스 자기부상열차 선로에 설치되는 추락방지용 안전 난간구조물
KR20090076879A (ko) * 2009-06-23 2009-07-13 신영기술개발(주) 궤도차량 시스템의 안전대피통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34352B1 (en) * 1983-09-01 1987-01-14 KAISER ALUMINUM & CHEMICAL CORPORATION Rapidly deployed assault vehicle surfacing or trackway system
KR960002473Y1 (ko) * 1993-07-16 1996-03-25 이원형 건축공사용 족답기구
KR100622395B1 (ko) 2005-11-25 2006-09-14 (주)효명이씨에스 자기부상열차 선로에 설치되는 추락방지용 안전 난간구조물
KR20090076879A (ko) * 2009-06-23 2009-07-13 신영기술개발(주) 궤도차량 시스템의 안전대피통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17097A (zh) * 2021-09-29 2022-02-08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高速磁浮铁路盾构隧道的高疏散平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1058B1 (ko) 하이브리드 교통 시스템용 궤도를 구비한 교량
CN104912004B (zh) 一种抱轨式轨道交通桥梁疏散检修平台
KR101215330B1 (ko) 앵글 조립식 교량점검통로
US8511039B2 (en) Safety barrier for multi-storey buildings
CN210561776U (zh) 一种桥梁防撞护栏外挂平台
JP2008223341A (ja) 移動設置式歩道橋
KR100989111B1 (ko) 교량의 점검통로 접근용 출입계단 구조물
KR101683403B1 (ko) 케이블 점검이 용이한 철도 비상 대피로
KR101028631B1 (ko) 이동식 교량점검장치
KR101668923B1 (ko) 방음터널용 접이식 점검로 및 이 시공 방법
US9573606B2 (en) Integrated walkway system
CN109398371A (zh) 一种带有电缆支架的阶梯式疏散平台
KR20090121969A (ko) 전동차 탑승용 휠체어 발판
CN204728225U (zh) 一种抱轨式轨道交通桥梁疏散检修平台
JP3991067B1 (ja) 鉄道ホーム間仮設橋
KR20180073829A (ko) 타워크레인용 건널 다리
KR100561709B1 (ko) 교량 상판 하부받침장치 안전점검시설
KR20090061760A (ko) 철도교량용 비상계단
CN220319070U (zh) 一种用于装配式建筑楼梯间的定型化上人平台
KR100720318B1 (ko) 건축물 조립용 작업대
KR102661787B1 (ko) 열차운행선 작업자 안전을 위한 철도횡단 통로
ES2624211B1 (es) Sistema para ampliar una estructura de puente atirantado, estructura de puente atirantado ampliada y su proceso constructivo
JP2004169475A (ja) 橋構造物用点検作業台
KR102578415B1 (ko) 대형 전동기 정비 작업을 위한 이동형 탑승 장치
KR102236750B1 (ko) 호환가능한 구조를 포함하는 1인 창호 작업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